KR101717354B1 -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354B1
KR101717354B1 KR1020150106430A KR20150106430A KR101717354B1 KR 101717354 B1 KR101717354 B1 KR 101717354B1 KR 1020150106430 A KR1020150106430 A KR 1020150106430A KR 20150106430 A KR20150106430 A KR 20150106430A KR 101717354 B1 KR101717354 B1 KR 10171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container body
cover membe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633A (ko
Inventor
노조무 도이다
신 마츠야마
신타로 야베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6001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Packag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과제]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착탈식 커버, 및 그러한 착탈식 커버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휴대형 음료 용기(100)의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착탈식 커버(1A)로서,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감겨지는 시트 모양의 커버 부재(2A)와, 커버 부재(2A)의 원주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ATTACHING/DETACHING COVER AND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COVER}
본 발명은,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이른바 보온병)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휴대형 음료 용기(이른바 물통)가 있다. 용기 본체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를 가지며, 외부 용기의 내측에 내부 용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구부를 접합한 이중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휴대형 음료 용기 중에서도,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작은(예를 들면 0.5 ~ 1L 정도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를 수용하는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커버(파우치)에 의해서, 용기 본체를 보호하거나, 가지고 다니기 쉽게 하거나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를 참조.).
이것에 대해서,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큰(예를 들면 2L 정도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서는, 커버가 너무 커져서 버리기 때문에, 커버를 마련하지 않고 용기 본체에 장착된 핸들을 쥐고 가지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서는, 예를 들면 옥외 등의 직사 광선이 닿는 장소에 장시간 놓는 경우, 용기 본체를 들 수 없을 정도로 용기 본체(외부 용기)의 표면이 뜨거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 용기 본체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서, 입구로부터의 전열(傳熱)에 의해 표면의 온도가 내부 용기 내로 전해져, 보냉 성능이 나빠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0-14278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05-95249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착탈식 커버, 및 그러한 착탈식 커버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휴대형 음료 용기의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착탈식 커버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감겨지는 시트 모양의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원주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
〔2〕상기 접속 부재는, 면파스너(面faste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착탈식 커버.
〔3〕휴대형 음료 용기의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착탈식 커버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몸통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것 보다도 작은 내경을 가지며, 적어도 원주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된 통 모양의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
〔4〕상기 커버 부재는, 단열성 및 쿠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착탈식 커버.
〔5〕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몸통부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 미끄럼 방지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 〔4〕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착탈식 커버.
〔6〕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상기 커버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마련하여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5〕에 기재된 착탈식 커버.
〔7〕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몸통부의 축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상기 몸통부의 외경 보다도 지름이 넓어진 확경부(擴徑部)를 가지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일단측의 확경부와 상기 타단측의 확경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을 덮음과 아울러, 상기 확경부의 외경과 대략 일치한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 〔6〕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착탈식 커버.
〔8〕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착탈식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식 커버는, 상기〔1〕 ~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착탈식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9〕상기 용기 본체의 내용량이 1 ~ 3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에 기재된 휴대형 음료 용기.
〔10〕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캡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캡 유닛에는, 주둥이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또는〔9〕에 기재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11〕상기 용기 본체에는, 핸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 ~ 〔10〕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착탈식 커버, 및 그러한 착탈식 커버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착탈식 커버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형 음료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착탈식 커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에 나타내는 착탈식 커버를 외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b)는 도 3에 나타내는 착탈식 커버를 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착탈식 커버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착탈식 커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착탈식 커버(1A)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착탈식 커버(1A)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형 음료 용기(100)와, 휴대형 음료 용기(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식 커버(1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형 음료 용기(100)는,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큰 보냉 기능을 가진 타입이며, 그 내용량은 약 2L이다.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1 ~ 3L 정도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착탈식 커버(1A)는, 이러한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100)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휴대형 음료 용기(100)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2는, 휴대형 음료 용기(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휴대형 음료 용기(100)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로부터 착탈식 커버(1A)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 중의 포위 부분에는, 선분 A-A'에 의한 휴대형 음료 용기(100)의 요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휴대형 음료 용기(1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1)와, 캡 유닛(102)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01)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101)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101a) 및 내부 용기(101b)를 가지며, 외부 용기(101a)의 내측에 내부 용기(101b)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구부를 접합한 이중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101a)와 내부 용기(101b)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101c)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101c)은, 예를 들면, 고진공(1000만 분의 1기압 이하)으로 감압(減壓)(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101a)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脫氣孔)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101)의 외주면에는, 도장(塗裝)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휴대형 음료 용기(100)는, 이러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101)에 의해서, 용기 본체(101)에 수용된 음료물(내용물)을 보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휴대형 음료 용기 중에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에 의해서, 보냉 기능 외에도, 보온 기능을 갖게 한 것이 있다.
용기 본체(101)는, 원통 모양의 몸통부(101a)를 가지며, 이 몸통부(101a)의 축방향의 일단(하단)측에 바닥 부재(103)와, 타단(상단)측에 어깨 부재(104)가 장착된 보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닥 부재(103)는, 용기 본체(101)의 저부를 피복 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어깨 부재(104)는,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점차 지름이 축소된 어깨부와, 어깨부의 상단으로부터 통 모양으로 기립한 구경부(口頸部)를 피복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 바닥 부재(103) 및 어깨 부재(104)는, 몸통부(101a)의 외경 보다도 지름이 넓어진 확경부(擴徑部)를 구성하고 있다.
용기 본체(101)에는, 핸들(105)이 장착되어 있다. 핸들(105)은, 어깨 부재(104)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암부(105a, 105a)와, 한 쌍의 암부(105a, 105a)의 사이를 연결하는 아치부(105b)를 가지고 있다. 또, 아치부(105b)에는, 미끄럼 방지가 되는 그립부(105c)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술한 용기 본체(101)에 장착되는 바닥 부재(103), 어깨 부재(104) 및 핸들(105)에는, 내열성을 가지며, 고강도 또한 경량인 합성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이 이용되어 있다. 또, 그립부(105c)에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등이 이용되어 있다.
캡 유닛(102)은, 용기 본체(101)의 상부 개구부(101d)를 폐색하는 것이며, 용기 본체(101)의 구경부(口頸部)(어깨 부재(104))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 캡 유닛(102)의 내측에는,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도시하지 않음)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은, 용기 본체(101)와 캡 유닛(102)과의 사이를 밀폐하는 링 모양의 씰(seal) 부재이다. 또, 지수 패킹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이 이용되어 있다.
캡 유닛(102)의 상부에는, 대략 원통 모양의 주둥이(도시하지 않음)를 개폐하는 뚜껑(106)이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뚜껑(106)은, 힌지부에 마련된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캡 유닛(102)에는, 뚜껑(106)이 주둥이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뚜껑(106)을 고정하는 뚜껑 락 기구(107)가 마련되어 있다. 뚜껑 락 기구(107)에서는, 누름 버튼(107a)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뚜껑(106)의 락 상태를 해제하고,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의해 뚜껑(106)을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뚜껑 락 기구(107)에는, 누름 버튼(107a)의 가압 조작을 규제하는 위치와, 이 규제를 해제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하는 스토퍼(107b)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뚜껑 락 기구(107)에서는, 누름 버튼(107a)의 불필요한 조작에 의해 뚜껑(106)이 열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뚜껑(106)의 내측에는, 뚜껑 패킹(도시하지 않음)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뚜껑 패킹은, 주둥이와 뚜껑(106)과의 사이를 밀폐하는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또, 뚜껑 패킹에는, 지수 패킹과 동일한 재질의 것이 이용되어 있다.
또, 캡 유닛(102)으로서는, 상술한 주둥이가 마련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중간 마개 및 컵이 마련된 형태라도 좋다. 또, 캡 유닛(102)에는, 상술한 용기 본체(101)에 장착되는 바닥 부재(103), 어깨 부재(104) 및 핸들(105)과 동일한 합성 수지 재료가 이용되어 있다.
착탈식 커버(1A)의 구성에 대해 도 3,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3은, 착탈식 커버(1A)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착탈식 커버(1A)를 일면(외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의 (b)는, 착탈식 커버(1A)를 타면(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착탈식 커버(1A)는, 도 3,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착탈식 커버(1A)는,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에 감겨지는 시트 모양의 커버 부재(2A)와, 커버 부재(2A)의 원주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2A)는, 몸통부(101a)의 표면을 단열하는 기능과,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2A)는, 단열성 및 쿠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재(2A)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장방형) 모양으로 형성된 단층 또는 복층의 시트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 커버 부재(2A)는, 폴리에스테르 포(布), 에틸렌ㆍ초산비닐공중합(EVA) 발포 시트, 폴리에스테르 포(布)의 3층 구조를 가지며, EVA 발포 시트의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포(布)가 붙여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커버 부재(2A)의 가장자리부에는, 파이핑(piping)(트리밍(trimming))이 실시되어 있다. 또, 이러한 파이핑(트리밍)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EVA 발포 시트는, 발포체로서 커버 부재(2A)에 단열성 및 쿠션성을 부가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2A)는, 중간층이 되는 EVA 발포 시트의 양면에, 외면층 및 내면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포(布)를 붙임으로써, EVA 발포 시트를 보호함과 아울러, 젖었을 때의 속건성(速乾性)을 부가할 수 있다. 즉, 이 커버 부재(2A)는, 더러워졌을 때에 물로 씻는 것이 용이하고, 젖었을 때에도 건조를 좋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커버 부재(2A)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2A)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재(2A)가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 수지, 합피(合皮) 레더(leather), 폴리프로필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발포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2A)가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상술한 발포체를 적층한 것이나, 발포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예를 들면, 포(布)나 시트를 붙인 것, 외면층으로서 에나멜 도장을 실시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단열성 및 쿠션성을 가지는 재료라면, 상술한 발포체 이외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2A)의 외면에는,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커버 부재(2A)의 두께에 대해서는, 1 ~ 3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재(2A)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단열성, 쿠션성, 내구성 등이 불충분하게 된다. 한편, 커버 부재(2A)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몸통부(101a)에 감기 힘들어져, 몸통부(101a)와의 밀착성이 나빠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커버 부재(2A)의 두께는, 약 2 mm이며, 몸통부(101a)와 바닥 부재(103) 및 어깨 부재(10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커버 부재(2A)의 몸통부(101a)와 대향하는 측의 면(내면)에는, 미끄럼 방지층(4A)이 마련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층(4A)은, 커버 부재(2A)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마련하여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미끄럼 방지층(4A)의 각 스트라이프는, 커버 부재(2A)의 원주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45℃)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2A)는, 몸통부(101a)에 감겨졌을 때에, 보다 적은 재료로 몸통부(101a)의 전체 둘레를 따라 효율 좋게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4A)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를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2A)가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커버 부재(2A)의 내면층을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 방지층(4A)으로 할 수 있다. 또, 미끄럼 방지층(4A)으로서, 커버 부재(2A)의 내면에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을 전면(全面)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미끄럼 방지층(4A)은, 상술한 스트라이프의 방향(각도)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미끄럼 방지층(4A)은, 상술한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격자 모양이나, 도트(dot) 모양, 섬 모양 등이라도 좋다.
접속 부재(3)는, 커버 부재(2A)의 원주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서로 겹침 부분에 마련된 면파스너(面fastner)이다. 면파스너는, 커버 부재(2A)의 외면측의 서로 겹침 부분을 따라서 장착된 테이프 모양의 루프면(loop面) 부재(3a)와, 커버 부재(2A)의 내면측의 서로 겹침 부분을 따라서 장착된 테이프 모양의 후크면(hook面) 부재(3b)를 가지고 있다.
접속 부재(3)는, 루프면 부재(3a)와 후크면 부재(3b)를 서로 겹침으로써, 커버 부재(2A)의 원주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2A)를 통 모양인 채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접속 부재(3)로서는, 상술한 면파스너 외에도, 예를 들면, 슬라이드 파스너나, 스냅 버튼, 버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접속 부재(3)는, 커버 부재(2A)의 서로 겹침 부분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착탈식 커버(1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진다. 착탈식 커버(1A)는, 몸통부(101a)에 커버 부재(2A)를 감으면서 루프면 부재(3a)와 후크면 부재(3b)를 서로 겹침으로써, 휴대형 음료 용기(100)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착탈식 커버(1A)는, 루프면 부재(3a)로부터 후크면 부재(3b)를 떼어냄으로써, 휴대형 음료 용기(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착탈식 커버(1A)는, 시트 모양으로 전개(展開)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커버 보다도, 더러워졌을 때에 세탁이 용이하고, 부피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수납성도 양호하다.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에서는, 착탈식 커버(1A)에 의해서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를 보호함과 아울러, 몸통부(101a)의 표면을 단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에서는, 예를 들면 옥외 등의 직사 광선이 닿는 장소에 장시간 놓는 경우에도,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를 들 수 없게 될 정도로 뜨거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용기 본체(101)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서, 보냉 성능이 나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에서는, 착탈식 커버(1A)(커버 부재(2A))가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만을 덮은 구성이다. 이 구성의 경우,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커버를 장착하는 경우 보다도, 휴대형 음료 용기(100)를 바로 세웠을 때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커버를 장착한 경우, 커버의 저면이 더러워지거나, 흠이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러한 상황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100)에서는,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작은(예를 들면 0.5 ~ 1L 정도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 비해 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지면 등에 기립한 상태에서 방치하는 경우도 많아, 특히 유효하다.
또,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에서는, 바닥 부재(103)와 어깨 부재(104)와의 사이에서 몸통부(101a)의 외주면을 착탈식 커버(1A)(커버 부재(2A))가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 보다도 지름이 넓어진 바닥 부재(103) 및 어깨 부재(104)(확경부)에 의해서, 착탈식 커버(1A)(커버 부재(2A))의 몸통부(101a)에 대한 축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에서는, 상술한 미끄럼 방지층(4A)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와 아울러,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에 씌워진 착탈식 커버(1A)(커버 부재(2A))의 위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 또,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와 착탈식 커버(1A)(커버 부재(2A))와의 사이에 먼지 등이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에서는, 착탈식 커버(1A)(커버 부재(2A))가 바닥 부재(103) 및 어깨 부재(104)의 외경과 대략 일치한 외경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바닥 부재(103) 및 어깨 부재(104)의 외주면과 착탈식 커버(1A)(커버 부재(2A))의 외주면이 거의 면일(面一)이 되기 때문에, 보기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착탈식 커버(1B)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5는, 착탈식 커버(1B)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커버(1A)를 대신하여, 착탈식 커버(1B)를 구비하고 있다. 즉,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는, 상기 휴대형 음료 용기(100)에 대해서 착탈식 커버(1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인 것 이외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A)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휴대형 음료 용기(100)의 설명을 생략하고, 착탈식 커버(1B)의 구성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6은, 착탈식 커버(1B)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착탈식 커버(1B)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착탈식 커버(1B)는,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것 보다도 작은 내경을 가지며, 적어도 원주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된 통 모양의 커버 부재(2B)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2B)는,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를 보호하는 기능과, 몸통부(101a)의 표면을 단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2B)는, 상술한 신축성과 아울러, 단열성 및 쿠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재(2B)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장방형) 모양으로 형성된 단층 또는 복층의 시트체를 통 모양으로 가공(봉제(縫製))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 커버 부재(2B)는, 폴리에스테르 포(布), 스틸렌ㆍ부타디엔 고무(SBR) 발포 시트, 폴리에스테르 포(布)의 3층 구조를 가지며, SBR 발포 시트의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포(布)가 붙여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커버 부재(2A)의 가장자리부에는, 파이핑(트리밍)이 실시되어 있다. 또, 이러한 파이핑(트리밍)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SBR 발포 시트는, 신축성과 아울러, 발포체로서 커버 부재(2B)에 단열성 및 쿠션성을 부가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2B)는, 중간층이 되는 SBR 발포 시트의 양면에, 외면층 및 내면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포(布)를 붙임으로써, EVA 발포 시트를 보호함과 아울러, 젖었을 때의 속건성을 부가할 수 있다. 즉, 이 커버 부재(2B)는, 더러워졌을 때에 물로 씻는 것이 용이하고, 젖었을 때에도 건조를 좋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커버 부재(2B)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2B)의 재질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2B)가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 수지, 합피 레더, 폴리프로필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발포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2B)가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상술한 발포체를 적층한 것이나, 발포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예를 들면, 포(布)나 시트를 붙인 것, 외면층으로서 에나멜 도장을 실시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신축성, 단열성 및 쿠션성을 가지는 재료라면, 상술한 발포체 이외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2B)의 외면에는,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커버 부재(2B)의 두께에 대해서는, 1 ~ 3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재(2B)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단열성, 쿠션성, 내구성 등이 불충분하게 된다. 한편, 커버 부재(2B)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신축성이 나빠져, 몸통부(101a)에 씌우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커버 부재(2B)의 두께는, 약 2mm이다.
커버 부재(2B)의 몸통부(101a)와 대향하는 측의 면(내면)에는, 미끄럼 방지층(4B)이 마련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층(4B)은, 커버 부재(2B)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마련하여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미끄럼 방지층(4B)의 각 스트라이프는, 커버 부재(2B)의 원주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90°)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2B)는, 몸통부(101a)에 씌워졌을 때에, 보다 적은 재료로 몸통부(101a)의 전체 둘레를 따라 효율 좋게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미끄럼 방지층(4B), 상술한 미끄럼 방지층(4A)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상술한 미끄럼 방지층(4A)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 부재(2B)는, 원주 방향의 일단과 타단을 통 모양으로 봉제할 때에, 신축성을 좋게 하기 위해, 지그재그 꿰맴에 의해서 서로 꿰매어져 있다. 또, 파이핑(트리밍)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지그재그 꿰맴에 의해서 신축성을 좋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착탈식 커버(1B)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진다. 착탈식 커버(1B)는, 커버 부재(2B)를 원주 방향으로 늘리면서 커버 부재(2B)의 내측에 용기 본체(101)를 통과시킴으로써, 휴대형 음료 용기(100)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착탈식 커버(1B)는, 커버 부재(2B)를 원주 방향으로 늘리면서 커버 부재(2B)의 내측으로부터 용기 본체(101)를 빼냄으로써, 휴대형 음료 용기(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착탈식 커버(1B)는, 통 모양이기 때문에,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커버 보다도, 더러워졌을 때에 세탁이 용이하고,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수납성도 양호하다.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에서는, 착탈식 커버(1B)를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에 씌우는 것에 의해서, 상기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착탈식 커버(1B)에 의해서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를 보호함과 아울러, 몸통부(101a)의 표면을 단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에서는, 예를 들면 옥외 등의 직사 광선이 닿는 장소에 장시간 놓는 경우에도,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를 들 수 없게 될 정도로 뜨거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용기 본체(101)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서, 보냉 성능이 나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에서는, 착탈식 커버(1B)(커버 부재(2B))가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만을 덮은 구성이다. 이 구성의 경우,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커버를 장착하는 경우 보다도, 휴대형 음료 용기(100)를 바로 세웠을 때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커버를 장착한 경우, 커버의 저면이 더러워지거나, 흠이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러한 상황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100)에서는,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작은(예를 들면 0.5 ~ 1L 정도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 비해 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지면 등에 기립한 상태에서 방치하는 경우도 많아, 특히 유효하다.
또,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에서는, 바닥 부재(103)와 어깨 부재(104)와의 사이에서 몸통부(101a)의 외주면을 착탈식 커버(1B)(커버 부재(2B))가 덮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 보다도 지름이 넓어진 바닥 부재(103) 및 어깨 부재(104)(확경부)에 의해서, 착탈식 커버(1B)(커버 부재(2B))의 몸통부(101a)에 대한 축방향(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에서는, 상술한 미끄럼 방지층(4B)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와 아울러,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에 씌워진 착탈식 커버(1B)(커버 부재(2B))의 위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 또, 용기 본체(101)의 몸통부(101a)와 착탈식 커버(1B)(커버 부재(2B))와의 사이에 먼지 등이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100B)에서는, 착탈식 커버(1B)(커버 부재(2B))가 바닥 부재(103) 및 어깨 부재(104)의 외경과 대략 일치한 외경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바닥 부재(103) 및 어깨 부재(104)의 외주면과 착탈식 커버(1B)(커버 부재(2B))의 외주면이 거의 면일이 되기 때문에, 보기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휴대형 음료 용기, 그 중에서도 비교적 사이즈(용량)가 큰 대용량의 휴대형 음료 용기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착탈식 커버, 및 그러한 착탈식 커버가 장착된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형 음료 용기(100)에 대해서는, 상술한 외관 형상을 가진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사이즈나 기능,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A, 1B - 착탈식 커버 2A, 2B - 커버 부재
3 - 접속 부재(면파스너) 4A, 4B - 미끄럼 방지층
100A, 100B -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100 - 휴대형 음료 용기 101 - 용기 본체
101a - 몸통부 102 - 캡 유닛
103 - 바닥 부재(일단측의 확경부)
104 - 어깨 부재(타단측의 확경부)
105 - 핸들 106 - 뚜껑
107 - 뚜껑 락 기구

Claims (11)

  1.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착탈식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식 커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감겨지는 시트 모양의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의 원주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몸통부의 축방향의 일단측에 바닥 부재와 타단측에 어깨 부재가 장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닥 부재 및 상기 어깨 부재는, 상기 몸통부의 외경 보다도 넓어진 확경부(擴徑部)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커버 부재의 두께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바닥 부재 및 상기 어깨 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어깨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을 상기 커버 부재가 덮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바닥 부재 및 상기 어깨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외주면이 면일(面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면파스너(面faste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3.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착탈식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식 커버는, 상기 용기 본체의 몸통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것 보다도 작은 내경을 가지며, 적어도 원주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된 통 모양의 커버 부재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몸통부의 축방향의 일단측에 바닥 부재와 타단측에 어깨 부재가 장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닥 부재 및 상기 어깨 부재는, 상기 몸통부의 외경 보다도 넓어진 확경부(擴徑部)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커버 부재의 두께는, 상기 몸통부와 상기 바닥 부재 및 상기 어깨 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어깨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을 상기 커버 부재가 덮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바닥 부재 및 상기 어깨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외주면이 면일(面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단열성 및 쿠션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몸통부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 미끄럼 방지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상기 커버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마련하여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7.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용량이 1 ~ 3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8.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캡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캡 유닛에는, 주둥이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9.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핸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06430A 2014-07-31 2015-07-28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KR101717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6427 2014-07-31
JP2014156427A JP5801935B1 (ja) 2014-07-31 2014-07-31 カバー付き携帯型飲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633A KR20160016633A (ko) 2016-02-15
KR101717354B1 true KR101717354B1 (ko) 2017-03-16

Family

ID=5447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430A KR101717354B1 (ko) 2014-07-31 2015-07-28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01935B1 (ko)
KR (1) KR101717354B1 (ko)
CN (1) CN105310260B (ko)
HK (1) HK12174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748Y1 (ko) * 2004-04-21 2004-07-07 김건식 주류 용기 커버
JP2009113837A (ja) * 2007-11-06 2009-05-28 Zojirushi Corp カバー付き飲料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4270U (ja) * 1984-03-24 1985-10-15 尾陽タオル株式会社 飲料缶、飲料壜、コツプ等のカバ−体
JP2523208Y2 (ja) * 1991-01-21 1997-01-2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蓋つき保温コップ
JP2000142782A (ja) 1998-11-09 2000-05-23 Sekisui Plastics Co Ltd 飲物容器用カバー
JP2005095249A (ja) 2003-09-22 2005-04-14 Sanpack:Kk ボトルホルダー
JP2006315758A (ja) * 2005-05-16 2006-11-24 Shigeo Yagi ビーチ用ペットボトルカバー
CN201617583U (zh) * 2010-01-13 2010-11-03 谢承峰 隔热纸杯结构
JP2014111466A (ja) * 2012-12-05 2014-06-19 Key Tranding Co Ltd 飲料用ボトルカ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748Y1 (ko) * 2004-04-21 2004-07-07 김건식 주류 용기 커버
JP2009113837A (ja) * 2007-11-06 2009-05-28 Zojirushi Corp カバー付き飲料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10260B (zh) 2018-03-30
JP2016033029A (ja) 2016-03-10
JP5801935B1 (ja) 2015-10-28
KR20160016633A (ko) 2016-02-15
HK1217417A1 (zh) 2017-01-13
CN105310260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180B1 (en) Portable storage container
US5680944A (en) Insulated outer layer for a thermal bottle
CN103003166B (zh) 具有集成拉盖把手的瓶子封闭盖
US7815069B1 (en) Collapsible insulated cooler
US7252213B1 (en) Beverage jug cover
US8689989B2 (en) Drink bottle and lid with button release at back of lid
US20150191293A1 (en) Insulated Apparatus for a Beverage Can
US20150284138A1 (en) Hinged dual chamber storage container
US7455339B2 (en) Laptop safety carrier
ITMI981532A1 (it) Recipiente pieghevole
GB2505465A (en) Expandable cool bag
CA2268375A1 (en) Cooler
US8746487B1 (en) Food container
TWI761129B (zh) 保冷袋及可折疊式保冷袋
US20120091156A1 (en) Reusable Beverage Sleev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60243365A1 (en) Insulated portable carrier cover
KR101717354B1 (ko)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US20080105678A1 (en) Canteen cup cover
US20130048594A1 (en) Gallon jug insulation sleeve
CN206519923U (zh) 一种汽车配件用收纳筐
JP2016034854A (ja) 着脱式カバー及びカバー付き携帯型飲料容器
WO2014169350A1 (en) Jacket for a multi walled insulated cooking pot
JP4279436B2 (ja) ペットボトル用ケース
JP5786263B2 (ja) 食品容器のためのすべり抵抗蓋および食品容器
JP3162492U (ja) 断熱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