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748Y1 - 주류 용기 커버 - Google Patents

주류 용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748Y1
KR200355748Y1 KR20-2004-0010982U KR20040010982U KR200355748Y1 KR 200355748 Y1 KR200355748 Y1 KR 200355748Y1 KR 20040010982 U KR20040010982 U KR 20040010982U KR 200355748 Y1 KR200355748 Y1 KR 200355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or
cover body
container
liquor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식
Original Assignee
김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식 filed Critical 김건식
Priority to KR20-2004-0010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07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85Rigid shells for receiving the bottle or part of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92Net-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류 용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 주류 용기 내의 주류를 오랫동안 신선하게 유지하고, 보관/취급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는, 주류 용기(1)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덮히도록 신축성 및 유연성이 있는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의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 본체를 상기 주류 용기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그리고, 상기 커버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광고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 본체(11)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 본체의 좌우 양측의 자유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부착되는 벨크로 파스너(12)인 것일 수 있고, 상기 커버 본체(15)는 루프형이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 본체의 상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 본체의 상하부를 상기 주류 용기로 조이는 탄성밴드(16)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류 용기 커버{A ALCOHOLIC LIQUORS CONTAINER COVER}
본 고안은 주류 용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류를 오랫동안 적정 온도로 유지함과 더불어, 주류 용기의 보관/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주류 용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 소주, 맥주 등의 주류는 각각 고유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온도가 있다. 이에 따라, 주류를 판매하는 요식업체에서는 각종 주류를 적정 온도로 냉장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고객은 적정온도로 냉장된 주류용기를 손으로 잡고 컵 등에 따라 마시게 되는데, 초기에는 주류의 온도가 음용에는 적합하지만, 손으로 잡기에는 차가운 느낌을 느끼기 때문에 주류 용기에 채워진 주류를 따르기 위하여 손으로 잡을 때마다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단점이 있고,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실내 환경 등에 의해 주류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주류의 고유한 맛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류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냉각장치들이 제안된 바 있다.
주류 냉각장치로 일 예로, 테이블에 주류 용기가 수용되는 용기를 형성하고, 이 용기를 냉각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각테이블은 기존 테이블의 형상 변경 또는 냉각테이블을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주류를 차갑게 함에 따라 주류용기 역시 차가워져 주류를 따르기 위하여 주류용기를 손으로 잡을 때 차가운 느낌을 느끼게 되므로 불쾌감을 해소할 수는 없다.
한편, 주류 용기를 삽입하여 주류를 단열함으로써 냉장되어 공급된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한 보냉 겸용 보온용기가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20949호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출원된 보냉 겸용 보온용기는, 내통과 외통 두 겹으로 용기가 구성되고 그 공간 내부에 축열 물질이 충전되는 것으로, 상기 외통에는, 손으로 붙잡기 편하도록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서 움푹 들어간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상단 둘레에는 차단막을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외통 환 홈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내통에는, 씰 링을 억지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내통 환 홈을 형성하고 밑면에는 완충패드를 결합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케 하는 것 과; 재질은 고무재이고 바깥 방향에서 안쪽 방향을 향해서 점차 날카로워지는 두께의 밀착날개와 이 밀착날개 중앙에는 일정한 크기의 씰 링 공간이 형성되며 또 상기 밀착날개는 상 하 방향으로 원할 하게 작용하면서 신축 작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부를 형성하며, 또한 바깥 둘레에는 끊어짐 없이 이어진 링 형태의 용기 결합부를 형성하되, 이 용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다소의 유연성이 제공되는 강선링을 넣어서 성형한 씰 링을 결합하는 것과; 재질은 유연성이 매우 뛰어나고 질긴 라텍스 또는 생고무 재이면서 모양은 동그란 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중앙에는 일정한 크기의 동그란 차단막 공간이 형성되고 안쪽과 바깥쪽 둘레에는 일정한 일정 이상의 신축장력을 가진 용기 밀착 링과 용기 결합 링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의 신축력이 매우 뛰어난 신축시트를 형성하며, 어느 일부분에 손잡이(204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 출원에 의한 보냉 겸용 보온용기에 따르면, 내통의 내부에 주류 용기 등을 삽입하면, 내통과 외통 사이에 충진된 축열물질에 의해 주류 용기에 충진된 주류의 온도가 변하지 않고 유지(보냉/보온)될 수 있다.
그러나, 선출원된 보냉 겸용 보온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용기가 내통 및 외통의 두겹으로 이루어지고, 이 내통과 외통 사이에 충진된 축열물질에 의해 주류의 온도가 유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주류의 온도를 유지하는 목적만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므로 제품의 효용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한편, 주류를 포함하여 모든 제품은 제품의 판매촉진을 위하여 광고를 하고 있다. 주류 광고의 형태로 벽면에 부착하는 포스터, 종업원의 에이프런에 인쇄되는 광고문구/도안이 일반적인데, 광고를 보기 위해서는 벽면형 포스터나 에이프런을 일부러 찾아서 봐야하기 때문에 자주 보지 않으며, 따라서, 광고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주류 냉각 용기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38502호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단열재이면서 그 내부에 상측이 개구되는 주류용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둘레부에 부착되며 그 표면에 광고문구/도안이 인쇄되는 광고시트와;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의해 주류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면서 냉각 용기의 표면 온도는 적정온도(실내온도 또는 신체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유지되어 냉각 용기를 손으로 잡을 때 온도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으며, 별도의 축열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발포체, 발포체 및 합성수지 등의 단열재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만으로 주류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주류 용기는 제품별로 그 형상이 다르지만, 용기 본체는 그 형태가 변하지 않은 정형이기 때문에 용기 본체가 주류 용기에 밀착되지 못한다. 이처럼, 용기 본체가 주류 용기에 밀착되지 못하여 그들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면 이 공간 내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주류의 온도가 빨리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주류 냉각 용기 본체의 구조상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시 공간점유율이 커지므로 보관/취급이 불편한 단점도 있다.
또한, 주류 냉각 용기 본체를 잡고 주류 용기 안의 내용물을 따를 때 냉각 용기 본체와 주류 용기간의 공간에 의해 주류 용기가 흔들리게 되어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류 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주류 용기와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에 의한 주류의 온도가 변하지 않고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한 주류 용기 커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관시 최소 부피를 유지하고, 필요시 주류 용기에 씌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류를 따르는 작업이 안정되고, 주류를 흘리지 않도록 하려는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의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주류 용기, 10 : 용기 커버
11,15 : 커버 본체, 12 : 벨크로 파스너
13 : 광고부, 14 : 투명부
16 : 탄성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는, 주류 용기의 외형에 상관없이 모든 주류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어 주류 용기를 잡을 때 차가운 느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주류 용기 내의 주류가 오랫동안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10)는, 주류 용기(1)(도 2a 및 도 2b참조)의 외주면을 감싸 주류 용기에 채워진 주류의 열교환을 막으면서 파지시 손에 차가운 느낌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본체(11), 커버 본체(11)가 주류 용기(1)에 밀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로서 벨크로파스너(12) 및 커버 본체(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광고부(13)로 구성된다.
커버 본체(11)는 주류 용기(1)의 외형에 상관없이 모든 주류 용기(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신축성 및 유연성이 있는 직물,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본체(11)는 판형(양측의 자유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음)으로서 대략 주류 용기(1)의 아래쪽 절반 정도를 덮을 수 있는 높이(주류 용기를 잡을 때 손에 직접 주류 용기가 닿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면서 주류 용기(1)의 외주면 전영역을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커버 본체(11)에는 주류 용기(1)에 남은 주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14)가 형성된다. 투명부는 커버 본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투명공을 천공하고, 이 투명공에 투명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벨크로 파스너(12)는 커버 본체(11)가 주류 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커버 본체(11)의 양측 자유단부를 서로 부착하는 것으로, 서로 부착되는 후크부(12a)와 고리부(12b)가 각각 커버 본체(11)의 양측 자유 단부에 봉재 등으로 고정된다.
커버 본체(11)를 주류 용기(1)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벨크로 파스너(12)만을 설명하였지만, 고정부재는 벨크로 파스너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 본체(11)를 주류 용기(1)에 부착, 분리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사용 가능하다.
광고부(13)는 커버 본체(11)의 외주면에 수축비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의 작용을 설명한다.
커버 본체(11)는 평상시 양측의 자유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이거나 벨크로 파스너(12)의 후크부(12a)와 고리부(12b)가 서로 부착된 후 접힌상태로 다수개가 적층되어 보관되어 좁은 공간에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다.
도 2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용기 커버(10)의 사용시 일측의 자유 단부에서부터 주류 용기(1)의 외주면에 씌우며, 이때, 용기 커버(10)가 주류 용기(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타측 자유단부를 잡아당겨 커버 본체(11)를 팽팽하게 하면, 커버 본체(11)는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주류 용기(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는다.
주류 용기(1)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그 외형이 도 2a 및 도 2b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를 수 있으며, 이때, 커버 본체(11)가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용기 커버(10)는 주류 용기(1)의 외형에 상관없이 모든 주류 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어서, 커버 본체(11)의 양측 자유단부의 벨크로 파스너(12)를 서로 부착하면 주류 용기(1)의 외주면에 커버 본체(10)가 부착되어 주류 용기(1)를 잡을 때 손에 직접 주류 용기가 닿지 않으므로 주류의 차가운 촉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용기 커버(10)의 투명부(14)를 통해 주류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주류를 전부 마시게 되면 커버 본체(11)의 타측 자유단부를 강제로 잡아 당겨 부착되어 있는 양측의 벨크로 파스너(12)를 서로 떼내어 커버 본체(11)를 주류 용기(1)에서 분리한 후, 펼쳐 보관하거나, 새로운 주류 용기에 상술한 방법으로 부착하여 사용한다.
< 실시예 2 >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10)는, 커버 본체(15)가 실시예 1과 같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상측 또는 상하측이 개구되도록 루프(loop)형태로 형성된다. 커버 본체(15)의 상하 단부에는 커버 본체(15)가 주류 용기(1)(도 4에 도시됨)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밴드(16)가 각각 봉재 등으로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10)는 평상시 접어 보관되며, 사용시 주류 용기(1)를 용기 커버(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주류 용기(1)를 용기 커버(10)의 내부에 삽입하면 용기 커버(10)의 신축성 및 유연성에 의해 용기 커버(10)가 주류 용기(1)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하부의 탄성밴드(16)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주류 용기(1)와 용기 커버(10)의 사이에 침투하지 못하여 열교환에 의한 주류의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류 용기 커버에 의하면, 용기 커버가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주류 용기의 외형에 상관없이 주류 용기의 둘레부에 밀착됨에 따라 열교환에 의한 주류의 온도 변화가 지연되므로 주류를 오랫동안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커버를 접어 보관하다가 필요시 사용하므로 보관/취급이 용이하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용기 커버의 재질의 특성 및 주류 용기에 밀착되어 주류 용기를 안정되게 잡을 수 있으므로 주류 용기 내의 주류를 따를 때 주류를 흘리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주류 용기(1)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덮히도록 신축성 및 유연성이 있는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의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 본체를 상기 주류 용기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그리고,
    상기 커버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광고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용기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11)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 본체의 좌우 양측의 자유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부착되는 벨크로 파스너(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용기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15)는 루프형이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 본체의 상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 본체의 상하부를 상기 주류 용기로 조이는 탄성밴드(16)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용기 커버.
  4. 제 2 항 또는 제 3 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는 상기 주류용기 내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1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용기 커버.
KR20-2004-0010982U 2004-04-21 2004-04-21 주류 용기 커버 KR200355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982U KR200355748Y1 (ko) 2004-04-21 2004-04-21 주류 용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982U KR200355748Y1 (ko) 2004-04-21 2004-04-21 주류 용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748Y1 true KR200355748Y1 (ko) 2004-07-07

Family

ID=4943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982U KR200355748Y1 (ko) 2004-04-21 2004-04-21 주류 용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7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633A (ko) * 2014-07-31 2016-02-15 서어모스 케이.케이.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GB2612321A (en) * 2021-10-27 2023-05-03 Doodle With Date Ltd Stackable bott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633A (ko) * 2014-07-31 2016-02-15 서어모스 케이.케이.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KR101717354B1 (ko) * 2014-07-31 2017-03-16 서어모스 케이.케이. 착탈식 커버 및 커버가 부착된 휴대형 음료 용기
GB2612321A (en) * 2021-10-27 2023-05-03 Doodle With Date Ltd Stackable bott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225A (en) Beverage container cooler
US7111753B2 (en) Insulating sleeve for a beverage container
US6027249A (en) Ice cooler jacket
US20070257049A1 (en) Insulating, adjustable, and reversible container holder
AU2003100960B4 (en) Insulating Sleeve for a Glass
US20070181617A1 (en) Container insulator capable of being rolled-up
US20090242578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holder
US20090294317A1 (en) Collapsible insulating sleeves for multi-container packages
KR200355748Y1 (ko) 주류 용기 커버
US20070277286A1 (en) Insulated beverage holder
KR200345004Y1 (ko) 주류 냉각 용기
CN201058686Y (zh) 感温饮料套
JP3135353U (ja) 飲料品の保冷保温用具
KR200356838Y1 (ko) 주류 냉각 용기
US20160174742A1 (en) Insulating holder
KR200486222Y1 (ko) 음료 용기용 커버
US20110226784A1 (en) Covered cooler assembly
US20130020221A1 (en) Container Identification Bands Storage Device
US20050082302A1 (en) Beverage drinking container holder and related methods
KR20190077635A (ko) 음용용기의 보온보냉유지가 가능하면서 광고가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보온보냉팩
US20030173326A1 (en) Elastic reusable cover assembly for containers
JP3132559U (ja) 飲料容器保冷、保温用巻装具
JP3006373U (ja) 容器飲料等の多用途ケース
KR200396326Y1 (ko) 복합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커버
JP4169189B2 (ja) 首掛け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