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291B1 -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291B1
KR101717291B1 KR1020150149548A KR20150149548A KR101717291B1 KR 101717291 B1 KR101717291 B1 KR 101717291B1 KR 1020150149548 A KR1020150149548 A KR 1020150149548A KR 20150149548 A KR20150149548 A KR 20150149548A KR 101717291 B1 KR101717291 B1 KR 101717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mmand
smart device
headset
bluetooth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주원
Original Assignee
(주)모비프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프렌 filed Critical (주)모비프렌
Priority to KR102015014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291B1/ko
Priority to PCT/KR2016/005898 priority patent/WO2017073873A1/ko
Priority to JP2017551032A priority patent/JP2018523177A/ja
Priority to EP16860057.5A priority patent/EP3370433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10)와 연동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있어서, 블루투스 헤드셋(20)의 본체에는 진동모듈을 탑재하고, 진동모듈은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진동커맨드(40)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게임 등의 프로그램의 실행 시 특정 액션 상황에서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진동커맨드에 반응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COMMAND RESPONSIVE VIBRATION BLUETOOTH HEADSET AND GAME FOR SMAR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스마트기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에서 전송되는 진동커맨드에 반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시 특정 액션 상황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해 음성뿐만 아니라 진동을 감지하도록 하여 청각과 촉각을 자극할 수 있는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Heatset)은 머리에 장착하는 형태로 헤드폰과 마이크로폰이 함께 장착되어 음성을 입·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통상적인 유선 헤드셋에는 헤드폰 단자와 마이크 단자가 구비되므로 PC나 스마트기기 등의 소스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이 적용된 무선 헤드셋이 개발되어 소스 단말기와의 케이블 연결로 인한 불편함을 배제하여 더욱 편리한 형태로 사용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종래 공지된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된 헤드셋의 일례로서 공지된 등록특허 제10-1498087호의 블루투스 헤드셋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몸에 장착 가능하고 이어폰 결합부가 형성된 바디와, 바디에 구비되며 이동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바디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는 유닛이 이어폰 결합부에 탈착 가능한 이어폰, 및 오디오 신호에 따른 소리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예로든 등록특허를 포함한 종래 기술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소스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받아 이어폰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기기의 보편화로 인해 대중교통이나 실내·외 등의 공공장소에서도 각종 모바일 게임 등의 프로그램 이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헤드셋의 기본적인 음성 출력 기능만으로는 주변 소음 등의 간섭으로 인해 음성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사용상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최근에는 진동 기능을 탑재한 진동 헤드셋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0295673호의 진동소자를 장착한 USB 진동헤드셋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함과 더불어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헤드셋에 있어서, 스피커의 주변에 설치되면서 입력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에 대응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소자와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진동수단, 컴퓨터의 USB 포트와 결합하기 위한 USB 단자 및, 상기 USB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컴퓨터 전원을 상기 진동소자로 공급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록특허 제 10 - 1498087 - 0000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295673 - 0000 호 등록특허 제 10 - 1218107 - 0000 호 공개특허 제 10 - 2014 - 0010166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등록특허 제10-1498087호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기존의 유선 헤드셋이 가진 케이블 연결에 의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형태를 취하고 있어 사용성을 현저히 개선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은 종래의 헤드셋과 마찬가지로 음성 신호의 입·출력 기능에만 국한되어 사용자의 청각에만 의존하여 정보(음성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주변 소음의 간섭 등에 취약한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295673호의 진동소자를 장착한 USB 진동헤드셋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USB에 의한 유선 연결설정이 요구되는 기술적 한계가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진동판 역시 단순히 출력되는 음성의 저음부 신호에 따라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므로 통상의 우퍼 스피커와 마찬가지로 저음이 강조된 음악의 재생과 같은 용도에서만 진동 발생에 실효성이 있어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10)와 연동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의 본체에는 진동모듈을 탑재하고, 상기 진동모듈은,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진동커맨드(40)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진동커맨드(40)는, 진동발생(p)과 진동휴지(s) 명령의 배열로 이루어져 프로그램 소스(30)에 정의되는 진동패턴(50)에 따라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신호를 전송하여 진동발생 또는 진동휴지 상태로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진동패턴(50)은, 진동발생(p) 및 진동휴지(s) 명령이 실행되는 최소단위시간의 배수를 가변적으로 정의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동패턴(50)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임 등의 프로그램의 실행 시 특정 액션 상황에서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되는 진동커맨드에 반응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PC나 스마트기기 등에서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에서 전송되는 진동커맨드를 수신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게임의 실행 중 특정 액션 등의 상황에서 사용자의 청각과 촉각을 동시에 자극하여 더욱 실감나는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라 상기 진동커맨드의 전송 시 다양한 형태의 진동패턴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상황별로 가변적인 형태의 진동을 발생시켜 더욱 효과적으로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한 진동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게임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커맨드 및 진동패턴의 정의 예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동패턴의 정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커맨드 및 진동패턴의 정의 예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동패턴의 정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게임 등의 각종 프로그램에서 전송되는 진동커맨드(40)에 반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블루투스 헤드셋(20)을 구성함으로써 특정 액션 등의 실행 시 사용자의 청각뿐만 아니라 촉각을 동시에 자극하여 더욱 실감나는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제공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10)와 연동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의 본체에는 진동모듈을 탑재하고, 상기 진동모듈은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진동커맨드(40)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탑재된 통상의 스마트폰을 포함해 게임 실행용 단말기기 및 PC 등을 포함한다.
블루투스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 노트북, PC 등의 소스 단말기와 헤드셋 등의 휴대기기를 상호 연동해 신호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으로서 이에 관해서는 이미 다양한 기술적 내용이 주지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에 탑재되는 진동모듈(미도시)은 통상의 휴대폰 등에 탑재되는 진동모듈과 같이 외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진동 모터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진동시켜 떨림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의 본체 내부에 진동모듈을 탑재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진동모듈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 소스(30)에 진동 인터페이스 모듈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진동커맨드(40)는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예컨대 게임 프로그램의 경우 박진감 넘치는 액션이 진행되는 특정 상황에서 진동 함수를 호출하도록 하여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진동커맨드(40)가 전송되면 진동모듈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진동커맨드(40)는 진동발생(p)과 진동휴지(s) 명령의 배열로 이루어져 프로그램 소스(30)에 정의되는 진동패턴(50)에 따라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신호를 전송하여 진동발생 또는 진동휴지 상태로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프로그램의 소스(30)에 다양한 형태의 진동패턴(50)을 정의하고, 진동커맨드(40)에서 호출한 진동 함수의 해당 진동패턴(50)에 따라서 블루투스 헤드셋(20)의 진동모듈이 진동발생과 휴지를 반복하면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진동패턴(50)은, 진동발생(p) 및 진동휴지(s) 명령이 실행되는 최소단위시간의 배수를 가변적으로 정의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동패턴(50)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라서 진동패턴(50)의 형태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진동발생과 휴지 상태의 단순 반복이 아닌 진동지속시간과 휴지지속시간을 최소단위시간을 기준으로 배수를 다양하게 적용해 가변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게임 프로그램의 경우 게임 개발자가 실행한 액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패턴을 가진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어 더욱 박진감 넘치는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진동발생(p) 및 진동휴지(s)에 명령이 실행되는 최소단위시간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100mSec로 예시하였으나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의 동작과정을 실시 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이 진동을 발생시키기까지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스마트기기(10)를 이용해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사용자가 게임을 시작하면 게임의 진행 중에 특정한 액션, 예컨대 물방울이 터지거나 슈팅, 충돌, 이동 등의 액션이 실행되는 시점에서 게임 프로그램은 진동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스마트기기(10)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블루투스 헤드셋(20)으로 진동커맨드(40)를 전송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스마트기기용 게임의 프로그램 소스(30)에는, 블루투스 헤드셋(20)의 본체에 탑재된 진동모듈을 동작시키는 진동커맨드(40)를 구성하고, 게임의 실행 중 진동의 발생이 필요한 시점에 블루투스 헤드셋(20)으로 진동커맨드(40) 신호를 전송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은 준비(대기) 상태에서는 통상의 헤드셋과 마찬가지로 게임 프로그램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고 스마트기기(10)으로부터 진동커맨드(40)의 수신을 인식한 즉시 본체에 탑재된 진동모듈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의 소스(30)에 특정 액션, 즉 다양한 종류의 진동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진동커맨드(40)를 호출하여 전송하고, 아울러 액션의 종류별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각각의 진동패턴(50)은 게임 프로그램의 소스(30)에 미리 정의한다.
따라서, 진동커맨드(40)의 호출 시 해당 액션에 대응하는 진동패턴(50)에 따라 진동커맨드(40)를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전송하여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패턴(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라 게임 개발자가 프로그램 소스(30) 상에 임의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진동패턴(50)의 정의 방법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진동발생(p)과 진동휴지(s) 명령를 구분하여 배열하되 각 명령이 실행되는 최소단위시간을 기준으로 진동발생 배수와 진동휴지 배수를 임의로 설정하여 진동지속시간과 휴지지속시간을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동패턴(50a~50d)을 형성하도록 정의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vib_bullet_rapid'로 정의된 진동패턴(50b)의 정의 방법을 살펴보면, p03은 진동발생(p) 명령을 최소단위시간인 100mSec의 3 배수인 300mSec 동안 진동지속시간을 가지도록 정의한 것이고, 이어서 s01은 진동휴지(s) 명령을 최소단위시간인 100mSec의 1 배수인 100mSec 동안 진동휴지시간을 가지는 형태로 정의하여 진동패턴(50)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진동휴지(s) 명령은 생략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의 소스(30)에 정의된 각각의 진동패턴(50)에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액션별로 차별화된 형태의 진동을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20)을 통해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게임 사용자가 청각과 촉각을 통해 음성과 진동을 동시에 감지하면서 더욱 실감나고 감각적인 게임 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이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프로그램의 구성에 따라서 상기 진동커맨드(40)의 전송 시 진동발생(p)과 진동휴지(s) 명령이 다양하게 조합된 진동패턴(50)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상황별로 블루투스 헤드셋(20)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진동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여 게임 프로그램 자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진동을 설정해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을 동작시키도록 하여 그 재미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구성 역시 가능하므로 게임 프로그램 및 관련 분야의 발전에도 더욱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 스마트기기
20: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30: 프로그램 소스코드
40: 진동커맨드
50: 진동패턴
f: 진동함수
p: 진동발생
s: 진동휴지

Claims (6)

  1. 스마트기기(10)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되고,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유발되는 진동커맨드(40)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듈을 탑재하는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소스코드(30) 상에는, 진동발생(p) 명령과, 진동휴지(s) 명령과, 상기 진동발생(p) 또는 진동휴지(s) 명령의 지속시간에 대한 최소단위시간배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진동함수(f1~fn)별로 정의되는 진동패턴(50)과, 상기 진동패턴(50) 중에서 특정 진동함수에 대해 정의된 진동패턴(50)을 호출하여 헤드셋(20)에 신호를 전송하는 진동커맨드(40)를 구현하고;
    상기 진동패턴(50)은, 최소단위시간배수에 의한 진동발생(p) 또는 진동휴지(s) 명령의 지속시간 및 반복횟수를 가변적으로 정의하여 서로 다른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진동패턴을 진동함수(f1~fn)별로 구현하고;
    상기 헤드셋(20)은, 스마트기기(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소스코드(30) 상에서 진동커맨드(40)를 유발할 때마다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커맨드(40)에서 호출하는 진동함수(f1~fn)별로 정의된 진동패턴(50)에 따라서 진동모듈을 동작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종의 진동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2. 삭제
  3. 삭제
  4. 스마트기기(10)에 설치하여 게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실행되고, 상기 스마트기기(10)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되는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20)에 진동을 유발시키는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게임 프로그램의 소스코드(30) 상에는, 진동발생(p) 명령과, 진동휴지(s) 명령과, 상기 진동발생(p) 또는 진동휴지(s) 명령의 지속시간에 대한 최소단위시간배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진동함수(f1~fn)별로 정의되는 진동패턴(50)과, 상기 진동패턴(50) 중에서 특정 진동함수에 대해 정의된 진동패턴(50)을 호출하여 헤드셋(20)에 신호를 전송하는 진동커맨드(40)를 구현하고;
    상기 진동패턴(50)은, 최소단위시간배수에 의한 진동발생(p) 또는 진동휴지(s) 명령의 지속시간 및 반복횟수를 가변적으로 정의하여 서로 다른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진동패턴을 진동함수(f1~fn)별로 구현하고;
    상기 게임 프로그램의 소스코드(30) 상에서 진동커맨드(40)를 유발할 때마다 헤드셋(20)에 신호를 전송하여 진동커맨드(40)에서 호출하는 진동함수(f1~fn)별로 정의된 진동패턴(50)에 따라서 헤드셋(20)의 진동모듈을 동작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종의 진동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5. 삭제
  6. 삭제
KR1020150149548A 2015-10-27 2015-10-27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717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48A KR101717291B1 (ko) 2015-10-27 2015-10-27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CT/KR2016/005898 WO2017073873A1 (ko) 2015-10-27 2016-06-03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JP2017551032A JP2018523177A (ja) 2015-10-27 2016-06-03 コマンド反応型振動ブルートゥースヘッドセット、及びこれを適用したスマート機器用ゲーム
EP16860057.5A EP3370433A4 (en) 2015-10-27 2016-06-03 VIBRANT BLUETOOTH HELMET IN RESPONSE TO AN INSTRUCTION, AND INTELLIGENT DEVICE SET SEN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48A KR101717291B1 (ko) 2015-10-27 2015-10-27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291B1 true KR101717291B1 (ko) 2017-03-17

Family

ID=5850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548A KR101717291B1 (ko) 2015-10-27 2015-10-27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370433A4 (ko)
JP (1) JP2018523177A (ko)
KR (1) KR101717291B1 (ko)
WO (1) WO20170738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0558A (ja) * 2017-09-08 2019-03-28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非オーディオデータを用いたヘッドホン上でのハプティックのレンダリング
KR102576232B1 (ko) 2023-04-05 2023-09-08 퍼시픽 센츄리 주식회사 Rf와 초음파를 이용한 헤드 트래킹 가능한 블루투스 게임머용 헤드셋 및 그 헤드셋의 구동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468A (ja) * 1999-01-20 2000-08-02 Namco Ltd ゲ―ム装置
KR200295673Y1 (ko) 2002-06-18 2002-11-18 류봉균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KR20080073400A (ko) * 2007-02-06 2008-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셋 및 그의 상태를 출력하는 방법
KR101218107B1 (ko) 2012-01-02 2013-01-03 (주) 지.티 텔레콤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
KR20140010166A (ko) 2011-05-05 2014-01-23 위츠 왕 차량용 발전기 모터
KR101424210B1 (ko) * 2012-06-29 2014-07-29 주식회사 하이로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조작되는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4120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498087B1 (ko) 2013-02-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398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호착신 알림 방법
US20050143152A1 (en) * 2003-12-30 2005-06-30 Yueh Wen H. Wireless earphone with incoming call vibration function
US8155335B2 (en) * 2007-03-14 2012-04-10 Phillip Rutschman Headset having wirelessly linked earpieces
US9383820B2 (en) * 2011-06-03 2016-07-05 Apple Inc. Custom vibration patterns
KR101344863B1 (ko) * 2011-07-21 2014-01-16 김쌍규 음성인식 다이얼링 헤드셋 장치
KR101275859B1 (ko) * 2011-12-06 2013-06-18 류광희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KR101470329B1 (ko) * 2013-02-18 2014-12-09 (주)마이크로텍시스템 햅틱 게임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4178960A (ja) * 2013-03-15 2014-09-25 Sony Corp 加速度感覚呈示装置、加速度感覚呈示方法および加速度感覚呈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468A (ja) * 1999-01-20 2000-08-02 Namco Ltd ゲ―ム装置
KR200295673Y1 (ko) 2002-06-18 2002-11-18 류봉균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KR20080073400A (ko) * 2007-02-06 2008-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셋 및 그의 상태를 출력하는 방법
KR20140010166A (ko) 2011-05-05 2014-01-23 위츠 왕 차량용 발전기 모터
KR101218107B1 (ko) 2012-01-02 2013-01-03 (주) 지.티 텔레콤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
KR101424210B1 (ko) * 2012-06-29 2014-07-29 주식회사 하이로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조작되는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98087B1 (ko) 2013-02-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KR20140134120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50558A (ja) * 2017-09-08 2019-03-28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非オーディオデータを用いたヘッドホン上でのハプティックのレンダリング
KR102576232B1 (ko) 2023-04-05 2023-09-08 퍼시픽 센츄리 주식회사 Rf와 초음파를 이용한 헤드 트래킹 가능한 블루투스 게임머용 헤드셋 및 그 헤드셋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0433A4 (en) 2019-03-27
WO2017073873A1 (ko) 2017-05-04
EP3370433A1 (en) 2018-09-05
JP2018523177A (ja)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293B2 (en) Vibration provision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vibration according to frequency change and vibration provision method therefor
US107965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204993827U (zh) 一种扬声器模组
MX2022003326A (es) Dispositivo de emisión acústica.
ATE553603T1 (de) Direkt-digitallautsprechervorrichtung mit einer gewünschten richtcharakteristik
US20110200213A1 (en) Hearing aid with an accelerometer-based user input
US11269415B2 (en) Haptic output systems
KR101717291B1 (ko)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A2887519A1 (en) Earphone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vibratile earphone
CN10397416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136970A (zh) 用触觉提高英语发音质量的方法
KR20120110664A (ko) 진동 및 음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190253799A1 (en) Electronic device
CN202425029U (zh) 发声器件
CN116546372A (zh) 一种耳机发声方法、装置及设备
KR101717292B1 (ko) 커맨드 반응형 진동 헤드폰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209330393U (zh) 一种超宽频发声装置
WO2015141983A1 (ko) 스피커 장치
CN202497707U (zh) 基于蓝牙传输的游戏手柄
CN203523000U (zh) 智能式耳塞
KR20200102784A (ko) 음향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촉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70049319A (ko) 이어폰
KR20190110389A (ko) 공기전도 트랜스듀서와 골전도 트랜스듀서 일체형 이어폰
KR102621443B1 (ko)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435594Y1 (ko) 저음진동변환기능과 발광다이오드문자표시장치를 내장한엠피쓰리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