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443B1 -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443B1
KR102621443B1 KR1020230101970A KR20230101970A KR102621443B1 KR 102621443 B1 KR102621443 B1 KR 102621443B1 KR 1020230101970 A KR1020230101970 A KR 1020230101970A KR 20230101970 A KR20230101970 A KR 20230101970A KR 102621443 B1 KR102621443 B1 KR 10262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control unit
voice recording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riority to KR102023010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1/00Secret communication
    • H04K1/003Secret communication by varying carrier frequency at or within predetermined or random interv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1/00Secret communication
    • H04K1/02Secret communication by adding a second signal to make the desired signal unintelligible
    • H04K1/025Secret communication by adding a second signal to make the desired signal unintelligible using an analogue chaotic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은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 주파수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되, 간헐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대신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및 출력된 보안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송출부, 및 주파수 발생부, 변조부 및 송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Voice Recording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아래 개시는 음성 녹음 보안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청각은 어떤 음파 A를 듣고 있을 때 음파 A보다 진폭이 큰 음파 B가 가해지면 원래의 음파 A는 들리지 않게 된다. 이때, 음파 A가 음파 B에게 마스킹되었다고 하며, 이러한 현상을 마스킹효과(Masking Effect)라 한다. 또한, 인간은 여러 음(장비에서 발생하는 불특정한 노이즈를 포함한다)이 존재할 때, 자신이 듣고 싶은 음파를 선별해서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청각능력을 칵테일파티효과(Cocktail PartyEffect)라고 한다.
이에 비해서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 등의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장치들은 음파 자체만을 수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특정한 노이즈가 혼재하는 경우, 원래의 음파와 블특정한 노이즈가 마스킹되어 수집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때, 도청장치는 대화 또는 외부에서의 대화 등을 수집하기 위해서 도청 또는 녹음파의 대상이 되는 음파가 존재하는 장소인 음장(sound field) 이내의 범위에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화이트 노이즈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은 또 다른 불필요한 음파(노이즈)의 출력에 의한 마스킹효과로 도청장치의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파를 방해하는 원리이다.
위에서 설명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아래 개시는, 녹음 장치의 특성에 따라 도청 방지 음파의 영향이 배제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 개시는, 또한, 도청 방지 음파를 변형하여 도청 방지 범위를 넓히기 위한 것이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은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 상기 주파수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되, 간헐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대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및 상기 출력된 보안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송출부, 및 상기 주파수 발생부, 상기 변조부 및 상기 송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은 상기 송출부를 통해 상기 보안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송출부의 송출 신호에 간헐적인 무음 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안신호는, 상기 송출부가 송출할 수 있는 주파주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안신호의 주파수 및 세기는 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음 구간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간 간격 대비 임계 비율 이하의 시간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타겟 녹음 장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타겟 녹음 장치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서브 제어부, 상기 서브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서브 주파수 발생부, 상기 서브 주파수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서브 제어부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변조부, 및 상기 서브 변조부로부터 출력된 변조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서브 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조부에서 출력하는 변조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서브 변조부에서 출력하는 변조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다른 녹음 장치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송출부는, 복수 개의 송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송출기 각각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변조부가 연결된 기판에 하단이 연결된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고정대와 연결된 진동판, 및 상기 고정대의 상단에 연결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의 상부 중앙에 실리콘 보충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송출기 각각에 대해 결정된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보충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방법은, 주파수 발생부에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주파수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되, 간헐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대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및 상기 출력된 보안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에 따르면, 녹음 장치의 특성에 따라 도청 방지 음파의 영향이 배제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본 개시의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에 따르면, 도청 방지 음파를 변형하여 도청 방지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청각적 정보가 변조신호에 의해 마스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장치는 도청장치의 마이크 자체를 포화시켜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주파수대역에서 발진 주파수를 획득한 다음, 획득된 발진 주파수를 증폭하여 도청장치의 도청 및 녹음을 방지하고자 하는 영역내에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도청을 위해 설치되는 또는 (특히, 대화 상대자에 의해) 휴대되는 도청장치(이때, 본 발명에서 도청장치는 음파를 사용하는 도청장치, 보이스 레코더, MP3, 스마트폰 등 마이크로 음파를 수신하여 도청 또는 녹음하는 모든 형태의 기기를 지칭한다)의 마이크를 무력화시켜 대화 내용(음파)을 도청하거나 녹음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녹음 장치의 경우 사람과 달리 장치 특성에 따라 20kHz를 넘는 초음파도 녹음할 수 있으며, 마이크는 초음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마이크를 무력화시키는 대역의 주파수는 녹음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성 및 소프트웨어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장치는 초음파 대역(예를 들어, 17kHz ~ 27kHz 대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녹음 장치를 무력화시키는 대역의 주파수를 음장에 송출시킴으로써 대화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도청 및 녹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210), 주파수 발생부(210)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205)에 의해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되, 간헐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대신 제어부(205)에 의해 설정된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215),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및 출력된 보안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송출부(220), 및 주파수 발생부(210), 변조부(215) 및 송출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조신호는 주파수 발생부(210)로부터 발생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생성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고, 보안신호는 주파수 발생부(210)로부터 발생된 주파수를 이용하지 않고 생성된 것으로서 변조신호와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변조신호가 송출되면,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특정 대역 내에서 발생하는 음성, 소리 등을 포함한 청각적 정보가 도청 장치 또는 녹음 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수집되어,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변조신호를 도청 또는/및 녹음이 의심되는 영역(공간)에서 발생되는 사람의 음성 또는 기타 소리와 같은 청각적 정보의 주파수 세기 보다 상대적으로 세게 발생(증폭)시켜, 도청 또는/및 녹음 관련 장치가 상기 청각적 정보와 변조신호가 마스킹된 상태로 음향 신호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도청 또는/및 녹음을 방해할 수 있다.
마스킹에 의해 청각적 정보의 보안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통상적으로 도청에 이용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축적전하가 포화상태로 되어 과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도청 또는/및 녹음을 방해할 수 있다.
녹음 장치는 그 장치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같은 도청 방지 음파에 대해 서로 다르게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녹음 장치는 24kHz ~ 25kHz 범위의 도청 방지 음파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녹음 장치는 24kHz ~ 25kHz 범위의 도청 방지 음파에 의해 무력화되지 않고 34kHz의 도청 방지 음파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다.
또한, 녹음 장치 특성에 따라 주파수와 세기가 일정한 도청 방지 음파에 대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으나 주파수와 세기가 일정하지 않은 도청 방지 음파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다.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변조부(215)에서 간헐적으로 변조신호 대신 변조신호와 다른 특성을 갖는 보안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송출부(220)에서 송출함으로써 일정하지 않은 도청 방지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변조부(215)에서 간헐적으로 보안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송출부(220)에서 송출함으로써, 도청 방지 효과가 있는 공간적 범위가 더 넓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신호는 변조부가 출력하는 모든 주파수에 대해 같은 시각에 출력될 수 있다. 보안신호에 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발생부(210)는 초저음파에서 초음파 대역 사이의 주파수를 발생시키거나,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 회로 또는 주파수 발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초저음파는 0Hz ~ 16Hz 이고, 인간의 가청주파수(audio frequency band)는 20Hz ~ 20,000Hz이고, 인간에게 가장 잘 들리는 주파수는 3,000 ~ 4000Hz이고, 성인의 경우 50Hz ~ 16KHz이며, 초음파는 20kHz 이상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발생부(210)는 15Hz ~ 48kHz의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발생부(210)는 제어부(205)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주파수 발생부(210)에서 발생된 주파수는 소스 주파수(source frequency)로서 변조부(215)에 의해 변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조부(215)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변조기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변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변조기는 제어부(205)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발생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스위칭트랜스, 저항, 커패시터 및 수정 발진기를 포함한 이산회로(離散回路)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출부(220)는 변조부(21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출기는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한 안테나일 수도 있고 초음파센서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송출기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송출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출기에서 송출할 수 있는 주파수는 15Hz ~ 48kHz 대역 내 특정 주파수일 수 있고, 특히 이 중 17kHz ~ 27kHz 대역의 신호가 도청 방지 음파로서 송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동일한 개수의 변조기와 송출기를 포함하고, 변조기와 송출기가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출기에서 송출되는 신호의 세기는 제어부(20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주파수 발생부(210), 변조부(215) 및 송출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주파수 발생부(210), 변조부(215) 및 송출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또는 논리회로가 탑재된 제어 유닛인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주파수 발생부(21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주파수 발생부(210)에서 발생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변조부(215)에서 출력할 변조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변조부(215)에서 출력할 변조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프로그램 또는 논리적 연산 또는 전압의 레벨 조절을 통해, 변조부(215)의 스위칭트랜스를 제어하여 설정된 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타겟 녹음 장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녹음 장치는 그 장치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같은 도청 방지 음파에 대해 서로 다르게 반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녹음 장치 각각에 대해 해당 녹음 장치를 무력화할 수 있는 주파수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205)는 타겟 녹음 장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변조부(215)가 출력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 중 적어도 일부를 해당 타겟 녹음 장치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둘 이상의 타겟 녹음 장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둘 이상의 타겟 녹음 장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변조부(215)가 출력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타겟 녹음 장치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송출부(220)를 통해 송출되는 변조신호의 음파 특성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송출부(220)를 통해 송출된 변조신호는 초음파이지만 녹음 장치로 녹음한 뒤 재생하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화이트 노이즈로 출력될 수 있다.
녹음 장치에서 재생되는 화이트 노이즈의 소리는 송출부(220)를 통해 송출된 변조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새소리, 비, 천둥소리와 같은 사용자 선호도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변조신호의 주파수를 해당 선호도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변조부(215)가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시간 간격, 빈도, 주기성, 보안신호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변조부(215)가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시간 간격, 빈도, 주기성, 보안신호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5)는 송출기의 신호 세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송출기의 신호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5)는 송출기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5)는 송출을 간헐적으로 중단 및 재개하도록 송출부(220)를 제어하여 일정한 변조신호가 송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전술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리모컨(remote controller)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를 통해 리모컨으로부터 주파수 발생부(210), 변조부(215) 및 송출부(22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음성 녹음 방지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전원이 켜진 상태의 음성 녹음 방지 장치의 주파수 출력 여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보안신호의 출력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사용자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주파수 발생부(210), 변조부(215) 및 송출부(22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변조부(215)로부터 출력된 예시적인 신호의 세기가 시간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제1 시간 구간(415)동안 출력된 신호는 주파수 발생부(210)의 주파수로부터 변조된 변조신호(405)이고, 제2 시간 구간(420)동안 출력된 신호는 주파수 발생부(210)의 주파수를 이용하지 않고 제어부(205)의 설정에 기초하여 출력된 보안신호(41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조부(215)가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대신에 보안신호를 출력하므로, 변조신호와 보안신호는 서로 간 중첩되지 않고 번갈아 출력될 수 있다.
보안신호(410)는 변조신호(405)와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보안신호(410)는 주파수 및 세기가 0인 신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안신호(410)는 변조신호(405)와 다른 특성을 갖는 다양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신호(410)는 주파수가 0이고 세기는 0이 아닌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보안신호(410)는 주파수가 변조신호(405) 대비 임계 비율 이하인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신호(410)가 지속되는 제2 시간 구간(420)의 길이는 변조신호(405)가 지속되는 제1 시간 구간(415)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신호(410)가 지속되는 제2 시간 구간(420)의 길이는 변조신호(405)가 지속되는 제1 시간 구간(415) 대비 임계 비율 이하일 수 있다. 보안신호(410)가 지속되는 시간은 제어부(205)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신호(41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보안신호(410)가 출력되는 주기는 제어부(205)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파형은 변조부(215)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것이지만, 송출부(220)는 변조부(21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므로, 송출부(220)로부터 송출된 신호의 파형도 도 4의 파형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송출부(220)는 송출기 구성에 따라 송출할 수 있는 주파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변조신호(405)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보안신호(410)가 송출기에 입력되면 송출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무음 신호일 수 있다.
변조부(215)에서 간헐적으로 보안신호(410)를 출력하고 이를 송출부(220)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송출부(220)의 송출 신호에 간헐적인 무음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무음 구간을 송출기의 송출 신호에 포함시킴으로써 녹음 장치의 특성에 따라 도청 방지 음파의 영향이 배제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도청 방지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무음 구간은 보안신호(410)와 마찬가지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음 구간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간 간격 대비 임계 비율 이하의 시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205)는 음성 녹음 방지 장치가 위치하는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과 무음 구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물리적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환경 감지 장치는 마이크, 카메라, 안테나, 조도센서, 스피커, LDS 센서, ToF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스피커를 통해 송출된 소리가 물리적 환경에서 반사된 음파를 마이크를 통해 감지하여 공간감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를 이용해 공간 구조를 맵핑화 하며, 정확한 공간의 깊이나 너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LDS 센서 또는 ToF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05)은 물리적 환경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과 무음 구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물리적 환경은 음성 녹음 방지 장치가 실내 또는 야외에 위치하는지 여부, 실내 공간에 위치한다면 실내 공간의 면적, 공간 내 존재하는 외부 소음,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와의 거리, 사용자와 장치 사이의 장애물 존재 여부 및 사용자들의 음성 주파수 대역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05)는 사용자와 음성 녹음 방지 장치와의 거리가 멀수록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보다 야외에서 무음 구간의 송출 주기는 작아질 수 있으며, 이때 변조신호의 송출 중에 보안신호는 더 높은 빈도로 송출될 수 있다. 실내 공간의 면적이 넓을수록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주기)을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 변조신호의 송출 중에 보안신호는 더 높은 빈도로 송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205)는 사용자와 음성 녹음 방지 장치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와 음성 녹음 방지 장치의 직선 거리 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크기 또는 개수가 많아질수록 무음 구간의 송출 주기는 이에 비례하여 감소될 수 있다.
제어부(205)는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이 감소할수록, 무음 구간의 길이를 무음 구간 송출 시간과 동일한 비율로 비례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물리적 환경에 따라 무음 구간의 송출 주기가 짧아질수록 무음 구간 또한 짧아질 수 있다. 다만, 무음 구간 송출 주기 감소에 따른 무음 구간 송출 시간의 감소 비율은 반드시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에 연결된 송출기가 도시되어 있다.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의 주파수 발생부(210), 변조부(215), 송출부(220) 및 제어부(205)는 기판(515)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사시도에서, 송출부(220)에 포함된 송출기(505, 510)는 기판(515)의 상단에 배치되고, 주파수 발생부(210), 변조부(215) 및 제어부(205)는 기판(515)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송출기(505, 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송출기(505, 510) 각각은 제어부(205) 및 변조부(215)가 연결된 기판(515)에 하단이 연결된 고정대(540), 고정대(540)에 의해 관통되어 고정대(540)와 연결된 진동판(520), 및 고정대(540)의 상단에 연결된 진동자(5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525)는 중심이 오목하게 들어간 원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중심이 오목하게 들어간 정도인 경사 각도에 따라 송출기(505, 510)가 송출하는 주파수 특성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원뿔 형태의 중심부에 실리콘 보충재(530, 535)를 채움으로써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진동자(525)와 진동판(520)이 각각 원뿔과 원판으로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진동자(525)와 진동판(520)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진동자(525)와 진동판(520)은 중앙이 함몰된 원판 형태(원뿔)일 수 있다. 송출기(505, 510)는 고정대(540)를 통해 기판(5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출기(505, 510)는 진동자(525)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실리콘 보충재(530, 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출기(505, 510) 각각에 대해 결정된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보충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출기(505)와 송출기(510)의 송출 주파수가 다른 경우, 실리콘 보충재(530)와 실리콘 보충재(535)의 양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 600)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601)은 서로 다른 제어부(205, 605)에 의해 제어되는 주파수 발생부(210, 610), 변조부(215, 615) 및 송출부(220, 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과 제2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600)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과 제2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600)의 각 구성은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주파수 발생부(610)는 주파수 발생부(210)와 기능적으로 동일하고, 서브 변조부(615)는 변조부(215)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며, 서브 송출부(620)는 송출부(220)와 기능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마이크를 무력화시키는 대역의 주파수는 녹음 장치의 하드웨어적 특성 및 소프트웨어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 600)을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둘 이상의 녹음 장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제1 녹음 장치를 타겟으로 하여 설정된 주파수의 변조신호를 송출하고, 제2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600)은 제2 녹음 장치를 타겟으로 하여 설정된 주파수의 변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 600)이 연결되는 경우 각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 600)의 제어부(205, 605)는 서로 간에 충돌되지 않도록 다른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 600)의 제어부(205, 605)는 연식을 달리하는 MCU를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이 연결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제어부(205)가 다른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의 제어부(605)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녹음 방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05)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주파수 발생부(210)에서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주파수 발생부(210)는 초저음파에서 초음파 대역 사이의 주파수를 발생시키거나,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 회로 또는 주파수 발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주파수 발생부(210)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205)에 의해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되, 간헐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대신 제어부(205)에 의해 설정된 보안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715)에서,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200)은 변조부(215)에서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및 출력된 보안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다. 송출부(220)를 통해 보안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송출부(220)의 송출 신호에 간헐적인 무음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음성녹음 방지 시스템(200)의 각 구성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
205: 제어부
210: 주파수 발생부
215: 변조부
220: 송출부
505, 510: 송출기
515: 기판
520: 진동판
525: 진동자
530, 535: 실리콘 보충재
540: 고정대

Claims (10)

  1.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
    상기 주파수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되, 간헐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대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및 상기 출력된 보안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고, 상기 송출되는 보안신호를 통해 송출 신호에 간헐적인 무음 구간을 형성하는 송출부; 및
    상기 주파수 발생부, 상기 변조부 및 상기 송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녹음 장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변조부가 출력하는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녹음 장치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설정하고, 상기 변조신호의 음파 특성에 대해 사용자 선호도를 입력 받고, 상기 변조신호가 녹음 장치로 녹음된 뒤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 내로 재생되는 화이트 노이즈의 소리를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되는 상기 변조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설정하고,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상기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 또는 상기 무음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물리적 환경은,
    스피커를 통해 송출된 소리가 상기 물리적 환경에서 반사된 음파를 통해 감지된 공간감, 카메라를 통해 맵핑화된 공간 구조, LDS 센서 또는 ToF 센서를 통해 감지된 공간의 깊이 또는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은,
    상기 물리적 환경에 따라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수록 감소하거나, 실내 공간의 면적이 넓을수록 감소하거나, 또는 사용자와의 직선 거리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감소하는,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신호는,
    상기 송출부가 송출할 수 있는 주파주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신호의 주파수 및 세기는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음 구간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간 간격 대비 임계 비율 이하의 시간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서브 제어부;
    상기 서브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서브 주파수 발생부;
    상기 서브 주파수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서브 제어부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변조부; 및
    상기 서브 변조부로부터 출력된 변조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서브 송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조부에서 출력하는 변조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서브 변조부에서 출력하는 변조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다른 녹음 장치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복수 개의 송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송출기 각각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변조부가 연결된 기판에 하단이 연결된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고정대와 연결된 진동판; 및
    상기 고정대의 상단에 연결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의 상부 중앙에 실리콘 보충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송출기 각각에 대해 결정된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보충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녹음 방지 시스템.
  10. 주파수 발생부에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주파수 발생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되, 간헐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대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 및 상기 출력된 보안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고, 상기 송출되는 보안신호를 통해 송출 신호에 간헐적인 무음 구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녹음 장치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조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녹음 장치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신호의 음파 특성에 대해 사용자 선호도를 입력 받고, 상기 변조신호가 녹음 장치로 녹음된 뒤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범위 내로 재생되는 화이트 노이즈의 소리를 상기 사용자 선호도에 대응되는 상기 변조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음 구간을 형성하는 단계는,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상기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 또는 상기 무음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환경은,
    스피커를 통해 송출된 소리가 상기 물리적 환경에서 반사된 음파를 통해 감지된 공간감, 카메라를 통해 맵핑화된 공간 구조, LDS 센서 또는 ToF 센서를 통해 감지된 공간의 깊이 또는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무음 구간이 송출되는 시간 간격은,
    상기 물리적 환경에 따라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수록 감소하거나, 실내 공간의 면적이 넓을수록 감소하거나, 또는 사용자와의 직선 거리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감소하는, 음성 녹음 방지 방법.
KR1020230101970A 2023-08-04 2023-08-04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62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970A KR102621443B1 (ko) 2023-08-04 2023-08-04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970A KR102621443B1 (ko) 2023-08-04 2023-08-04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443B1 true KR102621443B1 (ko) 2024-01-04

Family

ID=8954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970A KR102621443B1 (ko) 2023-08-04 2023-08-04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4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088A (ja) * 1991-09-30 1993-04-09 Nec Corp 通信妨害装置
KR20130130335A (ko) * 2012-05-22 2013-12-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기반 효율적 통신 교란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3046A (ko) * 2013-10-14 2015-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피커 콘지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
KR101526506B1 (ko) * 2015-03-26 2015-06-09 김상환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US20200228897A1 (en) * 2018-03-05 2020-07-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recording of electronic devices
KR102237521B1 (ko) * 2020-05-04 2021-04-07 남형종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는 보안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구비된 단말 및 이와 연동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088A (ja) * 1991-09-30 1993-04-09 Nec Corp 通信妨害装置
KR20130130335A (ko) * 2012-05-22 2013-12-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기반 효율적 통신 교란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3046A (ko) * 2013-10-14 2015-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피커 콘지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
KR101526506B1 (ko) * 2015-03-26 2015-06-09 김상환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US20200228897A1 (en) * 2018-03-05 2020-07-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recording of electronic devices
KR102237521B1 (ko) * 2020-05-04 2021-04-07 남형종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는 보안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구비된 단말 및 이와 연동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0314B2 (en) Acoustic device
KR101526506B1 (ko)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US7747029B2 (en) Screen for playing audible signals by demodulating ultrasonic signals having the audible signals
CN104538023B (zh) 声音漫射发生器
JP2009535655A (ja) 周辺雑音低減装置
CN104581526B (zh) 传感器
JP2018518893A (ja) 状況認識を備えたスポーツヘッドフォン
CN111629300A (zh) 信号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EP3310075A1 (en) Audio system with concealed space detection or calibration
US20200252738A1 (en) Acoustical listening area mapping and frequency correction
KR101074431B1 (ko) 초지향성 초음파 스피커 시스템
US20060147065A1 (en) Sound reproducing screen for an ultrasonic converting and reproducing method
KR102621443B1 (ko)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364049B1 (ko) 개인적 위치 방향 스피커 시스템 및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607808B1 (ko) 실내 음향 유출 방지장치
US11350204B2 (en) Wearable audio device feedforward instability detection
US8194502B1 (en) Variable directivity loud hailing device
JP5422163B2 (ja) 電気音響システム
WO2018108061A1 (zh) 一种信号处理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KR20150072032A (ko) 실내 음향 유출 방지장치
Wiggins et al. Sound pressure levels in close proximity to sound reinforcement loudspeakers
JP2007150798A (ja) 超音波スピーカの出力制御方法及び超音波スピーカ
KR101911638B1 (ko) 광음향 기반 음향 전달 시스템
JPH05168087A (ja) 音響装置及びリモコン
JPS63135100A (ja) ハウリング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