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506B1 -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 Google Patents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506B1
KR101526506B1 KR1020150042140A KR20150042140A KR101526506B1 KR 101526506 B1 KR101526506 B1 KR 101526506B1 KR 1020150042140 A KR1020150042140 A KR 1020150042140A KR 20150042140 A KR20150042140 A KR 20150042140A KR 101526506 B1 KR101526506 B1 KR 10152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requency
security signal
signal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5039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65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riority to KR102015004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506B1/ko
Priority to PCT/KR2015/013691 priority patent/WO2016153149A2/ko
Priority to US15/561,520 priority patent/US10068564B2/en
Priority to PH12017501761A priority patent/PH1201750176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2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frequency or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5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jamm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7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using characteristics of target signal or of transmission, e.g.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r fast frequency hopp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021/02082Noise filtering the noise being echo, reverberation of the spee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10L21/0324Details of processing therefor
    • G10L21/0332Details of processing therefor involving modification of wave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주파수 대역 중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불특정 노이즈 신호인 보안신호를 송출하여,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특정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음성, 소리 등을 포함한 청각적 정보가 도청장치 또는 녹음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청각적 정보의 불법 유출을 방지하는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Security system for auditory information}
본 발명은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주파수 대역 중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불특정 노이즈 신호인 보안신호를 송출하여,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특정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음성, 소리 등을 포함한 청각적 정보가 도청장치 또는 녹음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청각적 정보의 불법 유출을 방지하는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생활의 편리함과 아울러 정보 누출로 인해 사회문제가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다. 즉, 현재 다양한 무선통신기기들의 발달과 더불어 이를 악용한 각종 불법 도청기와 몰래카메라가 사용되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가에서는 법적 규제나 정책을 통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개인 차원에서도 도청기나 몰래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는 각종 탐지장비들을 활용하여 불법 도청 및 몰래카메라에 노출되지 않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기 노력의 결과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1803호(휴대가 가능한 유/무선 도청기, 레이저 도청기, 몰래카메라탐지 및 방지 장비)를 통해 무선 도청기에서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의 전계강도를 측정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전계강도와 그 이상의 전계강도를 비교하여 출력하도록 하여 무선 도청기 유/무 외에 송신되어 지고 있는 정확한 위치를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 손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8380호 (불법무선장치에 대한 전파탐지방법 및 전파탐지회로와,전파탐지회로가 구비된 휴대폰)을 통해 무선도청기 및 몰래카메라에서 발신하는 무선신호를 탐지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신호 수신, 처리장치가 초소형 소자와 칩의 형태로 집적되어 하나의 칩셋으로 모듈화되고, 휴대폰에 내장되어 독립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상기 예시된 기술 이외에 종래기술에서 도청 및 녹음방지를 위해 제안되고 있는 방법은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를 발생시켜 도청장치(도청기 또는 보이스 레코더 등 녹음 가능한 장비)를 사용한 도청 또는 녹음을 방해하는 형태이다.
인간의 청각은 어떤 음파 A를 듣고 있을 때 음파 A보다 진폭이 큰 음파 B가 가해지면 원래의 음파 A는 들리지 않게 된다. 이때, 음파 A가 음파 B에게 마스킹되었다고 하며, 이러한 현상을 마스킹효과(Masking Effect)라 한다. 또한, 인간은 여러 음(장비에서 발생하는 불특정한 노이즈를 포함한다)이 존재할 때, 자신이 듣고 싶은 음파를 선별해서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청각능력을 칵테일파티효과(Cocktail Party Effect)라고 한다.
이에 비해서 음파를 수신하는 마이크 등의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장치들은 음파 자체만을 수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특정한 노이즈가 혼재하는 경우, 원래의 음파와 블특정한 노이즈가 마스킹되어 수집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때, 도청장치는 대화 또는 외부에서의 대화 등을 수집하기 위해서 도청 또는 녹음파의 대상이 되는 음파가 존재하는 장소인 음장(sound field) 이내의 범위에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화이트 노이즈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은 또 다른 불필요한 음파(노이즈)의 출력에 의한 마스킹효과로 도청장치의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파를 방해하는 원리이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이트 노이즈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은, 가청주파수대역의 노이즈를 발생시킴으로써, 대화 음파가 상술한 마스킹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가청주파수대역의 불특정한 노이즈를 발생시켜 원래의 대화 음파)을 도청 또는 녹음할 수 없도록 방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이트 노이즈를 발생하는 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A)를 오픈 콜랙터로 두어 베이스와 이미터만으로 조합하여 트랜지스터(A) 자체 노이즈를 발생하게 하고, BPF(B ;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BPF(2)는 원하는 가청주파수대역인 20Hz 내지 20kHz 이내의 노이즈만을 필터링하고, 이 노이즈는 AMP(3 ; 증폭기(Audio Amplifier))를 통해 증폭된 후 스피커(4)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법 즉, 화이트 노이즈에 의한 도청방지방법은 가청주파수대역의 화이트 노이즈를 발생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사람의 음성에 실린 음파의 강도 이상의 화이트 노이즈가 발생되어야 마스킹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사용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시 노이즈의 발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은닉 사용이 불가능하고, 대화 상대자 또는 도청자인 상대방이 알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노이즈 출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시끄러우므로 노이즈 출력 위치가 도청 및 녹음을 방지하고자 하는 지점과 가까워야 하고,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우며, 노이즈로 인해 실질적으로 대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주파수 대역 중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불특정 노이즈 신호인 보안신호를 송출하여,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특정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음성, 소리 등을 포함한 청각적 정보가 도청장치 또는 녹음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청각적 정보의 불법 유출을 방지하는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11);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13);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사전에 설정된 채널의 보안신호를 상기 변조부(13)에서 출력하면 이를 증폭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부(14);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11);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내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청각적 정보가 감지되면 보안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13);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사전에 설정된 채널의 보안신호를 상기 변조부(13)에서 출력하면, 이를 증폭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부(14); 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보안신호를 도청 또는/및 녹음이 의심되는 공간에서 발생되는 사람의 음성 또는 기타 소리와 같은 청각적 정보의 주파수 세기 보다 상대적으로 세게 발생(증폭)시켜, 도청 또는/및 녹음 관련 장치가 상기 청각적 정보와 보안신호가 마스킹된 상태로 음향 신호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불법 도청 또는/및 녹음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마스킹에 의해 청각적 정보의 보안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통상적으로 도청에 이용되는 콘덴서마이크로폰의 축적전하가 포화상태로 되어 과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정상적인 도청 또는/및 녹음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내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청각적 정보가 감지될 경우에만 보안신호를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신호의 상시 송출에 의해 정상적인 전기장치 특히 통신장치나 인체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는 한편,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화이트 노이즈를 사용한 도청방지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2는 종래 화이트 노이즈를 사용한 도청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청각적 정보에 보안신호가 마스킹된 상태를 도시한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구성 블록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10)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11);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13); 상기 변조부(13)에서 출력되는 보안신호를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부(14);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주파수발생부(11)는 초저음파에서 초음파 대역 사이의 주파수를 발생시키거나,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영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회로 또는 주파수발생회로를 포함한 주파수발생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2)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데시벨(dB))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 또는 논리회로가 탑재된 제어유닛인 MCU(메인컨트롤유닛)일 수 있다.
참고로, 초저음파는 0Hz ~ 16Hz 이고, 인간의 가청주파수(audio frequency band)는 20Hz ~ 20,000Hz이고, 인간에게 가장 잘 들리는 주파수는 3,000 ~ 4000Hz(같은 진폭에서 제일 크게 들림)이고, 성인의 경우 50Hz ~ 16KHz(여자는 12Khz까지 남자는 5Khz까지 떨어질 수 있음)이며, 초음파는 20kHz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적으로 20Hz ~ 25kHz 대역, 특히 이 중 19kHz ~ 25kHz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보안신호의 단일채널이라 함은 19kHz ~ 25kHz 대역 전체를 통합한 채널일 수 있으며, 상기 보안신호의 다중채널이라 함은 19kHz ~ 25kHz 대역을 2개의 대역에서 터 45개의 대역을 나누거나, 20Hz ~ 25kHz 대역을 2개의 대역에서부터 45개의 대역으로 나누어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파수는 고역으로 갈수록 데시벨(dB)이 높게 증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변조부(13)는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트랜스를 포함한 이산회로(離散回路)일 수 있다.
상기에서, 스위칭트랜스는 변압기 고주파 발진회로 스위칭회로 그리고 고주파용 트랜스가 적용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송출부(14)는 상기 변조부(13)에서 출력되는 보안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기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송출기는 RF모듈을 포함한 안테나일 수도 있고 초음파센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11);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13); 상기 변조부(13)에서 출력되는 보안신호를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부(14);를 포함하여서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파수발생부(11)를 구성하는 주파수발생회로 또는 주파수발생회로를 포함한 주파수발생기에서 초저음파 ~ 초음파 대역 사이의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즉, 0Hz ~ 25kHz 대역의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2)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데시벨(dB))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한다. 즉, 프로그램 또는 논리적 연산 또는 전압의 레벨 조절을 통해, 상기 변조부(13)의 스위칭트랜스를 제어하여 사전에 설정된 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에서, 사전에 설정된 보안신호는 19kHz ~ 25kHz 대역 전체를 통합한 단일채널과, 상기 19kHz ~ 25kHz 대역을 2개의 대역에서부터 45개의 대역을 나누거나, 120Hz ~ 25kHz 대역을 2개의 대역에서부터 45개의 대역으로 나누어서 설정된 다채널로 나뉘며, 상기 주파수는 고역으로 갈수록 데시벨(dB)이 높게 증가한다.
이때, 상기 변조부(13)의 스위칭트랜스는 제어부(12)의 제어신호 즉, 프로그램 또는 논리적 연산 또는 전압의 레벨 조절에 의해,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출력되는 보안신호는 상기 송출부(14)의 증폭기를 통해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레벨로 증폭되고, 증폭된 보안신호는 RF모듈을 포함한 안테나 또는 초음파센서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보안신호가 송출되면,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특정 대역 내에서 발생하는 음성, 소리 등을 포함한 청각적 정보가 도청장치 또는 녹음장치를 통해 수집되는 과정에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수집되어, 사람이 귀로 느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의 보안신호를 도청 또는/및 녹음이 의심되는 영역(공간)에서 발생되는 사람의 음성 또는 기타 소리와 같은 청각적 정보의 주파수 세기 보다 상대적으로 세게 발생(증폭)시켜, 도청 또는/및 녹음 관련 장치가 상기 청각적 정보와 보안신호가 마스킹된 상태로 음향 신호를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불법 도청 또는/및 녹음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마스킹에 의해 청각적 정보의 보안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통상적으로 도청에 이용되는 콘덴서마이크로폰의 축적 전하가 포화상태로 되어 과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정상적인 도청 또는/및 녹음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11);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내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청각적 정보가 감지되면 보안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13);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사전에 설정된 채널의 보안신호를 상기 변조부(13)에서 출력하면, 이를 증폭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부(14); 를 포함하여서 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 내에서 청각적 정보를 감지하는 것은 별도 마련되는 음향수집부(15)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음향수집부(15)에서 수집된 음향신호는 디지털신호로 변환(A/D변환기를 통해)되어 제어부(12)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음향수집부(15)는 마이크 또는 음성인식센서 또는 음파탐지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송출기(14)에 마련되는 안테나 또는 초음파센서일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이라 함은 1sec ~ 10sec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 내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청각적 정보가 감지될 경우에만 보안신호를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신호의 상시 송출에 의해 정상적인 전기장치 특히 통신장치나 인체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는 한편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11 : 주파수발생부
12 : 제어부 13 : 변조부
14 : 송출부 15 : 음향수집부

Claims (5)

  1. 삭제
  2.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11);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 내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청각적 정보가 감지되면 보안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변조하여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13);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사전에 설정된 채널의 보안신호를 상기 변조부(13)에서 출력하면, 이를 증폭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부(14);
    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거나,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제어값에 따라, 상기 주파수발생부(11)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원하는 파장과 세기를 갖는 단일채널 또는 다채널의 보안신호를 얻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안신호 중 채널의 선택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도청 또는 녹음이 예상되는 영역 내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청각적 정보가 감지되면 보안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 또는 논리회로가 탑재된 제어유닛인 M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보안신호의 단일채널은 19kHz ~ 25kHz 대역 전체를 통합한 채널이고, 상기 보안신호의 다중채널은 19kHz ~ 25kHz 대역을 2개의 대역에서 터 45개의 대역을 나누거나, 20Hz ~ 25kHz 대역을 2개의 대역에서부터 45개의 대역으로 나누어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14)는 상기 변조부(13)에서 출력되는 보안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기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KR1020150042140A 2015-03-26 2015-03-26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KR101526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140A KR101526506B1 (ko) 2015-03-26 2015-03-26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PCT/KR2015/013691 WO2016153149A2 (ko) 2015-03-26 2015-12-14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US15/561,520 US10068564B2 (en) 2015-03-26 2015-12-14 Auditory information security system
PH12017501761A PH12017501761A1 (en) 2015-03-26 2017-09-26 Audio information securit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140A KR101526506B1 (ko) 2015-03-26 2015-03-26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506B1 true KR101526506B1 (ko) 2015-06-09

Family

ID=5350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140A KR101526506B1 (ko) 2015-03-26 2015-03-26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68564B2 (ko)
KR (1) KR101526506B1 (ko)
PH (1) PH12017501761A1 (ko)
WO (1) WO2016153149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5721B2 (en) 2018-03-05 2020-10-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recording of electronic devices
KR20220082227A (ko) * 2020-12-10 2022-06-1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에서의 음성 정보 보호 시스템
KR20220104501A (ko) 2021-01-18 2022-07-2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성 녹음방지 장치
KR102466059B1 (ko) * 2021-05-07 2022-11-11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사운드 커튼 방식의 도청 및 녹음 방지 시스템
KR102621443B1 (ko) * 2023-08-04 2024-01-04 김상환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670945B1 (ko) * 2023-09-26 2024-05-31 케이테크 주식회사 콘덴서 마이크 무력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7977A (zh) * 2017-10-13 2018-01-05 成都信息工程大学 一种用于小型会议的高低频反录音器
EP3503591B1 (en) * 2017-12-19 2021-02-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portions of an electrical line, public address system, method for detecting a failure in an electrical line
US10565978B2 (en) * 2018-08-31 2020-02-18 Intel Corporation Ultrasonic attack prevention for speech enabled devices
US10957341B2 (en) * 2018-12-28 2021-03-23 Intel Corporation Ultrasonic attack detection employing deep learning
TWI817425B (zh) * 2022-03-30 2023-10-01 林秀菊 智能會議防側錄干擾方法及其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16B1 (ko) * 2007-03-13 2007-06-22 주식회사 휴민트 음파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 및 장치
KR101462427B1 (ko) * 2010-11-10 2014-1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오디오 신호의 보존에 기초한 음파 통신에서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101A (ja) 1999-09-17 2001-03-30 Leben Co Ltd 盗聴器等の妨害電波発生装置
KR100716589B1 (ko) 2005-06-24 2007-05-09 손호원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KR20080048380A (ko) 2006-11-28 2008-06-02 주식회사 휴민트 불법무선장치에 대한 전파탐지방법 및 전파탐지회로와,전파탐지회로가 구비된 휴대폰
KR100901772B1 (ko) * 2007-10-08 200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피커를 통한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1462472B1 (ko) 2013-03-27 2014-12-04 주식회사 브이플랩 음파신호를 이용한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16B1 (ko) * 2007-03-13 2007-06-22 주식회사 휴민트 음파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 및 장치
KR101462427B1 (ko) * 2010-11-10 2014-1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오디오 신호의 보존에 기초한 음파 통신에서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5721B2 (en) 2018-03-05 2020-10-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recording of electronic devices
KR20220082227A (ko) * 2020-12-10 2022-06-1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에서의 음성 정보 보호 시스템
KR102410962B1 (ko) * 2020-12-10 2022-06-20 광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에서의 음성 정보 보호 시스템
KR20220104501A (ko) 2021-01-18 2022-07-2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성 녹음방지 장치
KR102436011B1 (ko) * 2021-01-18 2022-08-23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음성 녹음방지 장치
KR102466059B1 (ko) * 2021-05-07 2022-11-11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사운드 커튼 방식의 도청 및 녹음 방지 시스템
KR102621443B1 (ko) * 2023-08-04 2024-01-04 김상환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670945B1 (ko) * 2023-09-26 2024-05-31 케이테크 주식회사 콘덴서 마이크 무력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3149A2 (ko) 2016-09-29
US20180068647A1 (en) 2018-03-08
PH12017501761A1 (en) 2018-04-23
WO2016153149A3 (ko) 2017-01-05
US10068564B2 (en)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506B1 (ko) 청각적 정보 보안시스템
KR100901772B1 (ko) 스피커를 통한 도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1756674B1 (ko) 보청기 기능의 능동 소음 제거 헤드셋 장치
US67821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CN108551604B (zh) 一种降噪方法、降噪装置及降噪耳机
US20060109983A1 (en) Signal masking and method thereof
KR20150002730U (ko) 음향파 초음파를 이용한 사운드 마스킹에 의한 녹음.도청 차단,방지방법 및 장치
KR100731816B1 (ko) 음파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 및 장치
EP2863651A1 (en) Acoustic coupling sensor for mobile device
US8170229B2 (en) Audio privacy apparatus and method
CN116208879A (zh) 具有主动降噪功能的耳机及主动降噪方法
KR100716589B1 (ko) 휴대가능한 도청 탐지장치
US20110105034A1 (en) Active voice cancellation system
KR101391887B1 (ko) 사용자 참여에 의한 보청기 피팅장치
CN115225997A (zh) 一种声音播放方法、装置、耳机及存储介质
RU206958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й записи и передачи речевой информации
TWM631037U (zh) 智能會議防側錄干擾裝置
KR102466059B1 (ko) 사운드 커튼 방식의 도청 및 녹음 방지 시스템
CN104038860A (zh) 一种免摘除收听近距离语音的方法和耳机
TWI738409B (zh) 指向助聽裝置及其方法
US6532292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mit audio into the human ear
CN10715379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621443B1 (ko) 음성 녹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JP2002051108A (ja) 電話装置および着信音制御方法
KR20150083975A (ko) 실내 음향 유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127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0328

Effective date: 202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