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673Y1 -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 Google Patents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673Y1
KR200295673Y1 KR2020020018403U KR20020018403U KR200295673Y1 KR 200295673 Y1 KR200295673 Y1 KR 200295673Y1 KR 2020020018403 U KR2020020018403 U KR 2020020018403U KR 20020018403 U KR20020018403 U KR 20020018403U KR 200295673 Y1 KR200295673 Y1 KR 200295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sb
headset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봉균
Original Assignee
류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봉균 filed Critical 류봉균
Priority to KR2020020018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673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이용한 진동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셋부에 전기신호를 기계신호로 바꾸어 음파를 복사해 주는 스피커와 전기신호를 기계신호로 바꾸어 주는 진동소자와 진동판을 위치시키고, 이 진동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컴퓨터의 USB 포트에서 받을 수 있도록 USB 단자를 추가한 USB진동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USB진동헤드셋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USB진동헤드셋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마이크(11)와 전기신호를 기계신호로 바꾸어주는 진동소자(12)와 기계신호를 피부에 전달하는 진동판(13), 전기신호를 음파로 복사해 주는 스피커(14)가 장착된 헤드셋부(1)와 진동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을 컴퓨터의 USB 포트에서 인입할 수 있는 USB 단자(21)와 컴퓨터 사운드카드에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 단자(22), 스피커 단자(23)가 장착된 단자부(2), 진동소자의 구동을 조정할 수 있는 진동조정판(31)과 소리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는 사운드출력조정판(32)이 장착된 조정부(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A USB TERMINAL VIBRATION HEADSET WITH VIBRATORS}
본 고안은 USB진동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사운드카드의 오디오 포트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기계신호로 바꾸어 소밀파를 생성하므로써 음파를 복사하여 청각에 전달하는 과정 이외에 이 전기신호를 기계신호로 바꾸어 주는 진동소자와 진동판을 통해 피부에 직접 전달하도록 하고, 이 진동소자의 전원을 컴퓨터 USB 포트에서 공급하도록 된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USB) 진동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악감상용 헤드폰은 컴퓨터나 오디오 기기에 연결하여 음악감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헤드폰은 오디오용으로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PC의 사운드카드에 접합한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기존 헤드폰에 마이크를 일체화시킨 헤드셋이 개발되었다.
또한 오디오용 헤드폰은 진동소자를 장착하여 소리의 저음부 신호에 따라 진동소자를 진동시켜 헤드폰을 떨리게 하는 진동헤드폰이 개발되었다. 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51)와 진동소자(52), 진동소자 전원공급용 건전지팩(53), 스피커단자(5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진동소자 전원공급용 건전지팩(53)을 보면 진동소자(52)를 구동시키기 위해 일반 건전지(55)를 삽입할 수 있게 뚜껑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건전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작을 하게 되면, 상기한 건전지 케이스의 부피가 커지게 됨과 아울러 제작단가가 너무 커지게 되고, 휴대나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또한 소리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진동소자의 경우 전원의 소모가 많기 때문에 수시로 건전지를 바꾸어 주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또한 건전지를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가 없을 경우 즉각적인 인터넷폰 사용이나 음성채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USB진동헤드셋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을 단순화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USB진동헤드셋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USB진동헤드셋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진동소자(12)와 스피커(14) 부문의 단면도
도3는 일반적인 진동헤드폰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헤드셋부
11 : 마이크 12 : 진동소자
13 : 진동판 14 : 스피커
2 : 단자부
21 : USB단자 22 : 마이크단자
23 : 스피커단자
3 : 조정부
31 : 진동소자조정판 32 : 사운드출력 조정판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진동소자를 장착한 USB 헤드셋은 입력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함과 더불어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주변에 설치되면서 입력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에 대응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소자와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진동수단,컴퓨터의 USB 포트와 결합하기 위한 USB 단자 및, 상기 USB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컴퓨터 전원을 상기 진동소자로 공급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USB진동헤드셋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고안에 따른 USB 진동헤드셋은 헤드셋부(1)와, 단자부(2) 및 조정부(3)로 구성된다.헤드셋부(1)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1)와, 전기신호를 기계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진동 출력을 제공하는 진동소자(12)와 진동판(13), 기계신호를 음파로 복사하여 출력하는 스피커(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진동소자(12)에 연결되는 진동판(13)은 스피커(14)의 외측 주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스피커(14)에서 복사된 음파가 청각에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소자(12)는 전기신호의 종류에 따라 진동의 크기가 다른 기계신호를 출력하며, 이로 인해 진동판(13)을 통해 피부에 전달하는 강도에 차이가 생김으로써 소리의 차이에 대응되는 진동, 다시말해 촉감의 차이를 유발하게 된다.단자부(2)는 컴퓨터의 USB 포트(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컴퓨터로부터 진동소자(12)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USB 단자(21), 음향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음향기기의 결합포트, 예컨대 컴퓨터의 사운드카드 결합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마이크단자(22) 및, 사용자의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단자(23)로 구성된다.조정부(3)는 진동소자(12)의 진동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진동조정판(31), 스피커(14)의 음향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사운드출력조정판(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USB 단자(21)는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제공되는 최대 500mA의 컴퓨터 전력을 진동조정판(31)으로 제공하며, 진동조정판(31)은 USB 단자(21)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진동소자(12)의 구동에 적합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진동소자(12)의 진동레벨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조정판(31)과 사운드출력조정판(32)은 사용자가 진동소자 또는 사운드 출력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진동소자 또는 스피커의 출력을 중지하는 것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즉, 본 고안에 따른 진동소자를 장착한 USB 진동헤드셋은 USB 단자(21)로부터 인가되는 컴퓨터 전원을 이용하여 진동소자(12)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헤드셋부(1)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전달하는 마이크(11), 전기신호를 기계신호로 바꾸어 피부에 전달하는 진동소자(12)와 진동판(13), 기계신호를 음파로 복사하는 스피커(14)로 구성된다.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 전원을 이용하여 USB 진동헤드셋의 진동소자를 동작시킴으로써, 제품의 부피를 줄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전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컴퓨터의 USB 포트를 통해 제공되는 컴퓨터 전원을 이용하여 진동소자를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부피를 줄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전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또한 스피커를 통한 청각 및 진동소자를 통한 촉감으로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함으로써, 기존 제품보다 생생한 소리의 전달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2)

  1. 입력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함과 더불어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주변에 설치되면서 입력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에 대응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소자와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진동수단,
    컴퓨터의 USB 포트와 결합하기 위한 USB 단자 및,
    상기 USB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컴퓨터 전원을 상기 진동소자로 공급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자를 장착한 USB 진동헤드셋.
  2. 삭제
KR2020020018403U 2002-06-18 2002-06-18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KR200295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03U KR200295673Y1 (ko) 2002-06-18 2002-06-18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03U KR200295673Y1 (ko) 2002-06-18 2002-06-18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673Y1 true KR200295673Y1 (ko) 2002-11-18

Family

ID=7308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03U KR200295673Y1 (ko) 2002-06-18 2002-06-18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6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77B1 (ko) * 2003-04-30 2010-06-21 조민선 진동체감장치
KR101717291B1 (ko) 2015-10-27 2017-03-17 (주)모비프렌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717292B1 (ko) 2015-12-15 2017-03-27 (주)모비프렌 커맨드 반응형 진동 헤드폰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1844B1 (ko) * 2018-06-21 2019-10-14 주식회사 맥스틸 진동과 소리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하고 마이크 스위칭을 통해 노이즈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헤드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477B1 (ko) * 2003-04-30 2010-06-21 조민선 진동체감장치
KR101717291B1 (ko) 2015-10-27 2017-03-17 (주)모비프렌 커맨드 반응형 진동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717292B1 (ko) 2015-12-15 2017-03-27 (주)모비프렌 커맨드 반응형 진동 헤드폰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기기용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1844B1 (ko) * 2018-06-21 2019-10-14 주식회사 맥스틸 진동과 소리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하고 마이크 스위칭을 통해 노이즈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742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JP2022549231A (ja) 音響出力装置
CN106535050A (zh) 一种消除汽车噪音的主动降噪模块
CN103369423A (zh) 入耳式耳机
JP6151490B2 (ja) 電子機器用取付部材および電子機器と取付部材との組合せ体
CN115767363A (zh) 一种骨传导耳机扩展音箱
KR200295673Y1 (ko) 진동소자를 장착한 유니버설시리얼버스 진동헤드셋
CN206350046U (zh) 电子产品的听筒和手机
WO2024037183A1 (zh) 音频输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2012404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volume and earphone using the same
CN203351193U (zh) 带mic信号监听的便携式卡拉ok蓝牙耳机
WO2018014374A1 (zh) 骨导耳机及其制造方法
KR20140136184A (ko) 마이크로 스피커
CN210579228U (zh) 具有变频功能的助听器
CN211296916U (zh) 重低音同轴触觉震动耳机结构
CN209390369U (zh) 一种具有回声消声系统的麦克风及电子设备
CN110377112B (zh) 穿戴式眼镜及其触控交互方法
JP2022529364A (ja) 端末機器
CN112533100A (zh) 一种双驱型发声结构和双功能耳机及其控制方法
CN205961382U (zh) 骨导耳机
CN218006507U (zh) 双面扬声器系统、电子设备及载具
CN220234905U (zh) 一种耳挂式骨传导耳机结构
CN220234906U (zh) 一种入耳式骨传导耳机及具有其的挂脖式骨传导耳机
CN210298025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10114281U (zh) 一种无线音乐u型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