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088B1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088B1
KR101717088B1 KR1020160008666A KR20160008666A KR101717088B1 KR 101717088 B1 KR101717088 B1 KR 101717088B1 KR 1020160008666 A KR1020160008666 A KR 1020160008666A KR 20160008666 A KR20160008666 A KR 20160008666A KR 101717088 B1 KR101717088 B1 KR 10171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arking brake
magnetic sensor
electronic parking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088B1/ko
Priority to PCT/KR2017/000620 priority patent/WO201713138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8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electro-magneti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스위칭 작동하며 상기 스위칭 작동에 의해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회로, 그리고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잉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네틱 센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for electric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운전석 근처에 설치된 푸쉬-풀(push-pull) 형태의 조작 레버와 이에 연결된 전기적 스위치로 구성된다.
전기적 스위치는 조작 레버의 중립 상태, 푸쉬 상태 그리고 풀 상태에 대응하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비작동, 작동 그리고 해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전기적 스위치는 조작 레버의 푸쉬 및 복귀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브레이크 작동 단자 및 접지 단자), 그리고 조작 레버의 풀 및 복귀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브레이크 해제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단자 구조에 의해 브레이크의 작동, 해제 및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때, 이러한 전기적 스위치는 단일의 메인 전원에 연결되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메인 전원이 정상적이지 않으면 주차 브레이크 작동 신호 출력 및 정상 상태 유무의 판단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기적 스위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61424 (공고일자: 2007년 09월 27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적 스위치 또는 메인 전원의 고장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예비적 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스위칭 작동하며 상기 스위칭 작동에 의해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회로, 그리고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잉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네틱 센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신호와 상기 잉여 구동 신호는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별도 신호이다.
상기 스위치 회로와 상기 마그네틱 센서 유닛은 서로 다른 전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센서 유닛은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이 이동 후 중립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마그넷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잉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마그넷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넷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을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 유닛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레버는 하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마그넷의 이동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마그넷 이동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이동 돌기는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를 각각 압축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이동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모따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가 기존의 스위치 회로뿐만 아니라 별도의 마그네틱 센서 유닛을 포함하고 이들이 서로 다른 전원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스위치 회로를 구동하는 전원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도 주차 브레이크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서 탄성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회로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차량의 운전석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작동 레버(20)는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11)가 작동 레버(20)의 체결 홈(21)에 삽입됨으로써 작동 레버(20)와 하우징(10)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작동 레버(20)가 체결 돌기(1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피봇팅(pivoting) 가능하게 체결되고, 그에 의해 작동 레버(20)는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해 양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레버(20)의 양 방향의 회동 중 어느 하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작동 레버(20)의 회동에 대응하여 스위칭 작동하는 스위치 회로(30)가 구비되며, 예를 들어 스위치 회로(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회로(30)는 스위칭 작동에 의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제어를 위한 신호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회로(30)는 작동 레버(20)의 양 방향의 회동에 각각 대응하여 작동하는 한 쌍의 스위치(31, 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부호 31의 스위치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과 스위치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31a)하며 스위치(31)는 세 개의 핀(31a, 31b, 3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부호 31b의 핀을 통하여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가 작동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나머지 두 개의 핀(31a, 31c)은 주차 브레이크 작동 요소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 레버(20)가 주차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전원에 연결된 두 개의 핀(31a, 31c)이 서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면부호 31a의 핀과 접지 핀(31b)가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면부호 32의 스위치는 주차 브레이크 해제와 스위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31b)하며 스위치(32)는 세 개의 핀(32a, 32b, 3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부호 32b의 핀을 통하여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가 해제 방향으로 작동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나머지 두 개의 핀(32a, 32c)는 주차 브레이크 해제 요소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면 부호 31c의 핀과 도면부호 32c의 핀은 공통일 수 있다. 작동 레버(20)가 주차 브레이크 작동의 해제를 위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전원에 연결된 두 개의 핀(32a, 32c)이 서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이 해제된 후에는 도면부호 32a의 핀과 접지 핀(32b)가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치 회로(30)는 종래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회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하나의 스위치 회로(30)로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별도의 잉여의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스위치 회로(30)의 작동 및 해제 신호와는 별도로, 잉여 작동 및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이 구비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은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마그넷(41)을 포함하며, 마그넷(41)의 작동 레버(20)의 회동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부에는 마그넷(41)이 배치되는 가이드 홈(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마그넷(41)은 양 방향(즉, 도 3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가이드 홈(22)에 배치된다. 가이드 홈(12)은 길이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으로는 마그넷(4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며 폭 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으로는 마그넷(41)의 폭보다 조금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42)는 마그넷(41)이 작동 레버(20)에 의해 이동된 후 중립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마그넷(41)이 작동 레버(20)의 회동에 의해 이동된 후 작동 레버(20)의 회동 시킨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마그넷(41)은 탄성체(4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립 상태(즉, 도 3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42)는 마그넷(41)의 이동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마그넷(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마그넷(41)을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부(42a, 4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42)는 마그넷(41)을 수용하는 수용부(42c)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탄성부(42a, 42b)는 수용부(42c)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체(42)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탄성부(42a, 42b)는 굴곡진 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는 마그넷(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작동 레버(20)는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동 레버(20)는 그 하면에 마그넷(41)을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마그넷 이동 돌기(22, 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 이동 돌기(22, 23)는 작동 레버(20)의 하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 이동 돌기(22, 23)는 마그넷(41)에 직접 접촉하여 마그넷(41)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탄성부(42a, 42b)를 가압하여 마그넷(41)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은 마그넷 이동 돌기(22, 23)가 제1 및 제2 탄성부(42a, 42b)를 가압하여 마그넷(41)을 이동시키는 경우이다. 이때, 제1 및 제2 탄성부(42a, 42b)와 접촉하는 마그넷 이동 돌기(22, 23)의 부분(22a, 23b)은 모따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은 하우징(20)에 설치되어 마그넷(41)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잉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네틱 센서(4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센서(44)는 마그넷(41)의 자기장에 반응하여 마그넷(4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센서(44)는 마그넷(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기판(45) 상에 설치되어 패키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회로(30)와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은 서로 다른 별도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 회로(30)와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은 별도의 전원 연결선(60, 70)에 의해 각각 별도의 전원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 회로(3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비정상인 상태에 있더라도,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의 잉여 구동 신호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마그네틱 센서 유닛(40)의 작동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작동 레버(20)가 중립 상태인 경우를 보여주면, 이때 마그넷(41)의 중심과 마그네틱 센서(44)의 중심선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작동 레버(20)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 및 도 5 중 어느 하나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해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고 나머지 하나는 작동된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해 회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상태라고 하고 도 5를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해 상태라고 가정한다.
먼저, 조작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 레버(20)를 도 4의 상태로 회동시키면, 마그네틱 센서(44)의 위치는 유지되나 제2 탄성부(42b)이 마그넷 이동 돌기(23)에 의해 좌측으로 밀리면서 마그넷(41)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마그넷(41)의 중심이 마그네틱 센서(44)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다. 마그네틱 센서(44)는 마그넷(4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잉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조작자가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해 작동 레버(20)를 도 5의 상태로 회동시키면, 마그네틱 센서(44)의 위치는 유지되나 제1 탄성부(42a)가 마그넷 이동 돌기(22)에 의해 우측으로 밀리면서 마그넷(41)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마그넷(41)의 중심이 마그네틱 센서(44)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다. 마그네틱 센서(44)는 마그넷(41)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한 잉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하우징
20: 작동 레버
30: 스위치 회로
40: 마그네틱 센서 유닛
41: 마그넷
42: 탄성체
44: 마그네틱 센서

Claims (8)

  1.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스위칭 작동하며 상기 스위칭 작동에 의해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회로, 그리고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잉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네틱 센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와 상기 잉여 구동 신호는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별도 신호이며,
    상기 스위치 회로와 상기 마그네틱 센서 유닛은 서로 다른 전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스위칭 작동하며 상기 스위칭 작동에 의해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회로, 그리고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잉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네틱 센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와 상기 잉여 구동 신호는 상기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별도 신호이며,
    상기 마그네틱 센서 유닛은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이 이동 후 중립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마그넷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잉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마그넷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마그넷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을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레버는 하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마그넷의 이동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마그넷 이동 돌기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이동 돌기는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를 각각 압축시키도록 작동하는 스위치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이동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모따기되어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마그넷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KR1020160008666A 2016-01-25 2016-01-25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 KR10171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66A KR101717088B1 (ko) 2016-01-25 2016-01-25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
PCT/KR2017/000620 WO2017131382A1 (ko) 2016-01-25 2017-01-18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66A KR101717088B1 (ko) 2016-01-25 2016-01-25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088B1 true KR101717088B1 (ko) 2017-03-16

Family

ID=5849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666A KR101717088B1 (ko) 2016-01-25 2016-01-25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7088B1 (ko)
WO (1) WO201713138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578A (ko) * 1996-06-20 1998-03-30 박병재 브레이크 작동 제어장치
KR100761424B1 (ko) 2006-07-07 2007-09-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KR20110130248A (ko) * 2010-05-27 2011-12-05 주식회사 신창전기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672B1 (ko) * 1999-12-30 2002-03-02 이계안 마그네틱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KR101134902B1 (ko) * 2007-03-27 2012-04-17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US8610555B2 (en) * 2011-09-23 2013-12-17 Ki-Woong Park Vehicle stopping and movement warning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578A (ko) * 1996-06-20 1998-03-30 박병재 브레이크 작동 제어장치
KR100761424B1 (ko) 2006-07-07 2007-09-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KR20110130248A (ko) * 2010-05-27 2011-12-05 주식회사 신창전기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382A1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4343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US7293480B2 (en) Shifting device
JP5166068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シフトレバー装置
EP3056768B1 (en) Shift device
JP4899693B2 (ja) シフトレバー位置検出装置
US8289026B2 (en) Recording device for recording the switch state of an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US9318280B2 (en) Contactless switch
US7663477B2 (en) Turn signal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06092777A (ja) 無接点スイッチ
US20070074956A1 (en) Rotary pull switch
JP2011080839A (ja) 位置検出装置及びシフト装置
KR100619892B1 (ko) 스위치 조립체
JP5033105B2 (ja) 位置検出装置
KR101717088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스위치 장치
JP2006349447A (ja) 位置検出装置
JPH08264075A (ja) 多機能スイッチ
JP4236091B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US6587045B2 (en) Winker lever canceling apparatus
US20100104875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plunger and such a plunger
KR101447806B1 (ko) 비접촉 브레이크 스위치
JP2004327068A (ja) 3ポジションイネーブル装置
KR10076142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GB2284672A (en) Magnetically actuated switch assembly
US11987173B2 (en) Steering column switch for a vehicle
JP5427112B2 (ja) ポジション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