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208B1 -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208B1
KR101715208B1 KR1020150051805A KR20150051805A KR101715208B1 KR 101715208 B1 KR101715208 B1 KR 101715208B1 KR 1020150051805 A KR1020150051805 A KR 1020150051805A KR 20150051805 A KR20150051805 A KR 20150051805A KR 101715208 B1 KR101715208 B1 KR 10171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card
passenger
train
sensing devic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930A (ko
Inventor
곽상록
왕종배
박찬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2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9/00006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은 교통카드단말기, 감시카메라, 중앙전산기, 교통카드판독기 및 기관사 비상통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카드단말기는 열차 승객의 승차권을 인식하고, 인식 후 상기 승객을 통과시키고,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교통카드단말기를 통과하는 상기 승객을 녹화하며, 상기 중앙전산기는 상기 교통카드단말기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교통카드판독기는 상기 열차 각각의 객실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전산기와 연동하여 상기 승객의 교통카드를 인식 및 분석하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 장치는 상기 열차 각각의 객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통카드판독기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열차를 운행하는 기관사와 통화를 연결한다.

Description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EMERGENCY CALL SYSTEM FOR TRAIN}
본 발명은 비상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내의 비상통화장치의 오남용을 방지하는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열차의 객실 내의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는 열차운행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승객이 기관사와 통화하는 장비로 도시철도 객차마다 1개 혹은 2개가 설치되어 운영중이다. 객실 내 화재나 출입문 고장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을 위해 설치된 장비로써, 승객이 비상통화장치를 작동한 경우 정해진 시간내에 기관사가 응답하지 않으면, 관제실에서 응답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비상시를 위해 설치한 비상통화장치가 취객, 어린이의 장난 및 냉난방기 작동관련 민원 등으로 오남용 되는 사례가 대부분이므로, 승객이임의로 작동시키는 경우 기관사를 포함한 많은 직원이 긴급하게 대응해야 하므로 오남용시에 직원들의 불필요한 작업을 발생시킨다. 또한, 기관사의 운행 중 비상통화장치를 오남용하는 경우 기관사의 주의를 분산시켜 운행에 필수적인 안전사항의 확인을 하지 못해 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실제로 국내에서는 기관사가 취객의 비상통화장치에 대응하는 동안 안전조치를 수행하지 못해 사고로 연결되었던 사례가 있어, 이러한 비상통화장치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065855는 비상호출 및 종료에 대한 신호들을 전달하고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인터폰 및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071096호는 비상 사태 발생 시 지하철 계단이나 화장실 등의 비상 호출부를 작동하여 호출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비상통화장치의 오남용을 방지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관사의 안전운행과 승객의 안전을 위해 비상통화장치의 오남용을 방지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카드단말기와 연동하는 교통카드판독기와 감지장치를 통해 기관사 비상통화장치의 오남용을 방지하는 비상통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상통화시스템은 교통카드단말기, 감시카메라, 중앙전산기, 교통카드판독기 및 기관사 비상통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카드단말기는 열차 승객의 승차권을 인식하고, 인식 후 상기 승객을 통과시키고,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교통카드단말기를 통과하는 상기 승객을 녹화하며, 상기 중앙전산기는 상기 교통카드단말기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교통카드판독기는 상기 열차 각각의 객실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전산기와 연동하여 상기 승객의 교통카드를 인식 및 분석하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 장치는 상기 열차 각각의 객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통카드판독기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열차를 운행하는 기관사와 통화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의 기관실에 배치되고,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와 통화를 연결하는 기관실 비상통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전산기와 상기 교통카드판독기를 해당 열차의 노선, 상기 노선과 연결되는 다른 노선들 및 상기 노선들에서 운행하는 모든 열차들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는 광역통신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객실 내부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객실 내부의 영상을 기록하는 객실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장치는 지문인식장치, 온도감지장치, 산소감지장치, 환풍기감지장치, 소화기감지장치 및 압력감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장치에 의한 객실 내부환경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화재경보장치 및 기관실 화재경보확인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상기 교통카드판독기 또는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활성화되고, 기관실로 화재경보를 전송하며, 상기 기관실 화재경보확인장치는 상기 기관실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경보를 수신하여 기관사에게 화재경보를 알려주고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객은 상기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상기 교통카드단말기의 인식 또는 승인을 받은 경우에만 상기 교통카드로 상기 교통카드판독기에서 인식 또는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통카드 없이 상기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은 지문인식을 포함하는 생체인식을 통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상통화시스템은 기존의 오남용의 빈도가 높았던 비상통화시스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교통카드판독기를 사용하여 기관사 비상통화장치의 사용을 제한하여 기관사의 운행안정성 및 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감지장치는 상기 열차 내부의 온도, 산소, 연기, 압력 및 소화기의 탈부착 여부와 무료 탑승한 승객들의 지문을 인식하여 무료 탑승한 승객들이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이용함에 문제가 없도록 하며, 환풍기의 부하를 감지하여 객실 내부의 화재여부를 판단하여 긴급상황에서 교통카드판독기의 사용방법을 모를 수 있는 승객들을 위해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비상통화시스템은 승차권단말기부터 통과하는 승객들 각각의 교통정보를 감시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함께 중앙전산에 저장하고, 광역통신망을 통해 모든 열차 및 역과 연동하여, 승객이 기관사 비상통화장치 또는 화재경보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교통카드판독기는 광역통신망을 사용하여 어디서든지 교통카드의 인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통화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개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교통카드판독기 및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이다.
도 4는 도 1의 감지장치와 기관사 비상통화장치의 연결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열차의 객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기관실 비상통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통화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통화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통화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개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교통카드판독기 및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비상통화시스템(100)은 교통카드단말기(110), 중앙전산기(120), 감시카메라(130), 광역통신망(140), 감지장치(150), 교통카드판독기(160), 객실감시카메라(170), 모바일통신기기(180), 통신사단말기(181),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 및 기관실 비상통화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는 마이크(191) 및 호출버튼(192)을 포함하고,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는 교통카드(300)가 근접한 곳에 위치하면 반응하고 인식한다.
기존의 비상통화시스템은 객실마다 배치되는 기관사 비상통화 장치가 아무런 제약없이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이 사용 가능하여, 오남용으로 인해 열차를 운행중인 기관사의 안전운행을 방해하여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100)은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 상기 감지장치(150) 및 상기 통신사단말기(181)를 활용하여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사용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객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즉시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의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는 반도체 기반의 집적회로를 내장한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사용하는 상기 교통카드(300)를 인식하여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이 요금을 결제하고 요금이 결제되면 통과하도록 문을 열어주는 장치이다.
상기 중앙전산기(120)는 역의 내부 또는 상기 역과 별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교통카드(300)의 인식정보를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를 통해서 수신하고, 상기 역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특히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와 근접한 곳에 배치되는 상기 감시카메라(130)의 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감시카메라(130)는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 및 상기 중앙전산기(120)와 연동하여, 열차를 사용하는 승객이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감시카메라(130)가 상기 승객의 모습을 영상으로 기록하여 상기 중앙전산기(120)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전산기(120)는 각각의 역 또는 복수의 역들마다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역들에서 발생한 교통카드 인식정보들 및 상기 감시카메라(130)의 영상들의 기록은 상기 중앙전산기(120)에 저장되고, 상기 승객이 목표장소에 도착하여 다시 상기 교통카드(300)를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에 접촉시키고 역을 떠날 때 상기 인식정보들 및 영상을 삭제하게 된다.
상기 광역통신망(140)은 상기 중앙전산기(120)에 저장된 교통카드 인식 정보들 및 상기 감시카메라(130)의 영상정보들이 열차가 이동가능하고 상기 승객이 환승하여 이동이 가능한 모든 역들 및 모든 열차들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교통카드를 상기 역들 및 열차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관리자는 상기 광역통신망(140)으로 연결된 상기 중앙전산기(120)에서 상기 교통카드 인식정보와 함께 기록된 상기 감시카메라(130)의 영상정보를 열람이 가능하고, 상기 역들 및 상기 열차의 기관실에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는 상기 열차의 객실마다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와 근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에 상기 교통카드(300)를 인식시킨 후에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의 사용으로 취객이나 아이들의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는 상기 감지장치(150)와 연동하여, 상기 교통카드를 사용할 필요없이, 지문인식장치, 온도감지장치, 산소감지장치, 환풍기감지장치, 소화기감지장치 및 압력감지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객실 내부에서 사고나 화재를 감지한 경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활성화시켜 상기 교통카드가 없이 무료로 탑승할 수 있는 승객들의 경우에도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객실감시카메라(170)는 상기 객실마다 형성되어 작동하며, 상기 감지장치(150)가 사고 또는 화재를 감지한 경우 또는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가 상기 교통카드를 인식한 순간 또는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 또는 상기 감지장치(150)가 작동한 장소와 근접한 곳에 설치된 상기 객실감시카메라(170)가 녹화를 시작하여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객실감시카메라(170)는 상기 영상을 기관실로 전송하여 기관사가 상황을 인식하도록 도와주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하는 승객의 신원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객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각자의 모바일 통신기기(180)를 사용하여 와이파이, 3G, 4G 또는 다른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사 단말기(181)를 통해 외부와 접속하거나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표면에 적혀있는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상기 기관실 비상통화장치(200)에 연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객은 상기 통신사 단말기(181)를 사용하므로 신원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상기 기관실로 연락하기 힘들고 취객의 경우 경황이 없는 상태에서 전화번호를 파악하고 입력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의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 상기 중앙전산기(120), 상기 감시카메라(130) 및 상기 광역통신망(140)은 역의 개찰구나 역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객이 신용카드, 체크카드, 정기권, 일회용교통권 및 다른 교통권들을 포함하는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교통카드(300)를 사용하는 승객의 정보조회와 지불거래가 이루어지고, 상기 승객이 상기 열차의 이용을 마치고 다시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를 통과하여 역을 떠날 때 까지 상기 중앙전산기(120)는 상기 승객의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한다.
상기 감시카메라(130)는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의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교통카드단말기(110)를 지나가는 상기 승객을 녹화하거나, 상기 개찰구 주변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승객을 녹화한 영상은 상기 승객의 정보와 함께 상기 중앙전산기(120)에 저장되며, 상기 광역통신망(140)을 통해 전노선에서 운행중인 열차들 및 모든 역들에서 상기 영상과 상기 승객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역통신망(140)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역들 및 열차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의 상기 객실 내부에는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 및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가 형성된다. 상기 객실 내부에 사고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승객은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에 상기 교통카드(300)를 접근시켜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에 의해 인증을 받아야만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하여 기관실에 형성되는 상기 기관실 비상통화장치(200)를 통해 기관사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상기 승객은 상기 교통카드(300)를 사용하여 인증을 받으면 상기 호출버튼(192)을 눌러서 상기 기관사를 호출할 수 있고, 호출된 기관사와 상기 마이크(191)를 통해 대화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객실감시카메라(170)는 상기 객실의 상황을 녹화하여 상기 기관실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기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객실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열차의 운행을 중지할 지 다음 역으로 이동할지 아니면 통과한 역으로 다시 돌아갈지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를 통해 어린아이나 술취한 취객들 및 장난하는 사람들의 오남용이 현저히 줄어들어 상기 열차운행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실제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관사가 주의를 기울여 상황에 대한 조치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긴급상황에서의 대처능력이 증가하여 상기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감지장치와 기관사 비상통화장치의 연결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열차의 객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기관실 비상통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장치(150)는 지문인식장치(151), 온도감지장치(152), 산소감지장치(153), 환풍기감지장치(154), 소화기감지장치(155) 및 압력감지장치(156)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실 비상통화장치(200)는 기관실마이크(210), 경보장치(220) 및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한다.
상기 지문인식장치(151)는 상기 호출버튼(192) 또는 상기 호출버튼(192)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차에 무료로 탑승할 수 있는 고령자와 같은 무료승차가 가능한 승객은 상기 객실 내부에서 사건이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교통카드(300)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호출버튼(192)을 누르는 경우 일정한 시간 동안 상기 호출버튼(192)을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여 지문을 인식하게 하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가 작동하여, 상기 기관사와 통화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차에 무료로 탑승할 수 있는 승객들의 지문정보는 사전에 상기 중앙전산기(120)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며 무료탑승한 승객들이 상기 호출버튼(192)을 일정한 시간동안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지문인식장치(151)를 통해 인식된 지문은 상기 중앙전산기(120)에서 분석되며, 무료로 탑승한 승객으로 인증을 받으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가 작동하여 무료로 탑승한 승객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시에 상기 기관사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장치(152)는 상기 객실 또는 상기 기관실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대부분의 화재(500)가 발생할 수 있는 상기 객실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장치(152)는 상기 객실 내부에서 상기 화재(500)가 발생한 경우 급격한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면, 서로 연결된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활성화 시켜 누구든지 상기 호출버튼(192)을 누르면 상기 기관사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장치(152)가 반응하고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가 활성화되면, 상기 온도감지장치(152)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객실감시카메라(170)가 주변의 상황을 녹화하여 상기 기관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하는 승객들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고, 비상상황에서 상기 교통카드(300)조차 사용하는 방법을 잊을 수 있는 승객들이 상기 교통카드(300)의 사용없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촌각을 다투는 상황에서 상기 교통카드(300)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산소감지장치(153)는 상기 객실 또는 상기 기관실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산소감지장치(153)가 설치된 공간의 산소량의 변화가 급격히 줄어드는 경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활성화 시켜 누구든지 상기 호출버튼(192)을 누르면 상기 기관사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산소감지장치(153)가 작동하면, 상기 산소감지장치(153)가 설치되는 위치에 근접한 상기 객실감시카메라(170)가 작동하여 주변의 상황을 녹화하고 그 영상을 상기 기관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산소감지장치(153)는 상기 객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외에도 승객들이 많아지고 환풍기가 고장나는 경우 산소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교통카드(300)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온도감지장치(152)와 함께 비상상황에서 상기 기관사가 신속히 대응하도록 하고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환풍기감지장치(154)는 상기 객실의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가 과도하게 작동하여 부하를 일으키는 지를 감지한다. 상기 환풍기는 상기 객실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로 인한 연기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감지하고 외부로 방출하므로, 상기 환풍기가 과도하게 작동하여 부하가 걸리는 경우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환풍기감지장치(154)가 상기 환풍기의 과도한 작동으로 인한 부하를 감지하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활성화시켜 누구든지 상기 호출버튼(192)을 누르면 상기 기관사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환풍기감지장치(154)는 상기 지문인식장치(151), 상기 온도감지장치(152) 및 상기 산소감지장치(153)처럼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를 사용함에 있어 긴급상황에서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사용이 힘든 사람들에 대한 보완장치로써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감지장치(155)는 상기 객실 내부에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감지장치(155)는 상기 소화기를 탈착 또는 부착 여부를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승객이 상기 소화기를 탈착하여 상기 화재(500)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하므로, 이러한 긴급한 상황에서는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활성화시켜 상기 승객이 상기 기관사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기감지장치(155)가 작동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도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누구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도난 또는 상기 화재(500)의 진압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예측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호출버튼(192)은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기관사는 경보를 수신하게 되고, 상기 소화기감지장치(155)가 작동했던 객실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객실감시카메라(170)가 작동하여 상기 객실의 내부의 상황을 영상으로 상기 기관사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관사는 상기 소화기감지장치(155)를 통해 화재의 여부 및 소화기의 도난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에서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르는 상기 승객들을 위한 보완장치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객들은 화재나 사고를 발견한 경우, 각자의 휴대폰을 사용하여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에 표시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상기 기관실 비상통화장치(200)를 통해 상기 기관사와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취객이나 아이들의 오남용을 막으면서, 비상상황에서는 상기 기관사와 통화가 가능하여 긴급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압력감지장치(156)는 상기 객실 내부에 승객들이 한 곳에 집중적으로 몰려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객실 내부에 사고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승객들은 모두 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압력감지장치(156)를 통해 상기 승객의 평소와 다른 행동을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압력감지장치(156)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활성화 시켜 오남용은 방지하면서, 긴급한 상황에서는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의 상기 기관실마이크(210)는 상기 기관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관사가 긴급한 상황을 상기 경보장치(220) 및 상기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파악하는 경우 대처방법을 상기 승객들에게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보장치(220)는 상기 승객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2)를 사용할 경우에 발광하며 특정 소리를 발생시키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사고 또는 화재가 발생한 객실 내부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통화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비상통화시스템(500)은 화재경보장치(510) 및 기관실 화재경보확인장치(520)를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10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통화시스템(500)은 화재경보장치(510) 및 기관실 화재경보확인장치(5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화재경보장치(51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화재경보장치(51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교통카드(300)를 사용하여 인증을 받아야하며, 상기 감지장치(150)가 화재 또는 사고를 감지하여 상기 화재경보장치(510)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승객은 상기 화재경보장치(5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경보장치(510)의 주변에 형성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승객의 휴대폰을 통해 통화를 시도하면, 상기 통신사단말기(181)를 거쳐 상기 기관실 화재경보확인장치(5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재경보장치(510)가 작동하면, 상기 기관사는 상기 기관실 화재경보확인장치(520)를 통해 상기 화재경보장치(510)가 작동되는 객실 내부의 상황을 상기 객실감시카메라(17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230)에서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재경보장치(510)는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를 통해 오남용을 방지하고, 상기 감지장치(150)를 통해 비상상황에서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의 사용방법을 모를 수 있는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상기 화재경보장치(51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비상통화시스템(100)은 기존의 오남용의 빈도가 높았던 비상통화시스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를 사용하여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의 사용을 제한하여 기관사의 운행안정성 및 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50)는 상기 열차 내부의 온도, 산소, 연기, 압력 및 소화기의 탈부착 여부와 무료 탑승한 승객들의 지문을 인식하여 무료 탑승한 승객들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이용함에 문제가 없도록 하며, 환풍기의 부하를 감지하여 상기 객실 내부의 화재여부를 판단하여 긴급상황에서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의 사용방법을 모를 수 있는 승객들을 위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통화시스템(500)은 상기 승차권단말기(110)부터 통과하는 상기 승객들 각각의 교통정보를 상기 감시카메라(130)와 함께 촬영한 영상과 함께 상기 중앙전산기(120)에 저장하고, 상기 광역통신망(140)을 통해 모든 열차 및 역과 연동하여, 상기 승객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190) 또는 상기 화재경보장치(51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교통카드(300)를 사용하면 상기 교통카드판독기(160)는 상기 광역통신망(140)을 사용하여 어디서든지 상기 교통카드(300)의 인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카드단말기 및 감지장치를 통해 활성화되는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포함하는 비상통화시스템은 도심용 열차 또는 고속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열차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500: 비상통화시스템 110: 교통카드단말기
120: 중앙전산기 130: 감시카메라
140: 광역통신망 150: 감지장치
160: 교통카드판독기 170: 객실감시카메라
180: 모바일 통신기기 181: 통신사 단말기
190: 기관사 비상통화장치. 200: 기관실 비상통화장치
210: 기관실마이크 220: 경보장치
230: 디스플레이 510: 화재경보장치
520: 기관실 화재경보장치

Claims (10)

  1. 열차 승객의 교통카드를 인식하고, 인식 후 상기 승객을 통과시키는 교통카드단말기;
    상기 교통카드단말기를 통과하는 상기 승객을 녹화하는 감시카메라;
    상기 교통카드단말기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저장하고 상기 교통카드의 인식정보 및 상기 감시카메라의 영상정보의 열람이 가능한 중앙전산기;
    상기 열차 각각의 객실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전산기와 연동하여 상기 승객의 교통카드를 인식 및 분석하는 교통카드판독기;
    상기 중앙전산기와 상기 교통카드판독기를 해당 열차의 노선, 상기 노선과 연결되는 다른 노선들 및 상기 노선들에서 운행하는 모든 열차들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는 광역통신망;
    상기 열차 각각의 객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교통카드판독기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열차를 운행하는 기관사와 통화를 연결하는 기관사 비상통화 장치;
    상기 객실 내부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며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하고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활성화 시키는 감지장치; 및
    상기 기관실 비상통화장치와 통신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및 통신사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카드 없이 상기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은 상기 지문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지문인식장치는 호출버튼에 형성되며, 상기 호출버튼을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지문이 인식되고 지문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의 기관실에 배치되고,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와 통화를 연결하는 기관실 비상통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객실 내부의 영상을 기록하는 객실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지문인식장치, 온도감지장치, 산소감지장치, 환풍기감지장치, 소화기감지장치 및 압력감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에 의한 객실 내부환경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카드판독기 또는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활성화되고, 기관실로 화재경보를 전송하는 화재경보장치; 및
    상기 기관실에 배치되고, 상기 화재경보를 수신하여 기관사에게 화재경보를 알려주고 표시하는 기관실 화재경보확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은 상기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상기 교통카드단말기의 인식 또는 승인을 받은 경우에만 상기 교통카드로 상기 교통카드판독기에서 인식 또는 승인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카드 없이 상기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은 지문인식을 포함하는 생체인식을 통해 상기 기관사 비상통화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시스템.
KR1020150051805A 2015-04-13 2015-04-13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 KR10171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805A KR101715208B1 (ko) 2015-04-13 2015-04-13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805A KR101715208B1 (ko) 2015-04-13 2015-04-13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30A KR20160121930A (ko) 2016-10-21
KR101715208B1 true KR101715208B1 (ko) 2017-03-13

Family

ID=5725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805A KR101715208B1 (ko) 2015-04-13 2015-04-13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599B1 (ko) 2017-06-05 2019-09-10 고구려엔지니어링(주)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35B1 (ko) * 2001-04-26 2004-05-28 주식회사 패스아이 대중 교통수단의 운임 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2004206730A (ja) * 2004-02-06 2004-07-22 Toshiba Corp 列車内における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05157726A (ja) * 2003-11-26 2005-06-16 Toshiba Corp 運賃収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12B1 (ko) * 2006-02-24 2007-12-21 코디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철도 차량 화재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35B1 (ko) * 2001-04-26 2004-05-28 주식회사 패스아이 대중 교통수단의 운임 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2005157726A (ja) * 2003-11-26 2005-06-16 Toshiba Corp 運賃収受システム
JP2004206730A (ja) * 2004-02-06 2004-07-22 Toshiba Corp 列車内における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30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5210B1 (ja) 乗客管理装置、及び乗客管理方法
CN107103310B (zh) 一种无人驾驶出租车的乘客行为监督方法
CN109558795A (zh) 一种校车乘客安全智能监控系统
CN104183148B (zh) 一种基于模式识别技术的智能停车系统及方法
KR101011800B1 (ko)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3955968A (zh) 基于安卓平台的复合式安防考勤装置及系统
KR100817335B1 (ko) 스마트 주차카드 시스템
CN114022961A (zh) 车载系统、车辆及车载系统的控制方法
KR101715208B1 (ko) 열차의 비상통화시스템
JP5471884B2 (ja) 駅業務支援システム
JP2009190847A (ja) エレベータかご室内確認装置
KR20160028542A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188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KR101437406B1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23366B2 (ja) 車内改札支援方法及び車内改札支援システム
JP2005018307A (ja) 自動検札システム
JP2020113088A (ja) 駅利用者管理システム
JP481963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50056100A (ko) 승객 보호를 위한 택시 승하차 정보 확인 시스템
KR102019733B1 (ko) 안심 통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486027Y1 (ko)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KR20200032879A (ko) 안면 인식 기술이 적용된 차량 내 방치어린이 예방 안전시스템
CN216310865U (zh) 车载系统及具有其的车辆
US100932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guarding vehicles
JP2005149185A (ja) 車両入退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