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27Y1 -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 Google Patents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27Y1
KR200486027Y1 KR2020160000487U KR20160000487U KR200486027Y1 KR 200486027 Y1 KR200486027 Y1 KR 200486027Y1 KR 2020160000487 U KR2020160000487 U KR 2020160000487U KR 20160000487 U KR20160000487 U KR 20160000487U KR 200486027 Y1 KR200486027 Y1 KR 200486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guide
opening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797U (ko
Inventor
최기찬
Original Assignee
최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찬 filed Critical 최기찬
Priority to KR2020160000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2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05Y2400/456Control modes for programming, e.g. learning or AI [artificial intellige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05Y2400/458Control modes for generating service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2Acoustic
    • E05Y2400/814Sound emitters, e.g. loudspeakers
    • E05Y2400/816Vo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 개폐도어의 전,후방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도어 스위치; 출입자들의 출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폐쇄 차단신호를 전송하는 개폐센서; 상기 도어 스위치 및 개폐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개폐신호 및 폐쇄 차단신호를 안내 시스템측으로 전송하는 도어 컨트롤러; 및 음성 형태의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스피커와, 문자 형태의 안내 메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안내 메세지들이 저장되는 안내 DB 및 상기 도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안내 시스템을 제어하고, 출입자들에게 다양한 안내 메세지를 제공하여 도어와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내 제어부로 구성된 안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provided with guide}
본 고안은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자에게 안내문구, 또는 안내음성 등을 제공하여 출입자와 도어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는 안내 시스템을 통해 출입자들에게 제공되는 안내문구, 안내음성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시간대별, 상황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비상시 뿐만 아니라, 일반 영업 장소 등에서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와 실외를 연결해주기 위한 문(門)은 여닫이문, 미닫이문, 회전문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문들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기능을 부여하여 부분적으로 자동을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들는 통상적으로 도어 락 장치가 구비되어 RF 신호의 송, 수신이 가능한 RFID 카드를 통해 도어락 장치를 해제시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도어 락 장치가 구비된 자동문이 보급되고 있으나, 자동문은 주로 미닫이문, 즉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좌우로 개폐되는 문에 적용되고 있으며, 문의 열림과 닫힘이 주로 근접 센서를 통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열리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문은 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기관이나 음식점, 은행 등의 서비스 업종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드는 장소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문을 열 때마다 매번 RFID 카드를 도어락에 접촉시키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시건 장치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함으로써, 문을 열 때마다 카드를 찾아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아울러, 팔, 다리와 같은 신체의 일부를 사용할 수 없어 휠체어를 이용해야 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카드를 접촉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문을 열거나 닫기가 힘들고, 제3자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매번 발생됨에 따라 출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시각 장애인들이나 어린아이들의 경우, 자동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해제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유로운 입출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특정 안내 메세지의 송출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8909호에는, 개폐 수단 동작 시,음성메모리칩에 의해 각종 음성안내 및 경보 음을 발생하며, 가스누출 및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상황 시에는 음성안내에 의해 개방된 문(비상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비상시 문을 자동으로 무선원격조정 개폐하는 수단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가스누출이나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상황에서만 적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장애인이나 어린아이들의 자유로운 입출입을 위한 안내 메세지의 송출 기능을 구현할 수 없어 사용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7890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출입자에게 안내문구, 또는 안내음성 등을 제공하는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는 안내 시스템을 통해 출입자들에게 제공되는 안내문구, 안내음성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시간대별, 상황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수정이 가능한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 개폐도어의 전,후방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도어 스위치; 출입자들의 출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폐쇄 차단신호를 전송하는 개폐센서; 상기 도어 스위치 및 개폐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개폐신호 및 폐쇄 차단신호를 안내 시스템측으로 전송하는 도어 컨트롤러; 및 음성 형태의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스피커와, 문자 형태의 안내 메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안내 메세지들이 저장되는 안내 DB 및 상기 도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안내 시스템을 제어하고, 출입자들에게 다양한 안내 메세지를 제공하여 도어와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내 제어부로 구성된 안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안내 시스템에는 출입자의 위치 정보와, 출입자와 도어 간의 거리 정보를 상기 안내 제어부측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출입자의 출입 여부에 따른 안내 메세지의 신속한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 센서부와, 출입자가 일정 시간 동안 도어와 인접한 위치에서 머물게 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의 모습이나 모션을 촬영하여 상기 안내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출입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상기 안내 제어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안내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제공되는 출입자의 음성 분석하여 도어의 자동개폐 신호를 도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안내 제어부와 무선 통신부를 통해 연동하고, 상기 안내 DB에 저장된 안내 메세지의 추가, 수정, 삭제 및 편집이 이루어지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 메세지가 송출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광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출입자에게 안내문구, 또는 안내음성 등을 제공하여 출입자와 도어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는 안내 시스템을 통해 출입자들에게 제공되는 안내문구, 안내음성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시간대별, 상황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비상시 뿐만 아니라, 일반 영업 장소 등에서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의 도면세 지시된 도면 부호 "100"은 자동 개폐도어를 지시하는 것이고, 자동 개폐도어는 설명의 편의상 "자동 개폐도어", 또는 "도어"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출입자에게 안내문구, 또는 안내음성 등을 제공하여 출입자와 도어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는 안내 시스템을 통해 출입자들에게 제공되는 안내문구, 안내음성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시간대별, 상황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비상시 뿐만 아니라, 일반 영업 장소 등에서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동 개폐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개폐도어에 구성된 도어 스위치(110)의 구동 신호, 또는 개폐센서(130)의 구동 신호를 전송받아 자동 개폐도어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도어 컨트롤러(120)가 구성되고, 도어 컨트롤러(120)와 연동하여 자동 개페도어(100)의 구동에 대응하는 안내 메세지가 송출되도록 하는 안내 시스템(200)이 구성된다.
도어 스위치(110)는 자동 개폐도어의 전,후방에 각각 구성되어 출입자가 직접 터치하게 되면, 이에 대한 구동신호를 도어 컨트롤러(120)로 전송하여 자동 개폐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도어 컨트롤러(120)는 개방된 자동 개폐도어가 일정 시간(예를 들면, 3~5초)이 지나면 자동으로 폐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센서(130)는 자동 개폐도어를 이용하는 출입자가 다수인 경우, 출입자가 모두 출입 상태를 완료하였는지 확인하고, 출입이 완료되었으면, 자동 개폐도어의 폐쇄가 진행되도록 하고, 출입자들의 출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만 폐쇄 차단신호를 도어 컨트롤러(120)측으로 전송하여 자동 개폐도어의 개방 작동이 재차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도어 컨트롤러(120)는 도어 스위치(110)로부터 도어의 개방신호가 전송되면, 이 개방신호를 후술할 안내 시스템(200)의 안내 제어부(270)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출입자들에게 다양한 안내 메세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어 컨트롤러(120)는 개폐센서(130)를 통해 전송되는 폐쇄 방지신호가 전송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안내 제어부(270)로 전송하여 이에 대응하는 안내 메세지를 출입자측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안내 제어부(270)는 도어 컨트롤러(120)로부터 도어의 개방신호가 전송되면, 스피커(210)를 통해 "어서오세요. 고객님" 이라는 음성 메세지를 송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동일한 메세지를 문자의 형태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제어부(270)는 도어 컨트롤러(120)로부터 도어의 폐쇄 방지신호가 전송되면, 스피커(210)를 통해 "도어가 닫힙니다. 안전에 주의하세요." 라는 음성 메세지를 송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동일한 메세지를 문자의 형태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안내 시스템(200)에 의해 출입자들에게 다양한 안내 메세지를 제공할 수 있어 도어와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안내 시스템(200)은 음성 형태의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스피커(210)와, 문자 형태의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구성되고, 출입자와 도어 간의 거리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출입자와 도어 사이의 거리값과 위치값에 따라 다양한 안내 메세지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내 센서부(230), 도어 컨트롤러(120)와 안내 제어부(27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부(240), 안내 메세지들이 저장되는 안내 DB(260) 및 안내 시스템을 제어하는 안내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210)는 안내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도어의 개폐 작동시 이에 대응하는 음성 메세지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스피커(210)를 통해 송출되는 음성 메세지와 동일한 구조의 문자 메세지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20)는 안내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210)를 통해 음성 메세지가 송출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광고 메세지가 출력되어 광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센서부(230)는 출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출입자와 도어 간의 거리를 센싱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안내 제어부(270)측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출입자의 출입 여부에 따른 안내 메세지의 신속한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안내 센서부(230)는 도어 주변으로부터 출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안내 제어부(270)로 전송하는 위치센서와, 이 출입자와 도어간의 거리값을 파악하여 안내 제어부(270)로 전송하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부(240)는 도어 컨트롤러(120)와 안내 제어부(270), 그리고 휴대 단말기와 안내 제어부(270) 간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안내 DB(260)는 도어의 개폐 작동시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안내 메세지와 광고 메세지가 저장된다.
또한, 안내 DB(260)에는 도어의 미작동시 안내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측으로 광고 메세지를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광고 메세지는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안내 DB(2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USB와 같은 이동식 저장장치를 통해 저장될 수 있다.
안내 제어부(270)는 도어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되는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안내 메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내 시스템(200)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안내 제어부(270)는 안내 센서부(23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자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도어의 출입 여부를 독촉하거나, 폐쇄되는 도어의 폐쇄 방지신호를 도어 컨트롤러(120)측으로 전송하여 출입자와 도어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안내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광고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광고 메세지는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안내 제어부(270)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무선 통신부(240)에 의해 연동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 시스템(20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안내 제어부(270)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안내 DB(260)에 저장된 안내 메세지의 추가, 수정, 삭제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제어부(27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주된 광고 메세지를 안내 DB(260)에 저장함과 동시에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입력하여 광고 메세지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안내 시스템(200)에는 도어의 출입자들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250)와 마이크(28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어를 출입하려 하는 출입자가 도어의 용이한 출입이 어려운 어린아이나, 장애인들의 경우, 이를 판단하여 도어의 자동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도어 스위치(110)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안내 센서부(230)를 통해 감지된 출입자가 일정 시간 동안 도어와 인접한 위치에서 머물게 되는 경우, 안내 제어부(270)는 영상 촬영부(250)를 구동하여 해당 출입자의 모습이나 모션 등을 촬영하여 전송받아 이를 분석하여 어린아이, 또는 시각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안내 제어부(270)는 영상 정보의 분석 결과, 어린아이나, 시각 장애인인 경우, 스피커(210)를 통해 출입자가 영상 정보 분석 결과와 일치한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고,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자가 육성으로 이에 대한 대답을 하면, 마이크(280)가 출입자의 목소리를 수집하여 안내 제어부(270)로 전송한다.
그리고, 안내 제어부(270)는 전송된 음성(출입자의 목소리)를 분석하여 영상 정보 분석 결과와 일치하면, 도어의 자동개폐 신호를 도어 컨트롤러(120)로 전송하여 도어의 자동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동 개폐도어 110: 도어 스위치
120: 도어 컨트롤러 130: 개폐센서
200: 안내 시스템 210: 스피커
220: 디스플레이부 230: 안내 센서부
240: 무선 통신부 250: 영상 촬영부
260: 안내 DB 270: 안내 제어부
280: 마이크

Claims (5)

  1. 자동 개폐도어의 전,후방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개폐신호를 전송하는 도어 스위치;
    출입자들의 출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폐쇄 차단신호를 전송하는 개폐센서;
    상기 도어 스위치 및 개폐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 개폐도어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개폐신호 및 폐쇄 차단신호를 안내 시스템측으로 전송하는 도어 컨트롤러; 및
    음성 형태의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성 형태의 안내 메세지와 동일한 문자 형태의 안내 메세지를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 메세지가 송출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광고 메세지가 출력되어 광고 효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안내 메세지들이 저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광고 메세지를 전송하는 안내 DB와; 상기 도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안내 시스템을 제어하고, 출입자들에게 다양한 안내 메세지를 제공하여 도어와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내 제어부와; 출입자의 위치 정보와, 출입자와 도어 간의 거리 정보를 상기 안내 제어부측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출입자의 출입 여부에 따른 안내 메세지의 신속한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내 센서부와; 출입자가 일정 시간 동안 도어와 인접한 위치에서 머물게 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의 모습이나 모션을 촬영하여 상기 안내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출입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상기 안내 제어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안내 시스템;
    상기 도어 컨트롤러, 안내 제어부 및 휴대 단말기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제어부는, 상기 안내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자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도어의 출입 여부를 독촉하거나, 폐쇄되는 도어의 폐쇄 방지신호를 상기 도어 컨트롤러측으로 전송하여 출입자와 도어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광고 메세지를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안내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제공되는 출입자의 음성 분석하여 도어의 자동개폐 신호를 도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제어부와 무선 통신부를 통해 연동하고, 상기 안내 DB에 저장된 안내 메세지의 추가, 수정, 삭제 및 편집이 이루어지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 메세지가 송출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광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KR2020160000487U 2016-01-27 2016-01-27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KR200486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487U KR200486027Y1 (ko) 2016-01-27 2016-01-27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487U KR200486027Y1 (ko) 2016-01-27 2016-01-27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97U KR20170002797U (ko) 2017-08-07
KR200486027Y1 true KR200486027Y1 (ko) 2018-03-27

Family

ID=6062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487U KR200486027Y1 (ko) 2016-01-27 2016-01-27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58B1 (ko) * 2018-11-22 2019-10-01 김민후 비상상황에 용이한 안전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238A (ja) 1999-05-12 2000-11-21 Honda Denshi Giken:Kk 音声案内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917B1 (ko) * 2000-02-12 2004-09-01 주식회사 록센스 출입문 자동 개폐시스템
KR100878908B1 (ko) 2007-10-09 2009-01-15 엄태준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KR20100130844A (ko) * 2009-06-04 2010-12-14 정광선 자동문의 출입통제 시스템
KR20150052974A (ko) * 2013-11-07 2015-05-15 조봉미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238A (ja) 1999-05-12 2000-11-21 Honda Denshi Giken:Kk 音声案内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97U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342B1 (ko)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CN108412315B (zh) 一种智能门锁警示系统及其控制方法
EP3295436B1 (d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elbsttätig verfahrbaren reinigungsgerätes
US8606316B2 (en) Portable blind aid device
US8254631B2 (en) Automated security gate attendant
JP2014506034A (ja) ドアロック装置
CA3065806A1 (en) Control access utilizing video analytics
JP2010182193A (ja) 携帯電話ロボット
CN106427869A (zh) 车辆控制方法及装置
KR20150052974A (ko)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CN110264685A (zh) 门外监测智能提醒系统和方法
US20190392691A1 (en) Entry security system and method
KR20090017733A (ko)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US20210272225A1 (en) Mobile correctional facility robots
KR101446416B1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0486027Y1 (ko)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KR20070106282A (ko)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412793B1 (ko) 보안기능이 구비된 인형
JP2005064866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816462B1 (ko) 도어폰 시스템
KR102275661B1 (ko)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92500B1 (ko) 자동문 컨트롤 조절구가 구비된 리더기
JP2009051649A (ja) エレベータ防犯システム
KR100643125B1 (ko) 엘리베이터 보안시스템
JP2005207034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