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282A -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282A
KR20070106282A KR1020060038966A KR20060038966A KR20070106282A KR 20070106282 A KR20070106282 A KR 20070106282A KR 1020060038966 A KR1020060038966 A KR 1020060038966A KR 20060038966 A KR20060038966 A KR 20060038966A KR 20070106282 A KR20070106282 A KR 20070106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terphone
security
communication device
vis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517B1 (ko
Inventor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턴
Priority to KR102006003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51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도와 접하는 벽면에 설치되고 수동 또는 원격으로 제어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현관문과, 현관문과 거실 사이에 설치되고 원격 또는 수동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보안문과, 현관문의 옆쪽 벽면에 설치되고 촬영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등이 설치되는 외부 인터폰과, 거실의 벽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부와 마이크, 스피커 등이 설치되는 내부 인터폰과, 외부 인터폰 및 내부 인터폰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현관문의 잠금장치 및 보안문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방문자에 따라서 문이 다르게 반응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안, 출입, 침입, 아바타, 카메라, 택배, 선반, 인터폰, 변조, 기계음

Description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Intelligent Entrance Security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현관문과 보안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현관문과 외부 인터폰을 나타내는 외부 벽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안문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안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안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안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안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보안문이 폐쇄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 8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문본체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블럭과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문자에 대응하여 문의 개폐와 적절한 안내를 행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 등의 주거 환경은 거실을 중심으로 동선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현관문(출입문)이 개방되면 안으로 들어온 외부인이 거실을 통하여 실내의 모든 곳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 고 있다.
최근에는 현관문을 통하여 침입한 도둑이나 강도 등에 의하여 대항할 능력이 없는 어린이나 여성, 노인 등이 신체적, 경제적 피해를 입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현관문의 보안 시스템과 장치 등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지만, 충분한 보안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관문의 옆쪽 벽면에 설치되는 인터폰에 방문객의 얼굴을 확인하기 위하여 촬영 카메라를 설치하고, 음성을 듣고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마이크 및 스피커를 설치하며, 방문객이 내부인을 호출할 수 있도록 초인종 등을 설치한다. 또 거실 내부의 벽면에 설치되는 인터폰에 상기 촬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와, 마이크 및 스피커 등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인터폰 보안시스템은 방문객이 초인종을 눌러 방문을 알리고, 내부인이 내부 인터폰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방문객을 확인하고,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하여 방문 목적 등의 대화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현관문을 개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는 집안에 사람이 없을 경우를 대비하여 인터폰에 설정한 전화번호로 외부에서 전화를 걸어 마치 사람이 집안에 있는 것처럼 방문객에게 응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보안시스템도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보안시스템은 인터폰의 목소리에 의하여 집안에 노약자가 있는지, 여성과 어린이들만 있는지 등의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집주인이 외출중에 부모님이나 친척을 위하여 현관문을 개방시켜야 하는 경우에 원격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특히 원격제어 방식을 해킹하여 현관문을 개방하는 외부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관문과 거실 사이에 원격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는 보안문을 설치하여 현관문이 개방된 경우에도 외부 침입자가 곧바로 거실로 접근하지 못하므로 경찰에 신고하거나 대응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는 것이 가능한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인터폰의 디스플레이부에 아바타를 보여주면서 대응하도록 구성하므로 방문자에게 새로운 느낌을 주는 것이 가능한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인터폰에 아바타를 보여주며 변조음으로 대응하도록 구성하므로 방문자에게 내부 사정에 대한 정보(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또는 현재 응대하는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한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택배회사나 우체국의 시스템과 연결하여 예정된 방문시간과 방문자에 대한 사전 정보를 기반으로 방문객의 정확한 신원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은 복도와 접하는 벽면에 설치되고 수동 또는 원격으로 제어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현관문과, 상기 현관문과 거실 사이에 설치되고 원격 또는 수동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보안문과, 상기 현관문의 옆쪽 벽면에 설치되고 촬영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등이 설치되는 외부 인터폰과, 거실의 벽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부와 마이크, 스피커 등이 설치되는 내부 인터폰과, 상기 외부 인터폰 및 내부 인터폰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현관문의 잠금장치 및 보안문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장치에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무선 휴대통신기기에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도(2)와 접하는 벽면(3)에 설치되고 수동 또는 원격으로 제어되는 잠금장치(42)가 설치되는 현관문(40)과, 상기 현관문(40)과 거실(6) 사이에 설치되고 원격 또는 수동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보안문(50)과, 상기 현관문(40)의 옆쪽 벽면(3)에 설치되고 촬영 카메라(14)와 마이크(12), 스피커(11) 등이 설치되는 외부 인터폰(10)과, 거실(6)의 벽면(7)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부(23)와 마이크(22), 스피커(21) 등이 설치되는 내부 인터폰(20)과, 상기 외부 인터폰(10) 및 내부 인터폰(20)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현관문(40)의 잠금장치(42) 및 보안문(5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인터폰(10)에는 복도(2)에 방문객이 있어 현관문(40) 가까이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6)가 설치되고, 방문객이 호출할 수 있도록 초인종(15)이 설치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6)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센서와 열을 감지하는 센서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인터폰(10)에는 상기 제어장치(3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부(18)가 설치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8)는 무선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선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장치(30)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8)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38)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 인터폰(10)의 마이크(12)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는 상기 제어장치(3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장치(30)에서는 이를 상기 내부 인터폰(20)으로 전송하여 스피커(21)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부 인터폰(20)의 마이크(22)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는 상기 제어장치(30)를 거쳐 상기 외부 인터폰(10)의 스피커(11)로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내부 인터폰(20)의 마이크(22)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어장치(30)에서 변조한 다음, 상기 외부 인터폰(1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스피커(11)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는 변조음(또는 기계합성어)으로서 방문객 은 실내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 외부 인터폰(10)의 촬영 카메라(14)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는 상기 제어장치(30)를 거쳐 상기 내부 인터폰(20)의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된다. 따라서 실내에 있는 사람은 내부 인터폰(20)의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된 영상을 통하여 방문객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인터폰(10)에는 상기 제어장치(3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30)에 입력된 집주인의 아바타나 그림, 캐리커처, 사진 등을 표시하여 방문객을 맞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부 인터폰(20)에는 상기 현관문(40)이 잠금장치(42)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버튼, 상기 보안문(50)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보안개폐버튼, 상기 제어장치(30)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24)가 설치된다.
상기 현관문(40)과 보안문(50) 사이의 공간은 전실(4)이라고 한다(도 2 참조).
상기 전실(4)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쪽에 센서 등(82)을 설치한다. 상기 센서 등(82)은 전실(4)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점등되고, 설정된 점등시간(예를 들면 30초, 1분 등)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전실(4) 내에서의 움직임이 설정된 점등시간을 초과하여 계속 감지되는 경우에는 순간적인 소등 후 재점등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센서 등(82)에는 인체감지센서와 타이머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센서 등(82)의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장치(82)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면, 전실(4) 내에 방문자가 진입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 인터폰(10)의 인체감지센서(16)가 복도(2)쪽의 방문자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방문자(외부 침입자)가 전실(4)로 진입한 경우에도 상기 제어장치(30)가 작동하도록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실(4)에는 천정 또는 천정에 가까운쪽에 CCD 카메라(80)를 설치하고, 그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장치(3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CCD 카메라(80)는 촬영 사각지대가 존재하지 않도록 2개 이상을 적절하게 배치(예를 들면 대각방향으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실(4)에도 스피커, 마이크, 암호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버튼 등이 설치되는 보조 인터폰(84)을 설치한다.
상기 보조 인터폰(84)은 상기 제어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 인터폰(84)은 보안문(5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장치(30)에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무선 휴대통신기기(90)에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36)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 한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다양한 통신기기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어장치(30)의 통신제어부(36)는 인터페이스부(38)를 통하여 무선 휴대통신기기(90)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장치(30)에는 상기 내부 인터폰(20)의 입력부(24)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부터 상기 현관문(40)의 잠금장치(42)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현관문(40)의 잠금장치(42)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현관문제어부(33)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30)에는 상기 내부 인터폰(20)의 입력부(24), 보조 인터폰(84)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부터 상기 보안문(50)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안문(50)을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보안문제어부(34)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장치(30)에는 상기 내부 인터폰(20)의 입력부(24)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아바타 영상, 음성 변조의 패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39)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장치(30)에는 입력되는 음성을 변조하기 위한 프로그램,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문자(SMS)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등을 탑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이를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 전송하고,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부터 전달된 문자를 음성 신호(변조된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인터폰(1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안문(50)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단으로 나뉘어져 설치되는 문본체(51)와, 상기 문본체(51)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장치(60)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3단의 문본체(51)가 미끄럼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고정레일(64)과, 개폐용 모터(66)와, 상기 개폐용 모터(6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문본체(51)를 이동시키는 체인(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68)에는 상기 문본체(51)의 한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인(68)의 회전에 따라 문본체(51)를 이동시키는 척블럭(62)이 설치된다.
상기 척블럭(62)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본체(51)의 끝부분 모서리가 삽입되는 결합홈(63)이 형성된다.
상기 척블럭(62)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문본체(51)에 자성체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척블럭(62)에 의한 문본체(51)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척블럭(62)에 전자석을 설치하게 되면, 효과적으로 문본체(51)의 고정과 분리를 행하고, 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문본체(51)에도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서로 겹치는 부분에 전자석 및 자성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문본체(51)에는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바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장치(60)는 상기 문본체(51)를 단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문본체(51)를 1단만 여는 것도 가능하고, 1단 및 2단만 여는 것도 가능하고, 3단까지 모두 여는 것도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문본체(51)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이동판(70)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동판(70)은 이동용 모터(76)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체인(78)의 회전에 따라 전후(현관문(10)쪽 또는 거실(6)쪽)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동레일(74) 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판(70) 위에 문본체(51)를 설치하면, 필요에 따라 보안문(5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3단으로 설치되는 문본체(51) 사이의 연결은 도 15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본체(51)의 한쪽면에 안내홈(52)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52)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이동블럭(54)을 조립하고, 상기 이동블럭(54)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제1링크부재(56)를 조립하고, 서로 다른 단이 문본체(51)에 조립되는 제1링크부재(56)의 다른쪽 끝부분을 양쪽에 회전가능하게 제2링크부재(58)에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즉 2개의 문본체(51) 사이의 연결에는 각각의 문본체(51)에 조립되는 한 쌍의 이동블럭(54), 각각의 이동블럭(54)에 조립되는 한 쌍의 제1링크부재(56), 한 쌍의 제1링크부재(56)가 조립되는 하나의 제2링크부재(58)가 사용된다.
상기에서 안내홈(52)을 문본체(51)의 위쪽과 아래쪽에 2개 형성하고 연결을 행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홈(52)과 이동블럭(54)에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고 안정적인 미끄럼운동을 위하여 돌기(53)와 홈(55)을 형성한다.
또 상기 안내홈(52)과 이동블럭(54)은 각종 기계장치에서 사용되는 도브테일형상으로 형성하여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블럭(54)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56)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힌지핀(82)이 삽입되는 핀구멍(81)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체(8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56)에는 힌지핀(82), (83)이 삽입되는 핀구멍(57)이 양쪽 끝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58)에는 힌지핀(83)이 삽입되는 핀구멍(59)이 양쪽 끝부분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처음과 마지막에 위치하는 1단의 문본체(51)와 3단의 문본체(51)에는 하나의 이동블럭(54)이 조립되는 반면에, 중간에 위치하는 2단의 문본체(51)에는 1단의 문본체(51)와 연결되는 이동블럭(54) 및 3단의 문본체(51)와 연결되는 이동블럭(54) 2개가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장치(60)에 의한 3단 문본체(51)의 개폐과정을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안문(50)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하나 또는 2개의 문본체(51)에 고정블럭(62)이 결합되고, 3단의 문본체(51)는 서로를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56)와 제2링크부재(58)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전진방향(도 8에서 왼쪽) 끝면 모서리가 계단형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장치(30)로부터 보안문(50)의 폐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폐장치(60)의 개폐용 모터(66)가 작동을 시작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은 체인(68)이 회전하고, 체인(68)에 설치된 고정블럭(62)이 전진(도 8에서 왼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문본체(51)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3단의 문본체(51)는 제1링크부재(56) 및 제2링크부재(5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동시에 전진하게 된다.
상기에서 3단의 문본체(51)는 전자석 등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3단의 문본체(51)가 모두 전진하여 이동판(70)을 벗어나게 되면(도 9 참조), 개폐용 모터(66)가 역회전하고, 체인(68)이 후진하게 되고, 고정블럭(62)이 결합된 문본체(51)는 체인(68)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이때 고정블럭(62)이 결합되지 않는 마지막 단의 문본체(51)는 후진을 하지 않고 전진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첫번째 문본체(51)와 두번째 문본체(51)는 고정블럭(62) 및 전자석 등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게 된다(도 10 참조).
상기와 같이 고정블럭(62)이 후진하여 문본체(51)가 이동판(70) 위에 완전히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개폐용 모터(66)가 정지한다. 이어서, 상기 이동용 모터(76)가 작동을 시작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은 체인(68)이 회전하고, 이동판(60)이 이동하고, 고정블럭(62)과 함께 후진한 문본체(51)가 마지막 단의 문본체(51)와 동일선상(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이동용 모터(76)가 정지한다(도 11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개폐용 모터(66)가 작동을 시작하여 고정블럭(62)이 전진하게 되면, 고정블럭(62)과 함께 이동하는 문본체(51)와 마지막 단의 문본체(51)는 동일선상(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다시 이동판(60)의 끝까지 문본체(51)가 전진하면, 개폐용 모터(62)가 역회전하여 고정블럭(62)이 후진하게 되고,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문본체(51)는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블럭(62)에 고정된 나머지 1단의 문본체(51)는 후진하게 된다(도 12 참조).
상기 고정블럭(62)의 후진이 완료되면, 다시 이동용 모터(76)가 작동하여 이동판(60)이 이동하고, 3단의 문본체(51)가 동일선상(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이동용 모터(76)가 정지한다(도 13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개폐용 모터(66)가 작동을 시작하여 고정블럭(62)이 전진하게 되면, 고정블럭(62)이 결합된 문본체(51)와 나머지 단의 문본체(51)가 동일선상(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전체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보안문(50)의 완전 폐쇄가 이루어진다(도 4 및 도 14 참조).
그리고 보안문(50)의 개방은 상기한 과정의 반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블럭(62)이 처음에는 하나의 문본체(51)만 고정하여 후진시키고, 두번째에는 2개의 문본체(51)가 고정블럭(62) 및 전자석에 의하여 동시에 고정되어 후진되고, 세번째에는 3개의 문본체(51)가 동시에 고정되어 후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두번째와 세번째의 문본체(51)에 대한 고정은 고정블럭(62)의 고정홈을 2단 또는 3단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두번째와 세번째 문본체(51)에 영구자석이나 전자석 등을 설치하여 서로 겹친 상태에서는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보안문(50)의 개폐에 대한 구조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방문자가 현관문(40) 앞에 도착하면, 상기 외부 인터폰(10)의 인체감지센서(16)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장치(30)에서는 상기 외부 인터폰(14)의 촬영 카메라(14)의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내부 인터폰(20)의 디스플레이부(23)에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다.
이때 내부 인터폰(20)이 외출로 설정된 경우에는 메모리부(39)에 1순위로 저장된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 통화를 시도하고 촬영된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에서 1순위로 저장된 무선 휴대통신기기(90)와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2순위의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 통화를 시도하고, 순차적으로 차순위의 무선 휴대통신기기(90)로 통화를 시도한다.
그리고 방문자가 외부 인터폰(10)의 초인종(15)을 누르게 되면, 내부 인터 폰(20)의 스피커(21) 및 무선 휴대통신기기(90)를 통하여 호출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내부(실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내부 인터폰(20)의 디스플레이부(23)를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의심스럽지 않은 방문자(가족, 예정된 택배 직원, 우체국 직원, 이웃, 친지 등)인 경우에는 내부 인터폰(20)의 입력부(24)를 통하여 현관문(40)의 잠금장치(42)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상기에서 내부 인터폰(20)이 외출로 설정되어 무선 휴대통신기기(90)를 통하여 방문자의 영상을 전달받은 상태인 경우에는 방문자를 확인하고, 의심스럽지 않은 방문자인 경우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90)를 통하여 설정된 해제신호를 상기 제어장치(30)로 전송하고, 현관문(40)의 잠금장치(42)를 해제시키게 된다.
또 상기 방문자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사람이 있는 경우 및 무선 휴대통신기기(90)를 통하여 연락받은 경우 모두 상기 메모리부(39)에 저장된 아바타 영상이 상기 외부 인터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다.
그리고 내부에 있는 사람이 내부 인터폰(20)의 마이크(22)를 통하여 응대를 행하거나 상기 무선 휴대통신기기(90)를 통하여 응대를 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30)에서는 설정된 패턴으로 변조를 행한 변조음(기계합성어)으로 외부 인터폰(10)의 스피커(11)로 음성 출력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아바타 및 변조음(기계합성어)를 이용하여 방문자를 응대하게 되면, 방문자가 실내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를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노약자나 어린이만 실내에 있는 경우에도 이를 적절하게 은폐하여 방문자에게 혼란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방문자가 현관문(40)을 통과하여 전실(4)에 입장한 경우에는 현관문(40)이 닫히고, 전실(4)의 센서 등(82)이 점등되고, 상기 전실(4)에 설치된 CCD 카메라(80)에서는 방문자를 촬영하고, 이를 제어장치(30)를 통하여 내부 인터폰(20)의 디스플레이부(23)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90)를 전송하여 방문자의 행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전실(4)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통하여 방문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방문자의 행동에 따라 보안문(50)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전실(4)에 입장한 사람이 주인이나 가족인 경우에는 설정된 암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보안문(50)이 열리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암호의 입력은 리모콘이나 무선 휴대통신기기(90) 등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실(4) 또는 보안문(50)에 설치된 보조 인터폰(84)을 통하여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실(4)에 입장한 사람이 가족인 아니고 택배회사 또는 우체국 등의 직원인 경우에는 방문예정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상기 제어장치(30)의 메모리부(39) 저장내용을 통하여 확인한다. 이때 택배회사 또는 우체국 등의 시스템과 연결하여 미리 방문예정시간과 방문 직원의 인적사항(사원 ID와 사진 등)을 통보받아 메모리부(39)에 저장하여 놓으면, 택배회사 또는 우체국 직원이 방문한 경우 통보받은 사항과의 비교를 통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내부 인터폰(20)의 디스플레이부(23)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9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택배회사 또는 우체국 시스템으로부터 받은 직원의 사진과 CCD 카메라(80) 또는 외 부 인터폰(10)의 촬영 카메라(14)에서 촬영한 사진이 함께 표시하여 비교하여 판단하도록 안내하고, 방문 직원의 ID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나타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실(4)에 입장한 사람이 메모리부(39)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택배회사 또는 우체국 등의 직원인 경우에는 필요한 질문을 행하면서 행동을 관찰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에서 택배회사 또는 우체국 등의 직원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물건을 받기 위한 선반을 인출하고, 택배회사 또는 우체국 등의 직원이 선반에 물건을 놓고 현관문(40)을 나간 것을 확인한 다음, 보안문(50)을 열고 물건을 거실(6)쪽으로 들여놓는다.
상기 선반은 물건이 큰 경우에는 아래 선반이 인출되고, 작은 경우에는 위 선반이 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택배회사 직원에게 수수료를 주거나 수령확인을 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보안문(50)에 작은 문을 추가로 설치하여 돈을 건네거나 수령확인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안상 안전하다.
상기 전실(4)에 입장한 사람이 일반적인 방문객인 경우에는 CCD 카메라(8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의심스럽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 인터폰(20)의 입력부(24) 및 무선 휴대통신기기(90)를 통하여 보안문(50)의 개폐장치(60)를 작동시켜 보안문(50)을 연다.
만약 전실(4)에 입장한 사람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보안문(50)을 개방시키 지 않은 상태에서 경찰에 신고하거나 보안업체 등에 연락하는 등의 행동을 취한다.
나아가 전실(4)의 보안문(50) 앞쪽에 파이프형 셔터를 설치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셔터가 닫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최루탄 발사기를 설치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최루탄이 발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물망이 발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에 의하면, 현관문과 거실 사이에 원격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는 보안문을 설치하여 현관문이 개방된 경우에도 외부 침입자가 곧바로 거실로 접근하지 못하므로 경찰에 신고하거나 대응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인터폰의 디스플레이에 아바타를 보여주면서 대응하도록 구성하므로 방문자에게 새로운 느낌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에 의하면, 외부 인터폰에 아바타를 보여주며 변조음으로 대응하도록 구성하므로 방문자에게 내부 사정에 대한 정보(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또는 현재 응대하는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 를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에 의하면, 택배회사나 우체국의 시스템과 연결하여 예정된 방문시간과 방문자에 대한 사전 정보를 기반으로 방문객의 정확한 신원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폰이나 PDA 등의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면서 원격으로 현관문과 보안문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갑작스럽게 부모님이나 친지 등이 방문한 경우에도 안전하게 출입을 허락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복도와 접하는 벽면에 설치되고 수동 또는 원격으로 제어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현관문과,
    상기 현관문과 거실 사이에 설치되고 원격 또는 수동으로 개폐가 제어되는 보안문과,
    상기 현관문의 옆쪽 벽면에 설치되고 촬영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가 설치되는 외부 인터폰과,
    거실의 벽면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부와 마이크, 스피커가 설치되는 내부 인터폰과,
    상기 외부 인터폰 및 내부 인터폰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현관문의 잠금장치 및 보안문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원격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무선 휴대통신기기에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제어부가 설치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폰에는 방문객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방문객이 호출할 수 있도록 초인종과, 상기 제어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내부 인터폰의 마이크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와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한 음성신호를 변조한 다음 상기 외부 인터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인터폰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이를 무선 휴대통신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터폰에는 상기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버튼, 상기 보안문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보안개폐버튼, 상기 제어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가 설치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 내부 인터폰의 입력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상기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현관문의 잠금장치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현관문제어부와, 상기 내부 인터폰의 입력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상기 보안문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안문을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보안문제어부 와, 상기 내부 인터폰의 입력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아바타 영상, 음성 변조의 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안문은 3단으로 나뉘어져 설치되는 문본체와, 상기 문본체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3단의 문본체가 미끄럼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고정레일과, 상기 내부 인터폰의 입력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개폐용 모터와, 상기 개폐용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문본체를 이동시키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설치되고 상기 문본체의 끝면 모서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 고정하는 척블럭을 포함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문본체는 모두 닫힌 상태에서는 이동판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은 이동용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체인의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이동레일 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문본체의 한쪽면에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에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링크부재와, 서로 다른 단의 문본체에 조립되는 제1링크부재의 다른 쪽 끝부분이 양쪽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방문자가 현관문 앞에 도착하면 상기 외부 인터폰의 인체감지센서에서 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외부 인터폰의 촬영 카메라에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내부 인터폰의 디스플레이에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고, 상기 내부 인터폰이 외출로 설정된 경우에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무선 휴대통신기기로 통화를 시도하고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고,
    방문자가 외부 인터폰의 초인종을 누르면, 내부 인터폰의 스피커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호출이 이루어지고,
    내부 인터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고, 의심스럽지 않은 방문자인 경우에는 내부 인터폰의 입력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해제시키고,
    상기 방문자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사람이 있는 경우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연락받은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아바타 영상이 상기 외부 인터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내부에 있는 사람이 내부 인터폰의 마이크를 통하여 응대를 행하거나 상기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응대를 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에서는 설정된 패턴으로 변조를 행한 변조음으로 외부 인터폰의 스피커로 음성 출력을 행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방문자가 현관문을 통과하여 전실에 입장한 경우에는 현관문이 닫히고, 전실의 센서 등이 점등되고,
    상기 전실에 설치된 CCD 카메라가 방문자를 촬영하고, 이를 내부 인터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확인한 다음 가족이나 친지인 경우 보안문이 열리도록 내부 인터폰의 입력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실에 입장한 사람이 택배회사 직원인 경우에는 방문예정 택배인가를 택배회사의 시스템과 연결하여 전송받은 방문예정시간과 방문 직원의 인적사항과 비교하여 확인하고, 물건을 받기 위한 선반을 인출하고, 택배회사 직원이 선반에 물건을 놓고 현관문을 나간 것을 확인한 다음, 보안문을 열고 물건을 거실쪽으로 들여놓고,
    상기 택배회사 직원에게 수수료를 주거나 수령확인을 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보안문에 설치한 작은 문을 통하여 돈을 건네거나 수령확인을 행하고,
    상기 전실에 입장한 사람이 일반적인 방문객인 경우에는 CCD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의심스럽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 인터폰의 입력부 또는 무선 휴대통신기기를 통하여 보안문의 개폐장치를 작동시켜 보안문을 열고,
    상기 전실에 입장한 사람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보안문을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경찰에 신고하거나 보안을 위한 행동을 취하는 과정으로 제어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안문 앞쪽의 전실에는 파이프형 셔터나 최루탄 발사기, 그물망 발사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설치하는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KR1020060038966A 2006-04-28 2006-04-28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KR100797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966A KR100797517B1 (ko) 2006-04-28 2006-04-28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966A KR100797517B1 (ko) 2006-04-28 2006-04-28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282A true KR20070106282A (ko) 2007-11-01
KR100797517B1 KR100797517B1 (ko) 2008-01-24

Family

ID=3906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966A KR100797517B1 (ko) 2006-04-28 2006-04-28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5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07B1 (ko) * 2011-09-24 2013-02-27 우상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60109124A (ko) 2015-03-10 2016-09-21 (주) 코콤 호출 시스템
KR101686857B1 (ko) * 2015-10-16 2016-12-16 (주) 비전에프에이 인터폰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KR20200023944A (ko) * 2018-08-27 2020-03-06 김원호 출입자 감시기능을 갖는 중문 시스템
KR20200097914A (ko) *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애드리온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21014729A (ja) * 2019-07-12 2021-02-12 アスクル株式会社 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システム、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方法、および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7243B2 (ja) * 1994-02-28 1998-09-17 株式会社アーキテクツアンドアソシエイツ 住宅における居室玄関構造
KR200192740Y1 (ko) 2000-02-24 2000-08-16 손재설 원격 출입 보안 시스템
KR20010069373A (ko) * 2001-03-15 2001-07-25 정균천 가변 프레임의 이중 보안 자동문
KR200251259Y1 (ko) 2001-07-28 2001-11-22 주병력 방충 및 방범용 보조도어 조립체
KR200294880Y1 (ko) 2002-07-04 2002-11-13 이경수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07B1 (ko) * 2011-09-24 2013-02-27 우상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60109124A (ko) 2015-03-10 2016-09-21 (주) 코콤 호출 시스템
KR101686857B1 (ko) * 2015-10-16 2016-12-16 (주) 비전에프에이 인터폰을 이용한 홈 보안 시스템
KR20200023944A (ko) * 2018-08-27 2020-03-06 김원호 출입자 감시기능을 갖는 중문 시스템
KR20200097914A (ko) * 2019-02-11 2020-08-20 주식회사 애드리온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21014729A (ja) * 2019-07-12 2021-02-12 アスクル株式会社 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システム、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方法、およびオートロック式ドア解錠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517B1 (ko)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517B1 (ko)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634734B1 (ko)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612745B1 (ko) 현관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9535544A (ja) 多機能デジタルドア
KR20150052974A (ko)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8158A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I522970B (zh) 電子標籤保全裝置
KR20190141068A (ko) 얼굴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도어벨 시스템.
KR20040093937A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및 제어방법
KR20060117603A (ko) 무선망을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KR101446416B1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0426825Y1 (ko) 다기능 디지털 도어
JP6216542B2 (ja) 出入り口の開閉制御システム
KR20100092642A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1685481B1 (ko) 현관감시방법
KR101279106B1 (ko) 도어폰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13532243A (ja) 自動で呼び鈴が鳴る電子式ドアロック
KR200322375Y1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DK3220617T3 (en) DOOR COMMUNICATION SYSTEM, OUTDOOR APPLIANCE FOR A DOOR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DURE FOR OPERATING A DOOR COMMUNICATION SYSTEM
US11708716B2 (en) Security door
TWM504309U (zh) 電子標籤保全裝置
CN113645446A (zh) 一种基于物联网楼宇智能门禁自动控制系统
KR100816462B1 (ko) 도어폰 시스템
KR200486027Y1 (ko) 안내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 개폐도어
KR101232317B1 (ko) 방문자 위치 확인이 용이한 초인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