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14A -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14A
KR20200097914A KR1020190015319A KR20190015319A KR20200097914A KR 20200097914 A KR20200097914 A KR 20200097914A KR 1020190015319 A KR1020190015319 A KR 1020190015319A KR 20190015319 A KR20190015319 A KR 20190015319A KR 20200097914 A KR20200097914 A KR 20200097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onitoring
door
access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825B1 (ko
Inventor
김영수
김동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리온
Priority to KR102019001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8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출입 공간에 관한 출입자의 진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고, 모니터링 공간 내의 사전 지정된 경계를 벗어나는 상기 출입자에 의한 경계 이탈이 발생하는지를 감시하는 공간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출입자가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출입 불허자 또는 제한적 출입 허용자로 판별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 동작 및 상기 경계 이탈의 감시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ENTRANCE AREA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출입 보안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입 공간에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시하여 출입 공간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입 공간에서의 보안 및 안전에 관한 이슈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출입 보안 및 안전 관련 기술은 물론,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은 선행특허기술의 경우에도 출입문 밖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출입 보안 및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의 기술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반면 출입 보안 및 안전의 문제는 단순히 출입문 밖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상황이든 출입문을 통과하여 그 내부로 진입한 출입자에 의해서도 문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자는 물론, 일시적 혹은 제한적으로 출입이 허용된 자가 본래의 출입 목적/의도를 벗어나는 행위 또는 불법적인 행위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입문을 통해 그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출입자가 출입 목적 등과 배치되는 비정상적인 행위를 하는 것에 대하여 이를 방지하거나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특허등록 제10-1490583호 (2015년 1월 30일 등록)
본 발명은 출입 공간에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시하여 출입 공간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출입 공간에 관한 출입자의 진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고, 모니터링 공간 내의 사전 지정된 경계를 벗어나는 상기 출입자에 의한 경계 이탈이 발생하는지를 감시하는 공간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출입 공간에 진입하는 출입자를 감시하여 출입 공간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하는 일 구성부인 관리부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공간 모니터링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하는 일 구성부인 관리부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공간 모니터링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출입 공간에 출입자가 진입하였을 때 그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고(도 4의 S100), 해당 모니터링 공간 내에서 미리 지정된 경계를 벗어나는 출입자에 의한 경계 이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하며(도 4의 S200), 그 감시 결과에 따라 출입자에 의한 해당 경계의 이탈 또는 이탈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사전 지정된 경보 동작 또는 알람 동작을 실행한다(도 4의 S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이러한 모니터링 동작, 경계 이탈의 발생 여부의 감시, 경보 또는 알람 동작의 실행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 모니터링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공간이란 물리적 출입문이 존재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그 전방(즉, 출입문 밖)의 소정 공간 범위 및 그 후방(즉, 출입문 안)의 소정 공간 범위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서는 주택의 현관문(D1)을 기준으로 그 현관 밖의 소정 공간 범위의 실외 현관 공간과 그 현관 안의 소정 공간 범위의 실내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 대상인 출입 공간으로 설정하고, 실내 현관 공간과 내부 주거 공간 간을 구분시키는 경계 지점(본 예에서는 중문(D2) 설치 위치)을 기준으로 경계 이탈 여부를 감시하는 케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주택의 현관문을 기준으로 한 안팎의 공간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사무실 출입문, 집합건물 등의 건물 출입문 혹은 출입구, 행사장 진입로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상황에 맞춰 출입자에 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소정 공간 범위를 설정하여 그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면 된다. 아울러 경계 이탈 여부의 판단 기준인 그 경계 지점 또한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주로 도 1의 케이스에서와 같이 주택의 현관문 안팎에서 발생하는 출입 상황들에 초점을 맞춰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및 경계 이탈 여부의 감시)은 출입 불허자 또는 제한적(혹은 일시적) 출입 허용자에 대해서만 실행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출입이 본래 허용된 자 혹은 허용되어야 하는 자라거나 정상적인 출입 인증을 통해 출입한 자에 관해서는 별도의 모니터링을 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즉, 출입이 허용되는 경우 또는 출입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라도 비허가 구역 또는 비밀 구역(사적 구역을 포함함)에까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감시가 필요한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회사 직원으로서 출입 인증된 자라도 보안 구역에까지 접근하는 것은 방지하기 위한 감시가 필요한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출입 공간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자인 출입자로서 제한적 출입 허용자 케이스를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니터링이 필요한 대상자 중 출입 불허자에 관한 감시 필요성은 익히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인 바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한적 출입 허용자란 특정 목적 또는 이유에 의해 일시적으로 출입이 허용된 자를 의미한다. 여기서 특정 목적 또는 이유는 매우 다양할 수 있고 각각의 목적 또는 이유에 따라 제한적 허용이 필요한 자 또한 다양할 수 있지만, 그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택배 배달원 등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 내에 거주하는 사람이 없어 택배 등의 물품을 직접 수령할 수 없는 상황에서, 택배를 댁 내로 배달해야 하는 케이스가 바로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 물론 댁 내 거주자가 없는 경우라면 대게 택배 물품을 현관 앞에 놓고 가거나, 그렇지 않으면 집합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소에 맡겨 두거나 혹은 무인 물품 관리함에 넣고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거나 물품 배달을 인지하지 못하여 상당 시간 방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택배 배달원과 같은 사람을 제한적 출입 허용자로 설정함으로써 배달원이 댁 내의 실내 현관 공간까지는 일시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허가하되,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을 통해서 댁 내의 주거 공간까지는 진입(즉, 침입)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택배 배달원 케이스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에는 Io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 혹은 인터넷과 연동되어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락, 월 패드 등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도어(door) 자체에 통신 기능은 물론 디지털 사이니지와 같은 입출력(즉, 터치 스크린, 카메라 등) 기능을 구비하도록 제작되는 스마트 도어 기술의 출현 및 출시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에서도 출입문 개폐를 위한 명령을 스마트 도어락, 월 패드, 스마트 도어 등과 같은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50)로서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기기에 전달할 수 있고, 이에 의하면 택배 배달 목적의 방문임을 확인한 사용자는 원격에서도 자신의 집의 현관문을 그 택배 배달원에게만 일시적으로 열어줄 수 있다.
이때, 택배 배달 목적의 방문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식들이 이용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집 앞에 도착한 택배 배달원에 의한 연락(문자 또는 전화)를 통해서 해당 목적의 방문임을 확인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고, 더 나아가 출입문 자체가 스마트 도어 기기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경우 택배 물품의 코드 입력(혹은 스캔) 또는 택배 물품의 사진 촬영 등을 통해서 택배 배달원에 의한 방문임이 스마트 도어 기기 자체에서 확인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후자에서와 같이 스마트 도어 기기 자체에서 확인되는 방식에 의한다면, 스마트 도어 기기 자체에서 출입문을 개방해주되 개방 시점에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이 실행되도록 자체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전자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원격에서 출입문을 개방시켜주는 경우라면,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설치된 출입 관리 앱(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방법과 관련된 실행 앱, 도 2 참조)을 통해서 출입 공간 모니터링이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혹은 출입문 개방 명령과 함께, 출입자를 제한적 출입 허용자로 지정하는 명령 등)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댁 내 거주자가 없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댁 내 거주자가 있고 택배 배달원에게 출입문을 열어준 케이스에서도 본 발명의 출입 공간 모니터링이 실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댁 내에 아이들만 있거나 혹은 댁 내에 여성만 거주하는 경우 등과 같이 택배 배달원과의 직접 대면에 안전 상의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에도 비대면 상태에서 문은 열어주되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이 실행되도록 할 필요성은 여전히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출입 공간으로의 제한적 출입은 허용하되 그 출입자가 특정 경계 이상으로 진입(침입)하는 것을 막는 일종의 가상의 지리적 펜스(geographical fence) 개념이 도입된 것으로 보면 된다.
상술한 개념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에 관하여 이하 도 1 ~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공간 모니터링 장치(10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50)에 의해 출입문(D1)이 개방됨에 따라, 실내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제1 모니터링 센서(110); 출입문(D2) 밖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외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제2 모니터링 센서(115); 제1 모니터링 센서(110)를 통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경계(도 1의 중문(D2) 위치의 Boundary 참조)의 이탈이 발생되거나 또는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경계 이탈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사전 지정된 경보 동작 또는 알람 동작을 실행하는 관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의할 때, 제1 모니터링 센서(110)와 제2 모니터링 센서(115)는 각각 출입문(D1)의 내측 패널(indoor panel)과 외측 패널(outdoor panel)의 각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가 예시되고 있지만, 그 설치 위치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각각의 센서는 반드시 출입문 자체에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천정(12) 또는 바닥(11)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된 장비로서 존재할 수도 있고, 특히 제1 모니터링 센서(110)의 경우에는 중문(D2) 또는 이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면에 의할 때, 제1 모니터링 센서(110)와 제2 모니터링 센서(115)가 각각 1개씩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실내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가 각각 별개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실외 현관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의 경우에도 복수의 센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의 종류도 모두 동종의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이종의 센서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각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결과가 관리부(120)로 전송될 수 있도록 각 센서와 관리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필요는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출입문 안쪽으로 진입하는 출입자의 움직임이 주요 모니터링 대상인 바, 제2 모니터링 센서(115)는 이에 관한 보조적 역할(즉, 외부에서 출입문 내부로의 진입 판별)만을 수행하거나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주요 목적(즉, 출입문 내부로 진입한 출입자가 사전 설정된 경계 지점 이상으로 진입하려는 경우의 판별) 이외에 출입문 밖의 상황의 모니터링도 추가적으로 실행하도록 시스템 설계된 경우라면 제2 모니터링 센서(115) 또한 그에 따른 주 역할을 수행할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모니터링 센서로는 출입 공간에서의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플러 효과에 의해 사람의 움직임(즉, 사람의 이동,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의 호흡, 심박 등)을 센싱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촬영을 통한 사람의 움직임 감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출입자가 모바일 기기를 소지한 경우라면, 무선 수신 장치 자체가 모니터링 센서로서 역할하여, 무선 신호의 감도(예를 들어, 비콘 신호의 세기 등) 변화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모니터링 및 경계 이탈의 판별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때, 모니터링 범위는 각 센서에 의한 커버 범위(도 1의 R1, R2 참조)로 결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각 센서에 의한 커버 범위를 조합하게 되면 경계 이탈 또는 그 이탈의 징후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모니터링 센서(110)에 의한 커버 범위가 실내 현관 공간을 모두 커버하도록 설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예로 실내 현관 공간을 커버하는 센서를 2개 구비하여 하나는 출입문(D1)으로부터 중문(D1) 방향을 향해서 실내 현관 공간의 70% 정도를 커버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중문(D2)으로부터 출입문(D1) 방향을 향해서 실내 현관 공간의 나머지 30%를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그 다른 하나의 센서에 의해 출입자가 진입한 것으로 센싱되는 경우를 경계 이탈의 징후가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등의 방식들이 이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간 모니터링 장치(100)의 관리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21),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123), 운영 제어부(125), 메모리(127), 경보/알람부(129)를 포함함으로써, 제1 모니터링 센서(110)를 통한 센싱 결과에 기초할 때, 상기 출입자가 사전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실내 현관 공간 내에 머무르는 등과 같이 경계 이탈의 징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전 지정된 경보 동작 또는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경계 이탈이 실제 발생되지 않더라도 다양한 기준에 따른 경계 이탈의 징후가 포착되는 경우에도 경보 동작 또는 알림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경보 동작이란, 출입자에게 그 출입자의 행동이 비정상적인 행동임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시각(예를 들어, 조명을 통한 적색광 점멸 등에 의한 경보 또는 디스플레이의 경고 문구 표출 등), 청각(예를 들어, 경보 사운드 출력 등)적 경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알림 동작이란, 거주자의 스마트 폰, 관리사무소, 경찰서 등에 알림 메시지 전송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모니터링 센서로서 카메라가 설치된 경우라면, 관리부(120)는, 상기 경계 이탈이 발생된 경우,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경계 이탈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사전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실내 현관 공간에 머무르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그 카메라 모듈을 통한 촬영 개시를 지시하고, 그 때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또는 촬영된 영상을 거주자의 스마트폰, 경찰서 등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시스템 설계에 따라서는 출입자에 대한 출입문 개방이 이루어졌을 때부터 카메라 모듈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도록 하고, 현재 촬영 상황 또는 보안 구동 상황을 해당 출입자에게 알림으로써 해당 출입 공간 내에서의 출입자에 의한 비정상적인 행위가 사전에 예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부(120)는, 상기 출입자의 퇴거가 감지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통한 실내 현관 공간의 촬영을 실행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연관된 사용자(예를 들어, 거주자 또는 택배 수신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택배 배달원에 의한 택배 물품의 배달이 완료되었을 때, 실제 그 택배 물품이 실내 현관 공간에 잘 놓여져 있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혹시 모를 배달 사고 등을 예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현관 공간과 주거 공간 사이에 중문(D2)이 설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부터의 중문 개폐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중문(D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중문 개폐 장치(55)가 설치된 경우, 공간 모니터링 장치(100)의 관리부(120)는, 앞서 설명한 각종 상황들(즉,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문 개방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경계 이탈이 발생된 경우,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경계 이탈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사전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실내 현관 공간에 머무르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중문 폐쇄 신호를 생성하여 중문 개폐 장치(55)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하면, 실내 현관 공간으로 출입자가 진입함과 동시에 중문을 폐쇄시킴으로써 보다 확실한 보안 동작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출입 공간에 관한 출입자의 진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출입 공간에 관한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고, 모니터링 공간 내의 사전 지정된 경계를 벗어나는 상기 출입자에 의한 경계 이탈이 발생하는지를 감시하는 공간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출입자가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출입 불허자 또는 제한적 출입 허용자로 판별된 경우에만, 상기 경계 이탈의 감시를 실행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에 의해 출입문이 개방됨에 따라, 실내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제1 모니터링 센서; 및
    상기 제1 모니터링 센서를 통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경계 이탈이 발생되거나 또는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경계 이탈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사전 지정된 경보 동작 또는 알람 동작을 실행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모니터링 센서를 통한 센싱 결과에 기초할 때, 상기 출입자가 사전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실내 현관 공간 내에 머무르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전 지정된 경보 동작 또는 알림 동작을 실행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모니터링 장치는,
    실내 현관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문 개방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경계 이탈이 발생된 경우,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경계 이탈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사전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실내 현관 공간에 머무르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한 촬영 개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모니터링 장치는,
    실내 현관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출입자의 퇴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한 실내 현관 공간의 촬영을 지시하고, 촬영된 영상을 연관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모니터링 장치는,
    출입문 밖의 사전 지정된 공간 범위의 실외 현관 공간의 모니터링 동작을 실행하는 제2 모니터링 센서를 포함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실내 현관 공간과 주거 공간 사이에 중문이 설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부터의 중문 개폐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상기 중문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중문 개폐 장치가 설치된 경우,
    상기 공간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출입자에 대한 출입문 개방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경계 이탈이 발생된 경우, 사전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경계 이탈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사전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실내 현관 공간에 머무르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중문 폐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문 개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015319A 2019-02-11 2019-02-11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21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19A KR102221825B1 (ko) 2019-02-11 2019-02-11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19A KR102221825B1 (ko) 2019-02-11 2019-02-11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14A true KR20200097914A (ko) 2020-08-20
KR102221825B1 KR102221825B1 (ko) 2021-03-02

Family

ID=7229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319A KR102221825B1 (ko) 2019-02-11 2019-02-11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8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282A (ko) * 2006-04-28 2007-11-01 주식회사 휴턴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490583B1 (ko) 2013-03-06 2015-02-05 주식회사 스마트시스템즈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150083614A (ko) * 2014-01-10 2015-07-20 고광혁 방문자 감시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방문자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282A (ko) * 2006-04-28 2007-11-01 주식회사 휴턴 지능형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490583B1 (ko) 2013-03-06 2015-02-05 주식회사 스마트시스템즈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150083614A (ko) * 2014-01-10 2015-07-20 고광혁 방문자 감시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방문자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825B1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339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1612745B1 (ko) 현관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81054B1 (ko) IoT 기반의 도어락 보안 시스템
KR101676104B1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KR102467814B1 (ko)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JP4866801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345479B1 (ko) 건물 출입 관리시스템
JP2007007841A (ja) 入退出監視システム
WO2015145485A1 (ja) 警備装置、警備システムおよび警備モード設定方法
EP2966862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JP4959309B2 (ja) 警備システム
KR102221825B1 (ko) 출입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4048519A (ja) 防犯装置
KR20100092642A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080076201A (ko) 전방향 감지카메라에 의한 이동식 보안 시스템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JP5411776B2 (ja) 出入管理システム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91211B1 (ko)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문에서의 도어 관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KR101704466B1 (ko) 블랙박스 일체형 디지털도어록을 이용한 방범 관제시스템
KR20110071335A (ko) 촬상장치를 이용한 영상보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4569U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JP5210828B2 (ja) 建物の防犯システム
JP2006077470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