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120B1 -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120B1
KR101715120B1 KR1020130091223A KR20130091223A KR101715120B1 KR 101715120 B1 KR101715120 B1 KR 101715120B1 KR 1020130091223 A KR1020130091223 A KR 1020130091223A KR 20130091223 A KR20130091223 A KR 20130091223A KR 101715120 B1 KR101715120 B1 KR 10171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ptomyces
strain
culture
medium
herbicidal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310A (ko
Inventor
최정섭
김영숙
이보영
김재덕
고영관
연규환
김창진
박동진
주윤정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120B1/ko
Priority to JP2015527367A priority patent/JP6273279B2/ja
Priority to PCT/KR2013/007279 priority patent/WO2014027821A1/ko
Publication of KR2015001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310A/ko
Priority to US14/621,765 priority patent/US949194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6Undefined extracts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5Streptomy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86Streptomy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 대량배양용 배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탄소원과 질소원을 최적조건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배양용 배지 조성물은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이 우수하고, 생산단가 절감 효과가 있으므로, 잡초 방제제 생산을 위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 대량배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Composition for mass culture of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본 발명은 살초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 및 상기 균주가 생산하는 살초활성 물질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물, 상기 배지를 이용한 대량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합성 제초제는 저렴한 비용과 높은 살초활성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왔으나 연용에 의한 저항성 잡초의 출현 및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저독성으로의 생분해가 가능하고 선택성을 갖는 환경 친화적인 제초제 개발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방선균을 포함한 미생물이 생산하는 살초활성 물질의 경우 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인 특징을 지녀 연구재료로써 뿐만 아니라 산업적 응용분야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을 포함하는 방선균은 균사 형태로 생장하는 그램 양성 토양미생물로서, 제초제 등의 항생물질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학문적으로나 산업적 응용 측면에서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금까지 방선균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활용한 제초활성 물질의 예로는 Streptomyces saganonensis가 생산하는 herbicidin과 herbimycin, S. actinomycetes가 생산하는 anismycin, 그리고 S. viridochromogenes가 생산하는 bialaphos, S. albus subsp. subsp. chlorinus NRRL B-24108가 생산하는 albucidin, S. viridichromogenesS. hygroscopicus에서 분리된 glufosinate-ammonium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 bialophos와 ansamitocins 등은 제품화 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사례에도 불구하고 살초활성이 우수하고 저독성의 안전한 잡초방제용 천연물 제초제로의 개발은 극히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살초활성이 우수하며 저독성의 환경 친화적 천연물 농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규 미생물의 탐색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으며, 천연물 제초제 소재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해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균주의 생육 증식 및 활성물질의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배지 선정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미생물 배양에 있어서 탄소원으로는 포도당, 설탕, 엿당 등을 포함한 당류 및 당 추출물, 각종 전분 등이 이용되며, 질소원으로는 소고기 추출물(beef extract),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콩가루(soybean meal), 펩톤(peptone) 등의 유기 질소원과 암모니아수, 암모늄 설페이트((NH4)2SO4), 우레아(urea), nitrate salts 등의 무기 질소원이 사용된다. 또한 균 생육 및 2차 대사산물의 생산을 돕기 위해 미네랄 및 비타민과 같은 미량원소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들은 미생물 배양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들로써 이들의 조합 및 조성비에 따라 균 생육 및 2차 대사산물의 종류와 생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살초활성물질을 생산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균주를 분리 동정하고, 상기 균주의 생육과 균이 생산하는 살초활성 물질의 수율 증대를 위한 최적배지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균주가 생산하는 활성물질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탄소원과 질소원을 선발하여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 생산 단가를 절감함으로써 상기 균주를 이용한 천연물 유래 잡초 방제제 소재의 대량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공개번호: 10-2011-0091964
본 발명의 목적은 감자 전분(potato starch) 및 콩 분말(soybean powder)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 및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대량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자 전분(potato starch) 및 콩 분말(soybean powder)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감자 전분 및 콩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배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배지 조성물에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1 내지 3%(w/v)를 접종한 후, 5 내지 7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대량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소원과 질소원을 최적조건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 대량배양용 배지 조성물은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이 우수하고, 생산단가 절감 효과가 있으므로, 잡초 방제제 생산을 위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 대량배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균주의 16s rRNA 서열 분석에 기초한 계통도(Phylogenetic tree)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탄소원 종류에 따른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배양 여액의 살초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질소원 종류에 따른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배양 여액의 살초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탄소원과 질소원 조합에 따른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배양 여액의 살초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가 생산하는 살초활성 물질 A(위) 및 B(아래)의 정량 표준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최적 배양 배지의 살초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용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량생산”은 당업계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를 배양하는데 이용하는 산업용 배지(예컨대, 베넷(bennet) 배지)에 배양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체수보다 현저하게 성장, 증식, 증가 또는 향상된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2 배 이상 성장, 증식 또는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배지 조성물”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배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배양용 조성물 또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배지에 첨가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감자 전분(potato starch) 및 콩 분말(soybean powder)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감자 전분은 1 내지 3%(w/v), 콩 분말은 0.5 내지 2%(w/v)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자 전분 3%(w/v) 및 콩 분말 2%(w/v)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는 수탁번호 KCTC 12156BP로 기탁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글루코스(glucos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감자 전분 1%(w/v), 글루코스 1%(w/v) 및 콩 분말 1%(w/v)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충청북도 청원군 대청호 주변 산림토양으로부터 균주를 방선균 분리배지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동정한 후,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RB72T와 99.7% 정도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균주를 확인하고,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로 명명하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 12156BP호로서 기탁하였다(표 1 및 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배양배지로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 물질 생산에 적합한 탄소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소이 펩톤(soy peptone)를 포함한 최소 영양배지에 탄소원인 글루코스(glucose), 수크로스(sucrose), 가용성 녹말(solube starch), 감자 전분(potato starch), 옥수수 전분(corn starch), 말토오스(maltose) 및 당밀(molasses)를 첨가하고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전배양 한 배양액을 접종한 배양 여액 및 기존 배넷 배지에 상기 균주를 전배양 한 배양액을 접종한 대조군 배양 여액의 최종 pH, 미생물 생육 정도 및 살초활성을 측정한 결과,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및 말토오스를 첨가한 배지 배양액의 균 생육이 대조군 배양액에 비해 매우 양호하고 70% 정도의 살초활성을 보이며, 배양 여액의 pH가 5 내지 7 부근에서 활성 물질의 생성량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표 2, 표 3 및 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배양배지로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 물질 생산에 적합한 질소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글리세롤을 포함한 기본 배지에 유기태 질소원인 탈지유(skim milk), 트립톤(tryptone), 육 추출물(beef extract), 펩톤(peptone), 옥수수 황산 침지액(corn steep liquor, CSL), 콩 분말(soybean powder), 카제인 펩톤(casein peptone),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소이 펩톤을 첨가하고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전배양 한 배양액을 접종한 배양 여액 및 대조군 배양 여액의 최종 pH, 미생물 생육 정도 및 살초활성을 측정한 결과, 효모 추출물 및 육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 배양액의 균 생육이 대조군 배양액에 비해 매우 양호하고 40 내지 50%의 살초활성이 보이며, 최종 pH 가 6 내지 7 범위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콩 분말을 첨가한 배지 배양액의 균 생육은 보통 수준이지만 살초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배양배지로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 물질 생산에 적합한 비율의 탄소원 및 질소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탄소원인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또는 말토오스, 및 질소원인 육 추출물, 콩 분말, 또는 효모 추출물을 첨가하고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전배양 한 배양액을 접종한 배양 여액 및 대조군 배양 여액의 최종 pH, 미생물 생육 정도 및 살초활성을 측정한 결과,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배양을 위한 탄소원으로 감자 전분, 질소원으로 콩 분말을 사용한 경우 균 생육이 매우 양호하고 90%의 살초활성을 보이며, 최종 pH가 5 내지 7 범위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및 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배양배지로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 물질 생산에 적합한 탄소원 및 질소원 최적 배지 조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1 내지 3%(w/v) 감자 전분 및 0.5 내지 2%(w/v) 콩 분말을 첨가하고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전배양 한 배양액을 접종한 배양 여액과 1%(w/v) 감자 전분, 1%(w/v) 글루코스 및 1%(w/v) 콩 분말을 첨가하고 상기 균주를 전배양 한 배양액을 접종한 배양 여액 및 대조군 배양 여액의 살초활성 물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산단가 및 살초활성 물질 생산량을 비교하였을 때 감자 전분 3%(w/v) 및 콩 분말 2%(w/v)를 첨가한 배양 배지가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배양 배지로 감자 전분 3%(w/v) 및 콩 분말 2%(w/v)를 포함한 배지가 최적 배양 배지임을 확인하였다(표 7, 표 8 및 도 5)
또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최적 배양 배지의 살초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최적 배지를 이용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를 배양한 배양액을 바랭이에 분무 경엽처리한 결과, 상기 최적 배지로 배양한 배양액이 강력한 살초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따라서, 본 발명의 탄소원과 질소원을 최적조건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대량배양용 배지 조성물은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이 우수하고, 생산단가 절감 효과가 있으므로, 잡초 방제제 생산을 위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대량배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자 전분 및 콩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의 대량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1) 감자 전분 및 콩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배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배지 조성물에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1 내지 3%(w/v)를 접종한 후, 5 내지 7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대량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의 배지 조성물은 글루코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배지 조성물은 감자 전분 1 내지 3%(v/v) 및 콩 분말 0.5 내지 2%(v/v)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배지 조성물에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를 접종한 후, 25 내지 30℃에서 150 내지 300 rpm으로 5 내지 7일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7℃에서 170 rpm으로 5일간 배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는 수탁번호 KCTC 12156BP로 기탁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자 전분 및 콩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배지 조성물을 이용해 생산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배양액은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이 우수하고, 생산단가 절감 효과가 있으므로, 잡초 방제제 생산을 위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균주 대량배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충청북도 청원군 대청호 주변 산림토양으로부터 분리하여 HV 한천(Humic acid-Vitamin) 배지를 사용하였고, 세균 및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정한 농도의 사이클로헥사마이드(cyclohexamide) 또는 날리딕스산(nalidixic acid)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토양시료 각 1 g을 멸균한 생리식염수 10 ㎖에 첨가하고 볼텍스(vortex)로 충분히 혼합한 후, 각 시료를 분리용 배지에 100 ㎕씩 도말하고 28℃에서 일정기간 동안 배양하며 관찰하였다. 배양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배양상태를 관찰하며 배양된 콜로니를 새로운 배지에 접종하여 단일 콜로니를 순수 분리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선별하였으며, 방선균 분리배지 및 배양조건은 하기와 같다(표 1).
순수분리한 각 균주는 한천(agar) 배지상에서 배양한 후 균체를 모아 20% 멸균 글리세롤에 현탁하여 -70℃ 초저온 냉장고에서 보존하였다. 또한, 장기보존을 위해 동결건조 보존을 실시하였는데, 분리된 각 균주를 고체 배지에서 배양한 후 멸균한 10% 탈지유(skim milk)에 현탁하고 동결건조하여 4℃ 이하에 보존하였다.
방선균 분리배지 및 배양조건
미생물 분리배지 및 조성 pH 배양온도 배양기간



방선균
HV 한천 (g/ℓ)
·부식산(Humic acid) 1
·Na2HPO4 0.5
·KCl 1.71
·MgSO47H2O 0.05
·FeSO47H2O 0.01
·CaCO3 0.02
·한천 18



pH 7.2



28℃



7-30 일
< 실시예 2> 균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얻기 위하여 콜로니(colony) PCR을 수행하였다. 단일 콜로니로부터 이쑤시개를 이용해서 채취하여 PCR-premix(iNtRON Biotechnology, Korea)와 혼합 후 27f와 1492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16S rRNA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은 Wizard PCR prep 키트(Promega, Medison, WI, USA)을 사용하여 정제한 후, 마크로젠(Daejon, Korea)에 의뢰하여 염기서열을 얻었다. 염기서열은 NCBI의 BLSAT을 이용하여 GenBank 데이터베이스와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 CLUSTAL X으로 염기서열을 정렬하고, PHYDIT program version 3.0을 사용하여 neighbour-joining tree를 작성하였다.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neighbour-joining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균주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RB72T와 99.7% 정도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도 1). 본 발명에서 사용한 균주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균주로 동정되었다. 상기 균주를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로 명명하고 2012년 03월 09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 12156BP호로서 기탁하였다.
< 실시예 3>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 -001 균주의 산업적 대량생산을 위한 배지의 최적 탄소원 조사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배양배지인 하기 [표 2]에 기재된 베넷(Bennet) 배지의 구성성분을 단순화하여 생산비를 절감하고,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효율적인 대량배양을 위하여, 미생물 배양 시 산업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탄소원 중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 물질 생산에 적합한 배지를 선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베넷 배지 조성 성분
조성 성분 g/L
글루코스(Glucose) 10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
박토 펩톤(bacto peptone) 2
육추추물(beef extract) 1
구체적으로, 500 ㎖의 배플드(baffled) 플라스크에 0.5%(w/v) 소이 펩톤(soy peptone)(5 g/L)를 첨가하여 최소 영양배지를 제조한 후, 산업용 원료인 글루코스(glucose), 수크로스(sucrose), 가용성 녹말(soluble starch), 감자 전분(potato starch), 옥수수 전분(corn starch), 말토오스(maltose) 및 당밀(molasses)를 각각 1.0%(w/v)(10 g/L)가 되도록 첨가하고, 상기 <실시예 1>의 전배양 한 배양액을 2% 접종하여 27℃에서 170 rpm으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상기 각 배양액은 최종 pH와 미생물 생육 정도를 측정하고, 살초활성 평가를 위하여 균을 완전히 제거한 상기 배양 여액을 8배 희석하여(Tween-20, 0.1% 포함) 온실조건(30±5℃, 광/암 = 14시간/10시간)에서 바랭이를 대상으로 분무 경엽처리하고, 3일 후에 외형적인 증상 및 살초력 정도를 기준으로 달관조사(0; 효과 없음, 100; 완전방제)하였다. 아울러, 대조군으로 500 ㎖의 배플드 플라스크에 [표 2]에 기재된 베넷 액체 배지 500 ㎖를 넣고 상기 <실시예 1>의 전배양한 배양액을 2% 접종하여 27℃에서 170 rpm으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그 결과, 표 3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및 말토오스를 첨가한 배지의 경우, 베넷 배지 배양액에 비해 균 생육이 매우 양호하고 70% 정도의 살초활성을 보이며, 가용성 녹말을 첨가한 배지의 경우, 베넷 배지와 균 생육 정도는 유사하였으나 살초활성은 60%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살초활성이 높았던 탄소원인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및 말토오스를 첨가한 배지의 경우, pH는 6 내지 7 범위이고, 균 생육도 매우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살초활성이 20%로 낮았던 탄소원인 수크로스 및 당밀을 첨가한 배지의 pH는 9 내외로 높고, 균 생육도 보통(++)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탄소원 종류에 따라 살초활성 물질 생성량 또는 대사산물 종류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에 의해 배양 여액의 pH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는 배양 여액의 pH가 5 내지 7 부근일 때 활성 물질의 생성량이 가장 높기 때문에 살초활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표 3 및 도 2).
Figure 112013069747225-pat00001
< 실시예 4>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 -001 균주의 산업적 대량생산을 위한 배지의 최적 질소원 조사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배양배지인 베넷 배지의 구성성분을 단순화하여 생산비를 절감하고,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효율적인 대량배양을 위하여, 미생물 배양 시 산업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질소원 중 미생물 생육 및 살초활성 물질 생산에 적합한 배지를 선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500 ㎖의 배플드(baffled) 플라스크에 2%(v/v) 글리세롤(glycerol)(20 ㎖/L)을 탄소원으로 첨가한 기본 배지를 제조한 후, 유기태 질소원인 탈지유(skim milk), 트립톤(tryptone), 육 추출물, 펩톤(peptone), 옥수수 황산 침지액(corn steep liquor, CSL), 콩 분말(soybean powder), 카제인 펩톤(casein peptone), 효모 추출물, 소이 펩톤 0.5%(w/v)(5 g/L)를 첨가하고, 상기 <실시예 1>의 전배양 한 배양액을 2% 접종하여 27℃에서 170 rpm으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균 생육과 살초활성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대조군으로 500 ㎖의 배플드 플라스크에 [표 2]에 기재된 베넷 액체 배지 500 ㎖를 넣고 상기 <실시예 1>의 전배양한 배양액을 2% 접종하여 27℃에서 170 rpm으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그 결과, 표 4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질소원으로 효모 추출물과 육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균 생육이 매우 양호(+++)하고, 배양 여액 8배 희석액 처리에서도 40~50%의 살초활성을 보이며, 탄소원과 마찬가지로 최종 pH가 6 내지 7 범위로 나타내므로 질소원 별 배양 여액의 pH와 균 생육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콩 분말을 첨가한 경우, 균 생육은 보통(++)이었으나 살초활성은 효모 추출물 또는 육 추출물 첨가 배지와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균 생육과 2차 대사산물의 생성량은 비례하는 경우가 많지만, 배양 환경에 따라서는 세포 수만 증가될 뿐 실제로 2차 대사산물 생성은 적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고, 반대로 균 생육은 다소 불량한 경우에도 대사산물의 생성량은 상대적으로 훨씬 많이 생성되는 경우도 있으나, 콩 분말을 첨가한 배지의 경우에는 균 생육은 보통 수준이지만 살초활성은 우수하므로, 살초력을 발현하는 활성물질의 생성은 활발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3).
Figure 112013069747225-pat00002
< 실시예 5>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 -001 균주의 산업적 대량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 선발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4>로부터 선발된, 산업용 배지 성분 중 살초활성이 우수한 탄소원과 질소원을 조합하여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살초활성 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를 선발하였다.
구체적으로, 500 ㎖의 배플드(baffled) 플라스크에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4>로부터 선발된, 살초활성이 우수한 탄소원인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또는 말토오스와 질소원인 육 추출물, 콩 분말, 또는 효모 추출물을 각각 1%(w/v)와 0.5%(w/v) 조건으로 첨가하고 상기 <실시예 1>의 전배양 한 배양액을 2% 접종한 후, 각 배지의 초기 pH를 6.95 내지 7.10으로 조절하여 27℃, 170 rpm으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각 배지별 살초활성은 평가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바랭이를 대상으로 분무 경엽 처리하고, 3일 후에 외형적인 증상 및 살초력 정도를 기준으로 달관조사(0; 효과 없음, 100; 완전방제)하였다. 아울러, 대조군으로 500 ㎖의 배플드 플라스크에 [표 2]에 기재된 베넷 액체 배지 500 ㎖를 넣고 상기 <실시예 1>의 전배양 한 배양액을 2% 접종하여 27℃에서 170 rpm으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그 결과, 표 5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원으로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경우 5일 배양에서의 살초활성이 다른 탄소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7일 배양에서는 살초활성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감자 전분을 사용한 경우 5일 배양에서의 살초활성은 옥수수 전분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7일 배양에서도 활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말토오스를 사용한 경우 상대적으로 살초활성이 낮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질소원으로 콩 분말을 사용한 경우에는 탄소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균 생육이 대체로 양호하였으며, 살초활성도 상대적으로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배양 여액의 최종 pH와 균 생육 및 살초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을 때,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낮은 pH에서 균 생육이 매우 양호(+++)하면서 살초활성도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3>의 결과로부터 살초활성 물질의 생산 및 안정성에 적합하며 배양기간 단축 등을 고려하여 KR-001 균주의 배양을 위한 탄소원으로는 감자 전분, 질소원으로는 콩 분말을 최종 선발하였다(표 5 및 도 4).
Figure 112013069747225-pat00003
< 실시예 6>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 -001 균주의 산업적 대량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 조성
상기 <실시예 5>로부터 선발된, 최종 선발 탄소원인 감자 전분과 최종 선발 질소원인 콩 분말의 최적 비율 및 비율에 따른 살초활성을 측정하여,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살초활성 물질 생산에 가장 적합한 최적 배지 조성을 확립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3>, <실시예 4>, 및 <실시예 5>로부터 선발된 최종 선발 탄소원인 감자 전분 1 내지 3%(w/v) 및 최종 선발 질소원인 콩 분말을 0.5 내지 2%(w/v) 첨가하여 배지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방법과 같이 탄소원으로 감자 전분 및 글루코스 각각 1%(w/v)(10 g/L) 및 콩 분말 1%(w/v)(10 g/L)를 첨가하고 상기 <실시예 1>의 전배양 한 배양액을 2% 접종한 후, 각 배지는 27℃, 170 rpm으로 5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상기 각각의 배양 배지 내 살초활성 물질 함량 정량을 위하여,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가 생산하는 살초활성 물질 A 및 B를 농도별로 준비하고, 하기 [표 6]의 조건으로 HPLC 분석을 통해 농도별로 나타나는 피크의 면적을 정량함으로써, 검량선(calibration curve)을 작성하고, 상기 각 배양배지에서의 살초활성 물질 A 및 B의 함량을 HPLC 분석을 통해 정량하였다. 살초활성 물질 A 및 B의 농도별 HPLC 분석은 3회 반복하였으며, HPLC 분석은 Shimadzu ODS 컬럼(column)(4.6 × 300 mm)을 사용하여 35%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245 nm로 분석하여 최적 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을 확립하였다.
HPLC 분석 조건
조건
컬럼(column) Shimadzu ODS(4.6×300 mm)
이동상 A:B=35:65
물질 A 이동상: 메탄올(Methyl alcohol)
물질 B 이동상: 증류수
시간 30 분
유속 1 ㎖/분
검출파장 UV 254 nm
주입량 20 ㎕
컬럼온도 40℃
그 결과, 표 7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살초활성 물질 A의 생성량은 감자 전분 3%와 콩 분말 2% 조합에서(C/N 비율 = 2 : 1) 734.27 μg/mL로 가장 많고, 베넷 배지의 131.13μg/mL에 비해 약 6배 증가 되며, 이때 리터 당 생산단가는 174.60원으로 베넷 배지의 2,240.92원에 비해 약 13배 낮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살초활성 물질 B의 경우에는 감자 전분 2%와 콩 분말 2% 조합에서(C/N 비율 = 1 : 1) 64.32 μg/mL로 가장 높았지만, 대체로 감자 전분 농도에 상관없이 콩 분말 양이 증가할수록 생성량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소원으로 감자 전분 및 글루코스를 각각 1%, 콩 분말 1% 조합(C/N 비율 = 2 : 1) 배지의 경우 감자 전분 3%와 콩 분말 2% 조합(C/N 비율 = 2 : 1) 배지보다 생산단가가 저렴하지만, 살초활성 물질 A 생산량은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7 및 도 5).
Figure 112013069747225-pat00004
따라서, 상기 <실시예 6>의 결과를 통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살초활성 물질 생산에 가장 적합한 최적 배지를 확립하고 최적 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을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최적 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
배지조성 배양조건
탄소원 질소원 pH 배양온도 배양기간
감자 전분 3% 콩 분말 2% 초기 pH 6.95 내지 7.10 27℃ 5 일
< 실시예 7>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 -001 균주의 산업적 대량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의 살초활성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6>의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대량배양용 최적 배지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살초활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베넷 배지를 이용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를 배양한 배양액 및 상기 <실시예 6>의 최적 배지를 이용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를 배양한 배양액을 8배 희석하여 온실조건에서 바랭이를 대상으로 분무 경엽처리하고, 3일 후에 외형적인 증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를 상기 최적 배지로 배양한 배양액이 무처리 및 베넷 배지로 배양한 배양액에 비해 현저하게 강력한 살초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120> Composition for mass culture of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130> 13P-07-08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359 <212> DNA <213>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16S rRNA gene <400> 1 gacgaacgct ggcggcgtgc ttaacacatg caagtcgaac gatgaagcct ttcggggtgg 60 attagtggcg aacgggtgag taacacgtgg gcaatctgcc cttcactctg ggacaagccc 120 tggaaacggg gtctaatacc ggataatact tctgcctgca tgggcggggg ttgaaagctc 180 cggcggtgaa ggatgagccc gcggcctatc agcttgttgg tggggtgatg gcctaccaag 240 gcgacgacgg gtagccggcc tgagagggcg accggccaca ctgggactga gacacggccc 300 agactcctac gggaggcagc agtggggaat attgcacaat gggcgaaagc ctgatgcagc 360 gacgccgcgt gagggatgac ggccttcggg ttgtaaacct ctttcagcag ggaagaagcg 420 aaagtgacgg tacctgcaga agaagcgccg gctaactacg tgccagcagc cgcggtaata 480 cgtagggcgc aagcgttgtc cggaattatt gggcgtaaag agctcgtagg cggcttgtcg 540 cgtcggatgt gaaagcccgg ggcttaaccc cgggtctgca ttcgatacgg gcaggctaga 600 gtgtggtagg ggagatcgga attcctggtg tagcggtgaa atgcgcagat atcaggagga 660 acaccggtgg cgaaggcgga tctctgggcc attactgacg ctgaggagcg aaagcgtggg 720 gagcgaacag gattagatac cctggtagtc cacgccgtaa acgttgggaa ctaggtgttg 780 gcgacattcc acgtcgtcgg tgccgcagct aacgcattaa gttccccgcc tggggagtac 840 ggccgcaagg ctaaaactca aaggaattga cgggggcccg cacaagcagc ggagcatgtg 900 gcttaattcg acgcaacgcg aagaacctta ccaaggcttg acatacaccg gaaacggcca 960 gagatggtcg cccccttgtg gtcggtgtac aggtggtgca tggctgtcgt cagctcgtgt 1020 cgtgagatgt tgggttaagt cccgcaacga gcgcaaccct tgttctgtgt tgccagcatg 1080 cctttcgggg tgatggggac tcacaggaga ctgccggggt caactcggag gaaggtgggg 1140 acgacgtcaa gtcatcatgc cccttatgtc ttgggctgca cacgtgctac aatggccggt 1200 acaatgagct gcgatgccgt gaggcggagc gaatctcaaa aagccggtct cagttcggat 1260 tggggtctgc aactcgaccc catgaagtcg gagttgctag taatcgcaga tcagcattgc 1320 tgcggtgaat acgttcccgg gccttgtaca caccgcccg 1359

Claims (10)

  1. 탄소원으로 2 내지 3%(w/v)의 감자 전분(potato starch) 및 질소원으로 1 내지 2%(w/v)의 콩 분말(soybean powder)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탁번호 KCTC 12156BP로 기탁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균주의 살초활성 증진용 배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자 전분은 3%(w/v), 콩 분말은 2%(w/v)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살초활성 증진용 배지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w/v)의 글루코스(glucos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살초활성 증진용 배지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1) 탄소원으로 2 내지 3%(w/v)의 감자 전분 및 질소원으로 1 내지 2%(w/v)의 콩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배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의 배지 조성물에 수탁번호 KCTC 12156BP로 기탁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1 내지 3%(w/v)를 접종한 후, 5 내지 7일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살초활성 증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배지 조성물은 1%(w/v)의 글루코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의 살초활성 증진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91223A 2012-08-14 2013-07-31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 KR10171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223A KR101715120B1 (ko) 2013-07-31 2013-07-31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
JP2015527367A JP6273279B2 (ja) 2012-08-14 2013-08-13 ストレプトマイセス・スコプリリディスkr−001株またはその培養液を活性成分として含む雑草防除用組成物
PCT/KR2013/007279 WO2014027821A1 (ko) 2012-08-14 2013-08-13 스트랩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잡초 방제용 조성물
US14/621,765 US9491948B2 (en) 2012-08-14 2015-02-13 Composition comprising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strain, or culture broth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for weed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223A KR101715120B1 (ko) 2013-07-31 2013-07-31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310A KR20150015310A (ko) 2015-02-10
KR101715120B1 true KR101715120B1 (ko) 2017-03-13

Family

ID=5257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223A KR101715120B1 (ko) 2012-08-14 2013-07-31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66B1 (ko) * 2018-10-25 2020-03-05 한국화학연구원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n29 균주, 또는 이의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잡초 방제용 조성물
KR102630101B1 (ko) * 2023-12-28 2024-01-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허비시딘 생산용 배지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4577B1 (en) 2000-09-27 2003-02-25 Agraquest, Inc. Strain of Streptomyce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KR100477890B1 (ko) 2002-10-15 2005-03-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8e12 및 이를 이용한 제초제
US20120028799A1 (en) 2010-07-30 2012-02-02 Bioworks, Inc. Growth enhancement and control of bacterial and fungal plant diseases with streptomyces scopuliridi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783B1 (ko) 2010-02-08 2012-01-05 주식회사 해강바이오 항균활성과 살충력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속 균주 및 이의 배양방법과 배양물을 이용한 제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4577B1 (en) 2000-09-27 2003-02-25 Agraquest, Inc. Strain of Streptomyce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KR100477890B1 (ko) 2002-10-15 2005-03-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8e12 및 이를 이용한 제초제
US20120028799A1 (en) 2010-07-30 2012-02-02 Bioworks, Inc. Growth enhancement and control of bacterial and fungal plant diseases with streptomyces scopuliridi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eed Turf. Sci., Vol.2, pp.38~46(2013.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310A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Antifungal, plant growth-promoting, and genomic properties of an endophytic actinobacterium Streptomyces sp. NEAU-S7GS2
Yu et al. The siderophore-producing bacterium, Bacillus subtilis CAS15, has a biocontrol effect on Fusarium wilt and promotes the growth of pepper
KR10058744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b120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방법
Gudiña et al. Biosurfactant-producing lactobacilli: screening, production profiles, and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Saxena Applied microbiology
Tabli et al. Plant growth promoting and inducible antifungal activities of irrigation well water-bacteria
Al-Askar et al. Antagonistic activity of an endemic isolate of Streptomyces tendae RDS16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KR100737861B1 (ko) 식물병원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서브틸리스 kmu-13 kccm 80020
KR101715120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대량생산용 배지 조성물
CN107699526B (zh) 一株防治灰霉病的放线菌菌株及其应用
KR100411185B1 (ko)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ag-p(kctc8965p)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CN116286500B (zh) 一种盐生植物内生的耐盐贝莱斯芽孢杆菌及用途
KR101139794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엠27과 5엠34의 혼합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Gebreel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ertain bacteria isolated from Egyptian soil against pathogenic fungi
CN114854631B (zh) 一株海绵来源的生防链霉菌ITBB-ZK-a5及其应用
Sanjotha et al. An in vitro approach for evaluat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duction of kojic acid by Aspergillus flavus isolated from Karwar region
TW202005538A (zh) 阿孫鏈黴菌、其代謝產物、其製備方法及其殺蚊子的應用
JP2007153873A (ja) 土壌病害防除剤
CN109706093B (zh) 解淀粉芽孢杆菌菌株、组合物和用途
Shin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pentachloronitrobenzene (PCNB) degrading bacterium Alcaligenes xylosoxidans PCNB-2 from agricultural soil
Chen et al. Screening, Evaluation, and Selection of Yeasts with Nitrogen Fixation and Ammonia Production Ability from the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VAR. Cerasiforme) Rhizosphere as a Potential Bio-Fertilizer
CN106566784A (zh) 防治猕猴桃溃疡病的菌株及其应用
Valiullin et al. Exploring the potential of Bacillus subtilis as an additive for decontamination of feed
WO2007055064A1 (ja) 土壌病害防除剤
KR102589755B1 (ko) 상온 발효 유산균(Enterococcus faecium MSS2) 대사산물의 Trichoderma hazianum에 대한 성장억제 활성 및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