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383B1 -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383B1
KR101714383B1 KR1020140143216A KR20140143216A KR101714383B1 KR 101714383 B1 KR101714383 B1 KR 101714383B1 KR 1020140143216 A KR1020140143216 A KR 1020140143216A KR 20140143216 A KR20140143216 A KR 20140143216A KR 101714383 B1 KR101714383 B1 KR 10171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level
mice
gene
thym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621A (ko
Inventor
김희선
금동권
최훈
양광희
방현순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383B1/ko
Priority to US15/521,282 priority patent/US10718027B2/en
Priority to PCT/KR2014/011853 priority patent/WO2016064023A1/ko
Priority to CN201480082846.2A priority patent/CN107208130A/zh
Priority to JP2017521246A priority patent/JP2017531439A/ja
Priority to EP14904279.8A priority patent/EP3211089B1/en
Publication of KR2016004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42Toxicological screening, e.g. expression profiles which identify toxic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1)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를 저준위 방사선 환경에서 사육하는 단계;와 (2) 상기 (1)단계에 의해 사육된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의 흉선을 채취하는 단계;와 (3) 상기 (2)단계에 의해 채취된 흉선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단계;와 (4) 상기 (3) 단계에 의해 분석된 유전자 중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에서 공통 또는 단독으로 발현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 의해 검출된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산업 및 의료종사자의 방사선 피폭과 발암과의 상관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방사선 DNA 회복 지표 유전자로 활용할 수 있고, 암 환자의 암 진행 및 치료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방사선 DNA 회복 유전자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과 암 발생 인과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DNA 회복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DETECTION METHOD OF SENSITIVE GENES FOR LOW LEVEL RADIOACTIVERAY }
본 발명은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흉선암 모델 AKR/J 생위와 정상 ICR 생쥐에 저준위 방사선을 조사한 후 흉선을 채취하여 공통 또는 단독으로 발현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고 증폭하여 발현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준위(0.7 mGy/시간) 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었지만, 분자적으로 단백질 수준까지 확인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 제시된 유전자들은 RNA 뿐만 아닐 단백질 수준까지 발현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DNA 손상과 회복에 관련된 유전자를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건강한 쥐와 암 발생 쥐를 비교하여 확인한 적이 없으며, 본 발명에서 발굴된 유전자들은 기존에 저준위 방사선에 대해 민감한 유전자라 알려진바 없다. 저준위 방사선에 대해 민감한 유전자 프로파일 발굴에 선행되었던 기술을 보면 아래와 같다.
ⅰ) 인간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에 2-50cGy 방사선을 조사한 후 CDKN1A, GADD45A, MDM2, BTG2, PHLDA3 등의 유전자 발현 확인(Amundson 등, 2003)
ⅱ) 방사선 사고시 선량평가에 이용하기 위해 사람 혈액에 0.5, 2, 8 Gy 조사 후 선량에 따라 반응하는 FDXR, CDKN1A, PHPT1, BBC3, SESN1 유전자 발견함(Paul과 Amundson, 2008).
ⅲ) C57BL/6J 생쥐에 0.032-13μGy/분으로 485일 동안 방사선 조사 후 신장과 고환을 채취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해 저준위 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를 발견함(Taki 등, 2009).
ⅳ) C57BL/6J 수컷 생쥐에 401-485일(8Gy, 0.4Gy 또는 0.02Gy) 동안 17-20mGy/일, 0.86-1.0mGy/일로 방사선 조사 후 간을 채취하여 마이크로어레이와 역전사핵산증폭법을 이용하여 저준위 방사선에 민감한 유저자를 발견함(Uehara 등, 2010).
ⅴ) 마이크로어레이와 정량적 핵산증폭법을 이용해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노랑초라리에서 저준위 방사선 민감 유전자 39개 발견함(Seong 등, 2011).
ⅵ) 인간 혈액에 0, 0.02, 0.1, 0.5, 1, 2, 4Gy 방사선 조사 후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해 저준위 방사선 민감 유전자 총 9개 발굴. 또한 생물학적 선량평가에 응용하기 위해 선량별, 조사 후 시간별로 발현양이 차이나는 유전자 그룹을 선정함(Knops 등, 2012).
ⅶ) 제이브라다니오 배아와 성체에 0.1 또는 1Gy 방사선 조사 후 간의 mRNA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어레이와 정량적 핵산증촉법을 수행. 방사선 민감 유전자를 발굴함(Jaafar 등, 2013).
ⅷ)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해 5-500mGy 방사선 조사된 인간 혈액에서 저준위 방사선 민감 유전자 발굴함(Nosel 등, 2013).
본 발명자는 방사선에 의한 암 발생 연구시, 일반적으로 세포주를 이용한 연구결과는 사람이나 동물에 바로 적용하여 해석하기 어렵고, 실험동물의 경우 일반 생쥐를 많이 이용해 왔지만 암 발병율이 낮고 저준위 방사선의 영향이 인체 영향으로 표현되기까지 많은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일반적으로 암 연구에 많이 사용하는 정상 ICR 생쥐를 이용하여 개체간의 차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1)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에 저준위(0.7mGy/시간) 방사선을 조사한 후, 흉선에서 저준위 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프로파일을 발굴한 후 2) DNA 회복에 관련된 유전자를 중심으로 검증 후 그 기능을 분석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1)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를 저준위 방사선 환경에서 사육하는 단계;와 (2) 상기 (1)단계에 의해 사육된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의 흉선을 채취하는 단계;와 (3) 상기 (2)단계에 의해 채취된 흉선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단계;와 (4) 상기 (3) 단계에 의해 분석된 유전자 중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에서 공통 또는 단독으로 발현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 의해 검출된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를 저준위 방사선 환경에서 사육하는 단계;와 (2) 상기 (1)단계에 의해 사육된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의 흉선을 채취하는 단계;와 (3) 상기 (2)단계에 의해 채취된 흉선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단계;와 (4) 상기 (3) 단계에 의해 분석된 유전자 중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에서 공통 또는 단독으로 발현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 의해 검출된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저준위 방사선량은 0.7mGy/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단계에서 0.7mGy/시간의 저준위 방사선 환경에서 총 누적선량이 1.7Gy가 되도록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단계에서 DNA 회복 관련 유전자는 Cyp11a1, Ptgs2, Rnd3, Plxncl 및 cyp2el에서 선택되는 프라이머로 증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단계에서 벤다이어그램, 정량적 핵산증폭법, 특수단백질 검출검사 및 통계프로그램 SAS를 통해서 발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1)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를 저준위 방사선 환경에서 사육하는 단계;와 (2) 상기 (1)단계에 의해 사육된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의 흉선을 채취하는 단계;와 (3) 상기 (2)단계에 의해 채취된 흉선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단계;와 (4) 상기 (3) 단계에 의해 분석된 유전자 중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에서 공통 또는 단독으로 발현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 의해 검출된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산업 및 의료종사자의 방사선 피폭과 발암과의 상관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방사선 DNA 회복 지표 유전자로 활용할 수 있고, 암 환자의 암 진행 및 치료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방사선 DNA 회복 유전자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과 암 발생 인과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저준위 DNA 회복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실험예 1.의 DNA 손상/회복 관련 유전자 중 저준위 방사선에 종 특이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유전자를 핵산증폭법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발현양을 확인한 그래프.
도 2 는 실험예 2.의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AKR/J와 JCR 생쥐 흉선의 단백질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1) 저준위 방사선 DNA 회복 유전자(Cyp11a, Rnd3, Plxnc1) 단백질 양, (2) 로딩 컨트롤, (3) 특수단백질 검출법의 정량분석, 각 밴드 밀도 측정 후 β-tubulin 밀도치로 정량화)
도 3 은 생쥐 흉선 저준위 방사선 조사에 의한 분자적 변화 도식화.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고선량 방사선은 DNA 손상을 일으키고 암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반대로 저선량 방사선은 손상된 DNA 회복, 세포사멸 유도, 면역활성과 항산화 기능을 촉진하여 암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엔과학위원회(UNSCEAR, 2000)에서 제시한 저선량률 방사선(6≥mGy/h)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세포주를 이용하여 확보한 연구결과는 사람에 바로 적용하여 해석하기 어려우며, 실험동물을 이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저준위 방사선이 DNA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단백질 수준까지 확인한 종래기술은 없다. 본 발명에서는 AKR/J와 정상 생쥐(ICR)를 저준위(0.7mGy/시간) 방사선 환경에 사육하면서 폐사가 시작되는 시기(100일)에 도달하였을 때 흉선을 채취하고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한 정상 쥐와(ICR) 흉선을 채취하여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두 종 생쥐에서 공통 또는 단독으로 발현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를 증폭하고, 단백질 검출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유전, 단백체를 발굴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서는 암컷(7주령) AKR/J와 ICR 생쥐를 일본 Shizuoka laboratory 센터에서 구입하고 1주일 동안 특정 병원균이 부재된 시설에서 사육하며 안정화시켰다.
각 그룹 당 5마리 생쥐를 이용하여 저준위(0.7mGy/시간) 방사선 환경에서 100일(누적선량 총 1.7Gy) 동안 사육한 후 흉선을 채취하여 액체질소에 금속 냉동시킨 후 유전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AKR 생쥐와 ICR 생쥐위 흉선을 비교하여 저준위(0.7mGy/시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를 발굴하고 기능을 해석하였다.
벤다이어그램, 정량적 핵산증폭법, 특수단백질 검출검사 및 통계프로그램 SAS(ANOVA,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저준위(0.7mGy/시간) 방사선 조사된 생쥐 흉선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DNA 회복관련 유전자들에 대하여 발현량을 계측하기 위해 사용한 프라이머 염기서열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Figure 112014100904654-pat00001
실험예 1. DNA 손상/회복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 측정
AKR/J와 ICR 생쥐에 대하여 저준위(0.7mGy/시간)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암 발생 초기 단계(100일)에서 흉선을 채취한 후 DNA 손상/회복 관련 유전자 중 저준위 방사선에 종 특이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유전자를 핵산증폭법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AKR/J 생쥐에서 Cyp11a1, Ptgs2, Rnd3, Plxnc1, ICR 생쥐에서 Cyp2e1 등이 종 특이적으로 저준위 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실험예 2.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AKR/J와 ICR 생쥐 흉선의 단백질 분석
실시예 1.에서의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경우의 단백질과 대조군으로 고준위 방사선(0.8Gy/min, 총 선량: 4.5Gy) 조사된 생쥐 흉선의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AKR/J 생쥐에서 Cyp11a1, Rnd3, Plxnc1 등이 종 특이적으로 저준위 방사선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1)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에
    0.7mGy/시간의 세기로 총 누적선량이 1.7Gy가 되도록 저준위 방사선 환경에서 사육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 의해 사육된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의 흉선을 채취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에 의해 채취된 흉선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 의해 분석된 유전자 중 흉선암 모델 AKR/J 생쥐와 정상 ICR 생쥐에서 공통 또는 단독으로 발현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
    Cyp11a1, Ptgs2, Rnd3, Plxncl 및 cyp2e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 된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 의해 검출된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흉선암에서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
    Cyp11a1, Ptgs2, Rnd3, Plxncl 및 cyp2e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 된 유전자의 검출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43216A 2014-10-22 2014-10-22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KR10171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216A KR101714383B1 (ko) 2014-10-22 2014-10-22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US15/521,282 US10718027B2 (en) 2014-10-22 2014-12-04 Detection method for DNA repair-related genes which respond to low-level radiation
PCT/KR2014/011853 WO2016064023A1 (ko) 2014-10-22 2014-12-04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CN201480082846.2A CN107208130A (zh) 2014-10-22 2014-12-04 对低水平放射线反应的dna修复相关基因的检测方法
JP2017521246A JP2017531439A (ja) 2014-10-22 2014-12-04 低レベル放射線に反応するdna修復関連遺伝子の検出方法
EP14904279.8A EP3211089B1 (en) 2014-10-22 2014-12-04 Detection method for dna repair-related genes which respond to low-level radi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216A KR101714383B1 (ko) 2014-10-22 2014-10-22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21A KR20160047621A (ko) 2016-05-03
KR101714383B1 true KR101714383B1 (ko) 2017-03-10

Family

ID=5576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216A KR101714383B1 (ko) 2014-10-22 2014-10-22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18027B2 (ko)
EP (1) EP3211089B1 (ko)
JP (1) JP2017531439A (ko)
KR (1) KR101714383B1 (ko)
CN (1) CN107208130A (ko)
WO (1) WO2016064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16B1 (ko) * 2016-10-28 2018-07-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선량 방사선 피폭 면역반응 지표 단백질 및 이의 검출방법
KR102034828B1 (ko) * 2017-09-26 2019-11-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선량률 저준위 방사선 조사된 쥐 흉선 림프종 세포에서 발굴된 텔로미어 조절 유전자군과 그 검출방법
CN109913543B (zh) * 2019-01-09 2022-05-03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辐射敏感基因标记物及在x射线辐射剂量监测中的应用
CN113774125A (zh) * 2021-08-25 2021-12-10 中国辐射防护研究院 一种氨磷汀抗辐射损伤相关基因筛选与功能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5203059B2 (en) 2004-07-16 2011-11-2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Use of legume product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radiotherapy-induced skin damage
US20140162899A1 (en) * 2011-08-17 2014-06-12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Cancer progression observation index gene group and method of detecting the gene group
CN102417932B (zh) * 2011-12-23 2013-09-04 苏州大学 脂肪和肥胖相关基因作为辐射生物剂量计的应用
KR101320741B1 (ko) 2012-01-26 2013-10-2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전리방사선 조사된 마우스에서 암 발병 조절 디엔에이 회복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
KR101445559B1 (ko) 2012-05-10 2014-11-0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고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KR101472789B1 (ko) 2012-05-10 2014-12-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KR101445560B1 (ko) * 2012-05-10 2014-09-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저준위 전리방사선에 민감한 유전자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검출된 유전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Vet Sci. 2013;14(3):271-9.
Radiat Res. 2010 Sep;174(3):341-6. doi: 10.1667/RR1946.1.
Science, Vol. 291, No. 5507, pp. 1284-1289 (2001.02.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21A (ko) 2016-05-03
EP3211089B1 (en) 2020-02-26
EP3211089A1 (en) 2017-08-30
JP2017531439A (ja) 2017-10-26
EP3211089A4 (en) 2018-03-07
WO2016064023A1 (ko) 2016-04-28
CN107208130A (zh) 2017-09-26
US10718027B2 (en) 2020-07-21
US20190119754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Molecular testing for BRAF mutations to inform melanoma treatment decisions: a move toward precision medicine
US11613784B2 (en) Next-generation biomarkers to detect sun damage and predict skin cancer risk
KR101714383B1 (ko) 저준위 방사선에 반응하는 dna 회복 관련 유전자의 검출방법
Danila et al. Analytic and clinical validation of a prostate cancer–enhanced messenger RNA detection assay in whole blood as a prognostic biomarker for survival
Khan et al. Temporal patterns of odorant receptor gene expression in adult and aged mice
Cafarchia et al. An improved molecular diagnostic assay for canine and feline dermatophytosis
Montel et al. Tumor–stromal interactions reciprocally modulate gene expression patterns during carcinogenesis and metastasis
Giménez‐Arnau et al. Transcriptome analysis of severely active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shows an overall immunological skin involvement
Rossner Jr et al. Reduced gene expression levels after chronic exposure to high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Serrano-Fernández et al. Time course transcriptomics of IFNB1b drug therapy in multiple sclerosis
Hass et al. Gene-expression analysis identifies specific patterns of dysregulated molecular pathways and genetic subgroups of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Walter et al. FFPE tissue as a feasible source for gene expression analysis–a comparison of three reference genes and one tumor marker
US20200239966A1 (en) Method to diagnose malignant melanoma in the domestic dog
CN104513863A (zh) 基于dna条形码的烟草虫害检测方法
CN102409105A (zh) 烟粉虱生物b型和q型特异引物和快速鉴定方法
Kong et al. Overexpression of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5 in human rectal cancer
EP4008793A1 (en) Analytical method and kit
Yin et al. Identification of genes expressed in hyperpigmented skin using meta-analysis of microarray data sets
CN105200122B (zh) 小麦条锈菌的定量检测试剂盒及其应用
KR20150081633A (ko)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의 예측 및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CN102864219A (zh) 一种用多重pcr矩阵法进行高通量基因表达谱检测的方法
Zhang et al. B1 Sequence–Based Real-Time Quantitative PCR: A Sensitive Method for Direct Measurement of Mouse Plasma DNA Levels After Gamma Irradiation
CN114015781B (zh) 一种LncRIM基因的检测试剂盒及其应用
US10501806B2 (en) Chromosomal assessment to differentiate histiocytic malignancy from lymphoma in dogs
KR20150081631A (ko) 전사체학과 단백질체학을 이용한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의 예측 및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