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242B1 -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242B1
KR101713242B1 KR1020150119834A KR20150119834A KR101713242B1 KR 101713242 B1 KR101713242 B1 KR 101713242B1 KR 1020150119834 A KR1020150119834 A KR 1020150119834A KR 20150119834 A KR20150119834 A KR 20150119834A KR 101713242 B1 KR101713242 B1 KR 101713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user
stored
sound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494A (ko
Inventor
송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지카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지카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지카노트
Priority to KR102015011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2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749
    • G06F17/30755
    • G06F17/30769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 상기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악보 생성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악보 검색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 악보 및 상기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BASED MUSICAL SCOR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악보를 이용하여 악보 검색 혹은 음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주변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을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음악 검색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면, 음악 검색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음악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해당 음악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379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으로부터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악보가 일치하는 음원 정보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으로부터 생성한 악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피드백 신호를 받아 악보를 갱신함으로써,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에 대응되는 부분을 검색 결과로 제공되는 악보에 구분 표시함으로써,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이 검색 결과 악보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 상기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악보 생성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악보 검색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 악보 및 상기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악보 생성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는 단계; 악보 검색부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 악보 및 상기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으로부터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악보가 일치하는 음원 정보를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으로부터 생성한 악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피드백 신호를 받아 악보를 갱신함으로써,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에 대응되는 부분을 검색 결과로 제공되는 악보에 구분 표시함으로써,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이 검색 결과 악보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 사용자 악보 생성부(120), 악보 검색부(130) 및 검색 결과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한다.
사용자 입력음은 입력 신호에 포함된 리듬 및 음 높이와 같은 멜로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악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악보 입력 신호 또는 악보 편집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웹(web) 상에서 제공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입력 기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오선보 입력 기능, 마이크 입력 기능, 악보 이미지 입력 기능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오선보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가 오선 위에 음표를 위치시킨 경우, 해당 음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입력음으로서 획득할 수 있고,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마이크 입력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특정 리듬 및 특정 음 높이에 해당하는 음성을 입력한 경우, 해당 리듬 및 음 높이를 사용자 입력음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악보 생성부(120)는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한다.
사용자 악보는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리듬 및 음 높이를 오선보 형태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악보 검색부(13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한다.
악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 악보와의 비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악보 및 저장 악보에 해당하는 악보 상세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 악보는 악보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정보로서, 음자리표, 조표, 박자, 선율, 음가, 임시표, 꾸밈음, 다이나믹 등의 음악 요소를 문자 형태로 변환한 정보일 수 있다. 악보 상세 정보는 해당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음원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악보는 리듬 및 음 높이와 같은 멜로디 정보 외에 음악 구조 혹은 다이나믹 등의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한 것일 수 있으며, 음원 상세 정보는 해당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음원의 실연자, 곡 이름, 작곡가, 장르 등의 정보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음원은 복수일 수 있고, 음원은 동영상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악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저장 악보가 미디(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I) 또는 뮤직 엑스엠엘(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악보는 이와 같은 저장 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악보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이거나,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악보 검색부(130)는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음 높이들 간 간격을 산출하고, 음 높이들 간 간격을 이용하여 저장 악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멜로디 정보에 60, 59, 60, 65, 67, 69 및 72 음 높이의 음이 포함된 경우, 악보 검색부(130)는 -1, 1, 5, 2, 2 및 3을 사용자 입력음의 음 높이들 간 간격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악보 검색부(130)는 사용자 입력음의 음 높이들 간 간격 및 저장 악보의 음 높이들 간 간격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초과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악보 검색부(130)는 기준 유사도가 80%인 경우, 사용자 입력음의 음 높이들 간 간격과, 음 높이들 간 간격이 80%를 초과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 악보를 검색할 수 있다. 악보 검색부(130)는 기준 유사도를 초과하는 저장 악보가 없는 경우, 기준 유사도에 근사한 저장 악보를 추천 악보로서 제공하거나, 해당 악보가 없음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악보 검색부(13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악보에 대해 미리 산출되어 저장된 음 높이들 간 간격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악보 검색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음에 상응하는 음 높이들 간 간격을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음 높이들 간 간격과 비교함으로써 저장 악보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악보 검색부(130)는 사용자 입력음에 화성 진행 정보가 포함된 경우, 화성 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악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악보 검색부(13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악보에 대해 미리 산출되어 저장된 화성 진행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사용자에게 저장 악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 악보를 목록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을 추가 제공할 수 있다.
음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 음원에는 해당 음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비가청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식별자가 포함된 음원을 사용자 입력음으로써 입력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식별자 비교를 수행하여 해당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이거나,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음원 데이터베이스는 악보 데이터베이스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이거나,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 악보를 제공함에 있어, 검색에 이용된 사용자 악보에 대응되는 저장 악보의 일부분을 저장 악보의 다른 부분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저장 악보를 제1 색으로 표시하는 경우, 저장 악보에서 사용자 악보에 대응되는 일부분은 제1 색과 상이한 제2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에 이용된 사용자 입력음에 대응되는 부분이 저장 악보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 악보를 제공함에 있어, 검색에 이용된 사용자 악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저장 악보의 일부분만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저장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 악보를 제공함에 있어, 해당 저장 음원이 재생 중인 부분에 대응되는 저장 악보의 일부분을 저장 악보의 다른 부분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저장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 악보를 제공함에 있어, 해당 저장 음원이 재생 중인 부분과 대응되는 저장 악보의 일부분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 해당 컨텐츠 또는 해당 컨텐츠에 상응하는 악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악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는 동영상, 음원 파일 등 사용자가 시/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고 재생 가능한 모든 형태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일 수 있다.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를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악보를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악보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악보들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2)일 수도 있으며, 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 단말기(203)일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사물인터넷 기반 단말기가 스마트 워치(smart watch)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헬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등과 인터넷으로 연결된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 안경,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 사용자 악보 생성부(120), 악보 검색부(130), 검색 결과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01), 메모리(102), 프로그램 저장부(103), 제어부(104), 악보 데이터베이스(105),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106), 사용자 악보 갱신부(125), 및 추천 음원 제공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통신부(101)는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부(101)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수신하고,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01)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02)는 제어부(104)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02)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03)는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는 작업 및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04)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사용자 입력음을 수신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고, 저장 악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04)는 프로그램 저장부(103)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 사용자 악보 생성부(120), 사용자 악보 갱신부(125), 악보 검색부(130), 검색 결과 제공부(140) 및 추천 음원 제공부(145)를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음을 수신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고, 저장 악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악보 데이터베이스(105)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저장 악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악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저장 악보에는 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4)는 사용자와 서로 다른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악보 이미지로부터 저장 악보를 생성하고, 저장 악보 및 저장 음원을 매핑하여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106)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음 및 사용자 입력음이 생성된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4)는 사용자 입력음 및 해당 사용자 입력음이 생성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하고, 사용자 악보 생성부(120)는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고, 악보 검색부(13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 제공부(140)는 사용자에게 저장 악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악보 검색부(130)는 악보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된 저장 악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된 사용자 입력음도 검색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음원이나 악보도 검색 대상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악보 갱신부(125)는 사용자 악보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사용자 악보를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악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악보를 갱신한다.
예컨대, 사용자 악보 갱신부(125)는 사용자 악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여기에서 사용자가 음표를 수정하는 경우, 이에 따라 사용자 악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원으로부터 생성한 악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피드백 신호를 받아 악보를 갱신함으로써,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정확하게 입력 가능케 할 수 있다.
추천 음원 제공부(145)는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110)에서 사용자 입력음의 일부에 상응하는 일부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들 중 사용자 입력음의 나머지 부분에 상응하는 음원을 검색하여 추천 음원으로서 제공한다.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들은 사용자 본인이 생성한 사용자 음원 외에도, 친구 또는 전체 사용자가 생성한 음원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가 일부 음만 입력하더라도, 사용자들이 입력한 음원들을 자동 추천함으로써,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편리하게 입력 가능케 할 수 있다.
비록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악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악보의 다음 부분에 이어지는 추가 사용자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자동 악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음원이 생성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 지도를 생성하는 음원 지도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원 지도는 지도 상에 사용자 음원이 생성된 위치가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음원 지도에는 본인이 생성한 사용자 음원 외에도, 친구 또는 전체 사용자가 생성한 음원의 위치도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 입력음(310)으로부터 사용자 악보(320)를 생성하고, 저장 악보(330)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340)를 제공하는 서비스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웹(web) 상에서 제공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음(310)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음(310)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로부터 사용자 악보(320)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악보(320)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악보(320)를 수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는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320)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330)를 검색한다.
악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 악보(320)와의 비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악보 및 저장 악보에 해당하는 악보 상세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는 검색된 저장 악보(330)를 검색 결과(340)로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는 검색 결과(340)로서 사용자 악보(320)에 대응되는 저장 악보(330)의 일부분(345)을 저장 악보(330)의 다른 부분과 구분되게끔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는 사용자 악보(320)에 대응되는 저장 악보(330)의 일부분(345)을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저장 악보(330)의 다른 부분을 흰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악보(320)에 대응되는 부분이 저장 악보(330)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4는 사용자 입력음이 입력된 결과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악보(410), 추천 입력음(420) 등이 표시된 화면임을 알 수 있다.
먼저,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오선보 입력 기능, 마이크 입력 기능, 악보 이미지 입력 기능 등을 이용하여 획득된 사용자 입력음을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음이 변환된 결과인 사용자 악보(410)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들 중 사용자 입력음과 유사한 음원을 추천 입력음(420)으로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악보 수정 버튼(430)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악보(410)에 표시된 음표를 변경할 수 악보 수정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악보 저장 버튼(440)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악보(410)가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언제든지 다시 불러올 수 있으며, 혹은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검색 대상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검색 버튼(450)을 선택하는 경우,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가 악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악보(410)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사용자 악보(510) 및 이에 상응하는 검색 결과(520) 등이 표시된 화면임을 알 수 있다.
검색 결과(520)에는 사용자 악보(510)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가 매핑된 저장 음원 목록(520)이 표시될 수 있다. 음원 목록(520)은 사용자들이 많이 선택한 항목 순서대로 표시되는 '인기순', 사용자 악보(510)와 더 정확하게 일치하는 순서대로 표시되는 '정확도순'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저장 음원 목록(5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버튼들(521, 522, 52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원 재생 버튼(521)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음원 데이터는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악보 보기 버튼(522)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가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세 정보 보기 버튼(523)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음원 관련 정보가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6은 저장 악보(610)에 상응하는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화면임을 알 수 있다. 컨텐츠는 도 5에 도시된 음원 재생 버튼(521)이 선택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음원을 비롯한 동영상 파일 등 사용자가 시/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고 재생 가능한 모든 형태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가 음원인 경우, 도 6a와 같이, 해당 음원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표시하기 위한 저장 악보 표시창(610), 해당 음원의 재생 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바(620) 및 해당 음원의 재생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재생 경과 표시줄(625)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 악보 표시창(610)에는 음원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저장 악보의 일부분이 하이라이트(615)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615)는 오선보의 음표 단위, 마디 단위 또는 라인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재생 경과 표시줄(625)은 음원 재생 경과에 맞추어 채워지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음원 재생 경과에 따라 재생 경과 표시줄(625)이 채워짐과 동시에 하이라이트(615)도 이동하면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음원이 재생될수록 재생 경과 표시줄(625)은 좌에서 우 방향으로 표시줄이 채워지고, 하이라이트(615)도 저장 악보 내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될 수 있다.
비록 도 6a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악보의 하이라이트 방법으로는, 해당 부분의 색상을 악보의 다른 부분의 색상과 달리하거나, 해당 부분 위에 박스 형태의 반투명한 레이어를 겹쳐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동영상 파일인 경우, 도 6b와 같이,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표시하기 위한 저장 악보 표시창(610), 해당 동영상의 재생 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바(620), 해당 동영상의 재생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재생 경과 표시줄(625) 및 해당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영상 표시창(630)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 악보 표시창(610) 및 동영상 표시창(630)은 도 6b와 같이 상하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지만, 배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저장 악보 표시창(610) 및 동영상 표시창(630)은 동영상 표시창(630)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고, 저장 악보 표시창이(610)은 작은 크기로, 화면 우측 하단에 반투명한 레이어 형태로 겹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저장 악보(710)가 표시된 화면임을 알 수 있다. 저장 악보(710)는 도 5에 도시된 악보 보기 버튼(522)이 선택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저장 악보(710)는 검색 쿼리로 이용된 사용자 악보에 대응되는 부분이 하이라이트(715)되어 표시될 수 있다.
비록 도 7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악보의 하이라이트 방법으로는, 해당 부분의 색상을 악보의 다른 부분의 색상과 달리하거나, 해당 부분 위에 박스 형태의 반투명한 레이어를 겹쳐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악보에 대응되는 부분은 사용자 악보와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초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된 하이라이트 표시 버튼(720)을 선택함으로써, 하이라이트(715)의 표시 여부를 토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는 관리자 악보(811) 및 사용자 악보(812)를 악보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하고, 사용자 입력음(813)을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들(105 및 106)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820)를 제공하는 서비스임을 알 수 있다.
먼저, 악보 데이터베이스(105)에는 관리자(예컨대, 악보 판매자 등)로부터 입력된 관리자 악보(811)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악보(812)가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 악보(811) 및 사용자 악보(812)는 악보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사용자 악보(812)는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음으로부터 자동 생성된 것이거나, 사용자 입력음으로부터 자동 생성된 악보를 사용자가 수정한 악보일 수 있다.
악보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된 관리자 악보(811) 및 사용자 악보(812)는 저장 악보로서 저장되어,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검색에 활용될 수 있다.
악보 데이터베이스(105)에는 관리자 악보(811) 및 사용자 악보(812) 각각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8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저장 음원은 음원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 음원에는 해당 음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비가청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106)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음(813)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음(813)은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오선보 입력 기능, 마이크 입력 기능, 악보 이미지 입력 기능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음(813)은 특정 음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비가청 영역에 포함된 음원으로서, 마이크 입력 기능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식별자 비교를 수행하여 해당 음원을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된 사용자 입력음(813)은 사용자 악보(812)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추천 음원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음(813)으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악보(812)는 악보 데이터베이스(105)에 저장되거나, 검색을 위한 사용자 쿼리로 이용될 수 있다.
검색 결과(820)는 데이터베이스들(105 및 106)을 이용하여, 사용자 쿼리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저장 악보 및 해당 저장 악보에 매핑된 저장 음원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도 8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106)에는 사용자 입력음(813)이 생성된 위치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지도 상에 사용자 음원이 생성된 위치가 표시된 음원 지도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쿼리에 대응되는 위치를 검색 결과(820)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하는 단계(S910),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로부터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는 단계(S920),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단계(S930), 및 저장 악보 또는 저장 음원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는 단계(S9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또는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한다(S910).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육성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음성, 악보, 화성 진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음은 입력 신호에 포함된 리듬 및 음 높이와 같은 멜로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음은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악보 생성부가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한다(S920).
다음으로, 악보 검색부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한다(S930).
단계(S930)에서 악보 검색부는 사용자 악보의 음 높이들 간 간격 및 저장 악보의 음 높이들 간 간격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초과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할 수 있다.
비록 도 3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930) 전에, 제어부가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악보 이미지로부터 저장 악보를 생성하고, 저장 악보 및 저장 음원을 매핑하여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검색 결과 제공부가 사용자에게 저장 악보 및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S940).
저장 악보 및 저장 음원 각각은 사용자 악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단계(S940)에서 검색 결과 제공부는 대응 부분 및 대응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저장 악보는 저장 음원이 재생 중인 부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단계(S940)에서 검색 결과 제공부는 대응 부분 및 대응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단계(S920), 사용자 악보를 제공하는 단계(S1010),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20), 사용자 악보를 갱신하는 단계(S1030) 및 도 9에 도시된 단계(S9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또는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사용자 악보 갱신부가, 사용자에게 도 9에 도시된 단계(S9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악보를 제공한다(S1010).
다음으로, 사용자 악보 갱신부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악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0).
단계(S1020)에서, 사용자 악보에 대한 수정 정보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악보 갱신부는 피드백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악보 갱신부가, 사용자 악보에 대한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 악보를 갱신한다(S1030).
단계(S1020)에서, 사용자 악보에 대한 수정 정보가 발생하지 아니한 경우, 사용자 악보 갱신부는 피드백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악보 갱신부는 사용자 악보를 갱신하지 아니하고 다음 단계(S930)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입력음의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10), 추천 음원을 제공하는 단계(S1120) 및 도 9에 도시된 단계(S9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또는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추천 음원 제공부가, 사용자 입력음이 입력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0).
단계(S1110)에서, 사용자 입력음의 일부분만이 입력되어, 입력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추천 음원 제공부는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들 중 해당 사용자 입력음의 일부분에 상응하는 음원을 추천 음원으로서 제공한다(S1120).
단계(S1110)에서, 사용자 입력음이 입력 완료된 경우, 추천 음원 제공부는 다음 단계(S910)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추후 악보 검색에서 기 저장된 사용자 입력음의 일부에 대응하는 신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 기 저장된 사용자 입력음을 기초로 생성된 사용자 악보를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추가 입력 없이 검색 쿼리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101: 통신부 102: 메모리
103: 프로그램 저장부 104: 제어부
105: 악보 데이터베이스 106: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
110: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 120: 사용자 악보 생성부
125: 사용자 악보 갱신부 130: 악보 검색부
140: 검색 결과 제공부 145: 추천 음원 제공부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8)

  1.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
    상기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악보 생성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악보 검색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 악보 및 상기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악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악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악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악보 갱신부;
    상기 사용자 입력음을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원의 일부분에 상응하는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원을 추천 음원으로서 제공하는 추천 음원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보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음에 화성 진행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화성 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악보를 검색하고,
    상기 추천 음원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음이 입력 완료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음이 입력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추천 음원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부분의 나머지 부분을 자동 완성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자동 완성된 부분을 상기 사용자 입력음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악보 및 상기 저장 음원 각각은
    상기 사용자 악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대응 부분 및 상기 대응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악보는
    상기 저장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저장 음원이 재생 중인 부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상기 대응 부분 및 상기 대응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 악보의 음 높이들 간 간격 및 상기 저장 악보의 음 높이들 간 간격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초과하는 상기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와 서로 다른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악보 이미지로부터 저장 악보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 악보 및 상기 저장 음원을 매핑하여 상기 악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7. 삭제
  8. 사용자 입력음 획득부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악보 생성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음에 포함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악보를 생성하는 단계;
    악보 검색부가,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 악보 및 상기 저장 악보에 상응하는 저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악보 갱신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악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악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악보를 갱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음을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추천 음원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쿼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원의 일부분에 상응하는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원을 추천 음원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 악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악보 검색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음에 화성 진행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화성 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악보를 검색하고,
    상기 추천 음원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음이 입력 완료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음이 입력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추천 음원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부분의 나머지 부분을 자동 완성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음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자동 완성된 부분을 상기 사용자 입력음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19834A 2015-08-25 2015-08-25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71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34A KR101713242B1 (ko) 2015-08-25 2015-08-25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34A KR101713242B1 (ko) 2015-08-25 2015-08-25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494A KR20170024494A (ko) 2017-03-07
KR101713242B1 true KR101713242B1 (ko) 2017-03-09

Family

ID=5840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834A KR101713242B1 (ko) 2015-08-25 2015-08-25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59A1 (ko) * 2018-08-22 2020-02-27 이윤정 음악 컨텐츠 생성과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30090164A (ko) 2021-12-14 2023-06-21 천수빈 악보 이미지를 이용한 멜로디 사운드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276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음악 콘텐츠 추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악 콘텐츠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979A (ko) * 2000-12-26 2002-07-06 오길록 내용 기반의 음악 자료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8113B1 (ko) * 2010-12-31 2013-0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입력 음성의 분석을 이용한 작곡 및 기성곡 검색 시스템
KR101368420B1 (ko) 2011-05-02 2014-03-04 백희천 음악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343325B1 (ko) * 2011-11-01 2013-12-23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허밍 기반의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59A1 (ko) * 2018-08-22 2020-02-27 이윤정 음악 컨텐츠 생성과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230090164A (ko) 2021-12-14 2023-06-21 천수빈 악보 이미지를 이용한 멜로디 사운드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494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1630B2 (ja) 感性マッチング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310066A1 (en) Identifying media content for simultaneous playback
JP2007249703A (ja) 配信方法、配信システム、配信装置、携帯端末機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13242B1 (ko) 악보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534475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61129B2 (ja) 歌唱推奨楽曲報知システム
JP6144477B2 (ja) コラボレーション歌唱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3174712A (ja) 携帯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情報提示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6058991B2 (ja) 歌唱音声に対応する歌唱動画選択システム
JP4916945B2 (ja) 楽曲情報付与サーバ、端末、及び楽曲情報付与システム
JP6630628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推奨楽曲提示プログラム
CN106445964B (zh) 音频信息处理的方法和装置
JP6561156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ランキング提供方法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6176934B2 (ja) 歌唱採点順位表示システム
JP5350306B2 (ja) カラオケ選曲装置、カラオケ選曲装置の制御方法、及びカラオケ選曲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情報記録媒体
JP6013879B2 (ja) コラボレーション歌唱システム
JP2015203670A (ja) 歩行支援装置、歩行支援システム、歩行支援方法、及び歩行支援プログラム
JP6121139B2 (ja) カラオケ歌唱映像の歌唱音声選択システム
JP6525841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6545928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ランキング提供方法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201117084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92778B2 (ja) ファイルシステム、ファイル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システム制御方法
JP6257351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661163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用サーバ
JP6699137B2 (ja) データ管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