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809B1 -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809B1
KR101712809B1 KR1020150038352A KR20150038352A KR101712809B1 KR 101712809 B1 KR101712809 B1 KR 101712809B1 KR 1020150038352 A KR1020150038352 A KR 1020150038352A KR 20150038352 A KR20150038352 A KR 20150038352A KR 101712809 B1 KR101712809 B1 KR 10171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oxamer
bone
poly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511A (ko
Inventor
김은진
백인수
김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5003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8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407 20 내지 50 중량부; 폴록사머 403 20 내지 5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뼈 지혈제의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 블록 및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히팅 플레이트(Heating Plate)에서 용융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용융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진공오븐에서 탈포시키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서 탈포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고화시키는 D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조된 뼈 지혈제는 반죽성 및 발림성이 뛰어나 절단되거나 금이 간 뼈로부터의 출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인체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흡수되는 생체 적합성 조성물이므로, 수술 후에 감염, 염증 및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뼈의 치유과정을 저해하거나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뼈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BIOABSORBABLE COMPOSITION FOR BONE HEMOSTA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뼈는 척추동물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신체조직의 한 종류로서, 기본적으로 신체를 지탱하며 뇌나 폐 등 연약한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골격근이 부착 또는 고정되는 부위로 신체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뼈는 골수, 골막, 혈관, 상피, 신경, 연골 및 무기질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을 포함하는 생체 기관으로서, 뼛속의 골수에서 적혈구, 백혈구를 비롯한 혈구를 생성하기도 하며 신체의 무기질 대사에 관여하는 등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술하는 동안 뼈로부터의 과도한 출혈은 수술 부위에 대한 외과 의사의 시야를 나빠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혈이 필요할 수 있고, 수술 후에 감염, 염증 및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3-0153528호(출원일 : 2002. 10. 09, 공고일 : 2003. 08. 14,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뼈 지혈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왁스(Wax)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뼈로부터의 출혈을 효과적으로 단시간에 막고, 상처와 조직에 완전히 부착되어 수분이나 공기의 과다한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뼈로부터의 출혈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는 있었으나, 생체 내에서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감염, 염증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정상적인 뼈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거나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 시에 손상된 뼈로부터의 출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 후에 인체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흡수 가능하며, 정상적인 뼈의 치유과정을 저해하거나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뼈의 재생을 촉진 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407 20 내지 50 중량부; 폴록사머 403 20 내지 5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188 20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의 반복단위가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는 공중합체로서,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형태이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뼈 지혈제의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 블록 및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히팅 플레이트(Heating Plate)에서 용융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용융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진공오븐에서 탈포시키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서 탈포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고화시키는 D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407 20 내지 50 중량부; 폴록사머 403 20 내지 5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188 20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히팅 플레이트에서 75 내지 95℃의 온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용융시키는 단계이다.
아울러, 상기 C단계는 용융된 상기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진공 오븐에서 85 내지 95℃의 온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탈포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뼈 지혈제는 반죽성 및 발림성이 뛰어나 절단되거나 금이 간 뼈로부터의 출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둘째,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인체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흡수되는 생체 적합성 조성물이므로, 수술 후에 감염, 염증 및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뼈의 치유과정을 저해하거나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뼈의 재생을 촉진 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지혈제의 제조방법을 수행한 뼈 지혈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지혈제의 제조방법을 수행한 뼈 지혈제 및 뼈 지혈제의 발림성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뼈 지혈제의 제조방법을 수행한 뼈 지혈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뼈 지혈제의 제조방법을 수행한 뼈 지혈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지혈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생체 흡수성 조성물에 대한 설명 >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외과수술 시 뼈의 출혈을 지혈하기 위한 물리적 보호막을 제공함으로써, 뼈의 표면으로부터의 출혈을 조절하기 위한 국소적 지혈 작용을 하는 생체에 적합한 조성물이다.
이와 같이, 생체에 적합하면서도 생체 흡수성인 조성물은 인체 내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흡수될 수 있으며, 손상된 뼈의 출혈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뼈의 치유과정을 저해하거나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뼈 재생을 촉진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인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407, 폴록사머 403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Polymer)는 유기 화합물의 분자가 중합해서 생성하는 화합물을 말하며, 단일 유형의 단량체(Monomer) 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Homo Polymer)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Copolymer)로 분류되고, 동일한 화학구조의 단위가 여러 번 반복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진 물질이다.
여기서, 공중합체는 구성 성분의 배열구조에 따라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랜덤 공중합체(Random Copolymer), 교호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 Copolymer)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공중합체는 한 가지 단량체가 중합되어 블록을 형성하고 이어서 다른 단량체가 중합되어 블록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반복되어 얻어진 혼합물이며, 랜덤 공중합체는 2개 이상의 단량체가 무질서하게 연결되어 얻어진 혼합물을 말한다.
여기서, 폴록사머(Poloxamer) 407, 폴록사머(Poloxamer) 403, 폴록사머(Poloxamer) 188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 성분의 중량부 및 배열구조에 따라 물성이 다르지만 모두 공중합체이다.
폴록사머(Poloxamer) 407, 403 및 188은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 등에서 제조되는 플루로닉(Pluronic, 등록상표) F-127, P-123 및 F-68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Figure 112015027112643-pat00001
상기 화학식과 같이 폴록사머 407, 403 및 188은 중앙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측면 2개의 폴리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된 트리 블록(Tri-Block) 공중합체이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aba(a=폴리에틸렌글리콜, b=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 블록 공중합체라고도 한다.
여기서, 트리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콜이 중합되어 블록을 형성하고, 이어서 프로필렌글리콜이 중합되어 블록을 형성하며, 그 다음 다시 에틸렌글리콜이 중합되어 블록을 형성하는 공중합체이다.
폴록사머 407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 블록 공중합체는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록사머 407이 20 중량부 미만이거나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죽성 및 발림성이 떨어져 뼈 지혈용으로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폴록사머 407 내 폴리에틸렌글리콜은 101개의 에틸렌글리콜, 56개의 프로필렌글리콜, 101개의 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폴록사머 403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 블록 공중합체는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록사머 403이 20 중량부 미만이거나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죽성 및 발림성이 떨어져 뼈 지혈용으로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폴록사머 403 내 폴리에틸렌글리콜은 20개의 에틸렌글리콜, 70개의 프로필렌글리콜, 20개의 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너무 딱딱하여 반죽하기 어렵고, 쉽게 부러질 수 있어 발림성이 좋지 않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너무 질퍽하여 반죽성이 좋지 않아 왁스(Wax) 형태의 뼈 지혈용으로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의 반복단위가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는 공중합체로서,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형태로 존재한다.
폴록사머 188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 블록 공중합체는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록사머 188이 20 중량부 미만이거나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죽성 및 발림성이 떨어져 뼈 지혈용으로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폴록사머 188 내 폴리에틸렌글리콜은 80개의 에틸렌글리콜, 27개의 프로필렌글리콜, 80개의 에틸렌글리콜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인 폴록사머 407, 폴록사머 403, 폴록사머 188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과 같이, 동일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공중합체를 이루는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각각의 중량부 또는 배열구조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 방법에 대한 설명 >
본 발명에 따른 뼈 지혈제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5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생체 흡수성 조성물 제조 단계<S100>
본 단계에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트리 블록(Tri-Block) 및 랜덤(Random) 공중합체(Co polymer)를 포함하는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는 폴록사머 407 20 내지 50 중량부; 폴록사머 403 20 내지 5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 랜덤 공중합체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188 20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2. 용융 단계<S200>
본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 S100에서 제조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히팅 플레이트(Heating Plate)에서 용융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는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히팅 플레이트에서 75 내지 95℃의 온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용융시키며, 바람직하게는 90℃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충분히 진행하고, 마그네틱 스터러 바(Magnetic Stirrer Bar)를 이용하여 균등하게 교반시킨다.
3. 탈포 단계<S300>
본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 S200에서 용융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진공 오븐에서 탈포(Defoamation)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공기 중의 수분에 민감하므로, 진공 오븐(Vacuum Oven)에서 85 내지 95℃의 온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탈포시키며, 바람직하게는 90℃의 온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탈포시킨다.
이와 같이, 탈포 과정에서 고화가 일어나면 바람직한 성형이 어렵기 때문에 온도를 유지한 채로 진행하여야 한다.
4. 고화 단계<S400>
본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 S300에서 탈포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고화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는 탈포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육안으로 구분하여 충분한 탈포가 되었을 시 진공 오븐에서 꺼내서 소정의 몰드(Mold)에 부어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고화시킨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뼈 지혈제는 공기 중의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파우치(Aluminium Pouch)로 포장한 후에 건조기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4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하기의 표 1 내지 3은 생체 흡수성 조성물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Poly (EG-ran-PG)), 폴록사머 407 및 폴록사머 403의 중량부에 따라 달라지는 뼈 지혈제의 적합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폴록사머 407
(중량부)
폴록사머 403
(중량부)
랜덤 공중합체
(중량부)
적합성
실시예 1 30 30 50 O
실시예 2 30 30 20 O
실시예 3 30 30 30 O
실시예 4 30 30 40 O
비교예 1 30 30 10 X
비교예 2 30 30 60 X
폴록사머 407
(중량부)
폴록사머 403
(중량부)
랜덤 공중합체
(중량부)
적합성
실시예 1 30 20 30 O
실시예 2 30 40 30 O
실시예 3 30 50 30 O
비교예 1 30 10 30 X
비교예 2 30 60 30 X
폴록사머 407
(중량부)
폴록사머 403
(중량부)
랜덤 공중합체
(중량부)
적합성
실시예 1 20 30 30 O
실시예 2 40 30 30 O
실시예 3 50 30 30 O
비교예 1 10 30 30 X
비교예 2 60 30 30 X
상기 표 1에서 비교 실험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 2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뼈 지혈제는 도1 및 도2의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성 및 발림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반면, 표 1에서, 비교예 1 및 2의 중량부로 제조된 조성물은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성 및 발림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뼈 지혈제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상기 표 2에서 비교 실험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403 2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뼈 지혈제는 도1 및 도2의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성 및 발림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반면, 표 2에서, 비교예 1 및 2의 중량부로 제조된 조성물은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성 및 발림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뼈 지혈제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상기 표 3에서 비교 실험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 2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뼈 지혈제는 도1 및 도2의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성 및 발림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반면, 표 3에서, 비교예 1 및 2의 중량부로 제조된 조성물은 도3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성 및 발림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뼈 지혈제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폴록사머 407이 30 중량부이고 폴록사머 403이 30 중량부일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20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폴록사머 407이 30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가 30 중량부일 경우, 상기 폴록사머 403은 20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폴록사머 403이 30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가 30 중량부일 경우, 상기 폴록사머 407은 20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의 반복단위가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는 공중합체로서,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 블록 및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히팅 플레이트(Heating Plate)에서 75 내지 95℃의 온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용융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용융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진공 오븐에서 85 내지 95℃의 온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탈포(Defoamation)시키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서 탈포된 생체 흡수성 조성물을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고화시키는 D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은,
    폴록사머 407이 30 중량부이고 폴록사머 403이 30 중량부일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20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폴록사머 407이 30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가 30 중량부일 경우, 상기 폴록사머 403은 20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폴록사머 403이 30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가 30 중량부일 경우, 상기 폴록사머 407은 20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공중합체는 각각의 반복단위가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는 공중합체로서,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지혈제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38352A 2015-03-19 2015-03-19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1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52A KR101712809B1 (ko) 2015-03-19 2015-03-19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52A KR101712809B1 (ko) 2015-03-19 2015-03-19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11A KR20160112511A (ko) 2016-09-28
KR101712809B1 true KR101712809B1 (ko) 2017-03-08

Family

ID=5710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352A KR101712809B1 (ko) 2015-03-19 2015-03-19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96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항생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골 지혈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4921B1 (ko) * 2022-10-28 2024-01-12 김선종 반려동물용 왁스형 지혈제 조성물을 내포하는 골무형 지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069B1 (ko) * 2017-11-28 2019-06-18 ㈜솔시온바이오메디칼 뼈 지혈용품 조성물
KR102220832B1 (ko) * 2018-12-13 2021-02-25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독성이 감소된 생체흡수성 뼈 지혈제의 제조방법
KR102211765B1 (ko) * 2019-01-15 2021-02-03 주식회사 테라시온바이오메디칼 흡수성 골 지혈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 지혈재 제조방법
KR102133503B1 (ko) * 2019-08-19 2020-07-13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골지혈제용 생체 적합성 조성물, 이를 사용하는 치료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4510A1 (en) * 2005-12-30 2007-07-05 Wilcher Steve A Adsorbent-Containing Hemostatic Devices
JP5634754B2 (ja) * 2010-06-03 2014-12-03 智広 梅田 骨止血組成物
ES2961982T3 (es) * 2011-10-28 2024-03-14 Baxter Int Composiciones para hemostasia ósea, y métodos para su fabricació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096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항생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골 지혈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4921B1 (ko) * 2022-10-28 2024-01-12 김선종 반려동물용 왁스형 지혈제 조성물을 내포하는 골무형 지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11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809B1 (ko)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6095675B2 (ja) 骨止血のための非水性組成物、およびそれらを使用し、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014533988A5 (ko)
EP1596767A2 (en) Random and non-random alkylene oxide polymer alloy compositions
JP2013543748A (ja) 医療用吸収性骨創傷止血材及びその調製方法
US20040157954A1 (en) Bone cement composition
US9616150B2 (en) Bone hemostasis method and materials
WO2021179495A1 (zh) 一种双亲性嵌段共聚物、可吸收骨蜡及制法
KR101990069B1 (ko) 뼈 지혈용품 조성물
EP1231869B1 (en) Bone hemostasis method and materials
KR102211765B1 (ko) 흡수성 골 지혈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 지혈재 제조방법
KR102220832B1 (ko) 세포 독성이 감소된 생체흡수성 뼈 지혈제의 제조방법
KR101089126B1 (ko)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