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126B1 -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 - Google Patents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126B1
KR101089126B1 KR1020080123277A KR20080123277A KR101089126B1 KR 101089126 B1 KR101089126 B1 KR 101089126B1 KR 1020080123277 A KR1020080123277 A KR 1020080123277A KR 20080123277 A KR20080123277 A KR 20080123277A KR 101089126 B1 KR101089126 B1 KR 101089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one cement
polymethylmethacrylate
toluidine
di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713A (ko
Inventor
황승주
최정길
정인화
이세민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나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나메디칼 filed Critical (주) 코리아나메디칼
Priority to KR102008012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1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6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외과에서 인체 내에 삽입, 시술되는 각종 인공삽입물을 고정 및 접착시키기 위한 골 시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3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20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50 중량%,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15∼25 중량% 및 알루민산칼슘 5∼1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골 시멘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알루민산칼슘, 벤조일 페록사이드, 황산바륨, N,N-디메틸-P-톨루이딘, 하이드로퀴논

Description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Polymer Line Bone Cement}
본 발명은 정형외과에서 인체 내에 삽입, 시술되는 각종 인공삽입물을 고정 및 접착시키기 위한 골 시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인공삽입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골 시멘트의 경화시간을 충분하게 확보하고 골 시멘트가 경화 반응할 때 반응온도를 낮추어 주위의 생체조직의 괴사를 막는 한편, 인공삽입물이 생체조직에 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분자계 골 시멘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관절부위, 척추 및 뼈의 손상으로 인하여 슬관절이나 고관절의 전치환술 및 재수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으며 또한 척추 및 뼈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인공물을 체내에 삽입, 시술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체내에 시술되는 인공물은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골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다.
골 시멘트는 고분자계와 인산칼슘 및 바이오 세라믹 등의 세라믹계로 대별할 수 있다. 세라믹 계 골 시멘트는 각종 인산칼슘(아파타이트 포함) 및 생체적합성을 구비한 바이오 세라믹 등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며 인체조직과의 생체 적합성이 우수해서 뼈의 결손부위 치료물 및 대체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강도 등의 물성이 낮아서 임플란트 등의 인공물의 고정에는 고분자계 골 시멘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고분자계 골 시멘트는 분말형태의 고상(固狀)과 액상(液狀)으로 나누어져 있고 시술할 때에는 이들 고상과 액상을 혼합하여 죽상(粥狀)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고상인 분말의 주성분으로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등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상용 제품도 있다. 또한 고상의 보조성분으로서는 액상의 중합용 개시제로서 벤조일 페록사이드(benzoyl peroxide)가 첨가되며 X-ray에 대한 불투명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방사선 조영제인 황산바륨이나 산화지르코늄이 주로 사용된다. 그 밖에 수술시 세균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로서 젠타마이신 등을 첨가한다.
액상의 주성분은 단량체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주종을 이루고 또한 점결제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밖에 중합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활성화제로서 N,N-디메틸-P-톨루이딘(또는 디메틸아미노페닐 에타놀)이 첨가되기도 한다. 추가적으로 골 시멘트를 보관 중에 중합반응을 억제하는 안정화제로서 하이드로퀴논을 미량 첨가한다.
고상과 액상을 서로 혼합하게 되면 고상에 있는 중합개시제 벤조일 페록사이드와 액상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서로 만나 고분자 중합을 수행하며, 중합촉진제 N,N-디메틸-P-톨루이딘(또는 디메틸아미노페닐 에타놀)은 중합이 빨리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반응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죽상의 시멘트는 고분자 중합에 의하여 고형화되며 인공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고분자계 골 시멘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반응시 1몰 당 약 57킬로쥴의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 열로 인하여 골 시멘트 자체의 온도가 60∼85℃의 고온으로 승온되며 실제 인체 내에 적용시 뼈와 시멘트 사이의 계면에서 40∼47℃에 달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은 계면에서의 체세포의 괴사를 유발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고온으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경화시간이 3∼6분 정도로 짧아서 인공물을 시술할 때 때때로 골 시멘트의 경화반응이 진행돼서 점도가 증가하고 골 시멘트의 성능이 열화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골 시멘트의 강도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경화반응을 할 때 최고 온도가 65℃ 이하가 되도록 유지하며 경화시간을 4∼12분정도로 연장시키고 인체조직과의 생체 적합성이 확보될 수 있는 골 시멘트의 조성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시멘트는 경화시간을 늦추어서 시술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게 되며 또한 중합반응시 온도가 낮아서 체세포의 괴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칼슘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인체조직과의 융합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고분자계 골 시멘트의 조성을 일부 변경, 개선함으로써 골 시멘트가 경화반응을 할 때 최고 온도가 65℃ 이하가 되도록 하며 경화시간을 연장시켜서 시술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또한 골 시멘트가 인체조직과 융합할 수 있는, 생체 적합성을 구비할 수 있는 골 시멘트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골 시멘트가 경화반응을 할 때 발열 온도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입자크기에 크게 좌우된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제품의 입도는 대략 10∼15μm범위에 있는 바, 이와 같은 입자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제품을 사용한 결과 상기와 같이 높은 발열온도를 가져온다는 것을 여러 차례의 실험결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입자크기가 더 조대한 것을 사용해서 30∼120μm범위의 것으로서 특히 50μm이상의 것이 70%이상을 점유하도록 입도조절을 행하였다. 즉, 3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30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7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골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이처럼 조대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게 되면 골 시멘트의 경화시간이 3∼6분에서 4∼12분정도로 길어지며 경화시 최고 온도가 60∼85℃에서 40∼65℃로 낮아지게 되어서 인체 세포의 괴사현상이 거의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조대한 입자를 사용하면 기존의 미세 입자보다 표면적이 작아져서 액상을 적게 첨가해도 점도가 유사해지는 특징이 나타나게 되므로 액상 대 고상의 혼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액상과 고상의 혼합비는 일반적인 고분자계 시멘트에서 0.45ml/g이상을 추천하고 있으며 그 상한은 1.0ml/g이다.
그러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강도가 커서 인공 삽입물을 강력하게 고정시켜 주는 장점은 있지만 인체조직과의 융합성이 전혀 없으므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골 시멘트는 단지 인체 내에 삽입된 인공물의 고정물로서의 역할만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골 시멘트와 인체조직과의 융합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 과제는 칼슘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칼슘계 화합물로서는 인산 칼슘계 화합물인 알파형 및 베타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Ca3(PO4)2)와 알루민산 칼슘 (CaO·Al2O3이)이 있으며, 인산 칼슘계 화합물과 알루민산 칼슘을 혼합하여 첨가한다.
알루민산 칼슘은 고온에서 소결한 것이 적당하고 두 물질의 입도는 2∼10μ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 칼슘계 화합물과 알루민산 칼슘의 혼합비는 인산 칼슘계 화합물이 50∼75 중량%, 알루민산 칼슘이 25∼50 중량%이며, 전체 고상 분말 중에서는 인산 칼슘계 화합물과 알루민산 칼슘의 합이 24∼32 중량%를 점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된 칼슘계 화합물을 상기 고분자계 골 시멘트에 혼합하여 골 시멘트를 제작하였다. 즉, 3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20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50 중량%,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15∼25 중량% 및 알루민산칼슘 5∼1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골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보다 입자가 조대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고분자계 골 시멘트에 칼슘계 화합물을 첨가한 결과 경화시간이 길어지고 최고온도가 크게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술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 중합반응시 온도가 낮아서 체세포의 괴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시술 후 골 시멘트 주위에 새로 형성된 뼈 조직이 관찰되었고 뼈와 밀접한 골 유합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입자크기가 10∼50μm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기존의 고분자계 골 시멘트에 칼슘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골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즉, 입자크기가 1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70 중량%,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15∼25 중량% 및 알루민산칼슘 5∼1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 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골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에도 기존의 고분자계 골 시멘트에 비하여 경화시간이 크게 길어지고 또 최고온도도 크게 낮아졌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30∼50μm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3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5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2 중량% 및 황산바륨 10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하는 한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8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2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하였다.
이어 상기 고상과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한 후 경화시간과 최고 온도를 측정하였다. 경화시간(단면적이 1mm2인 비카트 니들장치에서 300g 적용) 및 최고온도 (디지탈 온도계 사용)측정은 ISO 5833(부록C)에 따라서 진행되었으며 액상과 고상의 비는 0.50ml/g을 사용했으며 5개 시편중에서 최저 및 최고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 시편의 평균값을 제시하였다.
실시예 2
3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5 중량%,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21 중량% 및 알루민산칼슘 7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2 중량% 및 황산바륨 10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8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2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골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이어 상기 고상과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한 후 경화시간과 최고 온도를 실시예 1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입자 크기가 10∼50μm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 중량%,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21 중량% 및 알루민산칼슘 7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2 중량% 및 황산바륨 10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하는 한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8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2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하였다.
이어 상기 고상과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한 후 경화시간과 최고 온도를 실시예 1과 같이 측정하였다.
비교예 1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입자크기가 10∼50μm로서 기존의 고분자계 골 시멘트 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동일한 액/고비인 0.50ml/g을 사용하여 혼합했으며 점도 측정은 하지 않았지만 실시예 1의 점도가 비교예 1의 점도보다 낮은 것이 관찰됐으며 그 이유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입자가 커서 액상이 적게 소요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는 실시예 1∼3과 비교예 1의 경화시간과 최고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 표 >
경화시간(분) 최고 온도(℃)
실시예 1 9.7 61.4
실시예 2 11.8 54.5
실시예 3 8.5 58.9
비교예 1 4.6 84.2
실시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입자크기가 기존의 것에 비하여 큰 것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만으로도 기존의 고분자계 골 시멘트보다 경화시간이 2배 정도로 연장됨으로써 충분한 시술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최고온도가 20℃ 정도 낮아져서 체세포의 괴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존의 고분자계 골 시멘트에 칼슘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첨가한 것(실시예 3)만으로도 경화시간이 획기적으로 연장되고 최고온도도 25℃ 정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입자가 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고분자계 골 시멘트에 칼슘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첨가한 것(실시예 2)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조일 페록사이드 및 황산바륨을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P-톨루이딘 및 하이드 로퀴논을 혼합한 액상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고분자계 골 시멘트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입자 크기가 30∼12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계 골 시멘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30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7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계 골 시멘트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3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20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50 중량%,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15∼25 중량% 및 알루민산칼슘 5∼1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계 골 시멘트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입자 크기가 10∼50μm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65 중량%,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15∼25 중량% 및 알루민산칼슘 5∼1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계 골 시멘트를 제공한다.

Claims (4)

  1. 삭제
  2. 3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30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7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계 골 시멘트.
  3. 30∼5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20 중량%, 50∼12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50 중량%, 알파형 트리칼슘포스페이트 15∼25 중량% 및 알루민산칼슘 5∼10 중량%, 벤조일 페록사이드 1∼3 중량% 및 황산바륨 9∼12 중량%를 균질화되도록 충분히 혼합한 분말형태의 고상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7∼99 중량%, N,N-디메틸-P-톨루이딘 1∼3 중량% 및 하이드로퀴논 50ppm을 혼합한 액상을 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계 골 시멘트
  4. 삭제
KR1020080123277A 2008-12-05 2008-12-05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 KR101089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277A KR101089126B1 (ko) 2008-12-05 2008-12-05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277A KR101089126B1 (ko) 2008-12-05 2008-12-05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13A KR20100064713A (ko) 2010-06-15
KR101089126B1 true KR101089126B1 (ko) 2011-12-02

Family

ID=4236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277A KR101089126B1 (ko) 2008-12-05 2008-12-05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1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5633A2 (en) * 2005-08-29 2007-03-08 Sanatis Gmbh Bone ce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80044374A1 (en) * 2004-05-14 2008-02-21 Claudine Lavergne Polymer cement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4374A1 (en) * 2004-05-14 2008-02-21 Claudine Lavergne Polymer cement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same
WO2007025633A2 (en) * 2005-08-29 2007-03-08 Sanatis Gmbh Bone ceme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13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61408B1 (en) Improved bone cement
EP1246651B1 (en) Bioactive and osteoporotic bone cement
US20030220414A1 (en) Biocompatible cement compositions and method for filling a skeletal cavity using said cement compositions
AU2011239742B2 (en) Biomaterial
RU2323014C2 (ru) Тепловыделяющие биосовместимые керамические материалы
US20040157954A1 (en) Bone cement composition
JP2005520798A (ja) セラミック材料及び製造方法
US20120195848A1 (en) Strontium-containing bioactive bone cement
Fukuda et al. Bone bonding ability and handling properties of a titania–polymethylmethacrylate (PMMA) composite bioactive bone cement modified with a unique PMMA powder
KR101712809B1 (ko) 뼈 지혈용 생체 흡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S62503148A (ja) 骨セメント
CN101530635A (zh) 一种生物活性骨修复水泥材料
KR101089126B1 (ko) 골 접합용 고분자계 골 시멘트
JP5605618B2 (ja) 骨再生材料キット、ペースト状骨再生材料、骨再生材料及び骨接合材
KR101432207B1 (ko)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 함유 항균 골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4533B1 (ko) 엔-아세틸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골 시멘트의 제조방법
RU2811210C1 (ru) Состав костного цемента для ортопедической и вертебрологической хирургии
Vaidya et al. A slow and sustained release of methotrexate (MTX) from a new polymeric dicalcium phosphate dehydrate cement (P-DCPD)
US20090275671A1 (en) Two component bone cement composition for vertebroplasty
WO2021209747A1 (en) A bone cement
PL223422B1 (pl) Akrylanowy cement kostny
Lan Analyses of Experimental Property Datasets for Poly (Methyl Methacrylate) Bone Cement
Gudapati et al. Multifarious bone cement and its applications in endodontics–A review
Cements et al. Cement (PM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