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600B1 -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600B1
KR101712600B1 KR1020150147743A KR20150147743A KR101712600B1 KR 101712600 B1 KR101712600 B1 KR 101712600B1 KR 1020150147743 A KR1020150147743 A KR 1020150147743A KR 20150147743 A KR20150147743 A KR 20150147743A KR 101712600 B1 KR101712600 B1 KR 10171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mera module
jig
fixing
fix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환
Original Assignee
(주)일송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송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일송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4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에 대량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배열, 공급 및 낙하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정밀하게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도금 공정의 속도 및 생산성을 증대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Automatic setting device of cover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에 대량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배열, 공급 및 낙하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정밀하게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도금 공정의 속도 및 생산성을 증대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수요와 더불어 관련 부품 생산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용 내부에 설치되는 금속부품의 경우 습기등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식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외면을 니켈 도금처리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카메라 부품 중 카메라 모듈을 지지고정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일예로 들 수 있는데, 상기한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 내에 침지하여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도금하게 된다.
이때, 도금조 내부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침지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전면(全面)이 용이하게 도금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고정지그에 고정한 후 이를 도금조 내에 침지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1000)는 중앙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삽입되는 제 1 개구(1110)가 형성되고 개구가 형성된 내주연의 일측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양측단부 하측이 지지되는 고정홈(1120)이 형성된 제 1 도금지그(1100)와, 제 1 도금지그(110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개구(1110)와 대응되는 일측에 제 1 개구(1110)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2 개구(1210)가 형성되며 저면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양측단부 상측을 지지하는 제 2 도금지그(1200) 및 제 1 도금지그(1100)와 제 2 도금지그(1200) 일측에 결합되어 제 1 도금지그(1100)와 제 2 도금지그(1200)를 결합하는 클립부재(13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1000)는 제 1 개구(1110) 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양측단부 하측이 제 1 도금지그(1100)의 고정홈(1120)에 지지하고, 제 1 도금지그(1100)의 상면에 제 2 도금지그(1200)를 배치함과 아울러 제 1 도금지그(1100)와 제 2 도금지그(1200) 일측에 클립부재(1300)를 결합함에 따라 제 2 도금지그(1200)의 내주연 일측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양측단부 상측을 지지,고정하여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수직배치된 상태로 도금조에 침지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전면에 도금액이 용이하게 도금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용 커버는 해당 카메라 모듈의 형상에 따라 기본 플레이트 형상에서 일측이 다수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작업자가 핀셋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제 1 도금지그(1100)에 지지해야 하는 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형상에 의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양측단부를 제 1 도금지그(1100)의 고정홈(1120)에 지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제 1 도금지그(1100)에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지지하였다 하더라도 제 1 도금지그(1100)의 상면에 제 2 도금지그(12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홈(1120)에 지지된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 중 일부가 고정홈(1120)으로부터 이탈하여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2a 및 도 2b는 이러한 종래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 10-2014-0121910호를 통해 안출한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10)는 몸체부(11)와, 지지돌기부(12)와, 유동방지부(13)와, 이송돌기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도금지그(20)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 1 도금지그(20)에 제 2 도금지그(3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제 1 도금지그(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도금작업을 위해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형태로 안출된 카메라 모듈용 커버 고정지그일 지라도, 실제 도금 공정의 전 단계에서 각각의 부품(카메라 모듈용 커버)을 한개씩 핀셋으로 고정지그에 안착시키는 수동 방식을 사용할 경우 월 1000만개 이상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정에서는 매우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다. 현재까지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도금공정을 위해 고정지그에 안착시키는 작업은 부품을 다양하게 구비해야 하는 문제와 비용적인 부분 및 정밀성을 이유로 자동화 구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생산성 증대를 위해서는 반드시 이에 대한 자동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에 대량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배열, 공급 및 낙하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정밀하게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도금 공정의 속도 및 생산성을 증대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도금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고정지그의 고정홈에 안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용하여 정방향으로 배열하는 커버 배열부; 상기 커버 배열부에서 배열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상기 고정지그 측으로 이송가이드를 따라 이송하는 커버 이송부; 상기 커버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용하여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는 커버 안착부; 및 상기 커버 안착부에서 순차적으로 낙하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상기 각 고정홈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낙하시간 간격과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커버 안착부의 하단측에서 상기 고정지그를 수평 이송시키는 고정지그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배열부는 고주파에 의한 진동을 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방향을 균일하게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버 이송부는 상기 커버 배열부에서 정방향 배열에 실패한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 이송부는 상기 이송가이드를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절곡부가 걸린 채로 이송될 수 있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정방향 배열에 실패하여 상기 걸림턱부에 상기 절곡부가 걸리지 않은 카메라 모듈용 커버는 이송 도중 상기 이송가이드에서 이탈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 안착부 및 상기 고정지그 이송부는 상호 연결된 연속 캠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커버 안착부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한개씩 낙하되는 동작과, 상기 고정지그가 상기 고정홈 한칸 간격만큼 이송하는 동작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는 상면 일측에 안착면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 상기 안착면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으로부터 복수개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 사이영역과 대응되는 일측에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고정홈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에 대량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배열, 공급 및 낙하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정밀하게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정지그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작업으로 안착시킬 때에 비해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작업 시에는 도금 공정이 완료된 후에야 불량 판별이 가능했으나, 자동화 구현을 통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형상 불량 선별율을 높임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품질 경쟁력 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종래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유닛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에 제1 도금지그와, 제2 도금지그 및 클립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가 안착부에서 이송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가 안착부에서 이송되면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낙하 및 안착되는 동작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 고정홈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안착되어 양 측단부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 고정홈에 제 1 도금지그와 제 2 도금지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서 언급하였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에 제1 도금지그와, 제2 도금지그 및 클립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10)는 몸체부(11), 지지돌기부(12), 유동방지부(13) 및 이송돌기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10)는 상면 일측에 제 1 도금지그(20)가 배치되는 안착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11)는 대략 길이를 갖는 블럭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지지돌기부(12), 유동방지부(13) 및 이송돌기부(14)의 형성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면 일측에 후술하는 클립부재(40)가 통과할 수 있는 깊이의 통과홈(11a)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1)는 후술하는 지지돌기부(12)와 지지돌기부(12) 사이와 대응되는 일측에 고정홈(11b)이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의 꼭지점이 고정홈(11b)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후술하는 지지돌기부(12)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고정홈(11b)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고정홈(11b)이 형성된 몸체부(11)의 내면 일측이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고정홈(11b)에 기울지게 삽입되더라도 하부의 넓은 공간을 제공하여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고정홈(11b)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돌기부(1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몸체부(1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의 꼭지점이 고정홈(11b)으로 삽입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지지돌기부(12)가 각각 카메라 모듈의 양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돌기부(12)는 상부 일측으로부터 고정홈(11b) 방향으로 경사면(12a)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 의해 고정홈(11b) 방향으로 인입되는 카메라 모듈이 경사면(12a)을 따라 고정홈(11b)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방지부(13)는 몸체부(11)의 상부 일측과 지지돌기부(12) 사이에 고정홈(11b)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제 1 도금지그(20)의 내주연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1 도금지그(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돌기부(14)는 몸체부(11)의 측부 일측으로부터 몸체부(1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일측에 치차(14a)가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부(11)를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한 치차(14a)가 외부의 이송수단과 연결되어 이송력을 제공받아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10)를 이용하여 제 1 도금지그(20)와, 제 2 도금지그(30)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플레이트 형상에 지지돌기부(12) 및 유동방지부(13)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개구가 각각 형성된 제 1 도금지그(20)와 제 2 도금지그(30)가 고정지그(10) 상면에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양측단부 하측과 상측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클립부재(40)는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제 1 도금지그(20)와 제 2 도금지그(30)에 지지되어 제 2 도금지그(30)와 제 1 도금지그(2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도금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고정지그(10)의 고정홈에 안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자동 안착 장치(100)는, 커버 배열부(110), 커버 이송부(120), 커버 안착부(130) 및 고정지그 이송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커버 배열부(110)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용하여 정방향으로 배열한다. 카메라 모듈용 커버는 얇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에 붙어 있는 두 모서리부가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방향을 통일시킬 수 있도록 배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100)에서 커버 배열부(110)는 달팽이관 형상의 수용함(111)에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용시킨 후 고주파에 의한 진동을 연속적으로 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방향을 균일하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 배열부(110) 내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태의 가이드를 지나면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이 되고 곧바로 커버 이송부(120)에서는 배열된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고정지그(10) 측으로 이송가이드(121)를 따라 이송한다.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이송은 커버 배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력에 의해 후위의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선행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밀어줌으로써 이루어진다.
커버 안착부(130)에서는 커버 이송부(120)를 통해 이송된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하나씩 수용하여 순차적으로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지그(10) 측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지그 이송부(140)에서는 커버 안착부(130)에서 순차적으로 낙하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고정지그(10)의 각 고정홈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낙하시간 간격과 대응하는 속도로 커버 안착부(130)의 하단측에서 고정지그(10)를 수평 이송시킨다.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가 안착부에서 이송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가 안착부에서 이송되면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낙하 및 안착되는 동작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100)에서 커버 이송부(120)는 상기 커버 배열부(110)에서 정방향 배열에 실패한 카메라 모듈용 커버(C)를 이탈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커버 이송부(120)는 이송가이드(121)를 따라 카메라 모듈용 커버(C)의 절곡부(CF)가 걸린 채로 이송될 수 있도록 걸림턱부(122)가 형성되어, 정방향 배열에 실패하여 걸림턱부(122)에 절곡부(CF)가 걸리지 않은 카메라 모듈용 커버(C)는 이송 도중 이송가이드(121)에서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커버 안착부(130) 및 상기 고정지그 이송부(140)는 상호 연결된 연속 캠 방식을 사용하여 커버 안착부(130)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C)가 한개씩 낙하되는 동작과, 고정지그(10)가 고정홈(11b) 한칸 간격만큼 이송하는 동작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버 이송부(120)에 절곡부가 걸린 채로 이송해 오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C)는 커버 안착부(130)에 도달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용 커버(C)의 절곡부(CF) 일측을 커버 안착부(130) 내부 일측에 형성된 누름핀(미도시)이 밀어줌으로써 순서대로 한개씩 낙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누름핀이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절곡부(CF)를 밀어주게 되는 동작이 커버 안착부(130) 일측에 형성된 상부캠(131)이 회전함에 의해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부캠(131)은 기어부(133) 등을 통해 하부캠(132)과 이어지는데, 하부캠(132)에는 고정지그 이송부(140)에서 일방향으로 전진하고 있는 고정지그(10)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시켜줄 수 있는 누름돌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누름돌기가 고정지그 이송부(140)의 측면 일측에서 하부캠(132)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시간 간격을 두고 돌출 동작을 함으로써 고정지그(10)의 치차(14a)를 눌러 전진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캠(131) 및 하부캠(132)이 기어부(133)를 통해, 혹은 직접 연동되는 구조를 택하기 때문에 커버 안착부(130)에서 누름핀을 통해 카메라 모듈용 커버(C)를 밀어서 낙하시키는 동작과, 고정지그 이송부(140)에서 고정지그(10)가 고정홈 한칸 간격만큼 이송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고정홈(11b) 한칸마다 카메라 모듈용 커버(C) 한개씩 인입이 가능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 고정홈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안착되어 양 측단부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 고정홈에 제 1 도금지그와 제 2 도금지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삭제
삭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10)에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안착되어 있는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삭제
먼저, 제 1 도금지그(20)를 안착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커버 안착부에서 카메라 모듈용 커버(C)가 몸체부(11)의 고정홈(11b) 방향으로 인입되면, 카메라 모듈용 커버는 지지돌기부(12)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12a)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홈(11b)방향으로 유도되어 고정홈(11b)에 삽입된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용 커버(C)는 고정홈(11b)에 삽입된 카메라 모듈용 커버(C)의 양측단부가 제 1 도금지그(20)의 지지홈(22)에 지지됨에 따라 고정홈(11b)에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유동방지부(13)의 외면 일측이 제 1 개구(21)가 형성된 제 1 도금지그(20)의 내주연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1 도금지그(2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후, 제 2 도금지그(30)를 제 1 도금지그(20)의 상면에 안착하여 제 2 도금지그(30)의 저면 일측이 카메라 모듈용 커버(C)의 양측단부 상측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클립부재(40)의 개방된 단부 일측을 제 2 도금지그(30)와 제 1 도금지그(20)에 삽입함으로써 제 2 도금지그(30)와 제 1 도금지그(2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 2 도금지그(30)와 제 1 도금지그(20)에 의해 카메라 모듈용 커버(C)가 지지되면 제 2 도금지그(30)가 결합된 제 1 도금지그(20)를 몸체부(11)로부터 탈거한 후 도금조 내에 침지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고정지그 11 : 몸체부
11a : 통과홈 11b : 고정홈
12 : 지지돌기부 12a : 경사면
13 : 유동방지부 14 : 이송돌기부
14a : 치차 20 : 제1 도금지그
30 : 제2 도금지그 40 : 클립부재
100 : 자동 안착 장치
110 : 커버 배열부 111 : 수용함
120 : 커버 이송부 121 : 이송 가이드
122 : 걸림턱부
130 : 커버 안착부 131 : 상부캠
132 : 하부캠 133 : 기어부
140 : 고정지그 이송부

Claims (7)

  1.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도금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고정지그의 고정홈에 안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자동 안착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용하여 정방향으로 배열하는 커버 배열부;
    상기 커버 배열부에서 배열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상기 고정지그 측으로 이송가이드를 따라 이송하는 커버 이송부;
    상기 커버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수용하여 순차적으로 낙하시키는 커버 안착부; 및
    상기 커버 안착부에서 순차적으로 낙하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각각의 상기 고정홈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낙하시간 간격과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커버 안착부의 하단측에서 상기 고정지그를 수평 이송시키는 고정지그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안착부 및 상기 고정지그 이송부는
    상호 연결된 연속 캠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커버 안착부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한개씩 낙하되는 동작과, 상기 고정지그가 상기 고정홈 한칸 간격만큼 이송하는 동작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배열부는
    고주파에 의한 진동을 가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방향을 균일하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이송부는
    상기 커버 배열부에서 정방향 배열에 실패한 카메라 모듈용 커버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이송부는
    상기 이송가이드를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절곡부가 걸린 채로 이송될 수 있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정방향 배열에 실패하여 상기 걸림턱부에 상기 절곡부가 걸리지 않은 카메라 모듈용 커버는 이송 도중 상기 이송가이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상면 일측에 안착면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 상기 안착면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으로부터 복수개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지지돌기부와 상기 지지돌기부 사이영역과 대응되는 일측에 상기 카메라 모듈용 커버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KR1020150147743A 2015-10-23 2015-10-23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KR10171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43A KR101712600B1 (ko) 2015-10-23 2015-10-23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43A KR101712600B1 (ko) 2015-10-23 2015-10-23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600B1 true KR101712600B1 (ko) 2017-03-07

Family

ID=5841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743A KR101712600B1 (ko) 2015-10-23 2015-10-23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761B1 (ko) * 2018-05-29 2019-02-14 브이엠텍(주) 휴대폰 카메라 커버 전착용 지그 조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673A (ko) * 2010-11-25 2012-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적층장치
KR20140038167A (ko) * 2012-09-20 2014-03-2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금속호일 부착장치 및 방법
KR101501938B1 (ko) * 2014-09-15 2015-03-13 (주)일송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673A (ko) * 2010-11-25 2012-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적층장치
KR20140038167A (ko) * 2012-09-20 2014-03-2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금속호일 부착장치 및 방법
KR101501938B1 (ko) * 2014-09-15 2015-03-13 (주)일송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761B1 (ko) * 2018-05-29 2019-02-14 브이엠텍(주) 휴대폰 카메라 커버 전착용 지그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459B2 (en) Clamper and holding jig including same
KR101381071B1 (ko) 포지셔닝 지그 및 위치 조정 방법
KR102074338B1 (ko) 기판 홀더 및 도금 장치
KR100715189B1 (ko) 일회용 가스 라이터의 인서트 조립 장치
CN106507658A (zh) 部件安装装置
JP2009026963A (ja) バスケット、被保持体取り出し装置及び取り出し方法
TW201335502A (zh) 軸承組件裝配裝置
KR101712600B1 (ko)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자동 안착 장치
US10052728B2 (en) Assembl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KR101501938B1 (ko)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고정지그
JP6973839B1 (ja) Oリング組付け機構及びoリング組付け方法
KR101686630B1 (ko) 카메라 모듈용 커버의 급송 장치
JP2018022730A (ja) リードフレーム搬送装置及びリードフレームの搬送方法
CN211414865U (zh) 一种万能夹具及包含万能夹具的流水线
JP7035793B2 (ja) はんだ付け装置、及び、はんだ付け方法
JP2007239045A (ja) めっき治具とそれを用いためっき方法およびめっき装置
JP3900166B2 (ja) 部品実装基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701261B1 (ko) 이중 오링의 결합장치
KR20160039487A (ko) 엔에프씨 자동 납땜 장치
CN105319219B (zh) 不良检查系统及其方法
CN204280581U (zh) 自动送料装置
KR20190058513A (ko) 워크 유지 지그 및 워크 유지 지그에 대한 워크 장착 방법
JPWO2020105524A1 (ja) 治具搬送部材並びに表面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409579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処理装置
JP2018125356A (ja) 基材の搬送装置及び基材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