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466B1 - 신규의 에프엑스알(엔알 1에이치4) 결합 및 활성 조절 화합물 - Google Patents

신규의 에프엑스알(엔알 1에이치4) 결합 및 활성 조절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466B1
KR101712466B1 KR1020127006908A KR20127006908A KR101712466B1 KR 101712466 B1 KR101712466 B1 KR 101712466B1 KR 1020127006908 A KR1020127006908 A KR 1020127006908A KR 20127006908 A KR20127006908 A KR 20127006908A KR 101712466 B1 KR101712466 B1 KR 10171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yclopropyl
mmol
pheny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574A (ko
Inventor
클라우스 크레모저
울리히 아벤
크리스토프 슈티네크
올라프 킨첼
Original Assignee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21,2,3-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2Ox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3Ox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4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 C07D249/06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with ar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Vi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R1 H4 수용체(RXR)에 결합하고 상기 NR1 H4 수용체(FXR)의 작용물질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에 의한 상기 핵 수용체의 결합을 통해 질병 및/또는 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 및 상기 화합물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의 에프엑스알(엔알 1에이치4) 결합 및 활성 조절 화합물{NOVEL FXR(NR 1H4) BINDING AND ACTIVITY MODULATING COMPOUNDS}
본 발명은 NR1H4 수용체(FXR)에 결합하고 상기 NR1H4 수용체(FXR)의 작용물질 또는 조절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에 의한 상기 핵 수용체의 결합을 통해 질병 및/또는 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세포 유기체들은 세포와 신체 구획 간 정보 전달의 진보된 기전에 의존한다. 전송되는 상기 정보는 대단히 복잡할 수 있으며 세포 분화, 증식 또는 복제에 관련된 유전자 프로그램의 변경을 생성시킬 수 있다. 신호 또는 호르몬은 종종 펩타이드, 지방산 또는 콜레스테롤 유도체와 같은 저 분자량 분자들이다.
이들 신호 중 다수는 최종적으로 특정 유전자의 전사를 바꿈으로써 효과를 생성시킨다. 다양한 신호들에 대한 세포의 반응을 매개하는 잘 연구된 하나의 단백질 그룹은 핵 수용체(이후부터 종종 "NR"이라 지칭된다)로서 공지된 전사 인자의 패밀리이다. 상기 그룹의 구성원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타민 D, 엑디손, 시스 및 트랜스 레티노산, 갑상선 호르몬, 담즙산, 콜레스테롤-유도체, 지방산(및 다른 퍼옥시솜 증식인자)에 대한 수용체뿐만 아니라 소위 희귀 수용체(상기 그룹의 다른 구성원들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이에 대한 리간드는 없는 것으로 공지된 단백질)를 포함한다. 희귀 수용체는 세포에서 미지의 신호 경로를 가리키거나 또는 리간드 활성화 없이 작용하는 핵 수용체일 수도 있다. 이들 희귀 수용체 중 일부에 의한 전사의 활성화는 외부 리간드의 부재 하에서 및/또는 세포 표면으로부터 기원하는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서 발생할 수 있다(D. Mangelsdorf et al.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the second decade", Cell 1995, 83(6), 835-839; R. Evans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a rosetta stone for physiology" Mol. Endocrinol. 2005, 19(6), 1429-1438).
일반적으로, 3 개의 작용성 도메인이 NR에서 정의되었다. 아미노 말단 도메인은 일부 조절 작용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도메인에 이어서 DNA-결합 도메인(이후부터 "DBD"로서 지칭된다)이 있으며, 이는 대개 2 개의 아연 집게 요소를 포함하고 반응성 유전자의 프로모터 내에 있는 특정한 호르몬 반응성 요소(이후부터 "HRE"로서 지칭된다)를 인식한다. 상기 "DBD" 중의 특정한 아미노산 잔기들은 DNA 서열 결합 특이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 Schena "Mammalian glucocorticoid receptor derivatives enhance transcription in yeast", Science 1988, 241(4868), 965-967). 리간드 결합 도메인(이후부터 "LBD"로서 지칭된다)이 공지된 NR의 카복시-말단 영역에 있다.
호르몬의 부재 하에서, 상기 LBD는 상기 DBD와 그의 HRE의 상호작용을 방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호르몬 결합은 상기 NR의 형태 변화를 생성시키고 따라서 상기 간섭을 시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A. Brzozowski et al. "Molecular basis of agonism and antagonism in the oestrogen receptor" Nature 1997, 389(6652), 753-758). 상기 LBD가 없는 NR은 전사를 낮은 수준이지만 본질적으로 활성화한다.
보조활성제 또는 전사 활성제가 기본 전사 기구인 서열 특이적 전사 인자들 사이를 가교하고 또한 표적 세포의 염색질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안된다. SRC-1, ACTR 및 Grip1과 같은 여러 가지 단백질들이 리간드 증대된 방식으로 NR과 상호작용한다(D. Heery et al. "A signature motif in transcriptional co-activators mediates binding to nuclear receptors" Nature 1997, 387(6634), 733-736; T. Heinzel et al. "A complex containing N-CoR, mSin3 and histone deacetylase mediates transcriptional repression" Nature 1997, 387(6628), 16-17; K. Nettles, G. Greene "Ligand control of coregulator recruitment to nuclear receptors" Annu. Rev. Physiol. 2005, 67, 309-333).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같은 핵 수용체 조절인자는 세포 내 수용체에 결합하고 핵 수용체-리간드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특정 세포의 성장 및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어서 핵 수용체-호르몬 복합체는 특정 유전자의 조절 영역에서 호르몬 반응 요소(HRE)와 상호작용하고 특정한 유전 발현을 변경시킨다(A. Aranda, A. Pascual "Nuclear hormone receptors and gene expression" Physiol. Rev. 2001, 81(3), 1269-1304).
파르네소이드 X 수용체 알파(이후부터 인간 수용체를 지칭할 때 또한 NR1H4로서 종종 지칭된다)는 표적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에 결합할 때 레티노이드 X 수용체와 이종 이량체성 방식으로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원형의 2형 핵 수용체이다(B. Forman et al. "Identification of a nuclear receptor that is activated by farnesol metabolites" Cell 1995, 81(5), 687-693). NR1H4의 관련된 생리학적 리간드는 담즙산이다(D. Parks et al. "Bile acids: natural ligands for an orphan nuclear receptor" Science 1999, 284(5418), 1365-1368; M. Makishima et al. "Identification of a nuclear receptor for bile acids" Science 1999, 284(5418), 1362-1365). 가장 효능 있는 것은 케노데옥시콜산(CDCA)으로, 이는 담즙산 항상성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한다. 파르네솔 및 유도체(함께 파르네소이드라 칭한다)는 처음에, 래트 이종상동성 유전자(orthologue)를 고농도에서 활성화하지만 인간 또는 마우스 수용체는 활성화하지 않는 것으로 개시되었다. FXR은 간에서,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결장, 난소, 부신 및 신장을 포함한 전체 위장 관 전체를 통해서 발현된다. FXR은 세포 내 유전자 발현의 조절 이외에, 사이토킨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15(설치류) 또는 19(원숭이, 인간, J. Holt et al. "Definition of a novel growth factor-dependent signal cascade for the suppression of bile acid biosynthesis" Genes Dev. 2003, 17(13), 1581-1591; T. Inagaki et al. "Fibroblast growth factor 15 functions as an enterohepatic signal to regulate bile acid homeostasis" Cell Metab. 2005, 2(4), 217-225)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주변 분비 및 내분비 신호에 또한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식세포에서 리소솜 운명/생존 인자 타코(Taco)-2의 상향조절을 통한, 세균 또는 원생동물 기생충과 같은 감염성 유기체의 생존에 대한 FXR 활성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제안하는 하나의 출판물이 있다(P. Anandet al. "Downregulation of TACO gene transcription restricts mycobacterial entry/survival within human macrophages" FEMS Microbiol. Lett. 2005, 250(1), 137-144)" 이는 세포 내 세균 또는 기생충 감염, 예를 들어 결핵, 나병, 리슈만편모충증 또는 트리파노소마증, 예를 들어 샤가스병의 치료를 위한 약물 표적으로서 작용하는 FXR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추가적인 연구의 길을 가능케 할 수도 있다.
FXR 조절인자로서 작용하는 소 분자 화합물들이 하기의 공보들에 개시되었다: WO 2000/037077, WO 2003/015771, WO 2004/048349, WO 2007/076260, WO 2007/092751, WO 2007/140174, WO 2007/140183, WO 2008/051942, WO 2008/157270, WO 2009/005998, WO 2009/012125, WO 2008/025539, 및 WO 2008/025540. 추가적인 소 분자 FXR 조절인자들이 최근에 고찰되었다(R. C. Buijsman et al. "Non-Steroidal Steroid Receptor Modulators" Curr. Med. Chem. 2005, 12, 1017-1075).
WO 2000/037077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개시한다: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1
상기 식에서,
X1 은 CH, N이고; X2 는 O 또는 NH이고; R 및 R1 은 독립적으로 H, 저급 알킬, 할로겐, 또는 CF3 이고; R2 는 저급 알킬이고;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저급 알킬, 할로겐, CF3, OH, O-알킬, 또는 O-폴리할로알킬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WO 2000/037077은 화합물 GW4064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2
를 개시하며, 이는 또한 문헌[Maloney et al. "Identification of a chemical tool for the orphan nuclear receptor FXR" J. Med. Chem. 2000, 43(16), 2971-2974]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문헌[Akwabi-Ameyaw et al. "Conformationally constrained Farnesoid X Receptor Agonists: Naphtoic acid-based analogs of GW4064" Bioorg. Med. Chem. Lett. 2008, 18(15), 4339-4343]은 상기 FXR 작용물질의 잠재적인 불안정성을 언급하고 있다. 상기 발행물에 따르면, GW4064는 짧은 혈장 반감기와 함께 낮은 경구 생물학적 이용효능 및 낮은 혈장 노출을 갖는 불량한 약동학을 나타낸다. 더욱이, 상기 분자 및 WO 2000/037077로부터의 관련된 FXR 작용물질의 트랜스-스틸벤 부분은 문헌[Kuo et al. "Induction of drug-metabolizing enzymes and toxicity of trans-stilbene oxide in rat liver and kidney" Toxicology 1981, 22(2), 149-160] 및 [Sugihara et al. "Metabolic activation of the proestrogens trans-stilbene and trans-stilbene oxide by rat liver microsomes", Toxicol. Appl. Pharmacol. 2000, 167(1), 46-54]에서 다루고 있는 바와 같은 잠재적인 톡시코포어(toxicophore)의 문제를 제기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아콰비-아메야우(Akwabi-Ameyaw) 등의 저자들은 GW4064의 트랜스-스틸벤 부분이 그의 자외선 광 불안정성에 책임이 있음을 언급한다. 광불안정성은 상기 화합물이 인간에게 투여 시 UV-광에 노출되는 경우 예를 들어 피부 중에 침착 또는 축적에 의해 광독성으로 변할 수도 있다(Colerangle JB. "Regulatory non-clinical photosafety evaluation - An attempt to merge the FDA and EMEA photosafety testing strategies" Regul. Toxicol. Pharmacol. 2009, Jul 16. [Epub ahead of print] and Henry et al. "Can light absorption and photostability data be used to assess the photosafety risks in patients for a new drug molecule" J. Photochem. Photobiol. B. 2009, 96(1), 57-62).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접합된 트랜스-스틸벤은 GW4064의 활성에 대한 기초인데, 그 이유는 상기 저자들이 상기 이중 결합의 에틸렌 그룹으로의 단순한 환원이 상기 FXR 리간드 결합 성질을 감소시킴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아콰비-아메야우 등이 개시한 GW4064의 나프토산 동족체에 대해 관찰된 FXR 결합 활성의 감소와 상반되게 FXR에 대한 결합 효능을 유지하거나 심지어 개선시키면서 WO 2000/037077에 개시된 트랜스-스틸벤 함유 FXR 작용물질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화합물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되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하기의 설명에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트랜스-스틸벤 이중 결합의 사이클로프로필 부분으로의 전환을 사용하며, 이는 카르벤 첨가에 의해 성취될 수 있고, 이는 상기 트랜스-스틸벤의 잠재적으로 독성인 성질을 극복하는 동시에 상기 UV 유발된 광불안정성의 놀랍게도 완전한 제거를 보이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수득된 상기 라세미 혼합물은 각각의 트랜스-스틸벤 함유 분자들의 수득된 값과 유사한 FXR 작용물질 성질을 나타낸다. 더욱이, 상기 라세미 혼합물의 키랄 분리는 아콰비-아메야우 등이 공개한 상응하는 트랜스-스틸벤 함유 분자 또는 관련된 나프토산 동족체와 상반되게 훨씬 더 우수한 FXR 결합 및 전이활성 성질을 보인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들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콰비-아메야우 등이 공개한 바와 같은 다른 기술적 해법과 상반되게 트랜스-스틸벤 함유 FXR 화합물에 의해 발휘되는, 상기 기술적인 불안정성 문제에 대한 우수한 해법을 제공한다.
도 1a 및 b는 원숭이에게 경구 투여 후 실시예 12(a) 및 실시예 4(b)의 평균 농도-시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C57 BLKS lepr-/- db/db 마우스에게 개별적으로 5 ㎎/㎏의 GW4064 및 실시예 4의 단일 용량 위관영양 투여 후 혈장 모 화합물 수준[nM]. 데이터는 3 회의 개별적인 마우스 혈장 측정의 평균을 나타낸다.
도 2a, 2b 및 2c는 GW 4064, Px20535 및 실시예 4의 UV 스펙트럼 및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 l은 254 nm에서 t = 0 시간 및 UV 조사 후 4, 15 및 70 시간 후의 GW 4064, Px20535 및 실시예 4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a: UV 조사 전 t = 0 시간에서 GW 4064
도 3b: UV 조사 전 t = 0 시간에서 Px20535
도 3c: UV 조사 전 t = 0 시간에서 실시예 4
도 3d: UV 조사 t = 4 시간에서 GW 4064
도 3e: UV 조사 t = 4 시간에서 Px20535
도 3f: UV 조사 t = 4 시간에서 실시예 4
도 3g: UV 조사 t = 15 시간에서 GW 4064
도 3h: UV 조사 t = 15 시간에서 Px20535
도 3i: UV 조사 t = 15 시간에서 실시예 4
도 3j: UV 조사 t = 70 시간에서 GW 4064
도 3k: UV 조사 t = 70 시간에서 Px20535
도 3l: UV 조사 t = 70 시간에서 실시예 4
도 m은 비교 상의 UV-안정성들, DMSO 박막 상에서 λ=366 nm에서의 조사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4는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8 주의 고 지방 식사(HFD) 후 혈장 콜레스테롤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다.
도 5는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8 주의 고 지방 식사(HFD) 후 간 콜레스테롤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함량을 나타낸다.
도 6은 마우스 간에서 FXR 표적 유전자 유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공통의 화학 구조를 공유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3
상기 식에서,
R은 COOR6, CONR7R8, 테트라졸릴 및 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때 R6은 H 및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H, 저급 알킬, C1 -6 할로알킬, C1 -6 알킬렌-R9, SO2-C1 -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R9는 COOH, OH 및 SO3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며;
A는 페닐, 피리딜, 피라졸릴, 인돌릴, 티에닐, 벤조티에닐, 인다졸릴, 벤즈아이속사졸릴, 벤조퓨라닐, 벤조트라이아졸릴, 퓨라닐, 벤조티아졸릴, 티아졸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OH, 저급 알킬, 저급 사이클로알킬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Q는 페닐, 피리딜, 티아졸릴, 티오페닐, 피리미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저급 알킬, 할로겐 및 CF3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4
이고;
여기에서
X는 CH, N, NO이고;
R1은 수소, C1-C3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5 알킬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때 C1 -3 알킬은 할로겐, 하이드록시 및 C1 -6 알콕시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고;
R2 및 R3은 수소,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1-C3 알콕시, C1-C3 할로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저급 알킬이란 용어는 직쇄 또는 분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쇄일 수 있으며, 탄소수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를 함유하는 알킬 그룹을 정의한다. 바람직한 예는 메틸 및 에틸, 아이소프로필 및 t-부틸이다. 저급 사이클로알킬이란 용어는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 그룹을 정의한다. 사이클로프로필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은 치환체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할로겐 원자의 예는 F, Cl 및 Br이며, Cl이 바람직하다.
상기 및 하기의 임의의 실시태양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구조로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5
상기 식에서,
R은 COOR6, CONR7R8, 테트라졸릴 및 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때 R6, R7 및 R8은 H, 저급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A는 페닐, 피리딜, 인돌릴, 티에닐, 벤조티에닐, 인다졸릴, 벤즈아이속사졸릴, 벤조퓨라닐, 벤조트라이아졸릴, 퓨라닐, 벤조티아졸릴, 티아졸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OH, 저급 알킬, 저급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Q는 페닐, 피리딜, 티아졸릴, 티오페닐, 피리미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저급 알킬, 할로겐 및 CF3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6
이고;
여기에서
X는 CH, N, NO이고;
R1은 수소,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5 알킬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R2 및 R3은 수소,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1-C3 알콕시, C1-C3 할로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은 COOR6 및 CONR7R8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R6, R7 및 R8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은 COOR6이고, 여기에서 R6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바람직하게는 R6은 H 및 저급 알킬 중에서 선택된다.
동등하게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R은 CONR7R8이고, 여기에서 R7 및 R8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H, 저급 알킬, C1 -6 알킬렌-R9, 및 SO2-C1 -6 알킬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R9는 COOH 및 SO3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A는 바람직하게는 치환되지 않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부분들 중에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는 페닐이다.
상기 및 하기의 임의의 실시태양과 함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A는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릭 부분들 피리딜, 피라졸릴, 벤즈아이속사졸릴 및 인다졸릴 중에서 선택되고, 이때 A는 비 치환되거나 OH, 저급 알킬, 저급 사이클로알킬 및 할로겐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치환된다.
Q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부분들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환체는 할로겐, 보다 바람직하게는 Cl이다. 특히 Q는 하나의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Cl로 치환된 페닐이다.
상기 및 하기의 임의의 실시태양과 함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Q는 비 치환되거나 저급 알킬, 할로겐 및 CF3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그룹으로 치환된 피리딜 그룹이다.
상기 및 하기의 임의의 실시태양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Z는 하기의 부분들 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7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Z는 하기의 부분이다: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8
더욱이, Z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의된 구조(이때 X는 CH이다) 중에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Z는 바람직하게는, X가 CH이고 R1이 사이클로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프로필인 상기 정의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Z는 바람직하게는, X가 CH이고 R1이 사이클로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2 및 R3이 각각 할로겐, 가장 바람직하게는 Cl을 나타내는 상기 정의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다. Z에 대해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며, 이때 주 헤테로사이클릭 골격은 O-N 부분과 함께 5 원 고리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세 번째 구조이다.
상기 및 하기의 임의의 실시태양과 함께 동등하게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Z는 바람직하게는 X가 N 또는 NO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X가 N인 상기 정의된 구조들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및 하기의 임의의 실시태양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R1은 수소, C1-3 알킬, C3 -6 사이클로알킬 및 C4 -5 알킬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C1 -3 알킬은 비 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 및 하이드록시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체,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개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R, A, Q 및 Z의 바람직한 조합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은 상기 나열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태양들의 모든 조합을 고려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R은 COOR6이고, 여기에서 R6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바람직하게는 R6은 H 및 저급 알킬 중에서 선택되고; A는 페닐이고; Q는 하나의 치환체로 치환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부분들 중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환체는 할로겐, 보다 바람직하게는 Cl이고, 특히 Q는 하나의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Cl로 치환된 페닐이고; Z는, X가 CH이고 R1이 사이클로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2 및 R3이 각각 할로겐, 가장 바람직하게는 Cl인 상기 정의된 구조들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화합물들은 하기 화학식 2에 따른 공통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21394376-pct00009
상기 식에서,
X1은 CH 및 N 중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CH이고;
R4 및 R5는 H, 저급 알킬, 할로겐 및 CF3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보다 바람직하게는 Cl이다.
R-A가 하기 중에서 선택되는 구조를 공유하는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0
상기 식에서,
R1은 아이소프로필, t-부틸 및 사이클로프로필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R2 및 R3은 할로겐, C1-C3 알킬, 메톡시 및 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Cl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하기와 같다.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2-클로로-4-((3-(2,6-다이클로로페닐)-5-아이소프로필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3,5-다이클로로피리딘-4-일)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4-((4-(2-(3-카복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3-클로로페녹시)메틸)-5-사이클로프로필아이속사졸-3-일)-3,5-다이클로로피리딘 1-옥사이드,
3-(2-(2-클로로-4-((1-(2,6-다이클로로페닐)-4-아이소프로필-1H-1,2,3-트라이아졸-5-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4-(2-(6-(1H-테트라졸-5-일)피리딘-3-일)사이클로프로필)-3-클로로페녹시)메틸)-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 또는
5-(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피콜린산.
하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동등하게 가장 바람직하다.
3-(2-(6-((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2-(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1,3-다이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2-아미늄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에이트,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메틸-1H-인다졸-3-카복실산,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메틸-1H-인다졸-3-카복실산,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메틸-1H-인다졸-3-카복실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N-(메틸설포닐)벤즈아미드,
2-(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에탄설폰산,
4-((4-(2-(4-(1H-테트라졸-5-일)페닐)사이클로프로필)-3-클로로페녹시)메틸)-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
4-(2-(2-클로로-4-((3-(2,6-다이클로로페닐)-5-(2-하이드록시프로판-2-일)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5-(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아이소프로필-1H-피라졸-3-카복실산,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아이소프로필-1H-인다졸-3-카복실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2-(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에탄설폰산,
(-)-2-(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에탄설폰산,
2-(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아세트산, 또는
4-(2-(2-클로로-4-((4-(2,6-다이클로로페닐)-1-아이소프로필-1H-1,2,3-트라이아졸-5-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구 약물 화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전구 약물 화합물"은 살아있는 신체 중의 생리적 조건 하에서 효소, 위산 등과의 반응에 의해, 예를 들어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이들은 각각 효소에 의해 수행된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 전환되는 유도체를 의미한다. 상기 전구 약물의 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 중의 아미노 그룹이 아실화되거나, 알킬화되거나, 또는 인산화되어 예를 들어 에이코사노일아미노, 알라닐아미노, 피발로일옥시메틸아미노를 형성하거나, 또는 하이드록실 그룹이 아실화되거나, 알킬화되거나, 인산화되거나 또는 보레이트로 전환되는 화합물, 예를 들어 아세틸옥시, 팔미토일옥시, 피발로일옥시, 숙시닐옥시, 퓨마릴옥시, 알라닐옥시, 또는 상기 카복실 그룹이 에스터화되거나 아미드화되는 화합물이다. 이들 화합물을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로부터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전구 약물의 다른 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 중의 카복실레이트가 예를 들어 알킬-, 아릴-, 콜린-, 아미노, 아실옥시메틸에스터, 리놀레노일에스터로 전환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대사 산물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전구 약물의 토오토머화, 예를 들어 케토-에놀 토오토머화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케토 및 에놀 형태와 같은 개별적인 형태들뿐만 아니라 임의의 비의 이들의 혼합물은 각각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를 예를 들어 거울상 이성질체, 시스/트랜스 이성질체, 형태이성질체 등에도 적용한다.
경우에 따라, 이성질체를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예를 들어 키랄 고정 상을 사용함으로써 거울상 이성질체에 적용한다. 또한, 거울상 이성질체를 부분 입체 이성질체로 전환시킴으로써, 즉 거울상 이성체형으로 순수한 보조 화합물과 커플링시키고, 생성되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후속 분리시키고 상기 보조 잔기를 절단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 화합물의 임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광학적으로 순수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입체 선택성 합성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라세미 혼합물로부터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를 획득하는 또 다른 방법은 키랄 대이온에 의한 거울상 선택성 결정화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일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용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 염기 또는 산, 예를 들어 무기 염기 또는 산 및 유기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된 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산성 또는 염기성 그룹을 함유하는 경우에, 본 발명은 또한 그의 상응하는 약학적으로 또는 독성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그의 약학적으로 유용성인 염을 포함한다. 따라서, 산성 그룹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이들 그룹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토금속 염 또는 암모늄 염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염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암모니아 또는 유기 아민, 예를 들어 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또는 아미노산과의 염이 있다. 하나 이상의 염기성 그룹, 즉 양성자화될 수 있는 그룹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존재할 수 있으며 무기 또는 유기산과의 그의 부가 염의 형태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화 수소, 브롬화 수소, 인산, 황산, 질산,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나프탈렌다이설폰산, 옥살산, 아세트산, 타타르산, 락트산, 살리실산, 벤조산, 폼산, 프로피온산, 피발산, 다이에틸아세트산, 말론산, 숙신산, 피멜산, 퓨마르산, 말레산, 말산, 설팜산, 페닐프로피온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아이소니코틴산, 시트르산, 아디프산, 및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른 산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분자 중에 산성 및 염기성 그룹을 동시에 함유하는 경우에,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염 형태 이외에, 내부 염 또는 베타인(양쪽성 이온)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염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용매 또는 분산제 중의 유기 또는 무기산 또는 염기와 접촉시키거나 또는 다른 염과의 음이온 교환 또는 양이온 교환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낮은 생리학적 상용성으로 인해, 약제에 직접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화학 반응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에 대한 중간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 화합물의 모든 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매화물, 예를 들어 용매화물로서 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예를 들어 알콜, 특히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들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더욱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전구 약물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및 담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불활성 성분뿐만 아니라 상기 성분들 중 임의의 둘 이상의 배합, 착화 또는 응집으로부터, 또는 상기 성분들 중 하나 이상의 해리로부터, 또는 상기 성분들 중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반응 또는 상호작용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되는 임의의 생성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함 담체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임의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예를 들어 전구 약물 화합물 또는 다른 핵 수용체 조절인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직장, 국소, 비 경구(피하, 근육 내 및 정맥 내 포함), 눈(안과 용), 폐(코 또는 구강 흡입) 또는 코 투여에 적합하지만, 임의의 주어진 경우에 가장 적합한 경로는 치료되는 병의 성질 및 중증도 및 상기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변할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편의상 단위 투여형으로 제공되고 제약 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기 개시되는 과정을 포함하여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들의 조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I은 화학식 I의 적합한 화합물과 화학식 II의 적합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과의 반응을 도시한다.
[반응식 I]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1
(P = 보호 그룹)
따라서, 화학식 II의 적합한 화합물(이때 R1, R2 및 R3은 화학식 1에서와 같이 정의되고 Y는 이탈 그룹이다) 및 화학식 I의 적합한 화합물(이때 R, A 및 Q는 화학식 1에서와 같이 정의된다) 또는 예를 들어 에스터, 아미드, 테트라졸 또는 산의 형성에 의해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R을 제공하는 그룹을, 적합한 보호 및/또는 탈보호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거나 본 발명에 개시된 다른 단계들에 의해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형성시킨다. 적합한 이탈 그룹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할라이드, 특히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 설포네이트 에스터, 예를 들어 브로실, 토실, 메탄 설포닐, 및 트라이플루오로메탄 설포닐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나이트릴, 다이메틸폼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에서 과잉의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소화 나트륨, 탄산 칼륨, 탄산 나트륨, 트라이에틸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칼륨 3급-부톡사이드 등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상기와 같은 반응을 대개는 주변 온도 내지 선택된 용매의 환류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한편으로 R, A 및 Q가 화학식 1에서와 같이 정의되는 화학식 I의 적합한 화합물을 미츠노부 반응을 사용하여, R1, R2 및 R3이 화학식 1에서와 같이 정의되고 Y가 하이드록실인 화학식 II의 적합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과 축합시킬 수 있다.
R이 에스터인 화합물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된 방법을 통해 R이 산인 화학식 1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간단한 알킬 에스터의 가수분해를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나이트릴, 메탄올, 에탄올, THF 및 이들의 물과의 혼합물 중에서 약 25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및 수산화 리튬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R이 3급-부틸 에스터인 경우에, 상응하는 산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널리 공지된 산성 조건 하에서 형성시킬 수 있다.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을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 및 과정을 포함하여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고 확립된 방법들에 의해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널리 공지된 표준 사이클로프로판화 반응에 의해 올레핀 전구체로부터 제조한다(H. Lebel, J-F. Marcoux, C Molinaro, A. B. Charette, Chem. Rev. 2003, 103, 977-1050). 예를 들어, -20 ℃ 내지 대략, 선택된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에테르, THF, 헥산, 톨루엔, 다이클로로메탄과 같은 적합한 용매 중에서 임의로 치환된 스틸벤 유도체와 시몬스-스미스(Simmons-Smith) 시약(IZnCH2I)과의 반응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임의로 치환된 스틸벤을 아릴 알데하이드 및 아릴메틸렌 포스포네이트 에스터의 호르너-에몬스(Horner-Emmons) 커플링 또는 팔라듐 촉매의 존재 하에서 임의로 치환된 스타이렌과 임의로 치환된 아릴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또는 트라이플레이트와의 헥크(Heck) 커플링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로 치환된 스틸벤의 사이클로프로판화를 화학식 II의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의 커플링 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키랄 중심을 가지며 광학 활성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입체 이성질체를 원하는 경우, 이를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1 화합물들의 라세미 혼합물을 키랄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R이 산인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의 라세미 혼합물을 적합한 키랄 아민, 예를 들어 a-펜에틸아민, 브루신, 신코닌에 의한 결정화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라세메이트를 또한 또 다른 거울상 순수한 시약, 예를 들어 키랄 알콜에 의해 화학적으로 유도체화할 수 있으며 상기 시약은 -COOH 부분과 반응하여 상기 라세미 혼합물을, 통상적인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다른 표준 분리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부분입체 이성질체성 에스터의 혼합물로 바꿀 수 있다. 상기 거울상 이성질체의 분리를 또한 화학식 I의 라세미 화합물의 수준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화학식 I의 광학 활성 화합물을 반응식 I에 개략한 바와 같이 화학식 II의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광학 활성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합성 과정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반응식 1a 내지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I의 아이속사졸 화합물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트라이에틸아민의 존재 하에서 임의로 치환된 벤즈알데하이드와 하이드록실아민을 반응시킨 다음 적합한 염소화제, 예를 들어 N-클로로-숙신이미드로 염소화시켜 제조한다. 상기 생성되는 클로로옥심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트라이에틸아민 또는 나트륨 메톡사이드에 의한 염기성 조건 하에서 적합한 β-케토에스터와 반응시켜 아이속사졸 에스터를 제공한다. 상기 에스터를 널리 공지된 방법, 예를 들이 LAH 또는 DIBAL에 의해 화학식 II의 알콜로 환원시키고 이탈 그룹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화학식 II의 1-아릴-4-알킬-트라이아졸 화합물을, 치환된 프로파길 알콜의 치환된 방향족 아지드에의 첨가 및 상기 하이드록시 그룹의 적합한 이탈 그룹으로의 후속적인 전환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I의 1-알킬-4-아릴-트라이아졸 화합물을, 임의로 치환된 아지드를 아세틸렌 에스터에 첨가한 다음 상기 알콜로 환원시키고 이탈 그룹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I의 피라졸 화합물을, 임의로 치환된 페닐 하이드라진과 1,3-다이케토에스터를 반응시킨 다음 환원 및 이탈 그룹으로의 전환에 의해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반응식 1a 내지 d에 따라 합성된 상이한 클로로메틸-아릴(Cl-CH2-Ar) 구성 블록으로부터 출발하여, 반응식 2 내지 14 중 하나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로로메틸-아릴(Cl-CH2-Ar) 구성 블록 A6a-e 중 하나를 아릴-사이클로프로필-아릴 구성 블록 B13과 반응시키고 상기 메틸 에스터를 유리산으로 후속적으로 비누화시켜 실시예 1 내지 6의 화합물을 생성시켰다(반응식 2). 상기 클로로메틸-아릴(Cl-CH2-Ar) A6e를 (헤테로)아릴-사이클로프로필-아릴 구성 블록 C6과 반응시켜(반응식 3) 나이트릴로-전구체 C7을 제공하였으며 이는 NaN3 및 NH4Cl과의 반응에 의해 테트라졸로 변하거나(실시예 7) 또는 유리산으로 비누화되었다(실시예 8, 반응식 3 참조). 실시예 9를 반응식 4에 따라 제조하였다. 피리돈 D2를 구성 블록 A6e에 의해 중간체 D3으로 알킬화하였다. 상기 에스터 그룹의 알데하이드 D5로의 2 단계 전환에 이어서 HWE 반응을 수행하여 중간체 D6과 같은 스틸벤을 제공하였다. 사이클로프로판화 및 에스터 가수분해는 실시예 9로부터 최종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0으로부터의 상기 화합물의 합성을 반응식 5에 나타낸다. 포스포네이트 E5 및 3-폼일 피리딘을 반응시켜 중간체 E12와 같은 스틸벤을 형성시키고, 이를 탈보호 및 A6e에 의한 알킬화 후에 사이클로프로판화시켰다. 최종 에스터 가수분해는 실시예 10으로부터의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1로부터의 화합물을 반응식 6에 따라 합성하였다. 벤조아이속사졸 카브알데하이드 F5를 포스포네이트 F9와 반응시켜 스틸벤 구조 함유 중간체 F10을 형성시켰다. 사이클로프로판화 및 탈보호는 실시예 11로부터의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2 내지 14로부터의 화합물을, 반응식 2와 유사하지만 4-메톡시카보닐 포스포네이트 G1을 사용하는 반응식 7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응식 8에서 실시예 15로부터의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전구체 H6과 같은 스틸벤을 브로모-인다졸 H4 및 올레핀 H5의 헥크 교차 커플링 반응을 통해 제조한다. 사이클로프로판화 및 에스터 가수분해는 실시예 15로부터의 최종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6을 반응식 9에 따라 제조한다. 상기 O-메틸 보호된 트랜스-스틸벤을 먼저 사이클로프로판화하고 후속적으로 상기 에스터 그룹을 시아노 그룹으로 전환시킨다. A6e에 의한 O-탈메틸화 및 알킬화는 시아노 중간체 I7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나트륨 아지드와 반응시켜 테트라졸 실시예 16을 제공한다. 실시예 17로부터의 화합물의 합성을 반응식 10에 나타낸다. A5a를 아세틸화한 다음 NBS를 사용하여 벤질 위치에서 브롬화시켰다. DBU 및 K2CO3에 의한 처리는 중간체 J3을 형성시켰으며 이를 TBSOTf를 사용하여 OH-보호하였다. OsO4 및 NaIO4를 사용한 산화에 이어서 메틸마그네슘-그리냐르의 첨가 및 TBAF에 의한 하이드록시 탈보호를 수행하여 J7을 제공하였다. 12a와의 미츠노부 반응 및 에스터 비누화는 실시예 17로부터의 최종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반응식 11에서 실시예 18로부터의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J6과 다이아조메탄의 반응에 이은 TBS 탈보호는 중간체 K2를 제공하였다. 상기 중간체를 실시예 17에 대해 개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18의 최종 화합물로 전환시켰다. 반응식 12에서 실시예 19로부터의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한다. 메틸 3-옥소부타노에이트를 A3a와 반응시켜 생성되는 아이속사졸 L1을 형성시켰다. DMF-DMA와의 반응에 이어서 SiO2 및 HCl의 처리는 알데하이드 L3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NaBH4를 사용하여 L4로 환원시켰다. 이어서 3,4-다이하이드로피란에 의한 OH-보호, DIBAL-H에 의한 에스터 환원 및 12a와의 미츠노부 반응은 중간체 L7을 제공하였다. 에스터 비누화 및 하이드록시 탈보호는 실시예 19의 최종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NR1H4 수용체(RXR)에 결합하고 상기 NR1H4 수용체(FXR)의 작용물질 또는 조절인자로서 작용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에 의한 상기 핵 수용체의 결합을 통해 질병 및/또는 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에 의한 상기 핵 수용체의 결합을 통해 질병 및/또는 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만성 간 내 또는 일부 형태의 간 외 담즙 울체성 병, 만성 담즙 울체성 병으로부터 생성되는 간 섬유증, 급성 간 내 담즙 울체성 병, 부적당한 담즙 조성으로부터 발생하는 폐쇄성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 식이성 지방 및 지용성 식이성 비타민의 감소된 흡수를 갖는 위장병, 염증성 장 질병, 지질 및 지단백질 질환, II형 당뇨병 및 I형 및 II형 당뇨병의 임상 합병증, 강제된 지질 및 구체적으로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축적 및 섬유증 촉진 경로의 후속 활성화로 인한 기관의 만성적인 지방 및 섬유 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병 및 질병, 비만 및 대사 증후군(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및 비정상적으로 높은 체질량 지수의 복합된 상태), 급성 심근 경색, 급성 발작, 만성 폐색성 죽상동맥경화증의 종점으로서 발생하는 혈전증, 세포 내 세균 또는 기생성 원생동물에 의한 지속적인 감염, 비-악성 과증식성 질환, 악성 과증식성 질환, 결장 선암종 및 특히 간세포 암종, 간 지방증 및 관련된 증후군, 만성적인 간 질병 또는 외과적 간 절제의 결과로서 간 부전 또는 간 기능부전, B형 간염 감염, C형 간염 감염 및/또는 알콜 유발된 경변 또는 간염의 바이러스성 형태와 관련된 담즙 울체성 및 섬유증 영향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1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약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의 배합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XR은 핵 담즙산 센서인 것으로 제안된다. 그 결과, 상기는 간에서의 담즙산의 합성 생산 및 장에서의 그의 재순환 모두를 조절한다(담즙산 결합 단백질을 조절함으로써). 그러나 담즙산 생리학 이외에, FXR은 병인학에 관련된 많은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들의 조절 및 콜레스테롤 담석, 대사 질환, 예를 들어 II형 당뇨병, 이상 지질 혈증 또는 비만증, 만성 염증성 질병, 예를 들어 염증성 장 질병 또는 담즙 울체의 만성적인 간 내 형태들 및 많은 다른 질병과 같이 다양한 질병들의 치료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T. Claudel et al. "The Farnesoid X receptor: a molecular link between bile acid and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5, 25(10), 2020-2030; Y. D. Wang et al. "FXR: a metabolic regulator and cell protector" Cell Res. 2008, 18(11), 1087-1095).
FXR은 간 및 위장관에서 반응 유전자들의 복잡한 패턴을 조절한다. 상기 유전자 산물은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들에 영향을 미친다. FXR의 작용 분석 과정 중에, 분석된 첫 번째 조절 네트워크는 담즙산 합성의 조절이었다. 상기 LXR이 조절성 핵 수용체 LRH-1의 유도를 통해, 콜레스테롤의 담즙산으로의 전환에 핵심 효소인 Cyp7A1을 유도하는 반면, FXR은 LRH-1보다 우세하게 억제성인 추가의 핵 수용체 SHP를 암호화하는 mRNA의 상향조절을 통해 Cyp7A1의 유도를 억제한다. FXR은 상기 경로의 최종 산물인 주요 담즙산, 예를 들어 콜산(CA) 또는 케노데옥시콜산(CDCA)과 결합하므로, 이를 유전자 발현 수준에 대한 피드백 억제의 일례로서 간주할 수 있다(B. Goodwin et al. "A regulatory cascade of the nuclear receptors FXR, SHP-1, and LRH-1 represses bile acid biosynthesis" Mol. Cell 2000, 6(3), 517-526; T. Lu et al. "Molecular basis for feedback regulation of bile acid synthesis by nuclear receptors" Mol. Cell 2000, 6(3), 507-515). SHP를 통한 담즙산 합성의 억제와 나란히, FXR은 간세포 시토솔로부터, 담즙이 기원하는 작은 담관 분기인 소관계로의 독성 담즙산의 유출에 책임이 있는 일련의 소위 ABC(ATP-결합 카세트의 경우) 운반자를 유도한다. 이러한 FXR의 간보호 작용은 처음에 FXR 녹아웃 마우스의 분석(C. Sinal et al. "Targeted disruption of the nuclear receptor FXR/BAR impairs bile acid and lipid homeostasis"Cell 2000, 102(6), 731-744)(여기에서 간에서의 여러 ABC-운반자의 저 발현 또는 과발현이 입증되었다)에 의해 명백해졌다. 추가의 상세한 분석은 주요 담즙 염 분비 펌프 BSEP 또는 ABCB11(M. Ananthanarayananet al. "Human bile salt export pump promoter is transactivated by the farnesoid X receptor/bile acid receptor" J. Biol. Chem. 2001, 276(31), 28857-28865; J. Plass et al. "Farnesoid X receptor and bile salts are involved in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gene encoding the human bile salt export pump" Hepatology 2002, 35(3), 589-596)뿐만 아니라 지단백질에서 인지질로의 지질 운반을 매개하는 핵심 효소인 PLTP(N. Urizar et al. "The farnesoid X-activated receptor mediates bile acid activation of phospholipid transfer protein gene expression" J. Biol. Chem. 2000, 275(50), 39313-39317), 및 인지질에 대한 2 개의 핵심 소관계 막 운반자, MRP-2(ABCC4)(H. Kast et al. "Regulation of 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 2 (ABCC2) by the nuclear receptors pregnane X receptor, farnesoid X-activated receptor, and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J. Biol. Chem. 2002, 277(4), 2908-2915) 및 MDR-3(ABCB4)(L. Huang et al. "Farnesoid X receptor activates transcription of the phospholipid pump MDR3" J. Biol. Chem. 2003, 278(51), 51085-51090)가 표적을 FXR에 의한 리간드-지시된 전사 활성화를 향하게 함을 밝혀냈다(문헌[M. Miyata "Role of farnesoid X receptor in the enhancement of canalicular bile acid output and excretion of unconjugated bile acids: a mechanism for protection against cholic acid-induced liver toxicity", J. Pharmacol. Exp. Ther. 2005, 312(2), 759-766]; [G. Rizzo et al. "Role of FXR in regulating bile acid homeostasis and relevance for human diseases" Curr. Drug Targets Immune Endocr. Metabol. Disord. 2005, 5(3), 289-303]에 요약되어 있다).
FXR이 담즙산의 합성, 유출 및 재순환에 대한 주요 대사산물 센서 및 조절인자인 것으로 보인다는 사실은 담즙 흐름을 유도하고 담즙산 조성을 보다 친수성인 조성을 향해 변화시키기 위한 FXR 리간드의 용도를 암시하였다. 도구 화합물로서 첫 번째 합성 FXR 리간드 GW4064(P. Maloney et al. "Identification of a chemical tool for the orphan nuclear receptor FXR" J. Med. Chem. 2000, 43(16), 2971-2974; T. Willson et al. "Chemical genomics: functional analysis of orphan nuclear receptors in the regulation of bile acid metabolism" Med. Res. Rev. 2001, 21(6) 513-522) 및 반합성 인공 담즙산 리간드 6-알파-에틸-CDCA의 개발에 의해, 효능 있는 작용물질에 의한 FXR의 초 자극 효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상기 두 리간드는 모두 담즙관 연결된 동물에서 담즙 흐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담즙 분비 촉진 효과 이외에, 또한 간 보호 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R. Pellicciari et al. "6alpha-ethyl-chenodeoxycholic acid (6-ECDCA), a potent and selective FXR agonist endowed with anticholestatic activity" J. Med. Chem. 2002, 45(17), 3569-3572; Y. Liu et al. "Hepatoprotection by the farnesoid X receptor agonist GW4064 in rat models of intra- and extrahepatic cholestasis" J. Clin. Invest. 2003, 112(11), 1678-1687). 상기 간 보호 효과는 FXR 작용물질에 의한, 기질-메탈로프로테이나제의 조직 억제제, TIMP-1 및 2의 억제, 간 성상 세포에서 기질-메탈로프로테이나제 2(MMP-2)를 용해하는 콜라겐-침착물의 유도, 및 알파-콜라겐 mRNA 및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TGF-베타) mRNA(이들은 둘 다 섬유증 촉진 인자들이다)의 후속적인 감소로부터 생성되는 섬유증 억제 효과로 더욱 좁혀졌다(S. Fiorucci et al. "The nuclear receptor SHP mediates inhibi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by FXR and protects against liver fibrosis", Gastroenterology 2004, 127(5), 1497-1512; S. Fiorucci et al. "A farnesoid x receptor-small heterodimer partner regulatory cascade modulates tissue metalloproteinase inhibitor-1 and matrix metalloprotease expression in hepatic stellate cells and promotes resolution of liver fibrosis" J. Pharmacol. Exp. Ther. 2005, 314(2), 584-595). 더욱 또한, 담즙 울체 억제 활성이 담즙관 연결된 동물 모델에서뿐만 아니라 에스트로젠-유도된 담즙 울체의 동물 모델에서 입증되었다(S. Fiorucci et al. "Protective effects of 6-ethyl chenodeoxycholic acid, a farnesoid X receptor ligand, in estrogen-induced cholestasis" J. Pharmacol. Exp. Ther. 2005, 313(2), 604-612).
유전자 연구는 유전적인 형태의 담즙 울체에서(진행성 가족형 간 내 담즙 울체 = PFIC, I 내지 IV 유형), FXR 자체의 핵 국소화가 FIC1 유전자의 돌연변이의 결과로서 감소되거나(PFIC 유형 I에서, 또한 바일러(Byler) 병이라 칭함)(F. Chen et al. "Progressive 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type 1,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farnesoid X receptor activity" Gastroenterology. 2004, 126(3), 756-764; L. Alvarez et al. "Reduced hepatic expression of farnesoid X receptor in hereditary cholestasis associated to mutation in ATP8B1" Hum. Mol. Genet. 2004, 13(20), 2451-2460), 또는 MDR-3 인지질 유출 펌프를 암호화하는 FXR 표적 유전자의 수준이 감소됨(PFIC 유형 III에서)을 입증한다. 종합하면, FXR 결합 화합물이 만성 담즙 울체증, 예를 들어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PBC) 또는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SC)의 치료 섭생에서 실질적인 임상 유용성을 나타낼 것이라는 증거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문헌[G. Rizzo et al. Curr. Drug Targets Immune Endocr. Metabol. Disord. 2005, 5(3), 289-303; G. Zollner "Role of nuclear receptors in the adaptive response to bile acids and cholestasis: pathogenetic and therapeutic considerations" Mol. Pharm. 2006, 3(3), 231-251; S. Cai et al. "FXR: a target for cholestatic syndromes" Expert Opin. Ther. Targets 2006, 10(3), 409-421]에 고찰되어 있다).
FXR 활성화가 담즙산 대사 및 분비에 미치는 강한 영향은 담즙 울체 증후군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담석 형성에 대한 치료에 훨씬 더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간 세포에서 소관계의 관강 내로 능동적으로 펌핑되는 콜레스테롤의 낮은 용해도에 기인하여 형성된다. 상기는 3 가지 주요 성분인 담즙산, 인지질, 및 혼합된 마이셀의 형성 및 따라서 담즙 중 유리 콜레스테롤의 겉보기 용해도를 결정하는 유리 콜레스테롤의 상대적인 함량 백분율이다. FXR 다형성은 담석 질병에 기여하는 한 가지 인자로서 양적 형질 유전자좌 지도를 작성한다(H. Wittenburg "FXR and ABCG5/ABCG8 as determinants of cholesterol gallstone formation from quantitative trait locus mapping in mice" Gastroenterology 2003, 125(3), 868-881). 상기 합성 FXR 도구 화합물 GW4064를 사용하여, FXR의 활성화가 콜레스테롤 포화 지수(=CSI)의 개선을 도출하고 C57L 담석 민감성 마우스에서 담석 형성의 제거를 직접 도출함을 입증할 수 있는 반면 FXR 녹아웃 마우스의 약물 처리는 담석 형성에 영향이 없음을 입증할 수 있다(A. Moschetta et al. "Prevention of cholesterol gallstone disease by FXR agonists in a mouse model" Nature Medicine 2004, 10(12), 1352-1358).
이러한 결과는 FXR을 콜레스테롤 담석 형성을 방지하거나 외과적 제거 또는 충격파 결석 파쇄 제거 후 담석의 재형성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 분자 작용 물질의 개발에 양호한 표적으로서 적합하게 한다(문헌[S. Doggrell "New targets in and potential treatments for cholesterol gallstone disease" Curr. Opin. Investig. Drugs 2006, 7(4), 344-348]에 논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콜레스테롤 담석으로서 또한 공지된 담석증과 같은 부적합한 담즙 조성으로부터 발생하는 폐쇄성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한다.
FXR은 그의 강한 간 보호 및 담즙 분비 촉진뿐만 아니라 간에서 소 분자 자극된 활성화 시 FXR이 보이는 섬유증 억제 효과 이외에, 장을 종양성 형질전환 및 상기 장에서 폴립의 발생 및 선암종으로의 그의 변이로부터 보호하는데 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S. Modica et al. "Nuclear bile acid receptor FXR protects against intestinal tumorigenesis" Cancer Res. 2008, 68(23), 9589 and R.R. Ma ran et al. "Farnesoid X receptor deficiency in mice leads to increased intestinal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tumor development" J. Pharmacol. Exp. Ther. 2009, 328(2), 469). 상기 상황과 유사하게 장에서 FXR의 부재는 간암의 가장 현저한 형태인 간 세포 암종(HCC) 형성을 높이 증가시킨다(I. Kim et al. "Spontaneous hepatocarcinogenesis in farnesoid X receptor-null mice" Carcinogenesis 2007, 28(5), 940 and F. Yang et al. "Spontaneous development of liver tumors in the absence of the bile acid receptor farnesoid X receptor" Cancer Res. 2007, 67(3), 863). 반면에 작용성 FXR은 결장 선암종 및 간 세포 암종의 형성을 방지하며, FXR 활성화는 간절제술 후 간 재생을 유도한다(W. Huang et al. "Nuclear receptor-dependent bile acid signaling is required for normal liver regeneration" Science 2006, 312 (5771), 233).
상기 FXR 활성화와 관련된 복합된 간 보호, 종양 억제 및 간 재생 효과들을 중증 간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 FXR 작용물질의 사용에 치료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간 질병, 예를 들어 간세포암(HCC)의 치료, 간 재성장의 자극 및 큰 간 절제, 병인학과 무관한 간경변과 관련된 부작용의 개선 및 간 이식 또는 큰 간 수술 도중의 간 허혈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한다.
상기 첫 번째 합성 FXR 작용물질의 발견 및 설치류에의 그의 투여 이래로, FXR이 혈청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핵심 조절 인자임이 분명해졌다(P. Maloney et al. J. Med. Chem. 2000, 43(16), 2971-2974; T. Willson et al. Med. Res. Rev. 2001, 21(6), 513-522). 과거 6년에 걸쳐 축적된 증거는 합성 작용물질에 의한 FXR의 활성화가 주로 환원된 VLDL의 형태인 혈청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총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을 발표하였다(H. Kast et al. "Farnesoid X-activated receptor induces apolipoprotein C-II transcription: a molecular mechanism linking plasma triglyceride levels to bile acids" Mol. Endocrinol. 2001, 15(10), 1720-1728; N. Urizar et al. "A natural product that lowers cholesterol as an antagonist ligand for FXR" Science 2002, 296(5573), 1703-1706; G. Lambert et al. "The farnesoid X-receptor is an essential regulator of cholesterol homeostasis" J. Biol. Chem. 2003, 278, 2563-2570; M. Watanabe et al. "Bile acids lower triglyceride levels via a pathway involving FXR, SHP, and SREBP-1c" J. Clin. Invest. 2004, 113(10), 1408-1418; A. Figge et al. "Hepatic overexpression of murine Abcb11 increases hepatobiliary lipid secretion and reduces hepatic steatosis" J. Biol. Chem. 2004, 279(4), 2790-2799; S. Bilz et al. "Activation of the farnesoid X receptor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combined hyperlipidemic hamster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6, 290(4), E716-722).
그러나 혈청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강하는 단독적인 효과는 아니다. 합성 FXR 작용물질 GW4064에 의한 db/db 또는 ob/ob 마우스의 처리는 혈청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총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케톤체, 예를 들어 3-OH 부티레이트의 현저하고 복합된 감소를 생성시켰다. 더욱이, FXR 활성화는 간 세포에서 세포 내 인슐린 신호 경로와 맞물려, 간 글루코스 신생합성으로부터 글루코스의 생산을 감소시키나 간 글리코겐은 동반하여 증가시킨다. 인슐린 감도뿐만 아니라 글루코스 허용성은 FXR 처리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K. Stayrook et al. "Regulation of carbohydrate metabolism by the farnesoid X receptor" Endocrinology 2005, 146(3), 984-991; Y. Zhang et al. "Activation of the nuclear receptor FXR improves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 diabetic mice" Proc. Natl. Acad. Sci. USA 2006, 103(4), 1006-1011; B. Cariou et al. "The farnesoid X receptor modulates adiposity and peripheral insulin sensitivity in mice" J. Biol. Chem. 2006, 281, 11039-11049; K. Ma et al. "Farnesoid X receptor is essential for normal glucose homeostasis" J. Clin. Invest. 2006, 116(4), 1102-1109; D. Duran-Sandoval et al. "Potential regulatory role of the farnesoid X receptor in the metabolic syndrome" Biochimie 2005, 87(1), 93-98). 체중 감소에 대한 영향이 또한 최근에 고 지질 식사를 과도하게 먹인 마우스에서 관찰되었다(C. Lihong et al."FXR Agonist, GW4064, Reverses Metabolic Defects in High-Fat Diet Fed Mic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66th annual scientific sessions, June 2006, Abstract Number 856-P). 이러한 체중 감소 효과는 체중 감소 및 체력 표현형을 도출하는 것으로 공지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FGF-19의 FXR의 유도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J. Holt et al. Genes Dev. 2003, 17(13), 1581-1591; E. Tomlinson et al. "Transgenic mice expressing human fibroblast growth factor-19 display increased metabolic rate and decreased adiposity" Endocrinology 2002, 143(5), 1741-1747). 최근의 특허 출원들에서, 체중 감소에 대한 FXR 작용물질의 효과가 입증되었다(Stoffel W. et al. "Methods for inhibiting Adipogenesis and for treating Type 2 Diabetes" 국제 특허 출원 WO 2004/087076; S. Jones et al "Methods of using FXR Agonists" 국제 특허 출원 WO 2003/080803).
종합하면, FXR 작용물질의 이러한 약물학적 효과는 다양한 치료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FXR 결합 화합물은 그의 인슐린 감작, 글리코겐 생성, 및 지질 강하 효과로 인해 II 형 당뇨병의 치료에 양호한 후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전신 인슐린 감도 및 간에서 세포 내 인슐린 신호의 FXR-매개된 상향조절, 증가된 말초 글루코스 흡수 및 대사, 간에서 증가된 글리코겐 저장, 간을 통한 글루코스 신생합성으로부터 혈청으로의 글루코스의 감소된 생산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II형 당뇨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한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을 만성 간 내 질병, 예를 들어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PBC),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SC), 진행성 가족형 담즙 울체(PFIC), 알콜 유발된 경변 및 관련된 담즙 울체, 및 일부 형태의 간 외 담즙 울체병, 또는 만성 담즙 울체병 또는 급성 간 내 담즙 울체병, 예를 들어 에스트로젠 또는 약물 유발된 담즙 울체로부터 발생하는 간 섬유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담즙산 및 인지질의 증가된 장 수준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식이성 지방 및 지용성 식이성 비타민의 감소된 흡수를 갖는 위장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상기와 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총 혈장 콜레스테롤의 강하, 혈청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강하, 간 콜레스테롤의 담즙산으로의 전환의 증가 및 간에서 VLDL 및 다른 지단백질의 증가된 제거 및 대사 전환에 대한 FXR의 유리한 영향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임상적으로 명백한 병으로서 지질 및 지단백질 질환, 예를 들어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트라이글리세라이드혈증, 및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한다.
하나의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을, FXR-표적화된 약제의 복합된 지질 강하, 담즙 울체 억제 및 섬유증 억제 효과가 간 지방증 및 관련된 증후군, 예를 들어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의 치료 또는 알콜 유발된 경변 또는 바이러스를 통한 형태의 간염과 관련된 담즙 울체 및 섬유증 효과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한다.
상기 지질 혈 저하 효과와 함께, 작용성 FXR의 상실이 ApoE 녹아웃 마우스에서 죽상동맥경화증을 증가시킴이 또한 공지되었다(E. Hanniman et al. "Loss of functional farnesoid X receptor increases atherosclerotic lesions in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J. Lipid Res. 2005, 46(12), 2595-2604). 따라서, FXR 작용물질은 죽상동맥경화 억제 및 심장 보호 약물로서 임상적 유용성을 가질 수도 있다. 혈관 평활근 세포에서 엔도텔린-1의 하향조절이 또한 상기와 같은 유리한 치료 효과에 기여할 수도 있다(F. He et al. "Downregulation of endothelin-1 by farnesoid X receptor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Circ. Res. 2006, 98(2), 192-199).
본 발명은 또한 심혈관 질환, 예를 들어 급성 심근경색, 급성 발작, 또는 만성 폐쇄성 죽상동맥경화증의 종점으로서 발생하는 혈전증의 예방 및 외상 후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 및 결장 폴립 형성의 억제 이외에, FXR은 유방암 조직 및 세포 주에서 발현되지만 건강한 유방 조직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ER 양성 유방암 세포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K. E. Swales et al. "The farnesoid X receptor is expressed in breast cancer and regulates apoptosis and aromatase expression" Cancer Res. 2006, 66(20), 10120 and F. Journe et al. "Association between farnesoid X receptor expression and cell proliferation in estrogen receptor-positive luminal-like breast cancer from postmenopausal patients" Breast Cancer Res. Treat. 2009, 115(3), 523).
이는 FXR을 또한 증식성 질병, 특히 FXR의 소 분자 반응성 형태를 발현하는 전이성 암 형태의 치료에 잠재적인 표적으로 간주하게 할 것이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을 악성 과증식성 질환, 예를 들어 상이한 형태의 암, 특히 몇몇 형태의 유방, 간 또는 결장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며, 상기 암에서 FXR 리간드에 의한 간섭은 유리한 영향을 가질 것이다.
최종적으로, FXR은 또한 장에서 항균 방어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T. Inagaki et al. "Regulation of antibacterial defense in the small intestine by the nuclear bile acid receptor" Proc. Natl. Acad. Sci. U S A. 2006, 103(10), 3920-3905), 정확한 기전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된 데이터로부터, FXR 작용물질에 의한 치료는 염증성 장 질환(IBD), 특히 장의 상부(회장) 부분이 영향을 받는 질병 형태(예를 들어 회장 크론병)의 치료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부분이 세균 증식에 대한 FXR의 억제 작용 부위인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IBD에서 적합한 면역 반응의 탈감작은 어떻게든지 장 면역계에서 손상된다. 이어서 세균 과증식은 만성적인 염증 반응의 확립을 향해 원인으로 촉발될 수도 있다. 따라서, FXR을 통한 기전에 의한 세균 증식의 완충이 급성 염증성 에피소드를 방지하는데 핵심 기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염증성 장 질병과 관련된 질병, 예를 들어 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 장벽 기능의 FXR-매개된 복원 및 비 공생 세균 부하의 감소는 세균 항원의 장 면역계에의 노출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염증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혈청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혈액 글루코스의 FXR-매개된 강하 및 증가된 인슐린 감도 및 FXR-매개된 체중 감소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비만증 및 관련된 질환, 예를 들어 대사 증후군(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및 비정상적으로 높은 체질량 지수의 복합된 상태)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세포 내 세균 또는 기생형 원생동물, 예를 들어 마이코박테리움 스페시즈(결핵 또는 나병의 치료),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리스테리아 감염증의 치료), 레이슈마니아 스페시즈(리슈만편모충증), 트리파노소마 스페시즈(샤가스 병; 트리파노소마증; 수면병)에 의한 지속적인 감염의 치료를 위한 것이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I형 및 II형 당뇨병의 임상 합병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상기와 같은 합병증의 예는 당뇨성 신장병증, 당뇨성 망박병증, 당뇨성 신경병증, 또는 말초 동맥 폐쇄성 질병(PAOD)의 임상 합병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당뇨병의 다른 임상 합병증들도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더욱 또한, 강제된 지질 및 구체적으로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축적 및 후속적인 섬유증 촉진 경로의 활성화로 인한 기관의 만성적인 지방 및 섬유 퇴화로부터 발생하는 병 및 질병을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적용하여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병 및 질병은 간의 비알콜성 지방간염 및 만성 담즙 울체병, 신장의 사구체경화증 및 당뇨성 신장병증, 눈의 황반 변성 및 당뇨성 망막병증 및 뇌의 신경퇴행성 질병, 예를 들어 알쯔하이머병, 또는 말초 신경계의 당뇨성 신경병증을 포함한다.
실제적인 사용 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통상적인 약학 배합 기법에 따라 약학 담체와 긴밀히 혼합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투여를 원하는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 경구(정맥 내 포함)에 따라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구 투여형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서, 통상적인 약학 매질 중 임의의 것, 예를 들어 경구 액체 제제, 예를 들어 현탁액, 엘릭서 및 용액의 경우에, 물, 글리콜, 오일, 알콜, 풍미제, 보존제, 착색제 등; 또는 경구 고체 제제, 예를 들어 분말, 경질 및 연질 캡슐 및 정제의 경우에 전분, 당, 미정질 셀룰로스, 희석제, 과립화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 같은 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체 경구 제제가 액체 제제보다 바람직하다.
투여 용이성으로 인해, 정제 및 캡슐이 가장 유리한 경구 단위 투여형을 나타내며, 이 경우 고체 약학 담체가 명백히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정제를 표준 수성 또는 비 수성 기법에 의해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 및 제제는 0.1% 이상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해야 한다. 이들 조성물 중 활성 화합물의 백분율은 물론 변할 수 있으며 편의상 단위 중량의 약 2% 내지 약 6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조성물 중의 활성 화합물의 양은 유효 투여량이 획득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활성 화합물을 또한 비 내로, 예를 들어 액체 점적제 또는 스프레이로서 투여할 수 있다.
정제, 환제, 캡슐 등은 또한 결합제, 예를 들어 트라가칸트 검,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 부형제, 예를 들어 이칼슘 포스페이트; 붕해제,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긴산; 윤활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감미제, 예를 들어 슈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도 있다. 단위 투여형이 캡슐인 경우, 상기는 상기 유형의 물질들 이외에,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지방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물질들이 코팅제로서, 또는 상기 단위 투여형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제를 셸락, 당 또는 이 둘 모두로 코팅할 수도 있다. 시럽 또는 엘릭서는 상기 활성 성분 이외에, 감미제로서 슈크로스, 보존제로서 메틸 및 프로필파라벤, 염료 및 풍미제, 예를 들어 체리향 또는 오렌지향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개 카복실산 또는 유사한 그의 음이온성 등배 전자체를 나타내고 이온성 약물 화합물의 염 형태는 약물 화합물의 생물학적 이용 효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또한 다양한 카운터 양이온을 갖는 염으로서 사용하여 경구 이용 가능한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양이온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1가 또는 2가 이온, 예를 들어 암모늄, 알칼리성 금속 나트륨 또는 칼륨 또는 알칼리성 토금속 마그네슘 또는 칼슘, 몇몇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아민, 예를 들어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아민, 피페라진, 또는 다른 것들 또는 몇몇 양이온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리신 또는 아르기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또한 비 경구로 투여할 수도 있다. 이들 활성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와 같은 계면활성제와 적합하게 혼합된 물에서 제조할 수 있다. 분산액을 또한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오일 중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제조할 수 있다. 통상적인 보관 및 사용 조건 하에서, 이들 제제는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제를 함유한다.
주사용으로 적합한 약제 형태는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모든 경우에, 상기 형태는 멸균성이어야 하며 용이한 주사성이 존재할 정도로 유동성이어야 한다. 상기는 제조 및 보관 조건 하에서 안정성이어야 하며 세균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에 대해 보존되어야 한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적합한 이들의 혼합물, 및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투여 경로를,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게 유효 용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국소, 비 경구, 눈, 폐, 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투여형은 정제, 트로키제, 분산액, 현탁액, 용액, 캡슐, 크림, 연고, 에어로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경구 투여한다.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유효 투여량은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 투여 방식, 치료되는 병, 및 치료되는 병의 중증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투여량을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지시되는 FXR 매개된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동물 체중 킬로그램당 약 0.1 밀리그램 내지 약 100 밀리그램의 1일 투여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 회 1일 용량으로서 또는 하루에 2 내지 6 회 분할 용량으로, 또는 서방형으로 제공할 때,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가 획득된다. 대부분의 큰 포유동물의 경우, 총 1일 투여량은 약 1.0 밀리그램 내지 약 1000 밀리그램, 바람직하게는 약 1 밀리그램 내지 약 50 밀리그램이다. 70 ㎏ 성인 인간의 경우, 총 1일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7 밀리그램 내지 약 350 밀리그램일 것이다. 상기 투여량 섭생을 최적의 치료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 존재하는 일부 약어들은 하기와 같다.
약어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2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및 실시예의 과정에 따라, 적합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들을 하기 특정한 실시예들에 의해 추가로 예시한다. 더욱이,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과 함께 본 발명에 개시된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청구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화합물들을 쉽게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예시된 화합물들을 본 발명으로서 간주되는 부류만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세부사항을 추가로 예시한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하기 제조 과정의 조건 및 과정들의 공지된 변화를 사용하여 이들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화합물들을 일반적으로는 그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예를 들어 상술한 것들의 형태로 단리한다.
상기 단리된 염에 상응하는 아민 비 함유 염기를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수성 탄산 수소 나트륨, 탄산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및 수산화 칼륨에 의한 중화, 및 유기 용매 내로 유리된 아민 비 함유 염기의 추출에 이은 증발에 의해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리된, 상기 아민 비 함유 염기를 유기 용매에의 용해에 이어서 적합한 산의 첨가 및 후속적인 증발, 침전 또는 결정화에 의해 또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추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단리된 염에 상응하는 카복실 유리산을 적합한 산, 예를 들어 수성 염산, 황산 수소 나트륨, 인산 이수소 나트륨에 의한 중화, 및 유기 용매 내로 유리된 카복실 유리산의 추출에 이은 증발에 의해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리된, 상기 카복실산을 유기 용매에의 용해에 이어서 적합한 염기의 첨가 및 후속적인 증발, 침전 또는 결정화에 의해 또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추가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들의 제조에 대한 예시를 하기에 나타낸다. 반응식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변수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하기에 제공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들을 예시하고자 한다. 하기 개시된 바와 같은 합성에 사용된 적합한 출발 물질, 구성 블록 및 시약들을 예를 들어 시그마 알드리치 케미 GmbH(Sigma-Aldrich Chemie GmbH, Munich, Germany), 아크로스 오가닉스(Acros Organics, Belgium) 또는 피셔 사이언티픽 GmbH(Fisher Scientific GmbH, 58239 Schwerte, Germ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하기 문헌들에 개시된 과정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 5th Edition; John Wiley & Sons or Theophil Eicher, Siegfried Hauptmann "The Chemistry of Heterocycles; Structures, Reactions, Synthesis and Application" 2nd edition, Wiley-VCH 2003; Fieser et al. "Fiesers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2000.
실시예
전구체의 합성
[반응식 1a]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3
화합물 A2a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4
에탄올 200 ㎖ 중의 2,6-다이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 A1a(25 g, 0.14 mol)의 용액을 물 100 ㎖ 중의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1 g, 0.16 mol) 및 수산화 나트륨(6.3 g, 0.16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90 ℃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부피를 약 30 ㎖까지 감소시켰으며, 이는 침전물을 유발하였다. 이어서 상기 플라스크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2 x 100 ㎖)로 세척하였다. 상기 고체를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25.9 g의 화합물 A2a(백색 고체, 수율: 96%)를 제공하였다.
화합물 A3a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5
500 ㎖ 환저 플라스크를 DMF 300 ㎖ 중의 화합물 A2a(25.9 g, 0.14 mol)의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상기 플라스크를 주변 온도 수욕에 넣었다. 이어서 상기 플라스크를 NCS(18.4 g, 0.14 mol)로 충전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추가로 1 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상기 내용물을 400 ㎖의 물에 붓고 생성물을 500 ㎖의 Et2O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2 x 200 ㎖) 및 염수 100 ㎖로 세척하고, 이어서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후에, 상기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여 황색 오일로서 화합물 A3a 29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A4a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6
무수 THF 120 ㎖ 중의 아이소부티릴 아세테이트(16 g, 124.8 mmol)의 교반된 용액을 나트륨 메톡사이드의 용액(252 ㎖, MeOH 중의 0.5M)에 이어서 무수 THF 40 ㎖ 중의 화합물 A3a(28 g, 124.8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상기 잔사를 800 ㎖의 Et2O와 800 ㎖의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PE/EtOAc = 10/1)에 의해 정제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4a 24.8 g(수율: 6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5a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7
무수 THF 180 ㎖ 중의 화합물 A4a(24.8 g, 79.7 mmol)의 용액을, LAH(3.1 g, 79.7 mmol)를 적가하면서, 0 ℃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냉각시켰다. 상기 반응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되게 하였다. 상기 플라스크를 다시 0 ℃로 냉각시키고 5 ㎖의 MeOH를 10 분의 기간에 걸쳐 조심스럽게 가하였다. 포화된 Na2SO4 용액을 가하고 상기 형성된 고체를 셀라이트의 플러그 상에서 여과하였다. 농축시켜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A5a 21 g(수율: 93%)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6a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8
무수 DCM 100 ㎖ 중의 벤조트라이졸(6.77 g, 73.7 mmol)의 용액에 0 ℃에서 SOCl2(8.76 g, 73.7 m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무수 DCM 200 ㎖ 중의 화합물 A5a(21 g, 73.7 mmol)의 용액에 가하고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60 ㎖을 상기 혼합물에 가하여 상기 반응을 급냉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1N 수성 NaOH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6a 21.7 g(수율: 97.2%)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47 (d, J =6.8 Hz, 6H), 3.35 (m, 1H), 4.31 (5, 2H), 7.38-7.48 (m, 3H).
화합물 A4e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19
TEA 400 ㎖ 중의 화합물 A3a(105 g, 0.47 mol)의 용액에 에틸 3-사이클로프로필-3-옥소프로파노에이트(100 g, 0.70 mol)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4e 87 g(수율: 57%)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5e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0
무수 THF 300 ㎖ 중의 화합물 A4e(80 g, 0.26 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0 ℃에서 DIBAL-H(360 ㎖, 0.54 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MeOH(80 ㎖) 및 HCl(1 M)에 의해 급냉시키고 EA로 추출하고 상기 유기층을 염수에 의해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조 화합물 A5e 55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A6e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1
무수 DCM 100 ㎖ 중의 벤조트라이졸(17.85 g, 194.3 mmol)의 용액에 0 ℃에서 SOCl2(23.09 g, 73.7 m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무수 DCM 500 ㎖ 중의 화합물 A5e(55 g, 194.3 mmol)의 용액에 가하고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120 ㎖을 급냉을 위해 상기 혼합물에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1N 수성 NaOH 용액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6e 47.4 g(수율: 8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I3) : δ 1.23-1.33 (m, 4H), 2.14 (m, 1H), 4.40 (s, 2H), 8.31 (s,2H).
[반응식 1b]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2
화합물 A2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3
EtOH 40 ㎖ 중의 화합물 A1b(5.00 g, 28.4 mmol)의 용액에 H2O 15 ㎖ 중의 NaOH(1.37 g, 34.1 mmol) 및 NH2OH.HCl(2.37 g, 34.1 mmol)의 혼합물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을 90 ℃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부피를 감압 하에서 약 10 ㎖까지 농축시키고, 상기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상기를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2b 5.0 g(수율: 9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3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4
100 ㎖ 환저 플라스크를 DMF 50 ㎖ 중의 화합물 A2b(5.0 g, 26.2 mmol)의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상기 플라스크를 주변 온도 수욕에 넣었다. 이어서 상기 플라스크를 NCS(4.13 g, 31.4 mmol)로 충전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추가로 12 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상기 내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Et2O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 화합물 A3b 5.3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A4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5
무수 THF 40 ㎖ 중의 에틸 3-사이클로프로필-3-옥소프로파노에이트(3.88 g, 24.5 mmol)의 교반된 용액을 Et3N 15 ㎖에 이어서 무수 THF 30 ㎖ 중의 화합물 A3b(5 g, 22.25 mmol)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상기 생성 잔사를 Et2O 100 ㎖과 물 40 ㎖ 사이에 분배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4b 3.25 g(수율: 45%)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5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6
무수 THF 30 ㎖ 중의 화합물 A4b(2.0 g, 6.10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서 15 분 동안 -10 ℃에서 DIBAL-H(25.6 ㎖, 25.60 mmol)를 적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급냉시키고 EA로 추출하고,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2/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5b 0.44 g(수율: 25%)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6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7
무수 DCM 20 ㎖ 중의 벤조트라이아졸(0.84 g, 9.1 mmol)의 용액에 0 ℃에서 SOCl2(1.08 ㎎, 9.1 mmol)를 적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N2 분위기 하에 30 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생성 용액을 적가 깔때기로 옮기고 10 분간 무수 DCM 20 ㎖ 중의 화합물 A5b(2.0 g, 7.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1 시간 교반 후에, 생성 현탁액을 여과하여 벤조트라이아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제거하였다. 상기 여액을 물 30 ㎖로 2 회, 1N NaOH 용액 30 ㎖ 및 염수 30㎖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6b 0.91 g(수율: 42.3%)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1-1.35 (m, 4H), 2.14-2.18 (m, 1H), 4.38 (5, 2H), 8.67 (s,2H).
화합물 A6c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8
DCM 10 ㎖ 중의 A6b(0.53 g, 1.75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m-CPBA(0.65 ㎎, 3.60 mmol)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aHCO3 용액으로 급냉시키고, DCM으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5/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6c 318 ㎎(수율: 57%)을 제공하였다.
lH NMR (400 MHz, CDCl3): δ 1.23-1.33 (m, 4H), 2.14 (m, 1H), 4.40 (5, 2H), 8.31 (s.2H).
[반응식 1c]
Figure 112012021394376-pct00029
화합물 A5d의 제조: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0
톨루엔(100 ㎖) 및 아세틸렌성 알콜(G, 52.1 g, 0.53 mol) 중의 2,6-다이클로로페닐 아지드(F, 25 g, 0.13 mol)의 용액을 아르곤 하에서 35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톨루엔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생성물을 조심스럽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2 개의 트라이아졸 생성물, 화합물 A5d(4.5 g, 23%) 및 화합물 A5x(6.5 g, 34%)를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화합물 A6d의 제조: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1
DCM 20 ㎖ 및 CCl4 2 ㎖ 중의 화합물 A5d(2.00 g, 7.0 mmol)의 용액에 PPh3(3.67 g, 14.0 mmol)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끝났음을 가리켰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이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6d 2.02 g(수율: 95%)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I3) : δ 1.51-1.49 (d, 6H), 3.24-3.21 (m, 1H), 4.48 (s, 2H), 7.527,50 (t, 1H), 7.58-7,54 (d, 2H).
[반응식 1d]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2
화합물 A1f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3
NEt3 35 ㎖ 중의 2-브로모-1,3-다이클로로벤젠(13 g, 58 mmol), 2,2-다이메틸-2-실라부트-3-인(90 ㎖, 64 mmol), CuI(100 ㎎, 5.5 mmol), PPh3(200 ㎎, 0.75 mmol) 및 Pd(PPh3)2Cl2(235 ㎎, 0.335 mmol)의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서 24 시간 동안 밀봉 튜브에서 환류시켰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끝났음을 가리켰다. 농축시키고 EtOAc를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0/0) 오일로서 조 화합물 A1f 13 g(수율 40%, 순도 7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2f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4
MeOH 200 ㎖ 중의 조 화합물 A1f(13 g, 48.4 mmol)의 용액에 K2CO3(13 g, 94.3 mmol)를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N2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A2f 4.1 g(수율: 56.1%)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3f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5
무수 THF 40 ㎖ 중의 화합물 A2f(2 g, 12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78 ℃에서 n-BuLi(5.6 ㎖, 헥산 중의 2.5 M, 14 mmol)를 가하고, 상기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무수 THF 10 ㎖ 중의 에틸 클로로아세테이트(1.65 g, 15 mmol)의 용액을 -78 ℃에서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 용액을 포화된 NH4Cl 용액에 붓고 EtOAc를 가하여 2 회 추출하였다. 상기 합한 유기층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0/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A3f 1.25 g(수율 44.5%)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4f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6
화합물 A3f(3 g, 12.4 mmol) 및 2-아지도프로판(20 ㎖)의 용액을 110 ℃에서 24 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브에서 가열하였다.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4/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A4f 1 g(수율: 34.8%)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A5f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7
무수 THF 10 ㎖ 중의 화합물 A4f(1 g, 1.38 mmol)의 빙냉 용액에 LAH(THF 중의 2M, 2.76 mmol)를 적가하였다. 첨가 후, 상기 반응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상기 반응이 끝났음을 가리켰다. 10 ㎖의 MeOH를 서서히 가하여 급냉시킨 다음 포화된 Na2SO4 용액을 가하였다. 상기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상기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4)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A5f 180 ㎎(수율: 45.7%)을 제공하였다.
lH NMR (400 MHz, CDCl3) δ: 7.41-7.43 (m, 2H), 7.30-7.32 (m, 1H), 4.91-4.97 (m,1H), 4.58-4.59 (d, J= 5.6 Hz, 2H), 2.70-2.73 (br, 1H), 1.72 (s, 3H), 1.70 (s, 3H).
화합물 A6f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8
무수 DCM 5 ㎖ 중의 화합물 A5f(200 ㎎, 0.70 mmol), CCl4(1 ㎖, 10.4 mmol) 및 PPh3(368 ㎎, 1.40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3/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A6f 100 ㎎(수율: 47.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5-7.47 (m, 2H), 7.36-7.39 (m, 1H), 4.81-4.85 (m,1H), 4.51 (s, 1H), 1.78 (s, 3H), 1.74 (5, 3H).
[반응식 2]
Figure 112012021394376-pct00039
화합물 B2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0
SOCl2(113.3 g, 0.96 mol)를 0 ℃에서 무수 메탄올 700 ㎖에 서서히 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교반 후에, 화합물 B1(80 g, 0.48 mol)을 가하고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수성 NaHCO3 용액을 급냉을 위해 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DCM으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 B2 85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B3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1
MeOH 500 ㎖ 중의 화합물 B2(60 g, 0.31 mol)의 용액에 MeOH 200 ㎖ 중의 NaOH(12.4 g, 0.31 mol)의 용액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를 농축시키고 잔사를 물 500 ㎖에 용해시키고 Et2O로 추출하였다. 수성 용액을 농 HCl 용액으로 pH = 2로 산성화하고, 형성된 백색 침전물을 수거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조 화합물 B3 46 g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4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2
무수 THF 700 ㎖ 중의 화합물 B3(46 g, 0.3 mol)의 용액에 0 ℃에서 N2 분위기 하에 20 분에 걸쳐 THF(1 M, 600 ㎖, 0.60 mol) 중의 BH3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급냉시키기 위해서, 아세트산의 50% 수용액(400 ㎖)을 서서히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10% 수성 Na2CO3 용액, H2O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상기를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B4 28 g(3 단계 수율: 54%)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5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3
Et2O 700 ㎖ 중의 화합물 B4(28 g, 0.168 mol)의 용액에 PBr3(17.4 ㎖, 0.185 mol)을 적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상기 반응물을 빙 수 500 ㎖에 부었다. 상기 수성 층을 Et2O로 추출하였다. 상기 합한 유기층들을 포화된 NaHCO3, 물,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오일로서 화합물 B5 34 g(수율: 7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6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4
트라이에톡시포스핀 34 ㎖ 중의 화합물 B5(34 g, 148 mmol)의 혼합물을 175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B6 40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B8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5
물 1.5 L 중의 화합물 B7(150 g, 1.17 mol), 수산화 칼슘(375 g, 5.07 mol) 및 탄산 나트륨(420 g, 3.96 mol)의 용액에 80 분간 클로로폼(270 g, 2.29 mol)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서 3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빙 욕 상에서 냉각시켰다. 농 수성 HCl 1 L 및 클로로폼 1 L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진탕하고, 상 분리 후 상기 수성 층을 버렸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B8 28 g(수율: 15.3%)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9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6
무수 DCM 300 ㎖ 중의 화합물 B8(11 g, 70.1 mmol)의 용액에 TBDMSCI(12.7 g, 84.2 mmol), TEA(19.6 ㎖, 140.2 mmol) 및 DMAP(100 ㎎, 촉매)를 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조 화합물 B9 18.5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B10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7
무수 THF 320 ㎖ 중의 화합물 B9(23 g, 80.6 mmol)의 용액에 0 ℃에서 30 분간 수소화 나트륨(무기 오일 중 60%, 5 g, 123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에 0 ℃에서 무수 THF 160 ㎖ 중의 화합물 B6(18.5 g, 61.5 mmol)의 용액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에 의해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 B10 23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B11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8
무수 DCM 450 ㎖ 중의 화합물 B10(23 g, 80.6 mmol)의 용액에 TBDMSCI(12.7 g, 84.2 mmol), TEA(19.6 ㎖, 161.2 mmol) 및 DMAP(0.5 g, 촉매)를 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3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B11 11.8 g(3 단계 수율: 41.8%)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12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49
무수 DCM 600 ㎖ 중의 다이에틸 아연(290 ㎖, 헥산 중 1M, 290 mmol)의 용액에 -78 ℃에서 다이요오도에탄(46 ㎖, 580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30 분간 교반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30 ℃로 가온하였다. TFA(38 g, 290 mmol)를 상기 혼합물에 가하고, 30 분간 교반하였다. DCM 200 ㎖ 중의 화합물 B11(11.8 g, 29 mmol)의 용액을 상기 혼합물에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N 수성 HCl 500 ㎖로 급냉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20/1) 오일로서 화합물 B12 4.5 g(수율: 36.9%)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13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0
무수 THF 300 ㎖ 중의 화합물 B12(4.5 g, 10.8 mmol) 및 TBAF.H2O(11 g, 42.1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0 분간 교반하였다. 물(100 ㎖)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EtOAc 500 ㎖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황색 오일로서 80%의 순도(UV-HPLC)를 갖는 조 화합물 B13 2.0 g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14a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1
DMF 5 ㎖ 중의 조 화합물 B13(200 ㎎, 0.66 mmol) 및 화합물 A6a(200 ㎎, 0.66 mmol)의 용액에 K2CO3(184 ㎎, 1.33 mmol)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 ㎖)로 희석하고 EtOAc 30 ㎖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2 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2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B14a 220 ㎎(수율: 59.8%)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14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2
DMF 5 ㎖ 중의 조 화합물 B13(200 ㎎, 0.66 mmol) 및 화합물 A6b(200 ㎎, 0.66 mmol)의 용액에 K2CO3(184 ㎎, 1.33 mmol)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 ㎖)로 희석하고 EtOAc 30 ㎖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2 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2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B14b 100 ㎎(수율: 27.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14c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3
DMF 5 ㎖ 중의 조 화합물 B13(200 ㎎, 0.66 mmol) 및 화합물 A6c(211 ㎎, 0.66 mmol)의 용액에 K2CO3(184 ㎎, 1.33 mmol)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 ㎖)로 희석하고 EtOAc 30 ㎖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2 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8/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B14c 140 ㎎(수율: 38.1%)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14d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4
DMF 5 ㎖ 중의 조 화합물 B13(200 ㎎, 0.66 mmol) 및 화합물 A6d(200 ㎎, 0.66 mmol)의 용액에 K2CO3(184 ㎎, 1.33 mmol)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 ㎖)로 희석하고 EtOAc 30 ㎖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2 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B14d 103 ㎎(수율: 28.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B14e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5
DMF 30 ㎖ 중의 조 화합물 B13(1 g, 3.3 mmol, 1.00 당량) 및 A6e(1 g, 3.3 mmol, 1 당량)의 용액에 K2CO3(1.4 g, 9.9 mmol, 3.00 당량)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50 ㎖)로 희석하고 Et2O(200 ㎖)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20/1) B14e 1.2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6
THF 5 ㎖ 및 H2O 2 ㎖ 중의 화합물 B14b(100 ㎎, 0.18 mmol)의 용액에 LiOH.H2O(74 ㎎, 1.8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H2O 1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5로 산성화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tOAc = 3/1) 실시예 1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3,5-다이클로로피리딘-4-일)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0 ㎎(수율: 30.8%)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H NMR (400 MHz, CDCl3) δ: 1.23 (m, 2H), 1.31 (m, 2H), 1.47 (m, 2H), 2.09 (m, 1H), 2.17 (m, 1H), 2.39 (m, 1H), 4.84 (s, 2H), 6.65 (dd, J= 1.6 Hz, 8.4 Hz, 1H), 6.84 (d, J=5 1.6 Hz, 1H), 6.99 (d, J =8.4 Hz, 1H), 7.43-7.48 (m, 2H), 7.97 (m, 2H), 8.64 (s, 2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5%, Rt = 3.304 min;
MS 계산치: 554; MS 실측치: 555 (M+H)+.
실시예 2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7
THF 5 ㎖ 및 H2O 2 ㎖ 중의 화합물 B14c(140 ㎎, 0.24 mmol)의 용액에 LiOH.H2O(100 ㎎, 2.4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H2O 1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5로 산성화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1) 실시예 2 4-(4-((4-(2-(3-카복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3-클로로페녹시)메틸)-5-사이클로프로필아이속사졸-3-일)-3,5-다이클로로피리딘 1-옥사이드) 40 ㎎(수율: 29.3%)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H NMR (400 MHz, CDCl3) δ: 1.21-1.33 (m, 4H), 1.44-1.50 (m, 2H), 2.10-2.19 (m,2H), 2.39 (m, 1H), 4.85 (s, 2H), 6.67 (dd, J =2.4 Hz, 8.4 Hz, 1H), 6.88 (d, J =2.4 Hz,1H), 7.02 (d, J= 8.4 Hz, 1H), 7.40-7.48 (m, 2H), 7.95 (m, 2H), 8.31 (5, 2H);
LCMS (이동상: 4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5%, Rt = 3.421 min;
MS 계산치: 570; MS 실측치: 571 (M+H)+.
실시예 3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8
THF 10 ㎖ 및 H2O 5 ㎖ 중의 화합물 B14d(103 ㎎, 0.18 mmol)의 용액에 LiOH.H2O(76 ㎎, 1.8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H2O 1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5로 산성화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2/1) 실시예 3 3-(2-(2-클로로-4-((1-(2,6-다이클로로페닐)-4-아이소프로필-1H-1,2,3-트라이아졸-5-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80 ㎎(수율: 79.6%)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H NMR (400 MHz, CDCl3) δ: 1.45 (m, 8H), 2.08 (m, 1H), 2.38 (m, 1H), 3.24 (m, 1H), 4.92 (s, 2H), 6.67 (d, J= 8.0 Hz, 1H), 6.82 (s, 1H), 7.00 (d, J= 8.8 Hz, 1H), 7.41-7.52 (m, 5H), 7.94-7.98 (m, 2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5%, Rt = 3.082 min;
MS 계산치: 555; MS 실측치: 556 (M+H)+.
실시예 4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59
THF 30 ㎖ 및 H2O 15 ㎖ 중의 화합물 B14e의 용액에 LiOH.H2O(3 g)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H2O 3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산성화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20/1) 실시예 4 (라세미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0 ㎎(수율: 17.5%)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CI3, 400 MHz) δ: 1.14-1.18 (m, 2H), 1.24-1.31 (m, 2H), 1.41-1.46 (m, 2H), 2.07-2.08 (m, 1H), 2.15-2.17 (m, 1H), 2.35-2.37 (m, 1H), 4.78 (s, 2H), 6.67 (dd, J =2.4 Hz, 8.8 Hz, 1H), 6.84 (d, J = 2.4 Hz, 1H), 6.96 (d, J = 8.4 Hz, 1H), 7.30-7.34 (m,1H), 7.38-7.45 (m, 4H), 7.92-7.95 (m, 2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7%, Rt = 3.699 min;
MS 계산치: 553; MS 실측치: 554 (M+H)+.
라세미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의 거울상 이성질체로의 분해
290 ㎎의 라세미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을 키랄 컬럼(컬럼: CHIRALPAK AD-H; 컬럼 크기: 0.46 cm I.D. x 15 cm L; 이동 상: 헥산/EtOH/HOAc=50/50/0.1 (v/v/v); 유속: 0.5 ml/min; 파장: UV 220 nm; HPLC 장치: UV 검출기 SPD-20A를 갖는 시마츠(Shimadzu) LC 20)을 사용하는 예비 키랄 HPLC에 의해 분리시켜 137 ㎎의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Rt = 7.250 min, ee%: >98%) 및 132 ㎎의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Rt = 8.930 min, ee%: >98%)을 제공하였다.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실시예 5a)
1HNMR (CDCl3, 400 MHz) δ: 1.14-1.18 (m, 2H), 1.24-1.31 (m, 2H), 1.41-1.46 (m, 2H),2.07-2.08 (m, 1H), 2.15-2.17 (m, 1H), 2.35-2.37 (m, 1H), 4.78 (s, 2H), 6.67 (dd, J =2.4 Hz, 8.8 Hz, 1H), 6.84 (d, J =2.4 Hz, 1H), 6.96 (d, J = 8.4 Hz, 1H), 7.30-7.34 (m,1H), 7.38-7.45 (m, 4H), 7.92-7.95 (m, 2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7%, Rt = 3.692 min;
MS 계산치: 553; MS 실측치: 554 (M+H)+.
광학 회전: [α]D 25 = -92°(MeOH, c = 0.3).
키랄 중심의 절대 형태에 대해서 반응식 14를 참조하시오.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실시예 5b)
1HNMR (CDCl3, 400 MHz) δ: 1.14-1.18 (m, 2H), 1.24-1.31 (m, 2H), 1.41-1.46 (m, 2H), 2.07-2.08 (m, 1H), 2.15-2.17 (m, 1H), 2.35-2.37 (m, 1H), 4.78 (s. 2H), 6.67 (dd, J =2.4 Hz, 8.8 Hz, 1H), 6.84 (d, J =2.4 Hz, 1H), 6.96 (d, J =8.4 Hz, 1H), 7.30-7.34 (m,1H), 7.38-7.45 (m, 4H), 7.92-7.95 (m, 2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7%, Rt = 3.690 min;
MS 계산치: 553; MS 실측치: 554 (M+H)+.
광학 회전: [α]D 25 = +91°(MeOH, c = 0.3)
키랄 중심의 절대 형태에 대해서 반응식 14를 참조하시오.
실시예 6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0
THF 6 ㎖ 및 H2O 3 ㎖ 중의 화합물 B14a(220 ㎎, 0.39 mmol)의 용액에 LiOH.H2O(162 ㎎, 3.9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H2O 1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4로 산성화하고 상기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3/1) 실시예 6 (3-(2-(2-클로로-4-((3-(2,6-다이클로로페닐)-5-아이소프로필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80 ㎎(수율: 37.3%)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1.45 (m, 8H), 2.09 (m, 1H), 2.38 (m, 1H), 3.35 (m, 1H),4.73 (s, 2H), 6.67 (dd, J =2.4 Hz, 8.4 Hz, 1H), 6.83 (d, J =2.4 Hz, 1H), 6.99 (d, J =8.8 Hz, 1H), 7.34-7.48 (m, 5H), 7.95 (m, 2H);
LCMS (이동상: 8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5%, Rt = 3.983 min;
MS 계산치: 555; MS 실측치: 556 (M+H)+.
[반응식 3]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1

화합물 C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2
DMF 400 ㎖ 중의 화합물 C1(78.0 g, 456 mmol) 및 CuCN(45.2 g, 502 mmol)의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C2 7.7 g(수율: 14.3%)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C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3
CCl4 100 ㎖ 중의 화합물 C2(7.5 g, 63.6 mmol), 벤조일퍼옥사이드(0.54 g, 2.24 mmol) 및 N-브로모숙신이미드(12.5 g, 70.2 mmol)의 용액을 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생성 현탁액을 여과하고 상기 여액을 DCM 400 ㎖로 희석하고, 포화된 중탄산 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황색 고체로서 조 화합물 C3 3.3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C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4
트라이에톡시포스핀 30 ㎖ 중의 화합물 C3(3.3 g, 16.8 mmol)의 용액을 175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C4 3.99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C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5
무수 THF 40 ㎖ 중의 화합물 C4(3.90 g, 15.4 mmol)의 용액에 0 ℃에서 30 분간 수소화 나트륨(1.23 g, 무기 오일 중 60%, 30.8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에 무수 THF 40 ㎖ 중의 화합물 B9(4.15 g, 15.4 mmol)의 용액을 0 ℃에서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으로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C5 2.11 g(수율: 37.1%)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C6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6
Et2O 30 ㎖ 중의 화합물 C5(2.10 g, 5.68 mmol) 및 Pd(OAc)2(0.3 g)의 용액에 Et2O(70 ㎖, 28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N2 분위기 하에 -50 ℃에서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C6 1.68 g(수율: 77.1%)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C7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7
DMF 10 ㎖ 중의 화합물 C6(600 ㎎, 1.56 mmol)의 용액에 0 ℃에서 NaH(188 ㎎, 무기 오일 중 60%, 4.68 m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화합물 A6e(472 ㎎, 1.56 mmol)를 교반 하에 가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빙 수 10 ㎖에 붓고 DCM 20 ㎖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물로 2 회 및 염수로 2 회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C7 370 ㎎(수율: 44.2%)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7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8
실시예 7
DMF 5 ㎖ 중의 화합물 C7(220 ㎎, 0.41 mmol)의 용액에 NaN3(66 ㎎, 1.02 mmol), NH4Cl(54 ㎎, 1.02 mmol)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10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DMF를 제거하고, 이어서 물(10 ㎖)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N 수성 HCl로 pH = 4로 산성화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EtOAc 및 Et2O로 세척하여 황색 고체로서 실시예 7 (4-((4-(2-(6-(1H-테트라졸-5-일)피리딘-3-일)사이클로프로필)-3-클로로페녹시)메틸)-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 29 ㎎(수율: 12.2%)을 제공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12-1.22 (m, 4H), 1.63 (s, 2H), 2.19 (m, 1H), 2.38 (m, 1H), 2.43 (m, 1H), 4.91 (s, 2H), 6.76 (d, J= 8.4 Hz, 1H), 6.94 (d, J= 1.2 Hz, 1H),7.14 (d, J=; 8.4 Hz, lH), 7.56 (m, lH), 7.64 (m, 2H), 7.83 (d, J= 7.6 Hz, 1H), 8.13 (d,J =; 8.0 Hz, 1H), 8.72 (s, 1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5%, Rt = 2.886 min; MS 계산치: 578; MS 실측치: 579 (M+1).
실시예 8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69
실시예 8
에탄올 15 ㎖ 및 물 6 ㎖ 중의 화합물 C7(150 ㎎, 0.28 mmol), KOH(1.57 g, 28 mmol)의 용액을 10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물 30 ㎖에 용해시키고, 1N 수성 HCl로 pH = 4로 산성화하고 형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상기 고체를 EtOAc에 의해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실시예 8 (5-(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피콜린산) 45 ㎎(수율: 29%)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MHz, DMSO-d6) δ 8.52 (s, lH), 7.88 (d, J =7.2 Hz, lH), 7.54-7.65 (m,4H), 7.11 (d, J =8.8 Hz, 1H), 6.93 (d, J =2.8 Hz, 1H), 6.74 (dd, J =2.4 Hz, 8.4 Hz,1H), 4.91 (s, 2H), 2.45 (m, 1H), 2.33 (m, lH), 2.11 (m, lH), 1.52-1.59 (m, 2H), 1.11-1.20 (m, 4H);
LCMS (이동상: 50%-95% 아세토나이트릴-물-0.1% TFA) 순도 >95%, Rt = 3.023 min;
MS 계산치: 554; MS 실측치: 555 (M+1).
[반응식 3a]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0
실시예 8a (-)-이성질체) 실시예 8b (+)-이성질체)
실시예 C8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1
실시예 8
무수 THF 10 ㎖ 중의 실시예 8(460 ㎎, 0.83 mmol) 및 Pd(OAc)2(0.08 g)의 용액에 실온에서 Et2O(5 ㎖, 2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메틸화가 끝났음을 가리켰으며 AcOH를 급냉을 위해 가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 오일로서 화합물 C8 345 ㎎(수율: 73.1%)을 제공하였다.
키랄 HPLC 분리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2
화합물 C8 340 ㎎을 키랄 컬럼(컬럼: CHIRALPAK AD-H; 컬럼 크기: 0.46 cm I.D. x 15 cm L; 이동 상: 헥산/EtOH/HOAc=60/40/0.1 (v/v/v); 유속: 1.0 ml/min; 파장: UV 220 nm; HPLC 장치: UV 검출기 SPD-20A를 갖는 시마츠 LC 20)을 사용하는 예비 키랄 HPLC에 의해 분리시켜 C8a 106 ㎎(Rt = 6.923 min, ee%: >98%) 및 C8b 119 ㎎(Rt = 8.907 min, ee%: >97%)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8a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3
실시예 8a (-)-이성질체
THF 5 ㎖ 및 H2O 2 ㎖ 중의 화합물 C8a(106 ㎎, 0.19 mmol)의 용액에 LiOH.H2O(8 ㎎, 1.9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 5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5로 산성화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수거하고, 필터 케이크를 물 3 ㎖에 의해 세척하였다. 상기 고체를 물 2 ㎖에 가하고, 상기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고체를 다시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물 2 ㎖에 의해 세척하였다. 여과하고, EtOAc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실시예 8a((-)-5-(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피콜린산) 98 ㎎(수율: 93.6%)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HNMR (DMSO-d6, 400 MHz)δ: 1.12-1.22 (m, 4H), 1.57-1.64 (m, 2H), 2.16 (m, 1H),2.37 (m, 1H), 2.48 (m, 1H), 4.91 (s, 2H), 6.75 (dd, J= 2.4 Hz, 8.4 Hz, 1H), 6.93 (d, J=2.4 Hz, 1H), 7.13 (d, J =8.4 Hz, 1H), 7.56 (m, 1H), 7.64 (m, 2H), 7.73 (dd, J =2.4 Hz,8.4 Hz, 1H), 7.97 (d, J= 8.0 Hz, 1H), 8.63 (d, J= 1.6 Hz, 1H);
LCMS (이동상: 5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5% TFA) 순도 >97%, Rt = 3.124 min;
MS 계산치: 554; MS 실측치: 555 (M+1).
광학 회전: [α]D 25 = -127°(CHCl3, c = 0.3)
실시예 8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4
실시예 8b (+)-이성질체
실시예 8a에 대해 개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8b((+)-5-(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피콜린산) 112 ㎎을 수득하였다.
l HNMR (DMSO-d6, 400 MHz) δ: 1.12-1.22 (m, 4H), 1.57-1.64 (m, 2H), 2.16 (m, 1H),2.37 (m, 1H), 2.48 (m, 1H), 4.91 (s, 2H), 6.75 (dd, J= 2.4 Hz, 8.4 Hz, 1H), 6.93 (d, J=2.4 Hz, 1H), 7.13 (d, J= 8.4 Hz, 1H), 7.56 (m, 1H), 7.64 (m, 2H), 7.73 (dd, J= 2.4 Hz,8.4 Hz, 1H), 7.97 (d, J = 8.0 Hz, 1H), 8.63 (d, J= 1.6 Hz, 1H);
LCMS (이동상: 4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5% TFA) 순도 >97%, Rt = 3.551 min;
MS 계산치: 554; MS 실측치: 555 (M+1).
광학 회전: [α]D 25 = +128°(CHCl3, c = 0.29).
[반응식 4]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5
실시예 9
화합물 D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6
무수 톨루엔 3500 ㎖ 중의 아크릴아미드(210 g, 1.14 mol), 화합물 D1(700 ㎖, 4.73 mol) 및 p-톨루엔 설폰산(7 g, 38.29 mmol)의 혼합물을, 물을 공비증류 제거하면서 48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D2 25 g(수율: 9.3%)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D3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7
CCl4 250 ㎖ 중의 화합물 D2(25 g, 105.48 mmol) 및 NBS(22.53 g, 126.58 mol)의 용액을 18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생성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고체를 제공하고 이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D3 17.35 g(수율: 7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D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8
DMF 20 ㎖ 중의 화합물 D3(4.34 g, 18.46 mmol)의 용액에 화합물 A6e(5.56 g, 18.46 mmol) 및 K2CO3(2.55 g, 18.46 mmol)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끝났음을 가리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6/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D4 6.33 g(수율: 68%)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D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79
무수 THF 50 ㎖ 중의 LAH(0.46 g, 12.6 mmol)의 현탁액에 무수 THF 50 ㎖ 중의 화합물 D4(6.33 g, 12.6 mmol)의 용액을 0 ℃에서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MeOH를 급냉을 위해 상기 생성 용액에 가한 다음 포화된 Na2SO4 용액을 가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4/1) 밝은 녹색 고체로서 화합물 D5 4.17 g(수율: 72.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D6 의 합성:
CHCl3 30 ㎖ 중의 화합물 D5(3 g, 6.55 mmol)의 용액에 활성 MnO2(2.28 g, 26.2 mmol)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현탁액을 3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고온 CHCl3로 세척하고, 이어서 상기 여액을 농축시켜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D6 2.81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D7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1
무수 THF 30 ㎖ 중의 화합물 B6(2.3 g, 8.06 mmol)의 용액에 0 ℃에서 30 분간 수소화 나트륨(0.5 g, 12.3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에 0 ℃에서 무수 THF 20 ㎖ 중의 화합물 D6(2.81 g, 6.16 mmol)의 용액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에 의해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D7 0.98 g(수율: 27.3%)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D8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2
Et2O 20 ㎖ 중의 화합물 D7(970 g, 1.65 mmol) 및 Pd(OAc)2(150 ㎎)의 용액에 -50 ℃에서 N2 분위기 하에 Et2O(20 ㎖, 8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조 화합물 D8 378 ㎎(수율: 38.6%)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9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3
실시예 9
THF 10 ㎖ 및 H2O 4 ㎖ 중의 화합물 D8(367 ㎎, 0.61 mmol)의 용액에 LiOH.H2O(200 ㎎, 4.76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H2O 1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5로 산성화하고, 이를 나중에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3) 실시예 9 (3-(2-(6-((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2-(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140 ㎎(수율: 39.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H NMR (400 MHz, DMSO-d6) δ: 1.16 (m, 4H), 1.60 (m, 2H), 2.30 (m, 3H), 5.28 (s,2H), 6.87 (d, J= 8.4 Hz, 1H), 7.44 (s, 2H), 7.50 (m, 1H), 7.55 (m, 2H), 7.70 (m, 1H),7.76 (m, 2H);
LCMS (이동상: 7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7%, Rt = 3.033 min;
MS 계산치: 588; MS 실측치: 589 (M+1).
[반응식 5]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4
실시예 10
화합물 E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5
CH3CN 100 ㎖ 중의 화합물 B8(10 g, 64.1 mmol)의 용액에 K2CO3(18.0 g, 130.4 mmol) 및 MeI(20 ㎖, 321.0 mmol)를 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조 화합물 E2 11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환원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E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6
EtOH 100 ㎖ 중의 화합물 E2(10 g, 61.8 mmol)의 용액에 NaBH4(5.0 g, 123.6 mmol)를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N2 분위기 하에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N HCl 용액을 급냉을 위해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EtOAc를 가하여 2 회 추출하였다. 상기 합한 유기층들을 물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2/1) 오일로서 화합물 E3 10 g(수율: 94.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E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7
무수 DCM 100 ㎖ 중의 화합물 E3(10 g, 58.1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N2 분위기 하에 PBr3(31.2 g, 116.2 mmol)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 용액을 빙 수에 붓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갈색 오일로서 화합물 E4 13.5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E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8
트라이에톡시포스핀 50 ㎖ 중의 화합물 E4(13.5 g, 57.7 mmol)의 용액을 175℃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E5 17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E7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89
무수 THF 400 ㎖ 중의 화합물 E6(50 g, 0.25 mol)의 용액에 빙 욕으로 냉각시키면서 THF(1M, 500 ㎖, 0.50 mol) 중의 BH3 용액을 가하였다. 첨가 후에, 상기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TLC는 상기 환원이 끝났음을 가리켰다. MeOH 400 ㎖을 서서히 가하여 급냉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E7 15 g(수율: 32.3%)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E8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0
무수 DCM 200 ㎖ 중의 화합물 E7(15 g, 80.2 mmol), 2H-3,4-다이하이드로피란(26.9 g, 160.4 mmol) 및 p-TsOH(1.5 g, 8.7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가하고,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오일로서 조 화합물 E8 23 g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E9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1
오토클레이브 용기를 메탄올 200 ㎖ 중의 조 화합물 E8(23 g, 80.2 mmol), PdCl2(pddf)2(1.15 g, 2 mol%), 및 트라이에틸아민(16.2 g, 160.4 mmol)으로 충전하였다. 상기 용기를 질소로 3 회 퍼징하고 일산화 탄소로 3 회 퍼징하였다. 상기 용기를 일산화 탄소로 2 MPa까지 가압하고 100 ℃로 가열하였다. 따라서 상기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생성 용액을 실리카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상기 필터 케이크를 MeOH 50 ㎖에 의해 세척하였다. 상기 여액을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8/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E9 18 g(2 단계 수율: 89.4%)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E10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2
MeOH 200 ㎖ 중의 화합물 E9(18 g, 71.7 mmol)의 용액에 p-TsOH(22.8 g, 120.0 mmol)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물 및 EtOAc를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상기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무색 액체로서 조 화합물 E10 40.8 g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E11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3
CHCl3 300 ㎖ 중의 조 화합물 E10(40.8 g, 71.7 mmol)의 용액에 활성 MnO2(31.2 g, 358.5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현탁액을 7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는 상기 산화가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상기 케이크를 고온 CHCl3로 세척하고, 이어서 상기 여액을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E11 10.3 g(2 단계 수율: 87.1%)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E1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4
무수 THF 200 ㎖ 중의 화합물 E5(17 g, 58.2 mmol)의 용액에 0 ℃에서 30 분간 수소화 나트륨(4.66 g, 116.4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에 0 ℃에서 무수 THF 80 ㎖ 중의 화합물 E11(9.6 g, 58.2 mmol)의 용액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에 의해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E12 9.55 g(수율: 54.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E1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5
무수 DCM 100 ㎖ 중의 화합물 E12(9.55 g, 31.5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70 ℃에서 BBr3(29.8 ㎖, 315 mmol)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탈메틸화가 끝났음을 가리켰다. 상기 용액을 다시 -30 ℃로 냉각시키고 MeOH 50 ㎖을 가하여 급냉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물 및 DCM을 상기 잔사에 가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갈색 고체로서 조 화합물 E13 10.1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커플링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E1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6
DMF 50 ㎖ 중의 조 화합물 E13(10.1 g, 31.5 mmol) 및 화합물 A6a(9.51 g, 31.5 mmol)의 용액에 K2CO3(43.47 g, 315 mmol)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H2O 100 ㎖로 희석하고 EtOAc 3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2 회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E14 4.75 g(수율: 27.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E1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7
Et2O 60 ㎖ 중의 화합물 E14(4.0 g, 7.22 mmol) 및 Pd(OAc)2(0.4 g)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50 ℃에서 Et2O(70 ㎖, 280 mmol) 중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4/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E15 1.53 g(수율: 37.3%)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0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8
THF 40 ㎖ 및 H2O 10 ㎖ 중의 화합물 E15(1.53 g, 2.69 mmol)의 용액에 LiOH.H2O(1.51 g, 36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 5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5로 산성화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수거하고, 상기 케이크를 물 20 ㎖에 의해 세척하였다. 상기 고체를 물 50 ㎖에 가하고, 상기 현탁액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고체를 다시 여과하고, 상기 케이크를 물 20 ㎖에 의해 세척하였다. 이어서 상기 고체를 예비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실시예 10 (5-(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니코틴산) 705 ㎎(수율: 47.3%)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 H NMR (400 MHz, CD30D) δ: 1.23 (m, 4H), 1.58-1.69 (m, 2H), 2.20 (m, 1H), 2.35 (m, 1H), 2.45 (m, 1H), 4.91 (s, 2H), 6.74 (dd, J =2.8 Hz, 8.8 Hz, 1H), 6.86 (d, J = 2.8Hz, 1H), 7.11 (d, J =8.4 Hz. 1H), 7.45-7.54 (m, 3H), 8.37 (s, 1H), 8.77 (5, 1H), 9.02 (s,1H);
LCMS (이동상: 5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1% TFA) 순도 >97%, Rt = 3.007 min; MS 계산치: 554; MS 실측치: 555 (M+1).
[반응식 6]
Figure 112012021394376-pct00099
실시예 11
화합물 F3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0
테트라하이드로퓨란(60 ㎖) 중의 5-브로모살리실카보하이드록삼산 F2(21.6 g)의 용액에 염화 티오닐(10 ㎖)을 10 내지 20 ℃에서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다이옥산(60㎖)에 용해시키고 0 내지 5 ℃로 냉각시켰다. 트라이에틸아민(38 ㎖)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빙 수(300 ㎖)를 상기 잔사에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농 염산으로 pH 2로 조절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화합물 F3(17.5 g, 88%)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에 의해 무색 침상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화합물 F4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1
DMF(10 ㎖) 중의 화합물 F3(1 g, 4.67 mmol)의 현탁액에 NaH(0.23 g, 9.35 mmol)를 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5 ℃로 냉각하고 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0.45 g, 80.5 mol)를 가한 다음, 동일한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빙 수에 붓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화합물 F4(1.1 g, 수율 92%)를 제공하였다.
lHNMR (300MHz, DMSO-d6) : δ 8.01-8.02 (d, 1H), 7.79-7.82 (dd, 1H), 7.64-7.67 (d,1H), 5.52 (s, 2H), 3.51 (s,3H).
화합물 F5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2
무수 THF(20 ㎖) 중의 화합물 F4(2 g, 7.7 mmol)의 용액에 n-BuLi(헥산 중의 2.5 M, 4.6 ㎖)를 N2 보호 하에 -78 ℃에서 적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78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무수 DMF(11.6 mmol, 0.9 ㎖)를 -78 ℃에서 적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추가로 1 시간 동안 -78 ℃에서 교반하였다. 포화된 수성 NH4Cl을 가하여 상기 반응물을 급냉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화합물 F5(800 ㎎, 수율 50%)를 제공하였다.
lHNMR (300MHz, DMSO-d6): δ10.07 (s, 1H), 8.38 (d, 1H), 8.11-8.15 (dd, 1H), 7.807.82 (d, 1H), 5.55 (s, 2H), 3.53 (s, 3H).
화합물 F7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3
EtOH 10 ㎖ 중의 화합물 F6(5.1 g, 12.1 mmol)의 용액에 NaBH4(0.92 g, 24.2 mmol)를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EtOAc를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조 화합물 F7 4.19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F8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4
무수 Et2O 30 ㎖ 중의 화합물 F7(4 g, 9.46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0 ℃에서 PBr3(2.56 g, 9.46 mmol)을 가하였다. 0.5 시간 동안 교반 후에,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끝났음을 가리켰다. 생성 용액을 포화된 NaHCO3 용액에 붓고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황색 고체로서 조 F8 3.99 g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F9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5
트라이에톡시포스핀 15 ㎖ 중의 화합물 F8(2 g, 4.12 mmol)의 용액을 175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오일로서 화합물 F9 2.3 g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F10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6
무수 THF 20 ㎖ 중의 화합물 F9(2.3 g, 4.12 mmol)의 용액에 0 ℃에서 30 분간 수소화 나트륨(247 ㎎, 6.18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에 0 ℃에서 무수 THF 160 ㎖ 중의 화합물 F5(0.85 g, 4.12 mmol)의 용액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에 의해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갈색 고체로서 화합물 F10 311 ㎎(수율: 12.7%)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F11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7
무수 THF 10 ㎖ 중의 화합물 F10(311 ㎎, 0.52 mmol) 및 Pd(OAc)2(0.1 g)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50 ℃에서 Et2O(10 ㎖, 4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4/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F11 214 ㎎(수율: 67.5%)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1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8
실시예 11
1,4-다이옥산 5 ㎖ 중의 화합물 F11(214 ㎎, 0.35 mmol)의 용액에 3M 염산(1 ㎖)을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예비 TLC에 의해 정제시켜 황색 고체로서 실시예 11 22 ㎎(수율: 11.1%)을 제공하였다.
lH NMR (400 MHz, CDCI3) δ: 1.18 (m, 2H), 1.30 (m, 2H), 1.45 (m, 2H), 2.13-2.19 (m,2H), 2.35 (m, 1H), 4.81 (s, 2H), 6.70 (d, J = 6.4 Hz, 1H), 6.87 (s, 1H), 6.99 (d, J = 8.4Hz, 1H), 7.36 (m, 2H), 7.43 (m, 2H), 7.50 (d, J = 8.8 Hz, 1H) , 7.59 (5, 1H);
LCMS (이동상: 40%-95% 아세토나이트릴-물) 순도 90%, Rt = 2.966 min;
MS 계산치: 566; MS 실측치: 567 (M+1).
[반응식 7]
Figure 112012021394376-pct00109
실시예 12
화합물 G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0
무수 THF 300 ㎖ 중의 화합물 B9(31 g, 110 mmol)의 용액에 0 ℃에서 30 분간 수소화 나트륨(8.8 g, 220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에 0 ℃에서 무수 THF 160 ㎖ 중의 화합물 G1(20.1 g, 130 mmol)의 용액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에 의해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3 25 g(수율: 78.9%)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G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1
DMF 100 ㎖ 중의 조 화합물 G2(25 g, 86.8 mmol) 및 화합물 A6e(26.2 g, 86.8 mmol)의 용액에 K2CO3(56.9 g, 173.6 mmol)을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H2O 10 ㎖로 희석하고 EtOAc 3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2 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20/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4 30 g(수율: 62.5%)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G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2
Et2O 300 ㎖ 중의 화합물 G3(30 g, 54.2 mmol) 및 Pd(OAc)2(3 g)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50 ℃에서 Et2O(700 ㎖, 2.8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오일로서 화합물 G4 24 g(수율: 78%)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2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3
THF 200 ㎖ 및 H2O 50 ㎖ 중의 화합물 G4(24 g, 42.3 mmol)의 용액에 LiOH.H2O(17.77 g, 423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 20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4로 산성화하고 이를 나중에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3/1) 백색 고체로서 실시예 12 16.35 g(수율: 37.3%)을 제공하였다.
lHNMR (400 MHz, CDCI3) δ: 1.13 (m, 2H), 1.18 (m, 2H), 1.53 (m, 2H), 2.10 (m, 1H),2.31 (m, 1H), 2.46 (m, 1H), 4.89 (s, 2H), 6.73 (dd, J= 2.4 Hz, 8.4 Hz, 1H), 6.91 (d, J =2.4 Hz, 1H), 7.08 (d, J= 8.8 Hz, 1H), 7.30 (d, J= 8.4 Hz, 2H), 7.55 (m, 1H), 7.63 (m,2H), 7.85 (d, J= 8.4 Hz, 2H);
LCMS (이동상: 30%-95% 아세토나이트릴-물) 순도 >95%, Rt = 2.875 min;
MS 계산치: 553; MS 실측치: 554 (M+1).
실시예 12a: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4
실시예 12 실시예 12a
적합한 양의 트로메타민을 모 화합물 및 그의 대이온이 동 몰 비로 존재하도록 실시예 12(유리산) 1 g에 가한다. 에탄올(30 ㎖)을 가한다. 상기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약 1 시간) 55 ℃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한다. 아이소프로판올을 상기 필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상기 매질을 75 ℃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한다. 이어서 상기 샘플을 75 ℃에서부터 매 15 분마다 온도를 2도씩 감소시키면서 실온으로 서서히 냉각시킨다. 상등액을 상기 플라스크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분말을 70 ℃에서 2 시간에 걸쳐 동적인 진공 하에서 건조시킨다. 이어서 상기 분말을 40 ℃에서 4 시간 동안 추가로 건조시킨다.
1HNMR (400 MHz, CDCI3) δ: 1.09-1.18 (m, 4H); 1.39-1.46 (m, 2H); 1.98-2.06 (m, 1H); 2.21-2.28 (m, 1H); 2.40-2.45 (m, 1H); 3.44 (s, 6H); 4.87 (5, 2H); 6.15 (bs, 6H); 6.70(dd, J1=1 8.8 Hz, J2= 2.5 Hz, 1H); 6.87 (d, J= 2.5 Hz, 1); 7.01 (d, J:: 8.8 Hz, 1H); 7.14(d, J=8.2 Hz, 2H); 7.49-7.54 (m, 1H); 7.57-7.61 (m, 2H); 7.79 (d, J=8.2 Hz, 2H);
Tm=143 ℃
[반응식 7a]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5
실시예 12b (+)-이성질체 실시예 12c (-)-이성질체
키랄 HPLC 분리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6
G4 3.5 g을 키랄 컬럼(컬럼: CHIRALPAK IA; 컬럼 크기: 0.46 cm I.D. x 15 cm L; 이동 상: 헥산/아이소프로필 알콜=70/30 (v/v); 유속: 1 ml/min; 파장: UV 254 nm; HPLC 장치: UV 검출기 SPD-20A를 갖는 시마츠 LC 20)을 사용하는 예비 키랄 HPLC에 의해 분리시켜 G4a 1.5 g(Rt = 4.262 min, ee%: >99%) 및 G4b 1.5 g(Rt = 5.008 min, ee%: >99%)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2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7
실시예 12b(+)-이성질체
THF 20 ㎖ 및 H2O 15 ㎖ 중의 G4a(1.5 g, 2.65 mmol)의 용액에 LiOH.H2O(800 ㎎, 19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5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H2O 5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4로 산성화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실시예 12b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1.1 g(수율: 75.2%)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HNMR (400 MHz, CDCI3) δ: 1.13 (m, 2H), 1.18 (m, 2H), 1.53 (m, 2H), 2.10 (m, 1H),2.31 (m, 1H), 2.46 (m, 1H), 4.89 (s, 2H), 6.73 (dd, J= 2.4 Hz, 8.4 Hz, 1H), 6.91 (d, J=2.4 Hz, 1H), 7.08 (d, J =8.8 Hz, 1H), 7.30 (d, J =8.4 Hz, 2H), 7.55 (m, 1H), 7.63 (m,2H), 7.85 (d, J = 8.4 Hz, 2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5% TFA) 순도 >98%, Rt = 3.632 min;
MS 계산치: 553; MS 실측치: 554 (M+1);
키랄 HPLC(컬럼: 키랄 팩 AD-H 250*4.6; 이동상: 93/7 헥산/EtOH); ee%는 100%이고, Rt = 16.408;
광학 회전: [α]D 25 = +132°(MeOH, c = 0.295).
실시예 12c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8
실시예 12c(-)-이성질체
THF 20 ㎖ 및 H2O 15 ㎖ 중의 G4b(1.5 g, 2.65 mmol)의 용액에 LiOH.H2O(800 ㎎, 19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5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H2O 5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4로 산성화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실시예 12c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1.1 g(수율: 75.2%)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l HNMR (400 MHz, CDCI3) δ: 1.13 (m, 2H), 1.18 (m, 2H), 1.53 (m, 2H), 2.10 (m, 1H), 2.31 (m, 1H), 2.46 (m, 1H), 4.89 (s, 2H), 6.73 (dd, J= 2.4 Hz, 8.4 Hz, 1H), 6.91 (d, J=2.4 Hz, 1H), 7.08 (d, J =8.8 Hz, 1H), 7.30 (d. J =8.4 Hz, 2H), 7.55 (m, 1H), 7.63 (m,2H), 7.85 (d, J == 8.4 Hz, 2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5% TFA) 순도 >98%, Rt = 3.632 min; MS 계산치: 553; MS 실측치: 554 (M+1);
키랄 HPLC(컬럼: 키랄 팩 AD-H 250*4.6; 이동상: 93/7 헥산/EtOH); ee%는 100%이고, Rt = 24.411;
광학 회전: [α]D 25 = -140.6°(MeOH, c = 0.31).
[반응식 8]
Figure 112012021394376-pct00119
실시예 13
화합물 H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0
냉각된(0 ℃) NaNO2(6.1 g, 88.5 mmol, 물 27 ㎖)의 수용액을 수성 NaOH(96 ㎖, 96 mmol, 1N) 중의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화합물 H1(20 g, 88.5 mmol)의 냉각된(0 ℃) 용액에 가하였다. 상기 합한 용액을 상기 산 용액의 표면 아래에 팁이 있는 적가 깔때기를 사용하여 냉각된 수성 H2SO4(농 H2SO4 9.2 ㎖, 물 80 ㎖)에 서서히 가하였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반응물에 얼음을 가하여 0 ℃를 유지하고 에테르를 가하여 발포를 억제하였다. 추가로 10 분 교반 후에, 상기 다이아조늄 용액을 상기 산 용액의 표면 아래에 팁이 있는 적가 깔때기를 사용하여 냉각된 SnCl2.2H2O(50 g, 221 mmol)의 혼합물에 서서히 가하였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반응물에 얼음을 가하여 0 ℃를 유지하고 에테르를 가하여 발포를 억제하였다. 추가로 0 ℃에서 1 시간 교반 후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황금색 분말을 수성 NaOH에 용해시키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수성 HCl로 침전시키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황색 분말로서 조 화합물 H2 20 g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H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1
무수 MeOH 200 ㎖ 중의 화합물 H2(20 g, 84 mmol)의 용액에 0 내지 5 ℃에서 농 H2SO4(15.4 g, 168 mmol)를 적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밤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물(50 ㎖)에 부었다. 상기 용액을 포화된 NaHCO3 수용액으로 pH = 7로 조절하고, 에테르(50 x 3 ㎖)로 추출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H3 7.1 g(수율: 35%)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H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2
CH3CN 200 ㎖ 중의 화합물 H3(7 g, 27.45 mmol) 및 탄산 칼륨(45 g, 137.25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CH3I(19.60 g, 138 mmo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EtOAc(10 ㎖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조 잔사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4: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H4 4.9 g(수율: 7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H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3
무수 THF 30 ㎖ 중의 n-BuLi(4 ㎖, 헥산 중의 2.5 M 용액, 1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60 ℃에서 5 분의 기간에 걸쳐 메틸트라이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3.57 g, 10 mmol)를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기 온도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생성된 오렌지색 용액에 -60 ℃에서 무수 THF 5 ㎖ 중의 화합물 F6(4.21 g, 10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상기 용액은 무색으로 되었으며, 이를 실온으로 냉각되게 하였다. 물 20 ㎖을 급냉을 위해 가하고, EtOAc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들을 염수에 의해 세척하고, 이어서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여 조 화합물 H5 4.53 g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헥크(Heck)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H6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4
DMF 5 ㎖ 중의 화합물 H5(3.57 g, 10 mmol), 화합물 H6(3.57 g, 10 mmol), 트라이(오쏘톨릴)포스핀(3.57 g, 10 mmol) 및 TEA(3.57 g, 10 mmol)의 혼합물을 100 ℃에서 예열된 욕 중에 넣었다. Pd2(dba)3(3.57 g, 10 mmol)를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00 ℃에서 16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을 EtOAc/물/NaHSO4(pH < 4)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이어서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에, 조 물질을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H6 1.40 g(수율: 23%)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H7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5
Et2O 20 ㎖ 중의 화합물 H6(400 ㎎, 0.66 mmol) 및 Pd(OAc)2(200 ㎎)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50 ℃에서 Et2O(20 ㎖, 8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조 화합물 H7 278 ㎎(수율: 68%)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3: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6
실시예 13
THF 10 ㎖ 및 H2O 4 ㎖ 중의 화합물 H7(278 ㎎, 0.45 mmol)의 용액에 LiOH.H2O(188 ㎎, 4.48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 10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5로 산성화하고 이를 나중에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1) 백색 고체로서 실시예 13 130 ㎎(수율: 48%)을 제공하였다.
lH NMR (400 MHz, DMSO-d6) δ: 1.16 (m, 4H), 1.59 (m, 2H), 2.23 (m, 1H), 2.39 (m,1H), 2.48 (m, 1H), 4.09 (s, 3H), 4.91 (s, 2H), 6.75 (dd, J= 2.4 Hz, 8.8 Hz, 1H), 6.92 (d,J = 2.4 Hz, 1H), 7.12 (d, J =8.8 Hz, 1H), 7.20 (d, J =8.4 Hz, 1H), 7.56 (m, 2H), 7.64(m, 2H), 7.96 (d. J =8.4 Hz, 1H), 12.88 (5, 1H);
LCMS (이동상: 30%-95% 아세토나이트릴-물) 순도 >95%, Rt = 3.258 min;
MS 계산치: 607; MS 실측치: 608 (M+1).
[반응식 8a]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7
실시예 13a(+)-이성질체 실시예 13b(-)-이성질체
키랄 HPLC 분리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8
H7(라세미) 600 ㎎을 키랄 컬럼(컬럼: CHIRALPAK IA; 컬럼 크기: 0.46 cm I.D. x 15 cm L; 이동 상: 헥산/에틸 알콜/DEA=50/50/0.1 (v/v/v); 유속: 1.0 ml/min; 파장: UV 254 nm; HPLC 장치: UV 검출기 SPD-20A를 갖는 시마츠 LC 20)을 사용하는 예비 키랄 HPLC에 의해 분리시켜 H7a 210 ㎎(Rt = 5.325 min, ee%: >99%) 및 H7b 186 ㎎(Rt = 6.804 min, ee%: >99%)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3a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29
실시예 13a(+)-이성질체
THF 5 ㎖ 및 H2O 2 ㎖ 중의 H7a(210 ㎎, 0.35 mmol)의 용액에 LiOH.H2O(8 ㎎, 1.9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를 농축시키고 H2O 5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5로 산성화하였다. EtOAc를 가하여 2 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2) 황색 고체로서 실시예 13a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메틸-1H-인다졸-3-카복실산) 108 ㎎(수율: 50.8%)을 제공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1.18 (m, 2H), 1.32 (m, 2H), 1.51 (m, 2H), 2.19 (m, 1H),2.45 (m, 1H), 4.18 (s, 3H), 4.82 (s, 2H), 6.71 (dd, J =2.4 Hz, 8.4 Hz, 1H), 6.87 (d, J =1.6 Hz, 1H), 7.01 (d, J =8.4 Hz, 1H), 7.23 (m, 2H), 7.36 (m, 1H), 7.43 (m, 2H), 8.17(d, J =8.4 Hz, 1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5% TFA) 순도 >98%, Rt = 3.144 min;
MS 계산치: 607; MS 실측치: 608 (M+1);
키랄 HPLC(컬럼: 키랄 팩 AD-H 250*4.6; 이동상: 65/35 헥산/EtOH); ee%는 100%이고, Rt = 13.101;
광학 회전: [α]D 25 = +159°(MeOH, c = 0.300).
실시예 13b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0
실시예 13b(-)-이성질체
실시예 13a에 대해 개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13b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메틸-1H-인다졸-3-카복실산)을 수득하였다(120 ㎎; 수율: 59.2%).
1HNMR (400 MHz, COCI3) δ: 1.10-1.21 (m, 6H), 1.56 (m, 2H), 2.20 (m, 1H), 2.35 (m,1H), 2.45 (m, 1H), 4.09 (s, 3H), 4.89 (s, 2H), 6.74 (dd, J == 2.4 Hz, 8.8 Hz, 1H), 6.91 (d,J =2.0 Hz, 1H), 7.12 (m, 2H), 7.53 (m, 2H), 7.62 (m, 2H), 7.99 (d, J =8.4 Hz, 1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5% TFA) 순도 >98%, Rt = 3.108 min;
MS 계산치: 607; MS 실측치: 608 (M+1);
키랄 HPLC(컬럼: 키랄 팩 AD-H 250*4.6; 이동상: 65/35 헥산/EtOH); ee%는 99.7%이고, Rt = 30.037;
광학 회전: [α]D 25 = -161°(MeOH, c = 0.300).
실시예 14: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1
실시예 12 실시예 14
무수 DCM 10 ㎖ 중의 화합물 실시예 12(400 ㎎, 0.72 mmol) 및 한 방울의 DMF의 용액에 0 ℃에서 무수 DCM 중의 염화 옥살릴(0.75 ㎖, 1.5 mmol) 2M 용액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무수 THF 10 ㎖로 희석하였다. 상기 용액을 DIEA(0.25 ㎖, 1.5 mmol), 메탄설폰아미드(14.3 ㎎, 1.5 mmol) 및 DMAP(10 ㎎)를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밤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예비 HPLC에 의해 정제시켜 백색 고체로서 실시예 14 40 ㎎(수율: 8.8%)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I3) δ1.16-1.21 (m, 2H), 1.24-1.34 (m, 2H), 1.52 (m, 2H), 2.04 (m, 1H), 2.18 (m, 1H), 2.44 (m, 1H), 3.47 (s, 3H), 4.81 (s, 2H), 6.69 (dd, J = 2.8Hz, 8.4 Hz, 1H), 6.86 (d, J =- 2.4 Hz, 1H), 6.98 (d, J =- 8.4 Hz, 1H), 7.31 (m, 2H), 7.35(m, 1H), 7.44 (m. 2H), 7.80 (d, J =8.4 Hz, 2H), 8.57 (5, 1H);
LCMS (이동상: 6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5% TFA) 순도 >95%, Rt = 3.255 min; MS 계산치: 630; MS 실측치: 631 (M+1).
실시예 15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2
실시예 12 실시예 15
무수 DMF 20 ㎖ 중의 화합물 실시예 12(500 ㎎, 0.90 mmol) 및 HATU(500 ㎎, 1.32 mmol)의 용액을 0 ℃에서 30 분간 교반하고, 이어서 2-아미노에탄설폰산(150 ㎎, 1.2 mmol)을 가한 다음 DIEA(0.4 ㎖)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예비 HPLC에 의해 정제시켜 백색 고체로서 실시예 15 250 ㎎(수율: 42%)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0D) δ1.17-1.24 (m, 4H), 1.41-1.54 (m,2H), 2.04 (m, lH), 2.346 (m, 2H), 3.09 (m, 2H), 3.82 (m, 2H), 4.90 (s, 2H), 6.72 (dd, J =2.8 Hz, 8.8 Hz,1H), 6.82 (d, J =2.4 Hz, 1H), 7.05 (d, J =8.4 Hz, 1H), 7.28 (d, J =8.8 Hz, 2H),7.46-7.55 (m, 3H), 7.77 (d, J= 8.0 Hz, 2H), 7.94 (5, lH);
LCMS (이동상: 20%-95% 아세토나이트릴-물) 순도 >95%, Rt = 4.099 min;
MS 계산치: 660; MS 실측치: 659 (M-1).
[반응식 9]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3
실시예 16
화합물 I1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4
무수 THF 500 ㎖ 중의 화합물 G1(65 g, 240 mmol)의 용액에 0 ℃에서 30 분간 수소화 나트륨(12 g, 288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에 0 ℃에서 무수 THF 300 ㎖ 중의 화합물 E2(41 g, 240 mmol)의 용액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에 의해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 회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I1 72.5 g(수율: 10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I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5
Et2O 200 ㎖ 중의 화합물 I1(20 g, 66.2 mmol) 및 Pd(OAc)2(3.5 g)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50 ℃에서 Et2O(250 ㎖, 1 mol) 중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상기 반응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가리켰다.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무수 Et2O 200 ㎖을 상기 잔사에 가한 다음 Pd(OAc)2(2 g)를 가하였다. 이어서 Et2O 중의 CH2N2(150 ㎖, 0.6 mol)의 용액을 -50 ℃에서 N2 분위기 하에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상기 반응이 끝났음을 가리켰으며 이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0/1) 회색 고체로서 화합물 I2 9 g(수율: 43%)을 제공하였다.
상기 반응을 동일한 양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3 회 재수행하고, 화합물 I2 26 g(수율: 43.2%)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I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6
물 20 ㎖ 및 THF 100 ㎖에 용해된 화합물 I2(10.5 g, 33.23 mmol) 및 LiOH.H2O(6.98 g, 166.1 mmol)의 교반된 혼합물을 55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pH를 1로 조절하기 위해서 6N 수성 HCl 용액으로 처리하고 추가로 30 분간 교반하였다. 생성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I3 9.1 g(수율: 90.7%)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I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7
무수 DCM 30 ㎖ 중의 화합물 I3(4.5 g, 15.0 mmol)의 용액에 SOCl2(2 ㎖, 28.2 mmol)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THF로 희석하였다. 상기 용액을 0 ℃에서 THF 중의 6N NH3 용액에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물 100 ㎖을 가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수거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I4 4.0 g(수율: 88.6%)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I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8
무수 THF 60 ㎖ 중의 화합물 I4(4.0 g, 13 mmol)의 용액에 DIEA(4.0 g, 31 mmol) 및 TFAA(5.5 g, 26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EtOAc 100 ㎖로 희석하였다. 상기 용액을 수성 NaHCO3 용액 및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I5 3.5 g(수율: 95.1%)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I6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39
무수 DCM 70 ㎖ 중의 화합물 I5(3.5 g, 12 mmol)의 용액에 -78 ℃에서 BBr3(5 ㎖, 52.9 mmol)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78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MeOH를 급냉을 위해 상기 혼합물에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포화된 NaHCO3 용액 200 ㎖에 부었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Et2O를 가하여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8/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I6 2.2 g(수율: 68.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I7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0
DMF 15 ㎖ 중의 화합물 I6(2.1 g, 8.0 mmol)의 용액에 화합물 A6e(2.5 g, 8.3 mmol) 및 K2CO3(2.2 g, 16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5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였다. 상기 용액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10)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I7 2.1 g(수율: 49.2%)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6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1
DMF 5 ㎖ 중의 화합물 I7(400 ㎎, 0.8 mmol)의 용액에 NH4Cl(140 ㎎, 2.64 mmol) 및 NaN3(140 ㎎, 2.15 mmol)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100 ℃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3 회 세척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예비 HPLC에 의해 정제시켜 백색 고체로서 실시예 16 130 ㎎(수율: 28.2%)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1.12-1.22 (m, 4H), 1.51-1.58 (m,2H), 2.10-2.14 (m,1H), 2.32-2.36 (m, 1H), 2.45-2.49 (m, 1H), 3.18 (s, 1H), 4.91 (s, 2H), 6.73-6.76 (dd,J = 2.4 Hz, 8.8 Hz, 1H), 6.93 (d, J = 2.0 Hz, 1H), 7.11 (d, J =8.8 Hz, 1H), 7.44 (d, J =8.4 Hz, 2H), 7.56 (m, lH), 7.64 (d, J =7.6 Hz, 2H), 7.96 (d, J= 7.6 Hz, 2H);
LCMS (이동상: 50%-95% 아세토나이트릴-물-0.05% TFA) 순도 >95%, Rt = 3.962 min; MS 계산치: 577; MS 실측치: 578 (M+1).
[반응식 10]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2
실시예 17
화합물 I2a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3
무수 DCM 40 ㎖ 중의 화합물 I2(5 g, 15.8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70 ℃에서 BBr3(14.8 ㎖, 158 mmol)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탈메틸화가 끝났음을 가리켰다. 상기 용액을 다시 -30 ℃로 냉각시키고 MeOH 50 ㎖을 급냉을 위해 가하였다.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물 및 DCM을 상기 잔사에 가하였다. 유기층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I2a 3.9 g(수율: 81.7%)을 제공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1.49 (m, 2H), 2.08 (m, 1H), 2.41 (m, lH), 3.94 (5, 3H).6.74 (dd, J= 2.4 Hz, 8.4 Hz, 1H), 6.92 (d, J== 2.4 Hz, 1H), 7.01 (d, J== 8.4 Hz, 1H). 7.25 (d, J= 8.0 Hz, 2H), 8.00 (d, J == 8.4 Hz, 2H).
화합물 J1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4
DCM 200 ㎖ 중의 화합물 A5e(12 g, 42 mmol)의 용액에 Et3N(12 g, 120 mmol) 및 이어서 (Ac)2O(12 g, 120 mmol)를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잔사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5/1) 무색 오일로서 화합물 J1 13 g(수율: 94%)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J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5
CCl4 300 ㎖ 중의 화합물 J1(13 g, 40 mmol)의 용액에 NBS(7.8 g, 45 mmol)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환류 하에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5/1) 오일로서 화합물 J2 12.5 g(수율: 77%)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J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6
THF 200 ㎖ 중의 화합물 J2(12.5 g, 30.8 mmol)의 용매에 DBU(10 g)를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잔사를 제공하였다. MeOH 80 ㎖ 및 H2O 40 ㎖을 용해시킨 상기 잔사 혼합물에 K2CO3(6 g, 43.5 mmol)를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생성 용액을 물로 급냉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현탁액을 EtOAc로 3 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5/1) 오일로서 화합물 J3 8 g(수율: 9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J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7
무수 THF 150 ㎖ 중의 화합물 J3(8 g, 28 mmol) 및 DIEA(24 ㎖)의 용액에 0 ℃에서 TBSOTf(8.2 g, 31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 용액을 0 ℃에서 급냉시키고, EtOAc로 3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들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5/1) 무색 오일로서 화합물 J4 9 g(수율: 9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J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8
1,4-다이옥산 40 ㎖ 및 물 15 ㎖ 중의 화합물 J4(2 g, 5 mmol), 2,6-루티딘(1 g, 10 mmol), NaOI4(4.27 g, 20 mmol) 및 OsO4(300 ㎎)의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 용액을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3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들을 수성 NaHCO3 용액으로 2 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tOAc = 15/1) 오일로서 화합물 J5 1.8 g(수율: 94%)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J6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49
무수 THF 40 ㎖ 중의 화합물 J5(1.6 g, 4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30 ℃에서 30 분간 MeMgCl(3 M, 3.2 ㎖, 9.6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30 내지 -2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 NH4Cl 용액 30 ㎖을 급냉을 위해 가하였다. 상기 수 층을 DCM으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30/1) 무색 오일로서 화합물 J6 1.2 g(수율: 72.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J7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0
무수 THF 40 ㎖ 중의 J6(1.2 g, 2.9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0 ℃에서 30 분간 TBAF(1M, 2.9 ㎖, 2.9 mmol)를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 ℃ 내지 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30 ㎖의 수성 NH4Cl 용액을 급냉을 위해 가하였다. 상기 수 층을 DCM으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화합물 J7 500 ㎎(수율: 57%)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J8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1
무수 THF 50 ㎖ 중의 화합물 J7(500 ㎎, 1.65 mmol), 화합물 I2a(500 ㎎, 1.65 mmol), 및 Ph3P(875 ㎎, 3.7 mmol)의 혼합물에 N2 분위기 하에 0 ℃에서 DEAD(675 ㎎, 3.7 mmol)를 적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MeOH 10 ㎖을 서서히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1) 고체로서 화합물 J8 600 ㎎(수율: 62%)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7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2
실시예 17
THF 5 ㎖ 및 H2O 2 ㎖ 중의 화합물 J8(200 ㎎, 0.34 mmol)의 용액에 LiOH.H2O(42 ㎎, 1.0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였다.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pH를 5로 조절하고 이를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2/1) 백색 고체로서 실시예 17 (4-(2-(2-클로로-4-((3-(2,6-다이클로로페닐)-5-(2-하이드록시프로판-2-일)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50 ㎎(수율: 24%)을 제공하였다.
1HNMR (DMSO, 400 MHz) δ: 1.47-1.61 (m, 8H), 2.09-2.12 (m, 1H), 2.29-2.34 (m, 1H),5.04 (s, 2H), 5.98 (s, 1H), 6.64-6.66 (m, 1H), 6.81-6.82 (m, 1H), 7.06-7.08 (m, 1H)7.29-7.32 (m, 2H), 7.53-7.57 (m, 1H), 7.61-7.63 (m, 2H), 7.84-7.86 (m, 2H), 12.80 (5,1H).
LCMS (이동상: 30%-95% 아세토나이트릴-물) 순도 >95%, Rt = 3.11 min;
MS 계산치: 571; MS 실측치: 572 (M+1).
[반응식 11]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3
실시예 18
화합물 K1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4
THF 20 ㎖ 중의 화합물 J6(600 ㎎, 1.45 mmol) 및 TsOH.H2O(6 ㎎, 0.034 mmol)의 용액에 0 ℃에서 CH2N2(5M, Et2O 중의 14.5 mmol)을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화합물 K1 300 ㎎(수율: 50%)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K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5
무수 THF 40 ㎖ 중의 화합물 K1(300 ㎎, 0.7 mmol)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0 ℃에서 30 분간 TBAF(1M, 0.7 ㎖, 0.7 mmol)를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 ℃ 내지 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30 ㎖의 수성 NH4Cl 용액을 급냉을 위해 가하였다. 상기 수 층을 DCM으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2/1) 무색 오일로서 화합물 K2 150 ㎎(수율: 68%)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K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6
무수 THF 30 ㎖ 중의 화합물 K2(150 ㎎, 0.47 mmol), I2a(142 ㎎, 0.47 mmol), 및 Ph3P(247 ㎎, 0.94 mmol)의 혼합물에 N2 분위기 하에 0 ℃에서 DEAD(172 ㎎, 0.94 mmol)를 적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MeOH 5 ㎖을 서서히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1) 화합물 K3 150 ㎎(수율: 53%)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실시예 18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7
실시예 18
THF 5 ㎖ 및 H2O 2 ㎖ 중의 화합물 K3(150 ㎎, 0.25 mmol)의 용액에 LiOH.H2O(42 ㎎, 1.0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였다.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pH를 5로 조절하고 이를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2/1) 실시예 18 4-(2-(2-클로로-4-((3-(2,6-다이클로로페닐)-5-(2-메톡시프로판-2-일)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5 ㎎(수율: 30%)을 제공하였다.
1HNMR (CD30D, 400 MHz) δ: 1.48-1.54 (m, 2H), 1.67 (s, 6H), 2.06-2.08 (m, 1H),2.37-2.39 (m, 1H), 3.29 (s, 3H), 4.97 (s, 2H), 6.65-6.67 (m, 1H), 6.75-6.76 (m, 1H),7.03-7.05 (m, 1H) 7.28-7.30 (m, 2H), 7.47-7,54 (m, 3H), 7,95-7.97 (m, 2H);
LCMS (이동상: 40%-95% 아세토나이트릴-물) 순도 >95%, Rt = 3.27 min;
MS 계산치: 587; MS 실측치: 586 (M-1).
[반응식 12]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8
실시예 19
화합물 L1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59
THF 70 ㎖ 중의 메틸 3-옥소부타노에이트(8.9 g, 40 mmol, 1.0 당량) 및 화합물 A3a(4.64 g, 4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MeONa(2.16 g, 40 mmol, 1.0 당량)를 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1N HCl 용액으로 세척하고, EtOAc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L1 4.3 g(수율: 38%)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L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0
DMF 60 ㎖ 및 DMF-DMA 60 ㎖ 중의 화합물 L1(4.3 g, 15 mmol, 1 당량)의 용액을 110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PE/EA = 10/1)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L2 3.86 g(수율: 76%)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L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1
THF 54 ㎖ 중의 화합물 L2(2.16 g, 6.3 mmol, 1 당량) 및 SiO2(물 22 ㎖ 중의)의 용액에, 농 HCl 용액 44 ㎖을 40 ℃에서 1 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여과하고, EtOAc로 추출하고,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 화합물 L3 1.99 g(수율: 99%)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L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2
EtOH 20 ㎖ 중의 화합물 L3(1.99 g, 6.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 ℃에서 20 분 동안 NaBH4(266 ㎎, 7 mmol, 1 당량)를 가하였다. 이어서 수성 HCl 용액(1 mol/L)을 반응 색이 사라질 때까지 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EtOAc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고체로서 화합물 L4 2.01 g(수율: 99%)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L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3
무수 DCM 80 ㎖ 중의 화합물 L4(2.0 g, 6.3 mmol, 1.0 당량) 및 p-톨루엔 설폰산(16 ㎎, 0.06 mmol, 0.01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서 3,4-다이하이드로-2H-피란(800 ㎎, 9.5 mmol, 1.5 당량)을 적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 ㎖의 수성 NaHCO3 용액으로 2 회 세척하고, 수성 층을 DCM 100 ㎖로 3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오일로서 화합물 L5 1.0 g(수율: 40%)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L6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4
무수 THF 40 ㎖ 중의 L5(1.0 g, 2.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30 ℃에서 30 분간 DIBAL-H(1M, 10 ㎖, 3.75 당량)를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5 ℃ 내지 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30 ㎖의 수성 NH4Cl 용액을 급냉을 위해 가하였다. 상기 수 층을 DCM으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1) 담황색 오일로서 화합물 L6 800 ㎎(수율: 86%)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L7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5
무수 THF 20 ㎖ 중의 화합물 L6(372 ㎎, 1 mmol, 1.0 당량), I2a(302 ㎎, 1 mmol, 1.0 당량, B13에 대한 과정에 따라 제조됨), 및 Ph3P(524 ㎎, 2 mmol, 2.0 당량)의 혼합물에 N2 분위기 하에 0 ℃에서 DEAD(348 ㎎, 2 mmol, 2.0 당량)를 적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MeOH 10 ㎖을 서서히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사를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0/1) 고체로서 화합물 L7 170 ㎎(수율: 26%)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L8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6
THF 5 ㎖ 및 H2O 1 ㎖ 중의 화합물 L7(170 ㎎, 0.26 mmol, 1.00 당량)의 용액에 LiOH.H2O(110 ㎎, 2.6 mmol, 10 당량)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pH를 5로 조절하고 이를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L8 150 ㎎(수율: 90%)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9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7
실시예 19
MeOH 5 ㎖ 중의 화합물 L8(150 ㎎, 0.23 mmol, 1.00 당량)의 용액에 TsOH.H2O(65 ㎎, 0.34 mmol, 1.5 당량)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로 희석하고, 이를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2/1) 화합물 19 (4-(2-(2-클로로-4-((3-(2,6-다이클로로페닐)-5-(2-하이드록시에틸)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50 ㎎(수율: 34%)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NMR (DMSO, 400 MHz) δ: 1.48-1.55 (m, 2H), 2.01-2.11 (m, 1H), 2.31-2.32 (m, 1H),3.09-3.12 (m, 2H), 3.74-3.78 (m, 2H), 4.87 (5, 2H), 4.99-5.01 (m, 1H), 6.67-6.70 (m,1H), 6.84-6.85 (m, 1H), 7.07-7.09 (m, 1H) 7.30-7.32 (m, 2H), 7.55-7.64(m, 3H), 7.857.87(m,2H);
LCMS (이동상: 10%-95% 아세토나이트릴-물) 순도 >95%, Rt = 3.19 min;
MS 계산치: 557; MS 실측치: 556 (M-1).
[반응식 13]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8
화합물 M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69
DMF 30 ㎖ 중의 화합물 M1(5 g, 27.2 mmol)의 용액에 0 ℃에서 60% NaH(1.20 g, 30 mmol)를 가하고, 상기 용액을 0.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DMF 10 ㎖ 중의 2-요오도프로판(5.1 g, 30 mmol)의 용액을 0 ℃에서 적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가하여 상기 반응물을 급냉시키고, 상기 용액을 EtOAc로 3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들을 물로 3 회, 염수로 2 회 연속해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1) 화합물 M2 2 g(수율: 18%)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M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0
MeOH 20 ㎖ 중의 화합물 M2(2 g, 8.85 mmol)의 용액에 MeOH 중의 KOH(2.2M 용액 10 ㎖) 용액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20 ℃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저온에서 진공 하에 제거한 후에, 상기 잔사를 물 20 ㎖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1N 수성 HCl(10 ㎖, 10 mmol)로 중화시켰다. 0 ℃에서 20 시간 교반한 후에,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상기 케이크를 물로 세척하여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M3 1.16 g(수율: 62%)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M4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1
무수 THF 10 ㎖ 중의 화합물 M3(1 g, 4.8 mmol)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 하에 0 ℃에서 BH3.Me2S(1 ㎖, THF 중의 2M)를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물을 가하여 상기 반응물을 급냉시키고, 생성 용액을 EtOAc로 2 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들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3/1) 화합물 M4 578 ㎎(수율: 70%)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M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2
무수 DCM 5 ㎖ 중의 염화 옥살릴(0.4 ㎖, 5.28 mmol)의 교반된 용액에 -30 ℃에서 무수 DCM 1 ㎖ 중의 DMSO(0.38 ㎖, 5.28 mmol)의 용액을 가하였다. 20 분간 교반한 후에, 무수 DCM 2 ㎖ 중의 화합물 M4(578 ㎎, 2.92 mmol)의 용액을 -30 ℃에서 나누어 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추가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Et3N(1.4 ㎖, 10.2 mmol)을 -30 ℃에서 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DCM 20 ㎖을 가하여 상기 반응 혼합물을 희석하고, 시트르산 및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 용액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1) M5 400 ㎎(수율: 69.4%)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추가의 실시예들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3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4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5
[반응식 14]
실시예의 절대 배열의 설명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6
사이클로프로판의 실시예 5b (+)-이 성질체 절대 배열은 (S,S)이다/다이옥산)
화합물 N1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7
무수 THF 70 ㎖ 중의 화합물 B6(14.3 g, 50 mmol)의 용액에 0 ℃에서 30 분간 수소화 나트륨(2.4 g, 60 mmol)을 가하였다. 상기 생성 혼합물에 0 ℃에서 무수 THF 50 ㎖ 중의 화합물 E2(8.5 g, 50 mmol)의 용액을 가하고,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용액에 의해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0/1)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N1 7.7 g(수율: 51%)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N2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8
무수 THF 50 ㎖ 중의 화합물 N1(7.7 g, 25.5 mmol) 및 Pd(OAc)2(1 g)의 용액에 -50 ℃에서 N2 분위기 하에 Et2O(25 ㎖, 약 10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및 LCMS는 모두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50/1) 오일로서 화합물 N2 5.1 g(수율: 63.3%)을 제공하였다.
키랄 HPLC 분리
Figure 112012021394376-pct00179
화합물 N2(라세미) 1.7 g을 키랄 컬럼(컬럼: CHIRALPAK IA; 컬럼 크기: 0.46 cm I.D. x 15 cm L; 이동 상: 헥산/아이소프로필 알콜=80/20 (v/v); 유속: 1.0 ml/min; 파장: UV 254 nm; HPLC 장치: UV 검출기 SPD-20A를 갖는 시마츠 LC 20)을 사용하는 예비 키랄 HPLC에 의해 분리시켜 화합물 N2a 534 ㎎(Rt = 5.143 min, ee%: >99%) 및 화합물 N2b 577 ㎎(Rt = 6.325 min, ee%: >99%)을 제공하였다.
화합물 N3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0
THF 10 ㎖ 및 H2O 3 ㎖ 중의 화합물 N2b(500 ㎎, 1.58 mmol)의 용액에 LiOH.H2O(664 ㎎, 15.8 mmol)를 가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4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시키고 H2O 5 ㎖로 희석하고, 1N 수성 HCl 용액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pH = 4로 산성화하였다. EtOAc를 가하여 2 회 추출하고, 상기 합한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용출제: PE/EA = 1/3) 화합물 N3 430 ㎎(수율: 90.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N3b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1
무수 톨루엔 5 ㎖ 중의 화합물 N3(200 ㎎, 0.66 mmol) 및 (S)-1-페닐에틸아민(80 ㎎, 0.66 mmol)의 용액을 밤새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형성된 고체를 수거하였다. 상기 고체를 냉각된 톨루엔 1 ㎖에 의해 세척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염 N3b 137 ㎎(>99% HPLC 및 NMR 순도)을 제공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37 (d, J =6.4 Hz. 3H), 1.47 (m, 2H), 2.15 (m, lH),2.30 (m, 1H), 3.77 (s, 3H), 4.17 (m, 1H), 6.90 (dd, J =2.4 Hz, 8.8 Hz, 1H), 7.04 (d, J =2.4 Hz, 1H), 7.16 (d, J= 8.8 Hz, 1H), 7.26 (t, J= 7.2 Hz, 1H), 7.33 (m, 4H), 7.44 (d. J= 7.2 Hz, 2H), 7.73 (m, 2H).
N3b 의 결정 성장 및 절대 배열 측정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2
염 N3b(100 ㎎)를 무수 EtOH 30 ㎖에 이어서 n-헥산(헥산을 용액이 약간 탁해질 때까지 가하였다) 1.8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여과하고 건조 상자(약 20 ℃) 중에서 선반 위에 따로 두었다. 3일 후에, 무색 결정이 형성되었다.
저 전력 배율(10X) 하에서의 검사에 따라, 결정을 선택하였다.
결정 크기 0.35 x 0.15 x 0.14 ㎜
표준 편차를 갖는 단위 셀 매개변수 a = 11.898(5)Å α = 90°
b = 6.801(3)Å β = 92.725(5)°
c = 13.836(5)Å γ = 90°
단위 셀 부피 1118.3(7)Å3
이격 그룹 기호 P21
Z 값 2
계산된 밀도 1.259 g/㎤
연구 중인 온도(K) 293(2)K
R-인자 R1 = 0.0992 wR2 = 0.1918
염 N3a로부터의 X-선 결정학 데이터를 근거로, 그의 절대 배열은 (S,S)이다.
N4 로부터 화합물 N2b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3
THF 5 ㎖ 중의 조 산 N4(120 ㎎, 0.21 mmol)의 용액에 -50 ℃에서 N2 분위기 하에 Et2O(0.7 ㎖, 2.8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농축시키고 예비 TLC에 의해 정제시켜 백색 고체로서 N2b 21 ㎎(2 단계 수율: 32.3%)을 제공하였다.
1HNMR (400 MHz, CDCI3) δ: 1.47 (m, 2H), 2.12 (m, 1H), 2.40 (m, 1H), 3.82 (s, 3H),3.95 (s, 3H), 6.80 (dd, J = 2.4 Hz, 8.4 Hz, 1H), 6.97 (d, J = 2.4 Hz, 1H), 7.06 (d, J =8.4 Hz, 1H), 7.41 (m, 2H), 7.89 (dd, J =2.4 Hz, 6.4 Hz, 2H).
키랄 HPLC 분석(키랄 컬럼: CHIRALCEL OD; 컬럼 크기: 4.6*250 ㎜; 이동 상: 헥산/EtOH/AcOH=60/40/0.1 (v/v/v); 유속: 0.8 ml/min); Rt = 9.312 min(처음 용출되는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메이트와 비교)
화합물 N5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4
실시예 5b(+)-이성질체
다이옥산 5 ㎖ 중의 실시예 5b((+)-이성질체)(50 ㎎, 0.09 mmol) 및 6N HCl 용액(5 ㎖)의 용액을 85 ℃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고, EtOAc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조 산 N5 51 ㎎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N5 로부터 화합물 N2b 의 합성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5
THF 5 ㎖ 중의 조 산 N5(51 ㎎, 0.09 mmol)의 용액에 -50 ℃에서 N2 분위기 하에 Et2O(1 ㎖, 4.00 mmol) 중의 CH2N2의 용액을 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LCMS는 상기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가리켰다. 농축시키고 예비 TLC에 의해 정제시켜 백색 고체로서 N2b 23 ㎎(2 단계 수율: 80.9%)을 제공하였다.
lHNMR (400 MHz, CDCh) 0: 1.47 (m, 2H), 2.12 (m, 1H), 2.40 (m, 1H), 3.82 (5, 3H),3.95 (s, 3H), 6.80 (dd, J:: 2.4 Hz, 8.4 Hz, 1H), 6.97 (d, J =2.4 Hz, 1H), 7.06 (d, J =8.4 Hz, 1H), 7.41 (m, 2H), 7.89 (dd, J =2.4 Hz, 6.4 Hz, 2H).
키랄 HPLC 분석(키랄 컬럼: CHIRALCEL OD; 컬럼 크기: 4.6*250 ㎜; 이동 상: 헥산/EtOH/AcOH=60/40/0.1 (v/v/v); 유속: 0.8 ml/min); Rt = 9.466 min(처음 용출되는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메이트와 비교)
분석
FRET 활성 분석
핵 수용체 FXR에 결합하는 리간드를 정량분석하기 위해서 리간드 매개된 보조인자 펩타이드 상호작용의 측정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인간 FXR 알파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제조: 인간 FXR알파 LBD를 N-말단 GST 표지한 융합 단백질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균주 BL21(DE3)에서 발현시켰다. 상기 FXR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암호화하는 DNA를 pDEST15(Invitrogen)에 클로닝하였다. 발현은 IPTG 유도성 T7 프로모터의 조절하에 있었다.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아미노산 경계는 데이터베이스 엔트리 NM_005123(RefSeq)의 아미노산 187-472이었다. FXR-LBD의 발현 및 정제: 형질전환된 이 콜라이 균주의 밤새 예비배양물을 LB-암피실린 배지에서 1:20 희석하고 30 ℃에서 OD600 = 0.4-0.6의 광학 밀도로 증식시켰다. 이어서 0.5 mM IPTG의 첨가에 의해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세포를 30 ℃, 180 rpm에서 추가로 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원심분리(7000 x g, 7 min, 실온)에 의해 수거하였다. 원래 세포 배양물 리터당, 세포를 10 ㎖ 용해 완충제(50 mM 글루코스, 50 mM 트리스 pH 7.9, 1 mM EDTA 및 4 ㎎/㎖ 라이소자임) 중에 재현탁하고 30 분간 얼음 상에 두었다. 이어서 세포를 초음파 처리하고 세포 찌꺼기를 원심분리(22000 x g, 30 분, 4 ℃)를 통해 제거하였다. 상등액 10 ㎖당 0.5 ㎖의 예비 세척된 글루타치온 4B 세파로스 슬러리(Qiagen)를 가하고 상기 현탁액을 4 ℃에서 1 시간 동안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유지하였다. 글루타치온 4B 세파로스 비드를 원심분리(2000 x g, 15 초, 4 ℃)에 의해 펠릿화하고 세척 완충제(25 mM 트리스, 50 mM KCl, 4 mM MgCl2 및 1M NaCl)에서 2 회 세척하였다. 상기 펠릿을 원래 배양물 리터당 3 ㎖ 용출 완충제(용출 완충제: 20 mM 트리스, 60 mM KCl, 5 mM MgCl2 및 80 mM 글루타치온(분말로서 사용하기 직전에 첨가됨))에 재현탁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4 ℃에서 15 분간 회전시키고, 상기 비드를 펠릿화하고 상기 처음보다 절반 부피의 용출 완충제로 다시 용출시켰다. 상기 용출물을 모으고 60 mM KCl, 5 mM MgCl2 뿐만 아니라 1 mM 다이티오쓰레이톨 및 10%(v/v)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20 mM Hepes 완충제(pH 7.5)에서 밤새 투석시켰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정제된 세균 발현된 FXR 리간드 결합 도메인(LBD)과 SRC-1의 잔기 676-700(LCD2, 676-700)에 근거한 합성 비오틴화된 펩타이드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추정 리간드의 능력을 측정한다. 상기 사용된 펩타이드의 서열은 B-CPSSHSSLTERHKILHRLLQEGSPS-COOH이며, 이때 N-말단은 비오틴화되었다(B). 상기 FXR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LBD)을 벡터 pDEST15를 사용하여 BL-21 세포에서 GST와의 융합 단백질로서 발현시켰다. 세포를 초음파 처리에 의해 용해시켰으며, 상기 융합 단백질을 제조사의 설명에 따라 글루타치온 세파로스(Pharmacia) 상에서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상기 FXR-펩타이드 상호작용에 대한 그의 영향에 대해 선별하기 위해서, 퍼킨 엘머(Perkin Elmer) LANCE 기술을 적용하였다. 상기 방법은 공여체로부터 관심의 결합 짝에 부착된 수용체 형광단으로의 결합 의존성 에너지 전달에 의존한다. 화합물로부터의 배경의 처리 및 감소의 용이성을 위해서, 형광 LANCE 기술은 일반적인 형광단 표지를 사용하며 시간 분석된 검출 분석을 384 웰 플레이트에서, 20 내지60 ng/웰의, GST, 200 내지 600 nM N-말단 비오틴화된 펩타이드(SRC1 아미노산 676-700을 나타냄)에 융합된 재조합 발현된 FXR-LBD, 200 ng/웰의 스트렙트아비딘-xlAPC 접합체(Prozyme) 및 6 내지 10 ng/웰의 Eu W1024-항GST(Perkin Elmer)를 함유하는, 트리스-기재 완충제(20 mM 트리스-HCl pH 7.5; 60 mM KCl, 5 mM MgCl2; 35 ng/㎕ BSA) 중에서 25 ㎕의 최종 부피로 수행하였다. 상기 샘플의 DMSO 함량을 1%에서 유지시켰다. 상기 분석 혼합물을 생성시키고 상기 잠재적인 FXR 조절 리간드를 희석한 후에, 상기 분석물을 FIA-플레이트 블랙 384 웰(Greiner) 중에서 실온에서 암실에서 1 시간 동안 평형화시켰다. 상기 LANCE 신호가 퍼킨 엘머 VICTOR2VTM 멀티라벨 카운터에 의해 검출되었다. 상기 665 및 615 ㎚에서 방출된 빛 간의 비를 플롯팅함으로써 결과를 가시화하였다. FXR-펩타이드 형성의 기본 수준은 첨가된 리간드의 부재 하에서 관찰된다. 상기 복합체 형성을 촉진하는 리간드는 시간 분석된 형광 신호에서 농도 의존성 증가를 유도한다. 단량체성 FXR과 FXR-펩타이드 복합체 모두에 동등하게 잘 결합하는 화합물들은 신호의 변화를 제공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상기 단량체성 수용체에 우선적으로 결합하는 리간드는 관찰된 신호에서 농도 의존적인 감소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의 억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 표 1에 나열된 바와 같은 실시예 화합물뿐만 아니라 비교 화합물들에 대해서 EC50-값을 측정하였다.
포유동물 1 하이브리드 ( M1H ) 분석
FXR의 리간드 결합 매개된 활성화를 정량분석하기 위한 리간드 매개된 Gal4 프로모터 구동된 트랜스활성화의 측정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상기 FXR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암호화하는 cDNA 부분을 CMV 프로모터의 조절 하에서 효모 GAL4 DNA 결합 도메인에 대한 융합물로서 벡터 pCMV-BD(Stratagene)에 클로닝하였다.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아미노산 경계는 데이터베이스 엔트리 NM_005123(RefSeq)의 아미노산 187-472였다. 플라스미드 pFR-Luc(Stratagene)는, 상기 효모 GAL4 결합 부위의 5 개의 일렬 반복부와 함께 합성 프로모터를 함유하여, 정보제공 유전자로서 반디(미국 개똥벌레) 루시페라제 유전자의 발현을 구동하는 정보제공 플라스미드로서 사용되었다. 실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플라스미드 pRL-CMV(Promega)를 함께 형질감염시켰다. pRL-CMV는 레닐라 레니포르미스(Renilla reniformis) 루시페라제의 발현을 조절하는 구성적 CMV 프로모터를 함유한다. 모든 Gal4 정보제공 유전자 분석을 L-글루타민을 갖는 MEM, 및 10% 소 태아 혈청, 0.1 mM 불필수 아미노산,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및 100 단위 페니실린/스트렙트아비딘/㎖이 보충된 얼(Earle)의 BSS에서 증식시킨 HEK293 세포(DSMZ, Braunschweig, Germany로부터 수득함)에서, 37 ℃에서 5% CO2 하에서 수행하였다. 배지 및 보충물은 인비트로젠(Invitrogen)으로부터 수득되었다. 상기 분석을 위해서, 5% CO2 하에 37 ℃에서 배양된 5 x 105 세포/웰을 96웰 플레이트에서, 웰당 100 ㎕의, 페놀 레드 및 L-글루타민 부재 하의 MEM 및 10% 목탄/덱스트란 처리된 FBS(HyClone, South Logan, Utah), 0.1 mM 불필수 아미노산, 2 mM 글루타민,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및 100 단위 페니실린/스트렙트아비딘/㎖이 보충된 얼의 BSS 중에서 도말하였다. 다음날 상기 세포는 >90% 융합율이었다.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상술한 3 개의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20 ㎕/웰의 OptiMEM(폴리에틸렌-이민 기재 형질감염 시약)(OptiMEM, Invitrogen; Polyethyleneimine, Aldrich Cat No. 40,827-7)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형질감염시켰다. 세포 도말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조성의 MEM을 형질감염 혼합물 첨가 후 2 내지 4 시간째에 가하였다. 이어서 MEM에서 예비 희석한 화합물 모액을 가하였다(최종 비히클 농도는 0.1%를 초과하지 않는다). 세포를 추가로 16 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개똥벌레 및 레닐라 루시페라제 활성을 이중 광 루시페라제 분석 시스템(Dyer et al., Anal. Biochem. 2000, 282, 158-61)을 사용하여 동일한 세포 추출물 중에서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을 3 회 중복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화합물들뿐만 아니라 WO 2000/037077로부터의 비교 화합물들에 대한 FXR 작용물질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효능 범위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FRET 및 M1H 분석에서 측정하였다.
화합물 FRET Gal4 ( M1H )
GW4064 B B
Px20535 B B
실시예 1 B B
실시예 2 B B
실시예 3 B B
실시예 4 B B
실시예 5a A B
실시예 5b C C
실시예 6 B B
실시예 7 B B
실시예 8 B B
실시예 12 C B
실시예 12b C C
실시예 12c B B
실시예 13 B B
실시예 13a B B
실시예 13b A A
실시예 14 C B
실시예 15 B C
실시예 16 C B
실시예 17 C C
실시예 20 A A
실시예 21 A A
실시예 23 B A
실시예 24 C C
실시예 28 C C
(A= EC50 < 10 nM; B = 10 < EC50 < 100 nM; C = EC50 > 100 nM)
래트, 마우스 및 원숭이에서 약동학의 측정
화합물들을 위관영양에 의해 각각 5 ㎎/㎏으로 및 iv 주사에 의해 각각 1 ㎎/㎏으로 12 주된 수컷 C57Bl/6J 또는 스프래그 다우리 래트에게 경구 적용하고 상기 시험 항목들의 혈장 농도를 지시된 시점 후에 LC-MS/MS에 의해 측정하였다. 키노몰구스 원숭이(Macacca mulatta)의 경우에, 상기 용량을 12 ㎎/㎏ p.o.으로 조정하였으며, iv 주사는 제공하지 않았다(도 1a, 1b 및 표 2).
12 ㎎/㎏의 용량 수준으로 경구 투여 후 원숭이에서 실시예 4 및 실시예 12의 비 구획 약동학 매개변수들
매개변수 실시예 4
( Avg )
실시예 4
% RSD
실시예 12
( Avg )
실시예 12
% RSD
t1 /2 (분) 175.04 51.3 272.29 51.8
Tmax(분) 85.0 71.3 175.0 64.3
Cmax (ng/mL) 7336.54 56.2 2218.77 64.3
MRT0 -t (분) 258.34 16.2 366.50 28.5
Vz/F (L/kg) 1.926 81.5 5.187 53.2
CLz/F (L/분/kg) 0.007 31.2 0.013 8.7
AUC(0-t) (ng.분/mL) 1828898.50 30.3 868263.37 12.1
AUC(0- inf ) (ng.분/mL) 1844978.86 28.7 905286.64 12.3
각 시험 항목의 2.5 ㎎/㎖의 용액을, 비히클, 20 mM 인산염 완충된 염수 pH 7.4 중의 0.5%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w/v) 중에 희석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40 ℃에서 10 분간 가열하여, 충분히 균질한 현탁액을 생성시켰다. 상기 용액을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하여 적용하였으며, 이때 적용 부피는 5 ㎖/㎏이었다. 각 시점에 대해 3 마리의 마우스 또는 래트를 사용하였다. 키노몰구스 원숭이의 경우 혈액 샘플을 반복된 정맥 천자에 의해 수득하였다. 혈액 샘플을 채혈 과정 중 Li-헤파린으로 처리하고 645 g(5 분, 4 ℃)에서 원심분리시까지 얼음 상에서 보관하였다. 혈장을 수확하고 분석시까지 -20 ℃에서 보관하였다. 혈장 샘플 50 ㎕에 내부 표준을 함유하는 아세토나이트릴 6 ㎕를 가하였다. 샘플을 격렬히 진탕하고 6000 g 및 20 ℃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기 입자 비 함유 현탁액의 분액을 200 ㎕ 샘플러 바이알로 옮기고 정량분석을 위해 LC MS/MS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시점들에서 혈장 농도를 측정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시간에 대해 플롯팅한다.
뜻밖에도, 본 발명에 개시된 FXR 작용물질은 종래 기술의 공지된 FXR 작용물질에 비해 생체 내 경구 투여 후 증가된 혈장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6
일례로서, 실시예 4 및 실시예 12는 도 1c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GW4064에 비해 C57/bl6 및 수컷 스프래그 다우리 래트에서 실질적으로 더 높은 혈장 수준을 보였다.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7
*정맥 내 투여의 경우 Co; iv의 경우 ; #AUC (0-4) (hr *ng/mL)
Figure 112012021394376-pct00188
실시예 4에 대한 절대 경구 생물학적 이용 효능은 8.8%이고 실시예 12의 경우 30.95%인 것으로 밝혀졌다.
db / db 마우스에서 지질 강하 효과의 측정
화합물들을 12 주령에서 출발하여 C57BLKS lepr-/- db/db 마우스에게 각각 2 x 5 ㎎/㎏으로 위관영양에 의해 경구 적용하였다. 동물들을 위관영양 시작 전에 2 주간 고 지방 식사(59%(kcal) 지방을 갖는 ssniff EF R/M 12330, Ssniff, Soest, Germany)를 하게 하였다. 기준선 혈액을 안와후방 출혈에 의해 채혈하였다. 혈액 샘플을 채혈 과정 중 Li-헤파린으로 처리하고 645 g(5 분, 4 ℃)에서 원심분리시까지 얼음 상에서 보관하였다. 혈장을 수확하고 분석시까지 -20 ℃에서 보관하였다. 총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총 콜레스테롤을 상업적인 키트 랩어세이(LabAssay)TM 트라이글리세라이드(코드 번호 290-63701) 및 랩어세이TM 콜레스테롤(코드 번호 294-65801)(Wako Diagnostics, Neuss, GermanY)을 사용하여 3 ㎕의 혈장 분액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화합물들의 약물학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투여 그룹당 평균 혈장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 값을 기준선과 처리 8 주 후 간에 비교하였다.
GW4064 처리는 3일의 2 x 5 ㎎/㎏/일 투여 후 공복 혈당이 비히클에 대해 -6%의 현저하지 않은 감소를 생성시킨 반면, 실시예 5에 의한 처리는 이 상황에서 비히클에 대해 -16%의 강하를 생성시켰다. 더욱이, 실시예 5는 3일의 2 x 5 ㎎/㎏/일의 투여 후, 비히클 대조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의 -24.0% 감소 및 총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24.2% 감소로, 혈장 지질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동물 실험에서 선택된 화합물의 생체 내 활성
8주령의 C57/bl6 마우스(Elevage Janvier, France)를 4 주간 고 지방 식사(지방으로부터 60 % kcal, Sniff, Soest, Germany, Cat. No. E15771-30(Mod. Surwit) + 0.5% 콜레스테롤(Sigma-Aldrich, Germany) 첨가됨)를 하게 하였다. 기준선 혈액 샘플을 밤새 굶긴 후 채혈하고 공복 혈당을 로슈 애큐체크(Roche Accucheck)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병행하여 기준선 총 트라이글리세라이드(TG) 및 총 콜레스테롤(TC) 수준의 측정을 위해 Li-헤파린 혈장을 생성시켰다. 동물들을 8 주간 HFD + 0.5% 콜레스테롤 식사로 유지시키고 매주 혈액 샘플을 통상적인 효소 분석 키트(WAKO Diagnostics, Neuss, Germany)를 사용하여 혈장 TG 및 TC 수준의 모니터링을 위해 채혈하였다. 상기 시험 화합물을 100% 팜 지방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상기 4 주 HFD 적응기간 동안 평균적인 먹이 소비를 기준으로 30 ㎎/㎏의 추정된 1일 흡수를 위해 용융된 먹이에 혼합하였다. 도 4 및 5는 TG 및 TC 값의 전개를 나타낸다.
상기 마우스를 죽인 후에, 간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을 변형된 폴치(Folch)의 방법(J. Folch et al.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J. Biol . Chem. 1957, 226, 497-509)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간단히, 동결된 간 조직을 균질화하고 헥산/2-프로판올(3:2)(30 ㎎ 조직/1 ㎖ 유기 용매)로 2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제거하고 건조시켰다. 생성 펠릿을 0.1% (w/v) SDS를 함유하는 인산염 완충된 염수 0.5 ㎖에 용해시켰다.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특정한 효소 시약(Wako Diagnostics, Neuss, Germany)에 의해 측정하였다.
RNA를 RNAzol RT 시약(Fermentas)을 사용하여 단리하고 mRNA 수준을 절대 QPCR Rox Mix(Invitrogen) 및 실시간 PCR 기계(Applied Biosystems)(CA)를 사용하여 정량적인 역전사 폴리머라제 쇄 반응(qRT-PCR)에 의해 측정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 및 탐침 서열(5'에서 3')은 하기와 같았다: SHP, Fwd CACCAGACTCCATTCCACG; Rev CTACCCTCAAGAACATTCCAGG; probe 56- FAM/CAGTGATGTCAACGTCTCCCATGATAG 및 BSEP, Fwd CTGACTGTTGAT AGGCGATGG; Rev CCTCATACGGAAACCCAAGATC; 탐침 56- FAM/ATGGCT ACCTCAGCACTGGACAAT. 모든 샘플들을 중복 실행시켰다. 유전자 발현(도 6)을 임의의 단위로 발현시키고 하우스키핑 유전자 TATA 박스 결합 단백질(TBP , Fwd AAGAAAGGGAGA ATCATGGACC; Rev GAGTAAGTCCTGTGCCGTAAG; probe:56-FAM/CCTGAGCAT /Zen/AAGGTGGAAGGCT GTT)에 대해 표준화하였다. BSEP 및 SHP의 유전자 발현은 실시예 12에서 처리된 마우스에서 6 배 이상이었다.
UV 광안정성의 측정
관심 화합물들을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그들의 UV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그들의 λmax을 측정하여 상기 연구에 사용되는 조사 파장을 측정하였다(도 2 참조). 상기 -CH=CH- 이중 결합의 UV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한 최선의 파장은 254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어서 상기 화합물의 추가의 물질을 중수소 처리한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1H NMR(400 MHz)을 분석하였다(T = 0). 이어서 각각의 샘플을 상기 NMR 튜브로부터 회수하고 4 시간, 15 시간 및 70 시간 UV 조사(254 ㎚) 하였다. 각 시점에서 상기 개별 샘플을 1H NMR에 의해 재분석하고 상기 -CH=CH- 양성자에 대한 신호를 남아있는 완전한 이중 결합의 퍼센트를 평가하기 위해 평가하였다. 화학 이동 신호의 다른 변화들을 또한 상기 분자의 전체 구조상의 추가적인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시예 4(라세미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와 달리, 화합물 GW4064 및 PX20535는 연장된 UP 조사 후 1H NMR 스펙트럼의 큰 변화를 겪었다. 상기 1H NMR 신호의 상대적인 통합을 근거로, 상기 GW4064의 30% 및 상기 PX20535의 45% 미만이 여전히 상기 혼합물 중에 존재하였으며, 이는 차례로 상기 GW4064의 70%가 70 시간 후에 붕괴되었음을 암시한다. 실시예 4는 람다 = 254 ㎚에서 70 시간의 UV 조사에 대해 불활성인 것으로 여겨졌다(도 3a-l 참조).
상이한, 보다 신속한 실험 설치를 사용하여 GW4064와의 비교로 보다 광범위한 화합물 세트를 조사하였다. 상기 물질들을 시약 등급의 DMSO(99.5%, Karl Roth)에 250 μ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DMSO 용액을 실리카 유리 슬라이드 위에 대략 2 ㎜의 깊이로 확산시키고 UV 램프 세트를 사용하여 표적 물질로부터 대략 2.5 ㎝에서 8 W 튜브 세트를 사용하여 366 nM 방출(Benda Instruments, Wiesloch Germany)로 조사하였다. 상기 용액을 조사 전(T = 0 분) 및 그 후 다양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였다. 모액 및 샘플을 직사광으로부터 떨어져 호일로 감싼 튜브에서 유지시켰다. 샘플을 임의의 추가적인 준비 없이 분석을 위해 LCMS 시스템상에 직접 주입하였다(2 ㎕). 결과를 도 3m에 도시하며 이는 GW4064를 함유하는 스틸벤 부분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실시예 12, 12c, 20, 16, 14)의 보다 큰 광안정성을 나타낸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화합물, 그의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 입체 이성질체, 토오토머,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6109520682-pct00189

    상기 식에서,
    R은 COOR6, CONR7R8, 테트라졸릴 및 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때 R6은 H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킬렌-R9, SO2-C1-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R9는 COOH, OH 및 SO3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며;
    A는 페닐, 피리딜, 피라졸릴, 인돌릴, 티에닐, 벤조티에닐, 인다졸릴, 벤즈아이속사졸릴, 벤조퓨라닐, 벤조트라이아졸릴, 퓨라닐, 벤조티아졸릴, 티아졸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OH, C1-6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며;
    Q는 페닐, 피리딜, 티아졸릴, 티오페닐, 피리미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C1-6 알킬, 할로겐 및 CF3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며;
    Figure 112016109520682-pct00190
    이고;
    여기에서
    X는 CH, N, NO이고;
    R1은 수소, C1-C3 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C4-C5 알킬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때 C1-3 알킬은 할로겐, 하이드록시 및 C1-6 알콕시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R2 및 R3은 수소,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1-C3 알콕시, C1-C3 할로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이 COOR6, CONR7R8, 테트라졸릴 및 H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때 R6, R7 및 R8은 H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A가 페닐, 피리딜, 인돌릴, 티에닐, 벤조티에닐, 인다졸릴, 벤즈아이속사졸릴, 벤조퓨라닐, 벤조트라이아졸릴, 퓨라닐, 벤조티아졸릴, 티아졸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OH, C1-6 알킬 및 C3-6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며;
    Q가 페닐, 피리딜, 티아졸릴, 티오페닐, 피리미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각각 C1-6 알킬, 할로겐 및 CF3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2 개의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며;
    Figure 112016109520682-pct00216
    이고;
    여기에서
    X는 CH, N, NO이고;
    R1은 수소,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3-C6 사이클로알킬 및 C4-C5 알킬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R2 및 R3은 수소,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C1-C3 알콕시, C1-C3 할로알콕시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112016109520682-pct00192

    상기 식에서,
    X1은 CH 또는 N이고;
    R4 및 R5는 H, C1-6 알킬, 할로겐 및 CF3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A는 하기 중에서 선택되고:
    Figure 112016109520682-pct00217

    R1은 아이소프로필 및 사이클로프로필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R2 및 R3은 할로겐, C1-C3 알킬, 메톡시 및 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4. 제 1 항에 있어서,
    A가 페닐이고;
    Q가 비치환된 페닐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고;
    X가 CH이고;
    R1이 C3-6 사이클로알킬이고;
    R2 및 R3이 각각 할로겐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2-클로로-4-((3-(2,6-다이클로로페닐)-5-아이소프로필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3-(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3,5-다이클로로피리딘-4-일)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4-((4-(2-(3-카복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3-클로로페녹시)메틸)-5-사이클로프로필아이속사졸-3-일)-3,5-다이클로로피리딘 1-옥사이드,
    3-(2-(2-클로로-4-((1-(2,6-다이클로로페닐)-4-아이소프로필-1H-1,2,3-트라이아졸-5-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4-(2-(6-(1H-테트라졸-5-일)피리딘-3-일)사이클로프로필)-3-클로로페녹시)메틸)-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
    5-(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피콜린산.
  6.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3-(2-(6-((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2-(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1,3-다이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2-아미늄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에이트,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메틸-1H-인다졸-3-카복실산,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메틸-1H-인다졸-3-카복실산,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메틸-1H-인다졸-3-카복실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N-(메틸설포닐)벤즈아미드,
    2-(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에탄설폰산,
    4-((4-(2-(4-(1H-테트라졸-5-일)페닐)사이클로프로필)-3-클로로페녹시)메틸)-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
    4-(2-(2-클로로-4-((3-(2,6-다이클로로페닐)-5-(2-하이드록시프로판-2-일)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5-(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아이소프로필-1H-피라졸-3-카복실산,
    6-(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1-아이소프로필-1H-인다졸-3-카복실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산,
    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2-(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에탄설폰산,
    (-)-2-(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에탄설폰산,
    2-(4-(2-(2-클로로-4-((5-사이클로프로필-3-(2,6-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4-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즈아미도)아세트산,
    4-(2-(2-클로로-4-((4-(2,6-다이클로로페닐)-1-아이소프로필-1H-1,2,3-트라이아졸-5-일)메톡시)페닐)사이클로프로필)벤조산.
  7. 제 1 항에 있어서,
    FXR에 의해 매개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8. 제 7 항에 있어서,
    만성 간 내 또는 간 외 담즙 울체성 병, 또는 만성 담즙 울체성 병 또는 급성 간 내 담즙 울체성 병으로부터 발생하는 간 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간의 폐쇄성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간경변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간 지방증, 및 알콜 유발된 경변 또는 간염의 바이러스성 형태와 관련된 담즙 울체성 또는 섬유증 영향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큰 간 절제 후 간 부전 또는 간 허혈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화학요법 관련된 지방간염(CASH)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급성 간 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염증성 장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지질 및 지단백질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당뇨성 신장병증, 당뇨성 신경병증 및 당뇨성 망막병증을 포함하여, II형 당뇨병 및 I형 및 II형 당뇨병의 임상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강제된 지질 축적 및 섬유증 촉진 경로의 후속 활성화로 인한 기관의 만성적인 지방 및 섬유 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병 및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비만 또는 대사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급성 심근 경색, 급성 발작, 또는 만성 폐색성 죽상동맥경화증의 종점으로서 발생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된 지질 축적은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축적이고, 상기 기관의 만성적인 지방 및 섬유 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병 및 질병은 비알콜성 지방간 질병(NAFLD),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인 화합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비-악성 과증식성 질환 및 악성 과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비-악성 과증식성 질환 및 악성 과증식성 질환은 간세포 암종, 결장 선종 및 폴립증, 결장 선암종, 유방암, 췌장 선암종, 바렛 식도 및 위장관 및 간의 종양인 화합물.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하기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
    만성 간 내 또는 간 외 담즙 울체성 병, 또는 만성 담즙 울체성 병 또는 급성 간 내 담즙 울체성 병으로부터 발생하는 간 섬유증; 또는
    간의 폐쇄성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 또는
    간경변; 또는
    간 지방증, 및 알콜 유발된 경변 또는 간염의 바이러스성 형태와 관련된 담즙 울체성 또는 섬유증 영향; 또는
    큰 간 절제 후 간 부전 또는 간 허혈; 또는
    화학요법 관련된 지방간염(CASH); 또는
    염증성 장 질병.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하기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
    지질 및 지단백질 질환; 또는
    당뇨성 신장병증, 당뇨성 신경병증 및 당뇨성 망막병증을 포함하여, II형 당뇨병 및 I형 및 II형 당뇨병의 임상 합병증; 또는
    강제된 지질 축적 및 섬유증 촉진 경로의 후속 활성화로 인한 기관의 만성적인 지방 및 섬유 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병 및 질병; 또는
    비만 또는 대사 증후군; 또는
    급성 심근 경색, 급성 발작, 또는 만성 폐색성 죽상동맥경화증의 종점으로서 발생하는 혈전증.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된 지질 축적은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축적이고, 상기 기관의 만성적인 지방 및 섬유 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병 및 질병은 비알콜성 지방간 질병(NAFLD),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인 약학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악성 과증식성 질환 및 악성 과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비-악성 과증식성 질환 및 악성 과증식성 질환은 간세포 암종, 결장 선종 및 폴립증, 결장 선암종, 유방암, 췌장 선암종, 바렛 식도 및 위장관 및 간의 종양인 약학 조성물.
KR1020127006908A 2009-08-19 2010-08-19 신규의 에프엑스알(엔알 1에이치4) 결합 및 활성 조절 화합물 KR101712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511709P 2009-08-19 2009-08-19
EP09010676.6 2009-08-19
US61/235,117 2009-08-19
EP09010676A EP2289883A1 (en) 2009-08-19 2009-08-19 Novel FXR (NR1H4) binding and activity modulating compounds
PCT/EP2010/005093 WO2011020615A1 (en) 2009-08-19 2010-08-19 Novel fxr (nr1h4 ) binding and activity modulating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574A KR20120080574A (ko) 2012-07-17
KR101712466B1 true KR101712466B1 (ko) 2017-04-06

Family

ID=4113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908A KR101712466B1 (ko) 2009-08-19 2010-08-19 신규의 에프엑스알(엔알 1에이치4) 결합 및 활성 조절 화합물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US (1) US8952042B2 (ko)
EP (2) EP2289883A1 (ko)
JP (1) JP5692934B2 (ko)
KR (1) KR101712466B1 (ko)
CN (1) CN102548974B (ko)
AU (1) AU2010285175B2 (ko)
BR (1) BR112012003554A2 (ko)
CA (1) CA2771445C (ko)
CL (1) CL2012000369A1 (ko)
DK (1) DK2467366T3 (ko)
EA (1) EA024083B1 (ko)
ES (1) ES2529226T3 (ko)
GE (1) GEP20146109B (ko)
HK (1) HK1172325A1 (ko)
HR (1) HRP20150159T1 (ko)
IL (1) IL217676A (ko)
IN (1) IN2012DN00790A (ko)
MA (1) MA33575B1 (ko)
ME (1) ME02047B (ko)
MX (1) MX2012002119A (ko)
MY (1) MY163109A (ko)
NZ (1) NZ598328A (ko)
PL (1) PL2467366T3 (ko)
PT (1) PT2467366E (ko)
RS (1) RS53812B1 (ko)
SG (1) SG178336A1 (ko)
SI (1) SI2467366T1 (ko)
SM (1) SMT201500029B (ko)
UA (1) UA108209C2 (ko)
WO (1) WO2011020615A1 (ko)
ZA (1) ZA2012007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U24152B1 (es) * 2010-12-20 2016-02-29 Irm Llc 1,2 oxazol-8-azabiciclo[3,2,1]octano 8 il como moduladores de fxr
EP2545964A1 (en) * 2011-07-13 2013-01-16 Phenex Pharmaceuticals AG Novel FXR (NR1H4) binding and activity modulating compounds
IL253437A0 (en) * 2011-07-13 2017-09-28 Gilead Sciences Inc New compounds modulate fxr (nr1h4) activity and bind
WO2013037482A1 (en) 2011-09-15 2013-03-21 Phenex Pharmaceuticals Ag Farnesoid x receptor agonists for cancer treatment and prevention
WO2014001279A1 (en) 2012-06-26 2014-01-03 Aniona Aps A phenyl triazole derivative and its use for modulating the gabaa receptor complex
CN104411699B (zh) 2012-06-26 2017-06-13 萨尼奥纳有限责任公司 苯基三唑衍生物及其用于调节gabaa 受体复合体的用途
WO2014001280A1 (en) 2012-06-26 2014-01-03 Aniona Aps A phenyl triazole derivative and its use for modulating the gabaa receptor complex
US9475797B2 (en) 2012-06-26 2016-10-25 Saniona A/S Phenyl triazole derivative and its use for modulating the GABAA receptor complex
WO2014001278A1 (en) 2012-06-26 2014-01-03 Aniona Aps A phenyl triazole derivative and its use for modulating the gabaa receptor complex
JO3215B1 (ar) 2012-08-09 2018-03-08 Phenex Pharmaceuticals Ag حلقات غير متجانسة بها 5 ذرات تحتوي على النيتروجين بها استبدال بكربوكساميد أو سلفوناميد كمعدلات لمستقبل نووي غير محمي RORy
CN102976946A (zh) * 2012-12-13 2013-03-20 烟台泰和新材料股份有限公司 合成间苯二甲酸二甲酯的方法
CN103232378B (zh) * 2013-04-27 2015-11-18 国家海洋局第三海洋研究所 一种含6-溴吲哚满二酮的荔枝螺提取物及制备方法与其抗癌应用
EA031003B1 (ru) 2013-09-11 2018-10-31 Инсерм (Энститю Насьональ Де Ля Сантэ Э Де Ля Решерш Медикаль) Способы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вызванных вирусом гепатита в инфекций
ES2731602T3 (es) 2014-09-24 2019-11-18 Gilead Sciences Inc Métodos para tratar la enfermedad hepática
EP3006939A1 (en) 2014-10-06 2016-04-13 Gilead Sciences, Inc. Histidine-rich Glycoprotein as a marker for hepatic Farnesoid X receptor activation
US10208081B2 (en) 2014-11-26 2019-02-19 Enanta Pharmaceuticals, Inc. Bile acid derivatives as FXR/TGR5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034499A1 (en) * 2014-12-17 2016-06-22 Gilead Sciences, Inc. Novel FXR (NR1H4) modulating compounds
EP3034501A1 (en) * 2014-12-17 2016-06-22 Gilead Sciences, Inc. Hydroxy containing FXR (NR1H4) modulating compounds
TW201628625A (zh) 2015-02-06 2016-08-16 英特賽普醫藥品公司 組合療法醫藥組成物
TWI698430B (zh) 2015-02-13 2020-07-11 南北兄弟藥業投資有限公司 三環化合物及其在藥物中的應用
DK3277286T3 (da) 2015-03-31 2021-07-05 Enanta Pharm Inc Galdesydererivater som fxr/tgr5-agonister og anvendelsesmetoder deraf
CR20170456A (es) 2015-04-07 2018-06-13 Intercept Pharmaceuticals Inc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para terapias combinadas
CN106995416A (zh) * 2016-01-26 2017-08-01 上海翰森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Fxr激动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7128896A1 (zh) * 2016-01-26 2017-08-03 江苏豪森药业集团有限公司 Fxr激动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021957A (zh) * 2016-02-01 2017-08-08 山东轩竹医药科技有限公司 Fxr受体激动剂
AU2017241559A1 (en) 2016-03-28 2018-11-01 Intercept Pharmaceuticals, Inc. Medicine obtained by combining FXR agonist and ARB
US10080741B2 (en) 2016-04-26 2018-09-25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derivative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080742B2 (en) 2016-04-26 2018-09-25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derivative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080743B2 (en) 2016-04-26 2018-09-25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derivative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138228B2 (en) 2016-05-18 2018-11-27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derivative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of
WO2017201150A1 (en) * 2016-05-18 2017-11-23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analog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149835B2 (en) 2016-05-18 2018-12-11 Elmore Patent Law Group, P.C. Isoxazole derivative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968836A1 (en) 2016-06-13 2017-12-13 Gilead Sciences, Inc. Fxr (nr1h4) modulating compounds
EP3730487B1 (en) * 2016-06-13 2022-04-27 Gilead Sciences, Inc. Azetidine derivatives as fxr (nr1h4) modulators
AR108711A1 (es) 2016-06-13 2018-09-19 Gilead Sciences Inc Compuestos moduladores de fxr (nr1h4)
TW201808283A (zh) 2016-08-05 2018-03-16 廣東東陽光藥業有限公司 含氮三環化合物及其在藥物中的應用
CN106237332A (zh) * 2016-08-11 2016-12-21 河南大学 核受体fxr在肝癌干细胞靶向治疗中的应用
US11091482B2 (en) 2016-08-23 2021-08-17 Ardelyx, Inc. Isoxazolyl-carbonyloxy azabicyclo[3.2.1]octanyl compounds as FXR activators
EP3512514A1 (en) * 2016-09-14 2019-07-24 Novartis AG Novel regimes of fxr agonists
KR20180036522A (ko) * 2016-09-30 2018-04-09 (주)나노믹스 스틸벤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8067704A1 (en) 2016-10-04 2018-04-12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analog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7973790A (zh) * 2016-10-22 2018-05-01 合帕吉恩治疗公司 杂环fxr调节剂
US10597391B2 (en) 2016-10-26 2020-03-24 Enanta Pharmaceuticals, Inc. Urea-containing isoxazole derivative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6588804B (zh) * 2016-12-09 2018-11-09 都创(上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作为类法尼醇x受体(fxr)的化合物的制备方法
WO2018133730A1 (zh) * 2017-01-20 2018-07-26 四川科伦博泰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杂环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20508316A (ja) 2017-02-21 2020-03-19 ジェンフィGenfit Pparアゴニストとfxrアゴニストとの組合せ
EP4122464B1 (en) 2017-03-28 2024-05-15 Gilead Sciences, Inc. Therapeutic combinations for treating liver diseases
WO2018178260A1 (en) 2017-03-30 2018-10-04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reducing persistence and expression of episomal viruses
MX2019011844A (es) 2017-04-07 2021-11-30 Enanta Pharm Inc Proceso para la preparación de derivados de ácidos biliares de sulfonil carbamato.
WO2018190643A1 (en) * 2017-04-12 2018-10-18 Il Dong Pharmaceutical Co., Ltd. An isoxazole derivatives as nuclear receptor agonists and used thereof
DK3612520T3 (da) * 2017-04-12 2021-12-06 Il Dong Pharma Isoxazolderivater som kernereceptoragonister og anvendelser deraf
CA3064794A1 (en) 2017-05-26 2018-11-29 Medshine Discovery Inc. Lactam compound as fxr receptor agonist
MX2020000268A (es) 2017-07-06 2020-07-22 Xuanzhu Biopharmaceutical Co Ltd Agonista de fxr.
JP7271513B2 (ja) 2017-09-14 2023-05-11 アルデリ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代謝関連の突然変異誘発性及び線維性の症状及び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ホルモン受容体調節薬
KR20200083529A (ko) 2017-11-01 2020-07-08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파르네소이드 x 수용체 조정제로서의 알켄 스피로시클릭 화합물
WO2019089664A1 (en) 2017-11-01 2019-05-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ulticyclic compounds as farnesoid x receptor modulators
WO2019089670A1 (en) 2017-11-01 2019-05-0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Alkene compounds as farnesoid x receptor modulators
WO2019118571A1 (en) 2017-12-12 2019-06-20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analog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0128432B (zh) * 2018-02-02 2021-03-02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含氮三环化合物及其在药物中的应用
WO2019160813A1 (en) 2018-02-14 2019-08-22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derivative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267780B2 (en) 2018-04-30 2022-03-08 The Trustees Of Indiana University Compound for modulating DDAH and ADMA levels, as well as methods of using thereof to treat disease
BR102019014802A2 (pt) 2018-07-20 2020-02-04 Boehringer Ingelheim Int difluorometil-fenil triazóis
CN112638473B (zh) 2018-08-08 2022-06-07 因奥必治疗有限公司 用于调节类法尼醇x受体的化合物以及制备和使用所述化合物的方法
EP4360632A2 (en) 2019-01-15 2024-05-01 Gilead Sciences, Inc. Fxr (nr1h4) modulating compounds
EP3919489A4 (en) 2019-01-31 2022-10-12 The National Institutes of Pharmaceutical R&D Co., Ltd AROMATIC RING OR HETEROAROMATIC RING COMPOUND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MEDICAL USE
AU2020225225B2 (en) 2019-02-19 2022-12-22 Gilead Sciences, Inc. Solid forms of FXR agonists
WO2020231917A1 (en) 2019-05-13 2020-11-19 Enanta Pharmaceuticals, Inc. Isoxazole derivatives as fxr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4144185A (zh) 2019-05-30 2022-03-04 英特塞普特医药品公司 用于治疗胆汁淤积性肝病的包含fxr激动剂和贝特类的药物组合物
KR20220035365A (ko) 2019-07-18 2022-03-22 엔요 파마 인터페론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WO2021144330A1 (en) 2020-01-15 2021-07-22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Use of fxr agonists for treating an infection by hepatitis d virus
US11478533B2 (en) 2020-04-27 2022-10-25 Novo Nordisk A/S Semaglutide for use in medicine
CN113754541A (zh) * 2020-06-02 2021-12-07 深圳湾实验室 靶向eb病毒核抗原蛋白的小分子抑制剂、制备方法及其应用
EP4277622A1 (en) 2021-01-14 2023-11-22 ENYO Pharma Synergistic effect of a fxr agonist and ifn for the treatment of hbv infection
TW202308629A (zh) 2021-04-28 2023-03-01 法商Enyo製藥公司 使用fxr激動劑作為組合治療以增強tlr3激動劑之療效
WO2023090858A1 (ko) * 2021-11-17 2023-05-25 일동제약(주) 아이속사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중간체
WO2023090859A1 (ko) * 2021-11-17 2023-05-25 일동제약(주) 아이속사졸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신규한 중간체
WO2024005586A1 (ko) * 2022-06-30 2024-01-04 일동제약(주) 아이속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의 신규한 결정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7077A1 (en) 1998-12-23 2000-06-29 Glaxo Group Limited Assays for ligands for nuclear receptors
WO2004048349A1 (en) 2002-11-22 2004-06-10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Farnesoid x receptor agonists
WO2007140174A2 (en) 2006-05-24 2007-12-06 Eli Lilly And Company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fx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81542T1 (de) 2001-08-13 2008-01-15 Phenex Pharmaceuticals Ag Nr1h4-kern-rezeptor-bindende verbindungen
WO2003080803A2 (en) 2002-03-21 2003-10-0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Methods of using farnesoid x receptor (fxr) agonists
US20070166710A1 (en) 2003-03-31 2007-07-19 Markus Stoffel Methods for inhibiting adipogenesis and for treating type 2 diabetes
ATE526318T1 (de) 2005-12-19 2011-10-15 Glaxosmithkline Llc Farnesoid-x-rezeptor-agonisten
JP5301286B2 (ja) 2006-02-03 2013-09-25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Fx受容体を調節するための化合物及び方法
ATE465996T1 (de) 2006-05-24 2010-05-15 Lilly Co Eli Fxr-agonisten
EP1894924A1 (en) 2006-08-29 2008-03-05 Phenex Pharmaceuticals AG Heterocyclic FXR binding compounds
EP1894928A1 (en) 2006-08-29 2008-03-05 PheneX Pharmaceuticals AG Heterocyclic fxr binding compounds
CL2007003035A1 (es) 2006-10-24 2008-05-16 Smithkline Beechman Corp Compuestos derivados de isoxazol sustituidos, agonistas de receptores farnesoid x;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 comprende; y uso del compuesto en el tratamiento de la obesidad, diabetes mellitus, fibrosis en organos,
US20100249179A1 (en) 2007-06-13 2010-09-30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Farnesoid X Receptor Agonists
EP2173174A4 (en) 2007-07-02 2010-08-04 Glaxosmithkline Llc FARNESOID X RECEPTOR AGONISTS
TW200906823A (en) 2007-07-16 2009-02-16 Lilly Co Eli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FX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7077A1 (en) 1998-12-23 2000-06-29 Glaxo Group Limited Assays for ligands for nuclear receptors
WO2004048349A1 (en) 2002-11-22 2004-06-10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Farnesoid x receptor agonists
WO2007140174A2 (en) 2006-05-24 2007-12-06 Eli Lilly And Company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fx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467366T3 (en) 2015-02-16
SMT201500029B (it) 2015-03-05
US20120232116A1 (en) 2012-09-13
ZA201200730B (en) 2012-09-26
GEP20146109B (en) 2014-06-10
HK1172325A1 (en) 2013-04-19
IL217676A (en) 2015-11-30
AU2010285175B2 (en) 2014-11-27
MX2012002119A (es) 2012-08-23
SI2467366T1 (sl) 2015-03-31
JP2013502389A (ja) 2013-01-24
PL2467366T3 (pl) 2015-04-30
CN102548974A (zh) 2012-07-04
CA2771445C (en) 2017-09-12
IN2012DN00790A (ko) 2015-06-26
RS53812B1 (en) 2015-06-30
NZ598328A (en) 2013-04-26
EP2289883A1 (en) 2011-03-02
EA201290047A1 (ru) 2013-09-30
US8952042B2 (en) 2015-02-10
UA108209C2 (uk) 2015-04-10
ES2529226T3 (es) 2015-02-18
PT2467366E (pt) 2015-02-06
ME02047B (me) 2015-05-20
CN102548974B (zh) 2015-11-25
MA33575B1 (fr) 2012-09-01
WO2011020615A1 (en) 2011-02-24
HRP20150159T1 (hr) 2015-05-22
EP2467366B1 (en) 2014-11-12
AU2010285175A1 (en) 2012-02-23
EP2467366A1 (en) 2012-06-27
CA2771445A1 (en) 2011-02-24
MY163109A (en) 2017-08-15
CL2012000369A1 (es) 2012-07-13
SG178336A1 (en) 2012-03-29
JP5692934B2 (ja) 2015-04-01
KR20120080574A (ko) 2012-07-17
EA024083B1 (ru) 2016-08-31
BR112012003554A2 (pt)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466B1 (ko) 신규의 에프엑스알(엔알 1에이치4) 결합 및 활성 조절 화합물
US10485795B2 (en) FXR (NR1H4) binding and activity modulating compounds
EP3233831B1 (en) Novel fxr (nr1h4) modulating compounds
TWI731392B (zh) Fxr (nr1h4) 調節化合物
EP2128158A1 (en) Heterocyclic cyclopropyl-substituted FXR binding compounds
WO2008025540A1 (en) Heterocyclic fxr binding compounds
NZ710770B2 (en) Novel fxr (nr1h4) binding and activity modulating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