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721B1 -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721B1
KR101711721B1 KR1020150016316A KR20150016316A KR101711721B1 KR 101711721 B1 KR101711721 B1 KR 101711721B1 KR 1020150016316 A KR1020150016316 A KR 1020150016316A KR 20150016316 A KR20150016316 A KR 20150016316A KR 101711721 B1 KR101711721 B1 KR 10171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ompressor
plate
gear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807A (ko
Inventor
윤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산업
Priority to KR102015001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7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9/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 B23D19/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having rotary shearing discs arranged in co-operating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9/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 B23D19/08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for special use, e.g. for cutting curv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제적이면서도 설치되고자 하는 작업공간의 소모가 적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반지름이 일정한 원통형의 컴프레서 이외에도 반지름이 서로 다른 컴프레서를 절단이 용이한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는 본체부 일측 또는 양측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컴프레서를 절단하는 커팅부재와, 상기 컴프레서의 절단위치에 따라 상기 커팅부재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컴프레서의 외면을 흡착하며, 상기 커팅부재의 의해 절단되어 분리된 상기 컴프레서의 절단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비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Cutting machine for refrigeration compressor}
본 발명은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제적이면서도 설치되고자 하는 작업공간의 소모가 적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반지름이 일정한 원통형의 컴프레서 이외에도 반지름이 서로 다른 컴프레서를 절단이 용이한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컴프레서는 에어컨디셔너 및 냉동기 등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냉매 가스를 압축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동 컴프레서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그 수명이 다하여 폐기하여야 한다. 수명이 다한 냉동 컴프레서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냉동 컴프레서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동, 철 등 고가의 금속재들은 재활용되며, 냉동 컴프레서 내부의 윤활유 등의 폐유는 폐기되어야 한다.
이때, 종래 냉동 컴프레서를 폐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 폐 냉동 컴프레서들을 수거한 후, 가스 절단기나 플라즈마 절단기를 이용하여 컴프레서 본체로부터 커버를 분리한다. 분리된 본체 및 내부의 구성품들은 적절히 분류 수집되며, 재생공장 등에서 재생된다.
그런데, 가스 절단기나 플라즈마 절단기는 절단면에서 매우 높은 온도의 발열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커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폐유가 연소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폐유가 연소하면서 유독가스가 발생하며,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또한, 냉동 컴프레서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단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된 냉동용 컴프레서 커팅장치가 많이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23643호 '냉동용 컴프레서 커팅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재활용을 위해 절단하고자 하는 냉동용 컴프레서를 이송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로터리 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컴프레서를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컴프레서를 인계받아 작업자에게 이송하는 회전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컴프레서의 이송과 동시에 절단이 가능하여 상기 컴프레서를 절단하기 위한 체류시간이 없어지게 되어 작업 시간의 단축은 물론, 대량의 절단 작업에도 용이한 종래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대량의 작업에도 용이하고, 유해가스로부터 안전한 냉동용 컴프레서의 커팅장치에 장점은 있으나 그 장비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설치되고자 하는 작업공간의 소모가 많아 설치의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지름이 일정한 원통형의 컴프레서 이외의 형상을 갖는 컴프레서를 절단시에는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기계적인 부하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경제적이면서도 설치되고자 하는 작업공간의 소모가 적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반지름이 일정한 원통형의 컴프레서 이외에도 반지름이 서로 다른 컴프레서도 절단할 수 있는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는 본체부 일측 또는 양측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컴프레서를 절단하는 커팅부재와, 상기 컴프레서의 절단위치에 따라 상기 커팅부재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컴프레서의 외면을 흡착하며, 상기 커팅부재의 의해 절단되어 분리된 상기 컴프레서의 절단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비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인장/수축 가능한 절단실린더와, 상기 절단실린더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절단실린더의 인장/수축에 따라 왕복 이동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컴프레서를 절단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면 또는 하면에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턱부는 상기 회전체가 회전시에 상기 절단실린더의 간섭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전체적으로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는 호(弧) 형상의 상기 회전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승강수단과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커팅부재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승강판 및 상부에 상기 흡착부재가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커팅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에 의해 승강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판은 상기 커팅부재가 관통삽입되게 천공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승강간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수단과 회전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조절공 및 상기 승강판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승강판과 결합하며, 상부에 상기 흡착부재가 설치되는 제1상판 및 상기 승강판과 결합하며, 상기 커팅부재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홈이 형성되게 상기 제1상판과 서로 이웃하게 분리형성된 한 쌍의 제2상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은 승강시에 상기 컴프레서와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판은 센서설치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승강부재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통공이 천공형성된 흡착설치판과, 상기 흡착설치판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통공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인장/수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흡착실린더 및 상기 흡착실린더 하부에 구비되며, 에어 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컴프레서 외면을 흡착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경제적이면서도 설치되고자 하는 작업공간의 소모가 적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반지름이 일정한 원통형의 컴프레서 이외에도 반지름이 서로 다른 컴프레서를 절단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냉동용 컴프레서 커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의 커팅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와 승강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의 회전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의 회전체가 컴프레서의 형상에 따라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의 승강부재와 가이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대한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의 승강부재와 승강수단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의 흡착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의 지그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0에 대한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1에 대한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기용 절단장치(이하, 간략하게 '절단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1)는 크게 커팅부재(100), 승강부재(200) 및 흡착부재(30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팅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 일측 또는 양측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그부(20)에 안착 고정된 컴프레서(C)를 절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절단실린더(110), 회전체(120) 및 블레이드(13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팅부재(100)는 본체부(10)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컴프레서(C)를 절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에에 불과할 뿐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C)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 절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여기서, 절단실린더(110)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설치된 본체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천공형성된 장공과 승강판(210)에 천공형성된 관통공(211)을 통해 관통삽입되어 상기 본체부(10)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부(11)에 회전체(120)가 결합하는 절단실린더(110)의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인장/수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회전체(120)가 결합하는 절단실린더(110)의 일단은 제1상판(221)과 제2상판(223)의 이격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225)을 따라 이동(Sliding)되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절단실린더(110)의 인장/수축하는 이동거리는 지그부(20)에 형성된 측정체(25)의 이동거리를 측정한 제어부(30)의 판단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컴프레서(C)에 맞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지그부(20)는 상부에 컴프레서(C)가 안착되며, 장홈의 형태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안내공(21a)이 형성되고, 본체부(10)에 구비된 모터와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판(21)과 상기 안내공(21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안착판(21)에 구비되며, 이동에 의해 컴프레서(C)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체(23)와 상기 가압체(23)의 이동방향과 서로 직교되게 안내공(21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안착판(21)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이동한 거리값을 제어부(30)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컴프레서(C)의 관련정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측정체(25) 및 안착판(21) 하부에 인장/수축 가능하게 구비되며, 인장/수축에 의해 상술한 가압체(23)와 측정체(25)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지그실린더(2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절단하고자 하는 컴프레서(C)가 안착판(21) 중앙에 안착하게 되면 제어부(30)에 의해 가압체(23) 및 측정체(25)가 지그실린더(27)의 인장/수축에 의해 안내공(21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한 쌍의 상기 가압체(23)는 컴프레서(C) 외면을 가압하여 안착판(21)에 고정되도록 하며, 컴프레서(C) 외면과 접하도록 이동하는 측정체(25)는 그 이동 거리 값을 제어부(30)에 전달하여 현재 전단하고자 하는 컴프레서(C)의 지름의 크기나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관련정보를 작업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30)는 측정체(25)의 이동 값에 따라 절단실린더(110)가 인장/수축할 수 있는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컴프레서(C)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및 도 13 참조)
아울러, 안착판(21) 상면에는 측정체(25)의 이동 거리 값을 작업자가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21b)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120)는 일측이 인장/수축하는 절단실린더(110)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타측에는 컴프레서(C)를 절단시키기 위한 블레이드(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회전체(120)는 원기둥 형상의 컴프레서(C)와 최대한 근접되게 블레이드(130)를 접근시켜 절단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호(弧) 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전체(120)는 절단실린더(110)가 결합하는 위치에 회전체(120)가 제한적으로 절단실린더(110)와 회전할 수 있는 턱부(121)가 형성되어 컴프레서(C)를 절단시에 블레이드(130)에 가해지는 기계적 부하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인 절단장치(1)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컴프레서(C)는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나 설치되는 냉장고 또는 정수기 등의 외형에 따라 반지름이 일정한 원통형 이외에 타원형 등으로 형성되어 지그부(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반지름(R)이 일정한 원통형이 아닌 컴프레서(C)를 절단시에 블레이드(130)가 구비된 회전체(120)를 턱부(121)에 의해 제한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절단실린더(110)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120) 양측에 각각 구비된 블레이드(130)가 회전과 동시에 컴프레서(C)의 외형을 따라 회전체(120)가 절단실린더(110)와 결합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후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130)에 가해지는 기계적인 부하를 최소화하여 컴프레서(C)의 절단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도 7 참조)
또한 블레이드(130)는 소정의 지름 폭을 갖으며, 외면에 절단날이 형성된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져 제어부(30)에 의해 회전체(120)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컴프레서(C)의 외면을 소정의 깊이로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200)는 도 3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프레서(C)를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재(100)가 절단하고자 하는 컴프레서(C)의 정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승강수단(40)에 의해 승강되는 구성으로 승강판(210) 및 상판(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판(21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판(220)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승강판(210)에는 절단실린더(110)가 관통되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공(211)이 천공형성되고, 본체부(10) 내벽에 서로 마주보게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각각 구비된 가이드(13)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승강판(210) 일측에는 본체부(10)에 형성된 승강수단(40)이 나사 결합하도록 관통삽입되는 조절공(213)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수단(40)의 회전에 의해 승강판(210)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며, 타측에는 승강판(210)이 승강수단(40)에 의해 승강시에 가이드(13) 외면과 형상맞춤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내편(2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조절공(213)은 승강판(210)에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조절공(213) 중 어느 하나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승강수단(40)과 승강 가능하게 나사결합하며, 다른 하나는 보조수직바(47)가 관통삽입되어 승강판(210)이 승강시에 안정적으로 보조수직바(47)에 지지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승강수단(40)은 도 10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또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승강부재(20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바(41), 수평바(43) 및 핸들바(45)를 포함한다. 이때 승강수단(40)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기어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수직바(41), 수평바(43) 및 핸들바(45)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필요에 따라 실린더 또는 모터 등에 의해 승강부재(41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수직바(41)는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본체부(1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부(10) 내벽과 근접하게 설치공간부(11) 내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이격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수직바(41)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공(213)과 나사 결합하도록 관통삽입되며, 하부에는 제2기어(43a) 또는 제3기어(45a)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1기어(41a)가 형성되어 핸들바(45)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41a)가 회전하여 나사 결합하는 승강판(411)이 가이드(14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수직바(41)는 승강판(210)이 가이드(14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바(41)와 횡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보조수직바(47)가 설치공간부(11)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보조수직바(47)는 핸들바(45) 또는 수평바(43)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않도록 본체부(10)에 설치되며, 승강판(210)이 보조수직바(47) 외면에 가이드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바(43)는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부(1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바(41)에 각각 형성된 제1기어(41a)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2기어(43a)가 형성되어 핸들바(45)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수직바(41) 중 어느 하나가 회전시에 다른 하나의 수직바(41) 역시, 동시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핸들바(45)는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부(1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본체부(10)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핸들바(4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45b)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기어(41a) 또는 제2기어(43a)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3기어(45a)가 형성되어 핸들(45b)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41a) 또는 제2기어(43a)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수직바(41) 또는 수직바(4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체부(10)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13)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H'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승강판(210)이 승강시에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도 9 참조)
더 나아가, 한 쌍의 승강판(210) 중 어느 하나에는 표시센서(31)가 구비되는 센서설치대(217)가 형성되어 승강판(210)의 승강에 따라 표시센서(31)가 승강하여 상기 표시센서(31)의 레이저가 컴프레서(C)의 절단위치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컴프레서(C)의 절단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센서(31)의 레이저는 상기 컴프레서(C) 외면에 점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육안으로 절단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선(LINE)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220)은 절단실린더(110)의 인장/수축에 의해 회전체(120)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13)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판(210)과 볼트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결합하여 승강판(210)의 승강에 의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판(220)은 제1상판(221)과 제2상판(223) 두 분체로 분리형성되며, 상기 제1상판(221)과 제2상판(223)은 인장/수축하는 절단실린더(1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225)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어 관통공(211)을 통해 관통삽입되는 절단실린더(110)가 안정적으로 인장/수축하여 회전체(120)가 용이하게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상판(221) 또는 제2상판(223)은 승강시에 절단하고자 하는 컴프레서(C)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하며, 상부에는 흡착부재(300)가 구비되어 컴프레서(C) 상부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재(300)는 도 2, 도 3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부(20)에 안착된 컴프레서(C)를 커팅부재(100)가 절단시에 상기 지그부(20)와 함께 컴프레서(C)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높이고, 절단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컴프레서(C)에서 분리되는 절단물(C1)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흡착설치판(310), 흡착실린더(320) 및 흡착판(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흡착설치판(310)은 상판(220) 상부에 설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인장/수축하는 흡착실린더(320)가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상판(220)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때 흡착설치판(310)는 상부에 구비된 흡착실린더(320)가 인장/수축시에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통공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착실린더(32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흡착설치판(31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인장/수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통공을 통해 하부에 구비된 흡착판(330)을 승강시킨다.
또한 흡착판(330)은 흡착실린더(320) 하부에 구비되며, 공기(air) 또는 자력에 의해 컴프레서(C)의 상면을 흡착하여 지그부(20)와 함께 커팅부재(100)가 컴프레서(C)를 절단시에 발생하는 기계적인 진동을 흡수하도록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컴프레서(C)의 절단에 의해 분리된 절단물(C1)이 지그부(20)나 본체부(10) 외부로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15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경제적이면서도 설치되고자 하는 작업공간의 소모가 적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반지름이 일정한 원통형의 컴프레서 이외에도 반지름이 서로 다른 컴프레서를 절단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100: 커팅부재 110: 절단실린더
120: 회전체 121: 턱부
130: 블레이드 200: 승강부재
210: 승강판 211: 관통공
213: 조절공 215: 안내편
217: 센서설치대 220: 상판
221: 제1상판 223: 제2상판
225: 이동홈 300: 흡착부재
310: 흡착설치판 320: 흡착실린더
330: 흡착판 C: 컴프레서
C1: 절단물

Claims (10)

  1. 본체부(10) 일측 또는 양측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컴프레서(C)를 절단하는 커팅부재(100);
    상기 컴프레서(C)의 절단위치에 따라 상기 커팅부재(100)가 승강수단(40)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와 결합하는 승강부재(200); 및
    상기 컴프레서(C)의 외면을 흡착하며, 상기 커팅부재(100)의 의해 절단되어 분리된 상기 컴프레서(C)의 절단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비되는 흡착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커팅부재(100)는
    수평방향으로 인장/수축 가능한 절단실린더(110);
    상기 절단실린더(110)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절단실린더(110)의 인장/수축에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전체적으로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체(120);
    상기 회전체(120)와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컴프레서(C)를 절단하는 블레이드(13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200)는
    상기 승강수단(40)과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커팅부재(100)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10)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승강판(210); 및
    상부에 상기 흡착부재(300)가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커팅부재(10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210)에 의해 승강하는 상판(22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판(210)은
    상기 커팅부재가 관통삽입되게 천공형성된 관통공(211);
    상기 승강판(210)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수단(40)과 회전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조절공(213); 및
    상기 승강판(210)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편(215);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40)은,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 내벽과 근접하게 설치공간(11)내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이격 설치되어 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공(213)과 나사 결합하도록 관통삽입되며, 하부에는 제1기어(41a)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210)이 가이드(140)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바(41)와,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바(41)에 형성된 제1기어(41a)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2기어(43a)가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바(41) 중 어느 하나가 회전시에 다른 하나의 수직바(41)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수평바(43)와,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상기 본체부(10) 외부로 노출되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45b)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기어(41a) 또는 제2기어(43a)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제3기어(45a)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45b)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41a) 또는 제2기어(43a)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수직바(41) 또는 수평바(4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바(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승강판과 결합하며, 상부에 상기 흡착부재가 설치되는 제1상판; 및
    상기 승강판과 결합하며, 상기 커팅부재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동홈이 형성되게 상기 제1상판과 서로 이웃하게 분리형성된 한 쌍의 제2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승강시에 상기 컴프레서와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센서설치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승강부재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통공이 천공형성된 흡착설치판;
    상기 흡착설치판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통공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인장/수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흡착실린더; 및
    상기 흡착실린더 하부에 구비되며, 에어 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컴프레서 외면을 흡착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KR1020150016316A 2015-02-02 2015-02-02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KR10171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16A KR101711721B1 (ko) 2015-02-02 2015-02-02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16A KR101711721B1 (ko) 2015-02-02 2015-02-02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07A KR20160094807A (ko) 2016-08-10
KR101711721B1 true KR101711721B1 (ko) 2017-04-04

Family

ID=5671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16A KR101711721B1 (ko) 2015-02-02 2015-02-02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757A1 (en) * 2022-01-07 2023-07-13 Marcovil-Metalomecanica De Viseu,Sa Refrigerator compressor process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142A (ja) * 2006-10-26 2008-05-08 Eishin Giken:Kk 切断装置
KR100904380B1 (ko) * 2009-01-19 2009-06-24 한일마이크로텍(주) 냉동 콤프레셔용 커팅머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142A (ja) * 2006-10-26 2008-05-08 Eishin Giken:Kk 切断装置
KR100904380B1 (ko) * 2009-01-19 2009-06-24 한일마이크로텍(주) 냉동 콤프레셔용 커팅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07A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720B1 (ko) 냉동용 컴프레서 절단머신
KR101470375B1 (ko) 레이저 파이프 절단장치
CN108658443B (zh) 一种平板玻璃切割机
KR101807489B1 (ko) 금속파이프용 천공장치
CN107045932B (zh) 一种铁芯生产流水线
KR101934947B1 (ko) 다축 홀 가공장치
CN107879108A (zh) 金属板材搬运装置
KR20150137354A (ko) 레이저 가공장치
KR101711721B1 (ko) 냉동 컴프레서 커팅머신용 절단장치
KR101499195B1 (ko) 러그 제거장치
KR102252002B1 (ko) 드럼커버 원형 컷팅기
CN113523411A (zh) 一种用于剪板机的上料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478631Y1 (ko) 다수의 컴프레서가 절단 가능한 절단장치
KR20040059208A (ko) 절단설 및 토치 슬래그 제거장치
KR102101077B1 (ko) 원통형 탱크의 용접장치
KR101258520B1 (ko)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CN104029407A (zh) 安全型压机
CN109482960B (zh) 面板定尺锯
CN106378652A (zh) 数控加工装置
KR101918041B1 (ko) 금형 승강장치를 구비한 전단금형장치
KR20200032861A (ko) 소재 절단장치
CN213080219U (zh) 一种自动切割型钢装置
CN110039181A (zh) 一种中框镭焊设备
CN220112423U (zh) 一种金属加工的数控剪板机
KR101388262B1 (ko) 산소 압축기의 패킹 교체용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