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427B1 -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427B1
KR101711427B1 KR1020140129842A KR20140129842A KR101711427B1 KR 101711427 B1 KR101711427 B1 KR 101711427B1 KR 1020140129842 A KR1020140129842 A KR 1020140129842A KR 20140129842 A KR20140129842 A KR 20140129842A KR 101711427 B1 KR101711427 B1 KR 101711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door
guide
open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421A (ko
Inventor
노재욱
송지수
이동현
김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4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비상탈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는 선체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로에서 외부로 비상탈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로의 일단에 형성되고 외부로 개방된 탈출구를 폐쇄하되, 선체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탈출구가 위를 향하면 개방되는 탈출용 도어; 및 탈출용 도어가 개방되면 탈출용 도어와 연동하여 기울어진 통로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탈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탈출장치{ESCAPING APPARATUS FOR SHIP 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상의 사고에 비해 탑승자의 구조가 매우 어렵다.
선박 등이 복원력을 잃고 기울어진 상황에서 선실의 출입구는 선실 내 탑승자를 기준으로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탑승자는 기울어진 선실 내에서 출입구를 통해 탈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대한 해난 사고의 경우 상당한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하여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기울어진 경우, 탑승자들의 피난이 확보되도록 비상탈출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14-0001952(2014.04.0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통로 내에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로에서 외부로 비상탈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통로의 일단에 형성되고 외부로 개방된 탈출구를 폐쇄하되, 상기 선체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상기 탈출구가 위를 향하면 개방되는 탈출용 도어; 및 상기 탈출용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탈출용 도어와 연동하여 기울어진 상기 통로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탈출부재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통로를 따라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가이드의 상기 탈출구와 가까운 측단부에서 상기 탈출구와 먼 측단부로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출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탈출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통로의 상기 탈출구와 가까운 측단부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비상탈출용 도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비상탈출용 도어가 개방되면 끊어지고, 상기 이동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탈출용 도어는, 외부와 직접 접하는 제 1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제 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통로를 수밀 가능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탈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통로의 내측면에 돌출된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제 2 도어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 2 도어를 상기 탈출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은 탄성체 또는 화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부재는 로프 또는 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선체의 횡경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선체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으면 상기 탈출용 도어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로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때 탈출용 도어가 개방되고, 탈출 부재가 기울어진 통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제공됨으로써 탑승자는 탈출부재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통로를 올라가 탈출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탈출용 도어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비상 시 통로를 따라 연장된 탈출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추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 X축의 플러스 방향을 전방으로 마이너스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00)는 탈출용 도어와 탈출부재(130)를 포함하고, 선체(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로(20)에서 외부로 비상탈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탈출용 도어(110)는 통로(20)의 일단에 형성된 외부로 개방된 탈출구(30)를 폐쇄한다. 탈출용 도어(110)는 선체(10)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탈출구(30)가 위를 향하면 개방된다. 예컨대 탈출용 도어(110)를 개방시키기 위한 선체(10)의 횡경사 각도는 선체(10)가 전복되는 임계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탈출용 도어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탈출용 도어(110)는 제 1 도어(111)와 제 2 도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도어(111)는 외부와 직접 접하도록 배치된다. 제 1 도어(111)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 1 도어(111)가 출입구를 폐쇄할 때 외부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 1 도어(111) 및 제 1 도어(111)와 접하는 통로(20)의 내측면은 수밀처리된다.
제 1 도어(111)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제 2 도어(112)는 제 1 도어(111)보다 내부에 위치한다. 제 2 도어(112)는 그 가장자리부가 통로(20)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지지부재(113)에 지지된 상태로 통로(20)를 폐쇄한다. 외부의 물이 통로(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 2 도어(112)와 지지부재(113)는 수밀처리된다.
제 2 도어(112)는 통로(20)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서 탈출구(30)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통로(20)를 개방한다. 이를 위해 제 2 도어(112)와 지지부재(113) 사이에는 제 2 도어(112)를 탈출구(3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114)이 개재된다. 예컨대 배출 수단은(114) 탄성체 또는 화약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도어(111) 및 제 2 도어(112)는 평소 탈출구(3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선체(10)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비상 상황이 되면 개방된다. 제 1 도어(111)와 제 2 도어(112)는 순차적으로 개방된다.
선체(10)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탈출구(30)가 위를 향하면 탈출부재(130)는 탈출용 도어(110)와 연동하여 기울어진 통로(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탈출부재(130)는 로프 또는 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시 통로(20)에 있는 탑승자는 탈출부재(130)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통로(20)를 올라가 탈출구(30)를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상탈출장치(100)는 가이드(140), 이동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0)는 통로(20)를 따라 연장 배치된다. 즉, 가이드(140)는 통로(20)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배치된다. 가이드(140)는 레일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이드(140)는 통로(20)의 천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140)는 평소 통로(20)를 이동하는 탑승자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가이드(140)는 통로(20)의 측면과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부재(150)는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재(150)는 가이드(140)의 탈출구(30)와 가까운 측단부에서 탈출구(30)와 먼 측단부로 이동한다. 이동부재(150)는 가이드(14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탈출부재(130)의 일단부는 이동부재(150)에 지지된다. 이때, 이동부재(150)가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하면 탈출부재(130)의 일단부는 이동부재(150)와 함께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하며 연장된다.
탈출부재(130)의 타단부는 통로(20)의 탈출구(30)와 가까운 측단부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탈출부재(130)의 타단부는 도 3과 같이 통로(20)의 탈출구(30)와 가까운 측단부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드럼(120)에 지지된다. 탈출부재(130)는 평소 대부분이 드럼(120)에 감긴 상태에 있다가 비상시 탈출부재(130)의 일단부가 이동부재(150)와 함께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할 때 드럼(120)에서 풀린다.
대안적으로 탈출부재(130)의 타단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로(20)의 탈출구(30)와 가까운 측단부의 내측면에 지지된 수납함에 지지된다. 탈출부재(130)는 평소 대부분이 수납함에 수납된 상태에 있다가 비상시 탈출부재(130)의 일단부가 이동부재(150)와 함께 가이들 따라 이동할 때 수납함에서 배출된다.
탈출부재(130)의 연장은 탈출용 도어(110)와 연동한다.
예컨대, 이동부재(150)는 연결부재(160)에 의해 탈출용 도어(110)와 연결된다. 연결부재(160)는 평소 이동부재(150)가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탈출용 도어(110)에 고정한다. 이때, 선체(10)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비상 상황이 되어 탈출용 도어(110)가 개방되면 연결부재(160)는 끊어지고 이동부재(150)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하며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이동부재(150)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선체(10)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비상 상황이 되어 탈출용 도어(110)가 개방되면 구동부가 작동하여 이동부재(150)를 강제로 이동시키고 탈출부재(130)는 통로(20)를 따라 연장된다.
이동부재(15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 그리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고 이동부재(150)를 따라 형성된 랙기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비상탈출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평소 비상탈출장치(100)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때, 탈출용 도어(110)는 탈출구(3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탈출부재(130)는 연장되지 않은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즉, 탈출부재(130)는 연결부재(160)에 의해 탈출용 도어(110)와 연결된 상태로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이후, 선체(10)의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비상 상황이 되어 탈출구(30)가 위를 향하면, 도 4와 같이 제 1 도어(111)가 개방되고, 도 5와 같이 제 2 도어(112)가 개방된다. 즉, 제 1 도어(111)와 제 2 도어(112)는 순차적으로 개방된다.
제 2 도어(112)가 개방되는 순간 제 2 도어(112)와 이동부재(150)를 연결하던 연결부재(160)가 끊어지고, 이동부재(150)는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하여 도 6과 같이 기울어진 통로(20)를 따라 연장된다. 참고로 도 6은 비상 시 통로를 따라 연장된 탈출부재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로(20)에 있는 탑승자는 탈출부재(130)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통로(20)를 올라가 탈출구(30)를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추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비상탈출장치(100)는 센서(170)와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70)는 선체(10)의 횡경사각을 감지한다. 제어부(180)는 센서(170)에서 감지된 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제어부(180)는 횡경사가 소정의 각도를 넘으면 비상 상황으로 인지하여 탈출용 도어(110)를 개방한다.
탈출용 도어(110)가 개방되면, 탈출용 도어(110)와 연동하여 탈출부재(130)가 기울어진 통로(20)를 따라 연장된다. 탈출용 도어(110)와 연동하여 탈출부재(130)가 연장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센서(170) 및 제어부(180)로 인해 비상탈출장치(100)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00)는 선체(10)의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로(20)의 일단에 형성된 탈출구(30)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탈출구는 통로(20)의 타단에도 형성되며 여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로(20)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통로(20)는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00)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선체
20 : 통로
30 : 탈출구
100 : 비상탈출장치
110 : 탈출용 도어
111 : 제 1 도어
112 : 제 2 도어
113 : 지지부재
114 : 배출수단
120 : 드럼
130 : 탈출부재
140 : 가이드
150 : 이동부재
160 : 연결부재
170 : 센서
180 : 제어부

Claims (5)

  1. 선체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통로에서 외부로 비상탈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통로의 일단에 형성되고 외부로 개방된 탈출구를 폐쇄하도록, 외부와 직접 접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1도어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배출수단에 의해 상기 탈출구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도어를 포함하는 탈출용 도어;
    상기 통로의 천장면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도어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가이드의 상기 탈출구와 가까운 측단부에서 상기 탈출구와 먼 측단부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통로의 상기 탈출구와 가까운 측단부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탈출용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탈출용 도어와 연동하여 기울어진 상기 통로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탈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는 상기 통로를 수밀하게 폐쇄하고,
    상기 선체의 횡경사가 소정의 값을 넘어 상기 탈출구가 위를 향하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는 순차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제2도어에 의해 끊어지고,
    상기 이동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탈출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에 지지된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와 함께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며 연장되는, 비상탈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횡경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선체의 횡경사 각도가 소정의 값을 넘으면 상기 탈출용 도어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20140129842A 2014-09-29 2014-09-29 비상탈출장치 KR10171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42A KR101711427B1 (ko) 2014-09-29 2014-09-29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42A KR101711427B1 (ko) 2014-09-29 2014-09-29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421A KR20160037421A (ko) 2016-04-06
KR101711427B1 true KR101711427B1 (ko) 2017-03-02

Family

ID=5579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842A KR101711427B1 (ko) 2014-09-29 2014-09-29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4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01B1 (ko) 2012-11-13 2014-07-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3489A (en) * 1975-12-15 1977-06-20 Mitsubishi Heavy Ind Ltd Carrie with double door at the bottom
JPS61133694U (ko) * 1985-02-08 1986-08-20
KR20140001952U (ko) 2012-09-26 2014-04-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비상 탈출 구조
KR101784044B1 (ko) * 2014-06-03 2017-10-10 윤종식 선박의 비상 탈출용 줄사다리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01B1 (ko) 2012-11-13 2014-07-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421A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501B1 (ko)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TWI649237B (zh) 具有可潛的船尾艙門的船艇
US7004101B1 (en) Boat with stabilizer adapted to serve as loading platform
KR101825564B1 (ko) 계단 접이식 문풀의 개폐장치 및 그 문풀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다이빙 보트
JP6443820B2 (ja) 水中航走体の収容装置及び収容方法
ITMI20130748A1 (it) Imbarcazione con plancetta di poppa traslante
CA2860695C (en) Lifting floor for bodies of water
KR20140028323A (ko) 선박의 구명보트 설치장치
FI111528B (fi) Säilytysrakenne yhtä tai useampaa alusta varten merirakenteessa
KR101711427B1 (ko) 비상탈출장치
KR20160000554U (ko) 앵커 수납 장치
US10351215B2 (en) Vessel with moving stern swim platform supporting steps sliding over fixed stern steps
JP5825696B2 (ja) 水中観光及び体験用の有人潜水艇
KR101625379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826168B1 (ko) 선박용 구명보트 진수장치
US9193424B2 (en) Manned submarine for underwater viewing and experience
KR10164457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101337660B1 (ko)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KR101894939B1 (ko) 선박
JPH08216975A (ja) 船内搭載艇用出入口開閉装置
KR101722199B1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KR20180034886A (ko) 톱사이드에 구비된 비상탈출장치
KR20150015761A (ko) 선체 관통형 구명정을 구비한 선박
KR101549229B1 (ko) 높이 자동감소 기능을 갖는 반목장치
KR20140098622A (ko) 잠수정의 흡배기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