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660B1 -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660B1
KR101337660B1 KR1020110053873A KR20110053873A KR101337660B1 KR 101337660 B1 KR101337660 B1 KR 101337660B1 KR 1020110053873 A KR1020110053873 A KR 1020110053873A KR 20110053873 A KR20110053873 A KR 20110053873A KR 101337660 B1 KR101337660 B1 KR 101337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wind
ship
thru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741A (ko
Inventor
송지수
박경령
김희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66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63B79/15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variables, e.g. wave height or weather dat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선박의 풍력추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는, 선박의 갑판 상부에 위치된 구조물에 설치되는 풍력추력장치로서, 구조물에서 소정의 높이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횡방향 지지대; 횡방향 지지대의 단부와 갑판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하방향 지지대; 횡방향 지지대의 하부측에 횡방향 지지대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감김축; 감김축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횡방향 지지대의 하부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 상하방향 지지대의 일측 및 그와 마주보는 구조물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개폐판의 양측이 각각 결합되어 개폐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및 개폐판이 이동되도록 감김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풍력추력장치{WIND POWER THRUSTING INSTALLATION OF THE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윙 브리지(Wing bridge)는 선박의 거주구 양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거주구는 선박의 갑판 상부에 형성되어, 조타실과 선실이 위치된다.
또한, 윙 브리지는 거주구의 상부 양측에서 횡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수평 지지대 및 한 쌍의 수평 지지대의 끝단 하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수직으로 위치된 한 쌍의 수직 지지대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윙 브리지는 단순히 거주구를 지지하는 기능만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에 설치되어 풍력을 선박의 보조 추진력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갑판 상부에 위치된 구조물에 설치되는 풍력추력장치로서, 상기 구조물에서 소정의 높이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횡방향 지지대; 상기 횡방향 지지대의 단부와 상기 갑판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하방향 지지대; 상기 횡방향 지지대의 하측부에 상기 횡방향 지지대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감김축; 상기 감김축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횡방향 지지대의 하부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상하방향 지지대의 일측 및 그와 마주보는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개폐판의 양측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개폐판이 이동되도록 상기 감김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주력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개폐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과 상기 갑판 사이로 바람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풍 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판의 하측단이 삽입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은, 하측단에 구비된 무게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감김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기 감김축의 측부에 구비된 종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개폐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스위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선체 외측에 위치된 풍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풍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풍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동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방향 지지대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감김축 및 상기 구동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측부에 상기 개폐판이 내외부로 이동되는 이동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에 설치되어 풍력을 선박의 보조 추진력으로 활용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개폐판 및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개폐판이 감김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개폐판이 감김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케이스 내부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작용하는 풍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개폐판 및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에서의 좌측에 위치된 풍력추력장치(100)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었고, 우측에 위치된 풍력추력장치(100)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의 소정의 구조물에서 횡방향 연장된 횡방향 지지대(3b)에 설치되는 풍력추력장치(100)는, 감김축(40)과, 감김축(4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 감김축(40)에 감기게 되는 개폐판(30)과, 개폐판(30)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의 풍력추력장치(100)는, 감김축(40) 및 구동부(5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20) 및 개폐판(30)의 이동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60) 및 센서부(70, 도 4 참조)를 더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소정의 구조물은 예를 들어 선박(1)의 갑판(2) 상부에 위치된 거주구(4)일 수 있다.
또한, 횡방향 지지대(3b)는 예를 들어 윙 브리지(3)일 수 있다. 이때, 윙 브리지(3)는 선박(1)의 거주구(4)의 양측에서 횡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횡방향 지지대(3b) 및 횡방향 지지대(3b)의 끝단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하방향 지지대(3a)를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횡방향 지지대(3b)는 소정의 높이로 위치되되, 거주구(4)의 상부측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하방향 지지대(3a)의 상측단은 횡방향 지지대(3b)의 하측부에 고정되고, 하측단은 선박(1)의 갑판(2)에 고정된다.
이때, 횡방향 지지대(3b)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인 관통홀(3c)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3c)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 횡방향 지지대(3b)의 하부면 및 갑판(2)의 상부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이 거주구(4) 및 상하방향 지지대(3a)의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개폐판이 감김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케이스 내부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Case)(20)는 횡방향 지지대(3b)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부(22)가 형성되어, 감김축(40) 및 구동부(50)를 수용한다.
이때, 케이스(20)는 상측부가 횡방향 지지대(3b)의 하측부에 고정되고, 양측이 거주구(4) 및 상하방향 지지대(3a)의 측부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스(20)의 하측부에는 케이스(2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이동홀(21)이 감김축(40)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이동홀(21)을 통해 개폐판(30)이 케이스(20)의 내,외부로 이동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감김축(40)은, 횡방향 지지대(3b)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케이스(20)의 내부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판(30)이 감겨지게 된다. 또한, 감김축(40)의 양측 단부는 케이스(20) 내부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0)의 내부 양측면에 베어링(미도시)이 각각 설치되어, 감김축(40)의 양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감김축(40)은 양측에 이탈방지판(41,42)이 위치되어, 개폐판(30)이 감김축(40)에 감기거나 풀어질 때 개폐판(30)이 감김축(40)의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50)는, 모터(51)와, 모터(51)의 회전축(52)에 장착된 구동기어(53) 및 구동기어(53)와 맞물림 결합되어 감김축(40)을 회전시키는 종동기어(54)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기어(53) 및 종동기어(54)는 평기어로 이루어지고, 종동기어(54)는 감김축(40)의 측부에 구비되어 감김축(40)과 동회전한다. 이때, 감김축(40)의 중심축과 종동기어(54)의 중심축은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모터(51)는 작동 스위치(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스위치(60)의 온/오프(ON/OFF) 조작을 통해 모터(51)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폐판(30)은 다수의 블럭 또는 판이 감김 가능하게 연결되어, 감김축(40)에 감기게 된다. 이때, 개폐판(30)은 감김축(40)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된다.
아울러, 개폐판(30)의 하측단에는 무게바(32)가 구비되고, 무게바(32)는 개폐판(30) 보다 중량이 무거운 강철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무게바(32)에 의해 개폐판(30)을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개폐판(3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70)는, 개폐판(3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1 센서(71)와, 개폐판(3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 센서(72) 및 제1 센서(71) 및 제2 센서(72)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73)를 포함한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73)는 모터(51)의 전원부 및 작동 스위치(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판(3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제1 센서(71) 및 제2 센서(72)를 감지하여 모터(51)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73)는 이동홀(21)의 선단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제1 센서(71) 및 제2 센서(72)는 개폐판(30)의 선단 상,하측에 각각 위치된다. 이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73)와 제1 센서(71) 및 제2 센서(72)는 개폐판(30)의 이동에 따라 서로 마주보게 된다.
여기서, 리미트 스위치(73)가 센서를 감지하여 모터(5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100)는, 횡방향 지지대(3b, 도1 참조)의 하부공간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센서부(70)를 통해 모터(51)의 작동을 제어하여 개폐판(30)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모터(51)가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져, 모터(51)의 회전축(52)을 일정수 만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판(30)의 이동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 스위치(60)의 온/오프 작동시 작동 스위치(60) 및 모터(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의 입력값에 따라 모터(51)의 회전축(52)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일정 회전수 만큼 회전되고, 아울러 감김축(40)이 회전축(52)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따라 회전되어 개폐판(30)을 이동시킴으로써 횡방향 지지대(3b)의 하부공간을 자동으로 개폐시킬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개폐판이 감김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Guide rail)(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으로 위치되어 개폐판(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0)의 양측은 상하방향 지지대(3a) 및 거주구(4)의 측부에 고정된다.
아울러, 가이드 레일(10)의 상측단은 케이스(20)의 하측부에 고정되고, 하측단은 선박(1)의 갑판(2) 상부면인 바닥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0)은 개폐판(30)의 양측을 안내하는 안내홈(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안내홈(11)의 횡단면은 디귿자("ㄷ") 형태로 형성되어 개폐판(30)의 측부가 삽입된다.
아울러, 가이드 레일(10)의 선단부에 다수의 이탈 방지부재(12)가 일정높이 간격으로 고정되어 개폐판(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이탈 방지부재(12)는 직사각형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에 각각 고정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10)의 하측부에 방풍 부재(13)가 위치되어, 개폐판(30)의 하측단과 갑판(2)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바람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방풍 부재(13)의 하측부는 바닥면에 고정되고, 양측부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방풍 부재(13)는 탄성재질의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개폐판(30)의 하측단이 삽입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홈(13a)이 형성된다. 이때, 홈(13a)은 종단면이 디귿자("ㄷ")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의 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작용하는 풍력을 선박(1)을 진행하게 하는 보조 추진력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선박(1)의 윙 브리지(3)에 설치된 본 발명의 풍력추력장치(100)의 작동 스위치(60)를 조작하여 모터(51)의 회전축(52)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51)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모터(51)의 회전축(5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51)의 회전축(52)에 장착된 구동기어(53)가 동회전되고, 아울러 구동기어(53)와 맞물림 결합된 종동기어(54)가 회전된다.
또한, 종동기어(54)의 회전으로 인하여 종동기어(54)가 측부에 구비된 감김축(40)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감김축(40)에 감겨진 개폐판(30)의 하측부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감김축(40)에 감겨진 개폐판(30)이 풀어지게된다.
아울러, 개폐판(30)의 양측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의 안내를 받으며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개폐판(30)의 하측면이 바닥면에 위치되면 작동 스위치(60)를 조작하여 모터(5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개폐판(30)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윙 브리지(3)와 거주구(4) 및 바닥면을 둘레로 형성된 관통홀(3c)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박(1)의 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윙 브리지(3)의 관통홀(3c)을 통과하며 이동되는 바람이 개폐판(30)에 부딪혀 선박(1)을 선수방향으로 추진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추력장치(100)는 윙 브리지(3)의 관통홀(3c)을 통과하여 선수방향으로 작용되는 풍력을 보조 추진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이탈 방지부재(12)의 양측이 고정됨으로써, 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부는 바람이 개폐판(30)에 부딪힐때, 개폐판(30)이 이탈 방지부재(12)에 접촉되어 선수방향의 개폐판(30)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풍력추력장치에서 작용하는 풍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여기서, 도 7은 YZ평면 상에 X축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선박(1)의 거주구 인근 구역에 작용되는 압력의 크기를 컬러로 도시하였다. 이 때, 압력의 단위는 무차원화 한 것으로 컬러별로 상대적인 압력의 크기를 나타내며, 붉은 색을 나타낼수록 풍압의 크기가 큰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풍력추력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에 가장 붉은 색이 나타나므로, 선박(1)의 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부는 바람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풍력추력장치(100)에 큰 풍압이 작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박(1)이 선수방향으로 운항시 바람의 이동 방향이 선수에서 선미방향으로 작용하면, 작동 스위치(60)를 조작하여 모터(51)의 회전축(52)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51)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모터(51)의 회전축(52)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51)의 회전축(52)에 장착된 구동기어(53)가 동회전되고, 아울러 구동기어(53)와 맞물림 결합된 종동기어(54)가 회전된다.
또한, 종동기어(54)의 회전으로 인하여 종동기어(54)가 측부에 구비된 감김축(40)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바닥면에 위치된 개폐판(30)의 하측부가 상부로 이동되며 감김축(40)에 개폐판(30)이 감겨진다.
여기서, 개폐판(30)의 양측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의 안내를 받으며 상부 방향을 이동되고, 개폐판(30)의 하측면이 케이스(20)의 하부 부근에 위치되면 작동 스위치(60)를 조작하여 모터(5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윙 브리지(3)와 거주구(4) 및 바닥면을 둘레로 형성된 관통홀(3c)을 개방하게 되어, 풍력이 선박(1)의 운항 방향과 역방향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추력장치(100)에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20)의 이동홀(21) 가장자리에 리미트 스위치(73)가 위치되어, 개폐판(30)의 이동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작동 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모터(51)를 작동시켜 개폐판(30)의 김김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감김축을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판(30)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때, 리미트 스위치(73)가 개폐판(30)의 상측에 위치된 제1 센서(71)를 감지하면, 모터(51)의 작동을 중지시켜 개폐판(3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1 센서(71)는 개폐판(30)의 하측부가 바닥면 또는 방풍 부재(13)에 접할때 리미트 스위치(73)가 제1 센서(71)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된다.
아울러, 작동 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모터(51)를 작동시켜 개폐판(30)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감김축을 회전시킴으로써 개폐판(30)의 하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될때, 리미트 스위치(73)가 개폐판(30)의 하측에 위치된 제2 센서(72)를 감지하면, 모터(51)의 작동을 중지시켜 개폐판(3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2 센서(72)는 개폐판(30)의 하측부가 케이스(20)의 하측부에 위치될 때 리미트 스위치(73)가 제2 센서(72)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개폐판(30)이 관통홀(3c)을 개,폐하는 위치에서 개폐판(30)의 이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킬수 있어, 개폐작업이 용이하다.
이때, 작동 스위치(60)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는 선체 외측에 위치된 풍향감지센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풍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풍향 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작동 스위치(60)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추력장치(100)가 관통홀(3c)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선박 2 : 갑판
3 : 윙 브리지 3a: 상하방향 지지대
3b: 횡방향 지지대 3c: 관통홀
4 : 거주구 10 : 가이드 레일
11 : 안내홈 12 : 이탈방지 부재
13 : 방풍 부재 13a : 홈
20 : 케이스 21 : 이동홀
22 : 수용부 30 : 개폐판
32 : 무게 바(bar) 40 : 감김축
41,42 : 이탈방지판 50 : 구동부
51 : 모터 52 : 회전축
53 : 구동기어 54 : 종동기어
60 : 작동 스위치 70 : 센서부
71 : 제1 센서 72 : 제2 센서
73 : 리미트 스위치 100 : 풍력추력장치

Claims (10)

  1. 선박(1)의 갑판(2) 상부에 위치된 구조물에 설치되는 풍력추력장치로서,
    상기 구조물에서 소정의 높이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횡방향 지지대(3b);
    상기 횡방향 지지대(3b)의 단부와 상기 갑판(2)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하방향 지지대(3a);
    상기 횡방향 지지대(3b)의 하측부에 상기 횡방향 지지대(3b)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감김축(40);
    상기 감김축(40)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횡방향 지지대(3b)의 하부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30);
    상기 상하방향 지지대(3a)의 일측 및 그와 마주보는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개폐판(30)의 양측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 및
    상기 개폐판(30)이 이동되도록 상기 감김축(4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개폐판(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12)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0)은,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판(30)과 상기 갑판(2) 사이로 바람이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풍 부재(13)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 부재(1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판(30)의 하측단이 삽입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홈(13a)이 형성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0)은,
    하측단에 구비된 무게바(32)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감김축(40)을 회전시키는 모터(51)를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모터(51)의 회전축(52)에 장착된 구동기어(53); 및
    상기 구동기어(53)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기 감김축(40)의 측부에 구비된 종동기어(54)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5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개폐판(30)의 이동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60)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60)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선체 외측에 위치된 풍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풍향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풍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동 스위치(6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대(3b)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감김축(40) 및 상기 구동부(50)가 수용되는 수용부(22)가 형성되고,
    하측부에 상기 개폐판(30)이 내외부로 이동되는 이동홀(21)이 형성된 케이스(20)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KR1020110053873A 2011-06-03 2011-06-03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KR10133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873A KR101337660B1 (ko) 2011-06-03 2011-06-03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873A KR101337660B1 (ko) 2011-06-03 2011-06-03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41A KR20120134741A (ko) 2012-12-12
KR101337660B1 true KR101337660B1 (ko) 2013-12-05

Family

ID=4790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873A KR101337660B1 (ko) 2011-06-03 2011-06-03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91B1 (ko) * 2012-04-26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CN117657366B (zh) * 2024-01-31 2024-04-02 兰州天瑞测绘工程有限公司 一种海洋工程测绘用的水域测绘装置及测绘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6594A (en) * 1980-03-25 1981-09-1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Device for swinging sail of sailboat
KR850000922B1 (ko) * 1980-07-21 1985-06-28 닛본 고오깡 가부시기가이샤 선박용 강체돛의 제어방법
JP2003293670A (ja) * 2002-03-29 2003-10-15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装置
KR20100064743A (ko) * 2008-12-05 2010-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6594A (en) * 1980-03-25 1981-09-1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Device for swinging sail of sailboat
KR850000922B1 (ko) * 1980-07-21 1985-06-28 닛본 고오깡 가부시기가이샤 선박용 강체돛의 제어방법
JP2003293670A (ja) * 2002-03-29 2003-10-15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装置
KR20100064743A (ko) * 2008-12-05 2010-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41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2846B (zh) 侧推器减阻降噪装置
CN102378717A (zh) 船舶
KR101368891B1 (ko) 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337660B1 (ko)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ATE466763T1 (de) Wasserfahrzeug mit einem frei ausfliegenden manövrierbaren windangriffselement als antrieb
JP2013519568A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US20160311501A1 (en) One dual purpose boat
WO2016108309A1 (ko) 수직 경사형 해상구조물용 방폭형 엘리베이터
US10647389B2 (en) Rotating and sliding boarding door assembly systems for a vessel and a vessel having the same
KR20150002247U (ko) 문풀 셔터 장치
KR20120002422U (ko) 상하이동 가능한 선박용 플로어 장치
KR101225995B1 (ko)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KR101702320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JP6865241B2 (ja) 通船ゲート装置
CN204587257U (zh) 单浮移动离船检测平台
JP2010120396A (ja) スラスタトンネル開閉装置
JP2019531230A (ja) 船用の補助帆システムおよび船用の安全システム
KR10164457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구명보트 진수 장치
CN201907645U (zh) 侧推器减阻降噪装置
KR101313189B1 (ko) 선박용 브리지 윙
KR101956597B1 (ko) 선박의 스러스터 리프팅와이어 가이드박스
KR20130002924U (ko) 회전식 개폐막을 구비한 선수 쓰러스터
KR20140098622A (ko) 잠수정의 흡배기 차단장치
US1028644A (en) Non-capsizing boat.
KR20170039362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