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344B1 -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344B1
KR101711344B1 KR1020160102120A KR20160102120A KR101711344B1 KR 101711344 B1 KR101711344 B1 KR 101711344B1 KR 1020160102120 A KR1020160102120 A KR 1020160102120A KR 20160102120 A KR20160102120 A KR 20160102120A KR 101711344 B1 KR101711344 B1 KR 10171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truss girder
present
lower insertion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규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기판상에서 트러스 거더를 구성하는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단된 상부배력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상부삽입공과, 절단된 하부정착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되어 트러스 거더의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에 삽입되게 하여, 상부배력근과 래티스 부재가 융착된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구조로서, 품질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 거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Device for mounting the truss girder}
본 발명은 건축물의 축조에 사용되는 패널(deck panal)의 트러스거더(truss gird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슬래브 축조시 보와 보 사이에 가설된 후 상부로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축조함으로써, 건축구조물의 거푸집 공사와 철근공사가 동시에 수행되어 축조작업과 마감작업이 신속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제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슬래브용 패널의 트러스 거더에 있어서, 하나의 기판상에서 트러스 거더를 구성하는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배력근이 삽입되는 상부삽입공과 하부정착근이 삽입되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되어, 트러스 거더의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용접된 부위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바닥이나 천장 슬래브는 철골구조(steel structure) 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reinforced concrete structure)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거푸집을 가설하고, 이에 철근을 배근한 뒤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사공방법은 합판이나 각재 등에 의해 가설되어지는 거푸집 공사시 수행되는 배근이 콘크리트의 팽창이나 수축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내력을 요하므로 이를 위해 거푸집 가설공사가 수반되며,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거푸집의 제거공사도 이루어져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기 거푸집 제거공사시 콘크리트의 흡착성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상기 거푸집이 접착되어 해체가 곤란하며 해체 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이 표면을 불량하게 만들어 결국 별도의 마감공사를 수반케 함으로서 비용 및 공사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체된 거푸집은 손상을 입어 내구력의 부족이 생기므로 다음 공사에 사용할 때 문제가 되고, 결국 다량의 건축폐자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어 건설공사비의 증가 요인은 물론 건축폐기물에 의한 산업쓰레기의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거푸집 사용의 문제에 대하여 많은 대안들이 제시되어져 왔다. 특히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는 무거푸집 공법은 종전에 휨 및 전단강성이 커서 보(beam)나 기둥(column)사이에 걸치는 것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마감재로서 해체가 불필요하며 전기설비나 공조설비와 같은 시설들을 굴곡부에 설치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서, 단차가 큰 굴곡단면을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금속재가 부식되는 문제로 인해 별도의 표면 도장이 필요하고, 또한 표면이 콘크리트와의 접착성이 떨어져 별도의 접착용 철근을 배근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패널(1)에 트러스 거더(2)를 결합하여 시공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상기 패널(1)은 측방향으로 연속적적인 연장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단부(10, 11)가 형성된다.
상기 트러스 거더(2)는 하나의 상부배력근(20)과 두 개의 하부정착근(21, 21a), 래티스 부재(22, 22a) 및 고정부재(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은, 하부정착근(21, 21a)의 중앙 상부에 상부배력근(20)이 배치되어, 측면에서의 모양이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두 개의 래티스 부재(22, 22a)가 하부정착근(21, 21a)의 안쪽과 상부배력근(20)의 바깥쪽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3)는 수평고정부재(230)와 수직고정부재(231)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고정부재(230)는 두 개의 하부정착근(21, 21a)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수직고정부재(231)는 상단부가 상부배력근(2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패널(1)의 상단부에 근접하게 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수평고정부재(230)에 고정되어 패널(1)의 양쪽 단부에서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 및 래티스 부재(22, 22a)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접촉하는 부위는 점용접(stop welding)에 의하여 융착고정된다.
아울러, 수평고정부재(230)와 수직고정부재(231)는 용접에 의하여 서로 융착고정되면서, 또한, 하부정착근(21, 21a)과 상부배력근(20)에 용접되어 융착고정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점용접은 겹친 금속부재를 적당히 성형한 전극 끝으로 고정하고, 비교적 좁은 부분에 전류를 집중시켜 국부적으로 가열하며, 동시에 전극으로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대표적인 저항 용접 방법이다.
이러한 점용접은 양쪽의 융착 대상물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기를 통하게 하면서 압력을 가해 점 모양으로 압접(壓接)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전극 저촉 면의 발열은 열전도가 큰 전극을 통해서 급속히 방산(放散)하여 접합부 재료의 접촉면만 용융(鎔融)시켜 압접을 수행하게 되며, 통상 너겟(nugget)이라고 하는 용접부위를 형성한다. 점용접은 다른 저항용접방법에 비하여, 장비가 간편하게 구성되고, 신속한 용접작업이 가능하여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 저항용접 방법이다.
양호한 상태의 점용접 결과물을 얻기 위한 요소는 전류, 압력, 통전 시간, 전극의 형상 등이다. 이러한 요소에 의하여 점용접된 결과물의 품질이 주로 결정되는데, 점용접은 신속하게 융착작업을 완료할 수 있지만, 급속한 방산에 의하여 금속이 접촉된 부위만이 융착됨으로써 너겟의 연결강도가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트러스 거더(2)의 각 구성요소들을 점용접으로 융착된 각각의 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떨어져나가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트러스 거더(2)와 패널이 결합된 상태로 운반하거나 시공설치하는 과정에서 상부배력근(20)과 래티스 부재(22, 22a)가 연결된 바깥쪽 단부가 주변의 다른 물체들과 접촉하면서 융착된 부위가 손상되어 상부배력근(20)과 양쪽의 래티스 부재(22, 22a)가 떨어져 나가서 패널의 품질과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재(23)가 두 개의 고정부재, 즉, 수평고정부재(230)와 수직고정부재(231)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수평고정부재(230)와 수평고정부재(231)를 각각 융착시켜야 하는 공정으로 안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KR 20-1991-0015562 Y1 (1991. 09. 25) KR 20-0242975 Y1 (2001. 08. 0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트러스 거더의 패널 구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하나인 상부배력근과 래티스 부재가 융착된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구조로서, 트러스 거더 및 패널의 품질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트러스 거더의 패널 구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하나인 고정부재의 구조적인 복잡성, 즉, 상기 고정부재가 수평고정부재와 수직고정부재로 분리되어 융착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작,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한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하나의 기판상에서 트러스 거더를 구성하는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단된 상부배력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상부삽입공과 절단된 하부정착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하부삽입공이 형성되어 트러스 거더의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이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하부삽입공이 일측으로부터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상태로 형성되어 삽입된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삽입공을 통과할 수 없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이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삽입되는 입구로부터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의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에 삽입된 다음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점용접에 의하여 융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기판 하부로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슬래브의 보를 형성하는 거푸집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점용접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삽입홈에는 상부배력근이 삽입되고, 하부삽입홈에는 하부정착근이 삽입되어, 결과적으로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을 일체화시키게 됨으로써 결속력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특히, 용접 균열에 의하여 융착된 부위가 쉽게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였던 상부배력근과 래티스 부재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이 부위에 용접불량의 인한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상부배력근과 래티스 부재가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러스 거더에서 상부배력근과 래티스 부재의 융착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견고하고 안정된 구조에 의하여, 트러스 거더 및 패널의 품질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로 인하여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의 융착고정이 일시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배력근과 래티스 부재의 융착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구조가 됨으로써 운반 및 시공시 취급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트러스 거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트러스 거더와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트러스 거더와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트러스 거더와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강철빔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시공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이 천장 슬래브의 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시공 상태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와 청구항 들에 사용되는데,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는 트러스 거더(2)와 고정구(3)로 구성된다.
상기 트러스 거더(2)는 패널(1)의 연직상부로 일정간격을 갖고 하나의 상부배력근(20)과 두 개의 하부정착근(21, 21a)이 형성되며, 1개의 선재가 절곡되어 이루어진 래티스 부재(22, 22a)가 상기 상부배력근(20)과 상기 하부정착근(21, 21a)의 좌우측면에 융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은 래티스 부재(22, 22a)와 함께 구조재로서의 전반적인 압축력을 지탱하고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형성시키면서 압축 및 휨에 대한 내력을 갖도록 하며, 패널(1)은 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래티스 부재(22, 22a)는 일정 직경을 갖는 하나의 선재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 정면의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 꼭지점부(5)는 상기 상부배력근(20)의 하단면에 접해져 용접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삼각형꼴의 좌우 하단경사부의 일면은 상기 하부정착근(21, 21a)을 중심으로 서로 엇갈려 하부정착근(21, 21a)의 양측면에 각각 접해져 용접고정되는 삼각형꼴을 이룬다.
상기 삼각형꼴의 하단경사부와 연이어져 마름모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형상은 위에서 볼 때 상기 하부정착근(21, 21a)을 중심으로 바깥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진 꼭지점을 갖는 삼각형꼴의 형상을 이루고, 정면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마름모꼴의 단면으로 보이는 하단지지부는 상기 패널(1)의 상면에 접해져 용접고정되어 안정된 구조를 형성시키면서 압축 및 휨에 대한 내력을 갖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충진 및 양생시 발생되는 수축및 팽창력에 대하여 패널의 전체구조를 안정화시키며 변형이 없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마름모꼴과 삼각형꼴이 길이방향으로 반복 절곡형성된 래티스 부재(22, 22a)는 상기 상부배력근(20) 및 하부정착근(21, 21a)과 용접고정으로 일체가 되며 하부의 좌우측하단지지부(4)(5)가 상기 패널(1) 위에 용접고정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체가 된 트러스거더(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3)는 기판(30)에 형성되는 하나의 상부삽입공(31)과 두 개의 하부삽입공(32, 32a)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30)은 트러스 거더(2)와 점용접이 가능하도록 판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면서, 대략 "+"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종래의 고정부재(23)에서 수평고정부재(230)와 수직고정부재(231)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금속재의 기판(30)은 프레스에서 펀칭 및 드로잉 가공이 되어 상기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이 형성되고, 외곽의 단부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절곡되는 플랜지(33)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33)는 트러스 거더(2)와의 점용접을 위한 자동화 장치에서 로봇 핸드가 본 발명의 고정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상부삽입공(31)은 절단된 상부배력근(20)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항하여 돌출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4)는 기판(30)을 펀칭(punching)하여 구멍을 뚫고, 그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진 펀치를 밀어 넣어 구멍에 플랜지를 만드는 버링(burring)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34)는 기판(30)의 외곽에 형성되는 상기 플랜지(33)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며, 구멍을 형성하는 단면의 형상이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상부삽입공(31)의 입구쪽 내경은 트러스 거더(2)에서 상부배력근(20)와 양쪽의 래티스 부재(22, 22a)가 고정된 결합체가 형성하는 임의의 원둘레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고, 후단부에서 가장 작게 형성되는 내경은 상기 결합체가 접촉하며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점용접에 의한 융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상부 삽입공(31)의 내주면에는 여러 개의 요철(35)이 형성되어 점용접시 효과적으로 융착이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34)의 상부는 상부삽입공(31)의 상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개방되는 안착홈(38)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8)홈은 상기 트러스 거더(2)에 상기 고정구(3)가 결합된 다음, 거더 연결용 철근(24)이 안착될 수 있게 한다.
하부삽입공(32, 32a)은 상기 상부 삽입공(31)의 아래쪽에서 수평상으로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트러스 거더(2)의 하부정착근(21, 21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삽입공(32, 32a) 하부정착근(21, 21a)이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항하여 돌출부(36, 36a)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6, 36a) 또한, 기판(30)을 펀칭(punching)하여 구멍을 뚫고, 그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진 펀치를 밀어 넣어 구멍에 플랜지를 만드는 버링(burring)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36, 36a)는 기판(30)의 외곽에 형성되는 상기 플랜지(33)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며, 구멍을 형성하는 단면의 형상이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상부삽입공(31)의 입구쪽 내경은 트러스 거더(2)에서 상부배력근(20)와 양쪽의 래티스 부재(22, 22a)가 고정된 결합체가 형성하는 임의의 원둘레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체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고, 후단부에서 가장 작게 형성되는 내경은 상기 결합체가 접촉하며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점용접에 의한 융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삽입공(31)과 같이 하부삽입공(32, 32a)의 내주면에도 여러 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점용접시 효과적으로 융착이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기판(30) 하부로 연장부(37)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37)가 슬래브의 보를 형성하는 거푸집 공간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 및 래티스 부재(22, 22a)가 통상의 방법과 같이 자동화 라인에서 점용접에 의하여 트러스 거더(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점용접은 통상 300~1,000㎏의 압력을 가하면서 용접전류를 통하여 60㎐의 교류 200V가 사용되며, 용접전류의 전압은 10V 이하의 저전압으로 전류 값은 연강에서는 10,000~50,000A/㎟이다.
상기와 같은 트러스 거더(2)는 후속적으로 래티스 부재(22, 22a)가 패널(1)과 점용접으로 결합되고, 연속하여 고정구(3)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3)는 다수개가 적층된 상태에서 자동화 시스템의 로봇 핸드그립(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하여 하나의 고정구(3)가 파지되어 트러스 거더(2)를 향하게 된다.
패널(1)과 결합된 트러스 거더(2)는 수평상의 위치에 정지되어 있고, 하나의 고정구(3)를 파지한 로봇의 핸드그립은 트러스 거더(2)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트러스 거더(2)와 고장구(3)는 점용접을 위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고정구(3)에 형성된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은 트러스 거더(2)의 상부배력근(20) 및 하부정착근(21, 21a)과 동일한 위치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로봇 핸드 그립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부재(3)의 상부삽입공(31)에는 상부배력근(20)이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삽입공(32, 32a)에는 하부정착근(21, 21a)이 삽입된다.
이때, 트러스 거더(2)와 고정구(3)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이 고정구(3)의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이 삽입되면서 접촉하게 되므로 전기저항에 의하여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구(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이 일측으로부터 개방되면서 타측에는 폐쇄단면(39, 39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드로잉(drawinf)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삽입된 상부배력근과 하부정착근이 삽입공을 통과할 수 없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폐쇄단면(39, 39a)의 내측면에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의 단부가 접촉됨으로써, 융착 부위가 많아지게 되고, 또한, 상부배력근(31)과 하부정착근(21, 21a)의 절단된 단부가 은폐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이 시공되는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구(3)가 강철빔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구(3)가 천장 슬래브의 보를 형성하는 경우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형틀(M)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연장부(37)가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연장부(37)에 의하여 고정구(3)가 보다 안정되게 설치되며, 후속되는 공정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더욱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1 : 패널
2 : 트러스 거더
3 : 고정구
10, 11 : 고정단부
20 : 상부배력근
21, 21a : 하부정착근
22, 22a : 래티스 부재
23 : 고정부재
24 : 거더 연결용 철근
30 : 기판
31 : 상부삽입공
32, 32a : 하부삽입공
33 : 츨랜지
34 : 돌출부
35 : 요철
36, 36a : 돌출부
37 : 연장부
38 : 안착홈
39, 39a : 폐쇄단면
230 : 수평고정부재
231 : 수직고정부재

Claims (8)

  1. 트러스 거더 고정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기판(30)에 상부배력근(20)이 삽입되는 상부삽입공(31)과 하부정착근(21, 21a)이 삽입되는 하부삽입공(32, 32a)을 형성하되,
    상기 기판(30)은 외곽의 단부에 플랜지(3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삽입공(31)은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항하여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삽입공(32, 32a)은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항하여 돌출부(36, 36a)가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이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이 삽입되는 입구로부터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4)의 상부에는 상부삽입공(31)의 상부로 개방되는 안착홈(38)이 형성되어 거더 연결용 철근(24)이 안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이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이 일측으로부터 개방되고, 타측은 막힌 상태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이 통과할 수 없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이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32, 32a)에 삽입된 다음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력근(20)과 하부정착근(21, 21a)이 상부삽입공(31)과 하부삽입공(21, 21a)에 삽입됨과 동시에 점용접에 의하여 융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30) 하부로 연장부(3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KR1020160102120A 2016-08-11 2016-08-11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KR10171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120A KR101711344B1 (ko) 2016-08-11 2016-08-11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120A KR101711344B1 (ko) 2016-08-11 2016-08-11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344B1 true KR101711344B1 (ko) 2017-03-13

Family

ID=5841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120A KR101711344B1 (ko) 2016-08-11 2016-08-11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44A (ko) * 2019-07-31 2021-02-10 구연진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자동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29U (ja) * 1993-08-12 1995-03-1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Alcパネル用係止具
KR200242975Y1 (ko) 2001-05-04 2001-10-12 임금순 건축물 슬래브용 데크패널의 트러스거더
KR20100024768A (ko) * 2008-08-26 2010-03-08 (주)코스틸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KR101393468B1 (ko) * 2012-06-05 2014-05-13 이창남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
KR20160043344A (ko) * 2014-10-13 2016-04-21 김영미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29U (ja) * 1993-08-12 1995-03-1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Alcパネル用係止具
KR200242975Y1 (ko) 2001-05-04 2001-10-12 임금순 건축물 슬래브용 데크패널의 트러스거더
KR20100024768A (ko) * 2008-08-26 2010-03-08 (주)코스틸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KR101393468B1 (ko) * 2012-06-05 2014-05-13 이창남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
KR20160043344A (ko) * 2014-10-13 2016-04-21 김영미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44A (ko) * 2019-07-31 2021-02-10 구연진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자동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KR102245495B1 (ko) 2019-07-31 2021-04-27 구연진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자동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6232B1 (en) Dry joint joining device between columns and beams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N110832151B (zh) 一触式钢筋联接件
JP6377413B2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JP5754238B2 (ja) 柱梁接合構造
CN108035443B (zh) 一种双钢板剪力墙与楼板的连接方法
KR101711344B1 (ko)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JP6567355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接合構造
JP6861472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
JP200634866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柱・梁部材の連結工法
JP7026362B2 (ja) 異形鉄筋つなぎ金具
JP2017133277A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柱梁接合方法
KR102149032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JP6432786B2 (ja) 梁材荷重負担構造および梁材修復方法
JP4560559B2 (ja) 鉄筋籠の補強構造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CN203961287U (zh) 一种l型阴角模夹具
KR20160000817U (ko) 무용접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의 결합구조
JP6888944B2 (ja) 複合梁における異種材料の接合方法と接合構造
KR100821968B1 (ko) 용접철망
KR102401560B1 (ko) 장스팬 구조 및 낮은 층고 구현을 위한 빔
JP2003213796A (ja) 角形鋼管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5799533B2 (ja) 部材接合方法
JPH09203161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開孔補強材及び補強構造
JP6775327B2 (ja) 柱仕口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