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980B1 -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0980B1 KR101710980B1 KR1020160080648A KR20160080648A KR101710980B1 KR 101710980 B1 KR101710980 B1 KR 101710980B1 KR 1020160080648 A KR1020160080648 A KR 1020160080648A KR 20160080648 A KR20160080648 A KR 20160080648A KR 101710980 B1 KR101710980 B1 KR 1017109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vegetation
- soil
- filled
- forming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 A01G1/00—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생포대는,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흙이나 모래를 채워 넣을 수 있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토사채움공간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공간형성체; 공간형성체의 내측에 분포되어 있는 씨앗;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위치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생포대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가지고 있어 철망 등의 보강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터짐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 공간형성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와 공간형성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가 모두 구비된 형태로 구현될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다.
또 식생포대를 쌓은 후에 터지지 않게 포대 자체를 철망으로 감쌀 수 있고, 포대 전체를 철망으로 묶어서 감쌀 수도 있는 특징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식생포대는,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흙이나 모래를 채워 넣을 수 있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토사채움공간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공간형성체; 공간형성체의 내측에 분포되어 있는 씨앗;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위치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생포대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가지고 있어 철망 등의 보강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터짐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 공간형성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와 공간형성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가 모두 구비된 형태로 구현될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다.
또 식생포대를 쌓은 후에 터지지 않게 포대 자체를 철망으로 감쌀 수 있고, 포대 전체를 철망으로 묶어서 감쌀 수도 있는 특징을 가진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방이나 둑을 쌓으면서 발생하는 경사면이나 곡면이 무너지지 않게 녹화를 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방이나 둑을 쌓으면서 경사면이나 곡면이 자연스럽게 경사면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은 자연재해 등에 의해서 훼손되기 쉽기 때문에 안전하게 쌓을 수 있는 시공방법이 요구된다.
또, 훼손된 경사면은 신속하게 복구되어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또, 도심지에서는 경사면이나 훼손된 지형이 아니더라도 환경 개선을 위해 녹화가 필요한 곳들이 있다.
기존에는 경사면의 안정을 위하여 콘크리트 시공법과 철망에 돌을 채워 쌓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 친화적인 경사면이 되도록 녹화가 진행되는 시공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녹화를 위한 시공방법으로는 철망으로 기초를 쌓고 그 위에 흙을 덮은 후 초목류나 잔디씨를 파종 또는 이식하는 방식이 있다.
또, 콘크리트나 철망으로 기초를 다져 놓은 후 코이어네트와 같은 천연섬유망체를 설치하고 씨앗을 살포하는 시드 스프레이 작업을 진행하여 살포된 씨앗이 발아하여 자람으로써 식물의 근부에 의해 발생되는 결속력으로 침식이나 붕괴가 방지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녹화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녹화되는 것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시공 후 녹화되기 전에 자연재해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식생포대를 사용하는 시공하는 방법이 안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씨앗이 구비되어 있는 식생포대에 흙이나 마사토 등을 채운 후 이와 같은 작업된 포대를 적층하여 경사면 자체를 만들거나 기초가 완성된 경사면에 흙이나 마사토 등이 채워진 식생포대를 쌓아 경사면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식생포대 사용방식은 식생포대 내에 위치된 씨앗이 발아하기 전에 자연재해를 입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녹화 효율도 우수하고 경사면에 안전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식생포대 내의 씨앗이 발아하고 자라는 식물의 근부에 의해 시간이 지날수록 경사면은 더욱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는 시공방법이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219289호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3113호 등에는 식생포대의 구조 및 시공법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식생포대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생포대는 내부에 위치된 씨앗이 발아하여 포대를 형성하는 천연소재나 합성수지재를 뚫고 나와야 하고, 빗물 등이 내부로 침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거나 헝성하여 짜여진 직물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발아된 씨앗이 외측으로 뚫고 나올 수 있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부직포나 직물은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취약해졌던 것이다.
이로 인하여 식생포대를 사용하는 시공 과정이나 시공 후에 포대의 특정 부분이 터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었다.
식생포대가 또 다른 식생포대에 의해 가압되어 압력을 받는 경우에 주로 발생되며, 배부름 현상에 의해 식생포대의 중앙부가 터지거나 가장자리의 고정부에서 터짐현상이 발생되었다.
특히, 햇빛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강도가 약해지는데 이러한 강도 저하가 발생되기 전에 녹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터짐이 발생되면서 내부에 채워진 토사가 무너져 내리는 현상도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주 등을 사용하여 식생포대를 지지하는 시공방법도 안출되었으나 시공에 상당한 불편함이 발생되었으며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생포대에 별도의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터짐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이 식생포대를 경사면이나 곡면에서 무너지지 않고 안전하게 쌓을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갖도록 하여 보강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터짐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를 만든다.
또 식생포대의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흙이나 모래를 채워 넣을 수 있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고, 이 토사채움공간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공간형성체를 갖는 식생포대를 준비한다.
또, 식생포대는 공간형성체의 내측에 분포되어 있는 씨앗을 갖는다.
또,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위치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갖는다.
또, 식생포대는 공간형성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와 상기 공간형성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가 모두 구비된 형태로 만든다.
또, 씨앗이 부착되어 분포되어 있는 씨앗부착포가 공간형성체 안쪽에 위치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한다.
또, 공간형성체의 가장자리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식생포대 시공방법은,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흙이나 모래를 채워 넣을 수 있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토사채움공간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공간형성체를 가진 식생포대의 토사채움공간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 준비하는 단계를 갖는다.
또, 공간형성체의 형태에 맞게 구부러지면서 변형되는 강도를 갖는 철망으로 식생포대를 감싸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 식생매트는 공간형성체의 내측에 분포되어 있는 씨앗을 갖는다.
또, 식생매트는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위치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갖는다.
또, 식생매트는 가장자리가 열융착에 의해 접착된 공간형성체를 갖는다
상기 보강용띠는 공간형성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와 상기 공간형성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으면서 토사채움공간의 입구 부분에서 하나로 연결되게 묶여서 링형태를 이루면서 토사채움공간의 입구 부분이 차단된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도 있고, 링형태로 묶이는 부분이 묶이지 않은 상태가 되어 토사채움공간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종방향의 보강용띠로 구성된다.
상기 철망은 어느 한쪽 끝단에 형성된 고리를 대응되는 다른 쪽 끝단에 형성된 걸쇠에 연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식생포대 시공방법은,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흙이나 모래를 채워 넣을 수 있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토사채움공간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공간형성체를 가진 식생포대의 토사채움공간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 준비하는 단계를 갖는다.
또, 공간형성체의 형태에 맞게 구부러지면서 변형되는 강도를 갖는 철망으로 식생포대를 감싸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 식생매트는 공간형성체의 내측에 분포되어 있는 씨앗을 갖는다.
또, 식생매트는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위치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갖는다.
또, 식생매트는 가장자리가 열융착에 의해 접착된 공간형성체를 갖는다
상기 보강용띠는 공간형성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와 상기 공간형성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으면서 토사채움공간의 입구 부분에서 하나로 연결되게 묶여서 링형태를 이루면서 토사채움공간의 입구 부분이 차단된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도 있고, 링형태로 묶이는 부분이 묶이지 않은 상태가 되어 토사채움공간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종방향의 보강용띠로 구성된다.
상기 철망은 어느 한쪽 끝단에 형성된 고리를 대응되는 다른 쪽 끝단에 형성된 걸쇠에 연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공간형성체를 감싸고 있으며 공간형성체의 형태가 변하여 발생되는 힘에 의해 구부러지면서 함께 변형되는 강도를 갖는 철망이 더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식생포대 여러 개를 형태로 쌓은 후에 포대 전체를 철망으로 감싸는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즉, 철망으로 감싸진 식생포대를 경사지나 굽은 면에 겹쳐서 쌓은 후 그 위를 철망으로 감싸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철망으로 감싸진 식생포대를 경사지나 굽은 면에 겹쳐서 쌓은 후 그 위를 철망으로 감싸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생포대는 토사채움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체의 외측에 일체화되어 공간형성체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를 가지고 있어 철망 등의 보강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터짐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 공간형성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와 공간형성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가 모두 구비된 형태로 구현될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다.
또, 씨앗이 부착되어 분포되어 있는 씨앗부착포가 공간형성체 안쪽에 위치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된 경우 씨앗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으면서 식생포대를 보관하거나 이동하는 중에 씨앗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공간형성체의 가장자리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경우 가장자리가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 공간형성체를 감싸고 있으며 공간형성체의 형태가 변하여 발생되는 힘에 의해 구부러지면서 함께 변형되는 강도를 갖는 철망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고, 공간형성체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포대 여러 개를 겹쳐서 둑으로 쌓은 후에 그 주위를 철망으로 감싸서 둑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녹화용 식생포대에 흙을 담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철망이 더 구비된 본 발명의 녹화용 식생포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철망의 양쪽 끝단이 연결되기 전
B : 철망의 양쪽 끝단이 연결된 상태
도 4는 공간형성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용띠를 링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고 링형태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는 본 발명의 녹화용 식생포대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씨앗부착포를 갖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식생포대를 여러 개 겹쳐서 쌓은 후 철망으로 감싼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녹화용 식생포대에 흙을 담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철망이 더 구비된 본 발명의 녹화용 식생포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철망의 양쪽 끝단이 연결되기 전
B : 철망의 양쪽 끝단이 연결된 상태
도 4는 공간형성체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용띠를 링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고 링형태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는 본 발명의 녹화용 식생포대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씨앗부착포를 갖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식생포대를 여러 개 겹쳐서 쌓은 후 철망으로 감싼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식생포대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 식생포대를 일정한 형태로 쌓는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식생포대를 견고하게 제작하여 내구성이 우수하여 터짐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고 또 식생포대를 여러 개 겹쳐서 쌓은 후에도 이를 철망으로 묶어서 무너지지 않는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를 만들고 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즉, 종래의 식생포대는 배부름 현상이 심하게 발생되고 압력을 받아 터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토사채움공간(11)을 형성하는 공간형성체(10)의 외측에 일체화되어 공간형성체(10)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31, 32)를 갖도록 하여 별도의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터짐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는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식생포대는,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흙이나 모래를 채워 넣을 수 있는 토사채움공간(11)을 형성하고 있으며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공간형성체(10)를 갖는다.
또, 공간형성체(10)의 내측에 분포되어 있는 씨앗(20)을 갖는다.
또,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지고, 공간형성체(10)의 외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위치되어 공간형성체(10)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31, 32)를 갖는다.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는 오므라지게 한 후 끈으로 묶어 차단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고, 벨크로 등이 부착되어 있어 벨크로에 의해서 입구가 차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용띠(31, 32)는 폭을 좁게 구현하여 씨앗이 발아되고 자라는데 영향이 적도록 구현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보강용띠(31, 32)는 식물의 발아나 발아된 식물이 공간형성체(10)를 뚫고 나와 자라는 것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두껍게 구현하거나 조밀하게 직조하는 등 강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더욱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보강용띠(31, 32)에 의해서 공간형성체(10)에 흙이나 모래 등이 채워지고 적층되어 압력을 받더라도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간형성체(1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31)와 상기 공간형성체(10)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32)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용띠(31)와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용띠(32)가 교차하는 형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토사채움공간(11)으로 흙이나 모래를 투입하는 것에 불편함이 발생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용띠(32)는 링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고 링형태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는 도 4와 같은 형태로 구현하면 흙이나 모래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용띠(32)를 통해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를 차단하고 유지할 수 있게 구현하면 편리하다.
즉,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용띠(32)는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도 가로지르는 형태가 된다.
종방향 보강용띠(32)가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 부분에서 연결되어 링 형태를 이루거나 분리되어 링형태가 해제(도 4의 형태)되도록 하면 토사채움공간(11)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는 것도 용이하고, 채운 후에는 종방향 보강용띠(32)를 하나로 연결하거나 묶어서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 부분이 차단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공간형성체(10)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으면서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 부분에서 하나로 연결되게 묶여서 링형태를 이루면서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 부분이 차단된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도 있고, 링형태로 묶이는 부분이 묶이지 않은 상태가 되어 토사채움공간(11)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임)
본 발명에 있어서, 씨앗(20)이 부착되어 분포되어 있는 씨앗부착포(40)가 공간형성체(10)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된 경우 씨앗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녹화용 식생포대를 보관하거나 이동하는 중에 씨앗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씨앗이 공간형성체(10)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형태는 씨앗의 고른 분포를 갖도록 하기 어렵거나 포대 형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부착되었던 씨앗이 떨어지기 쉽다.
또, 식생포대를 보관 및 유통하는 과정에서 씨앗이 떨어져 가나는 현상도 발생되기 쉽다.
그러나 별도의 씨앗부착포(40)에 씨앗(20)을 고르게 부착시키고 이러한 씨앗 부착포(40)를 내측에 위치시킨 토사채움공간(11)을 형성하면 씨앗이 고르게 분포된 녹화용 식생포대를 만들 수 있다.
또, 작업 과정이나 녹화용 식생포대를 보관, 유통하는 과정에서 씨앗의 이탈도 적게 발생된다.
씨앗부착포(40)는 화장지와 같이 얇으면서 물에 쉽게 끊어지거나 풀어지는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간형성체(10)의 가장자리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토사채움공간(11)을 형성하기 위해 접합되는 부분을 열융착으로 접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융착구조는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견고함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공간형성체(10)가 폴리에스테르 소재인 경우에 적합하고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부직포인 경우 접합력이 더 우수하다.
부직포의 경우는 바느질보다 열융착 방식이 더 견고한 접합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간형성체(10)를 감싸는 철망(50)을 더 구비하여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고, 공간형성체(10)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도 토사채움공간(11)에 채워진 흙이나 모래가 과도하게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리한 물건 등에 의해서 공간형성체(10)의 일부분이 찢어져도 그 부분으로 인해 터짐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철망(50)이 공간형성체의 변형에 대응하지 못하는 형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철망(50)은 공간형성체(10)의 형태가 변하여 발생되는 힘에 의해 구부러지면서 함께 변형되는 강도를 갖도록 한다.
즉, 공간형성체(10)의 특정 부분이 튀어나오면서 그 부분이 철망(50)을 밀면 철망도 함께 밀리면서 튀어나옴으로써 공간형성체(10)의 형태 변형에 철망(50)이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철망(50)은 가늘고 얇은 이유 등으로 탄성력이 약한 철사를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철망(50)을 이루는 철사는 코팅되어 있지 않도록 하여 화재 등에 의해서 피복이 녹아 발생되는 지저분함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철망은 본 발명의 녹화용 식생매트를 내측에 위치시키고 양쪽 끝을 서로 걸어서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어느 한쪽 끝단에는 고리(51)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다른 쪽 끝단에는 걸쇠(52)를 형성하여 고리(51)와 걸쇠(52)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포대를 여러 개 겹쳐서 둑 형태로 쌓는 시공방법에 있어서도 위에서 제시한 철망(50)을 묶어서 포대로 쌓은 둑이 진동이나 둑의 변형에 의해서도 무너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12는 열에 의해 융착된 융착부이다.
10. 공간형성체
11. 토사채움공간
20. 씨앗
31, 32. 보강용띠
40. 씨앗부착포
50. 철망
51. 고리
52. 걸쇠
11. 토사채움공간
20. 씨앗
31, 32. 보강용띠
40. 씨앗부착포
50. 철망
51. 고리
52. 걸쇠
Claims (3)
- 삭제
-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흙이나 모래를 채워 넣을 수 있는 토사채움공간(11)을 형성하고 있으며,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진 공간형성체(10)를 가진 식생포대의 토사채움공간(11)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공간형성체(10)의 형태에 맞게 구부러지면서 변형되는 강도를 갖는 철망(50)으로 식생포대를 감싸는 단계;
상기 철망(50)으로 감싸진 식생포대를 경사지나 굽은 면에 겹쳐서 쌓은 후 그 위를 철망으로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포대는 공간형성체(10)의 내측에 분포되어 있는 씨앗(20);
부직포나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공간형성체(10)의 외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위치되어 공간형성체(10)의 배부름 현상이나 터짐을 방지하는 링 형태의 보강용띠(31, 32); 및
가장자리가 열융착에 의해 접착된 공간형성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보강용띠(31,32)는 공간형성체(1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보강용띠(31)와 상기 공간형성체(10)를 종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으면서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 부분에서 하나로 연결되게 묶여서 링형태를 이루면서 토사채움공간(11)의 입구 부분이 차단된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도 있고, 링형태로 묶이는 부분이 묶이지 않은 상태가 되어 토사채움공간(11)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종방향의 보강용띠(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망(50)은 어느 한쪽 끝단에 형성된 고리(51)를 대응되는 다른 쪽 끝단에 형성된 걸쇠(52)에 연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20)이 부착되어 분포되어 있는 씨앗부착포(40)가 공간형성체(10)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0648A KR101710980B1 (ko) | 2016-06-28 | 2016-06-28 |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0648A KR101710980B1 (ko) | 2016-06-28 | 2016-06-28 |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0980B1 true KR101710980B1 (ko) | 2017-03-13 |
Family
ID=5841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0648A KR101710980B1 (ko) | 2016-06-28 | 2016-06-28 |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098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24428A (ja) * | 1996-06-04 | 1997-12-16 | Nisshinbo Ind Inc | 土嚢袋 |
KR200343113Y1 (ko) | 2003-11-18 | 2004-03-02 | 주식회사 동일종합자재 | 녹화 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포대 |
KR20080111706A (ko) * | 2007-06-19 | 2008-12-24 | 이미경 | 하천 호안용 식생망태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100103100A (ko) * | 2009-03-13 | 2010-09-27 | 정을준 | 생태복원용 식생포대 및 생태복원용 옹벽만들기 세트 |
KR101219289B1 (ko) | 2012-09-11 | 2013-01-09 | 솔라원 환경기술(주) |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
-
2016
- 2016-06-28 KR KR1020160080648A patent/KR1017109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24428A (ja) * | 1996-06-04 | 1997-12-16 | Nisshinbo Ind Inc | 土嚢袋 |
KR200343113Y1 (ko) | 2003-11-18 | 2004-03-02 | 주식회사 동일종합자재 | 녹화 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포대 |
KR20080111706A (ko) * | 2007-06-19 | 2008-12-24 | 이미경 | 하천 호안용 식생망태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100103100A (ko) * | 2009-03-13 | 2010-09-27 | 정을준 | 생태복원용 식생포대 및 생태복원용 옹벽만들기 세트 |
KR101219289B1 (ko) | 2012-09-11 | 2013-01-09 | 솔라원 환경기술(주) |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3514B1 (ko) |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CA3089551C (en) | Vegetation partition wire mesh including nonwoven fabric,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same | |
KR101710983B1 (ko) | 내구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 |
KR100980818B1 (ko) | 시공성과 생태공간 확보를 위해 개선된 조립식 지주형 보강토 생태옹벽 및 그 구축공법 | |
KR101710980B1 (ko) | 안전성이 우수한 씨앗 내장형 녹화용 식생포대 시공 방법 | |
KR102078704B1 (ko) |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철망을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 |
KR100518943B1 (ko) |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 |
JP6625327B2 (ja) | 緑化土嚢袋、それを用いた緑化土嚢の形成方法並びに土留および緑化の方法 | |
KR100928180B1 (ko) | 사면 보호용 섬유거푸집의 시공방법 | |
JP4504526B2 (ja) | 植生用ロール状物 | |
KR101978255B1 (ko) | 천공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매트 구조 | |
KR101055295B1 (ko) |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 |
JP4364063B2 (ja) | 土留用バッグ及び擁壁の構築方法 | |
JP3096424B2 (ja) | 植生基盤構築方法 | |
JP3435465B2 (ja) | 緑化護岸用ロール状植生体 | |
KR101638962B1 (ko) | 씨앗발아대가 구비된 부직포 식생블럭 | |
KR20140123350A (ko) |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 |
JP2000152719A (ja) | 緑化植生袋体および浅水域法面の緑化植生保護工法 | |
JP2002339335A (ja) | 補強土護岸工用植生マ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 |
JP3740341B2 (ja) |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 |
JP2000080654A (ja) | 補強土工法 | |
JPH0549766B2 (ko) | ||
KR20090021917A (ko) | 성토층 조성공법 | |
JPH0250255B2 (ko) | ||
JPS5923800Y2 (ja) | 袋体の収容部を設けてなる編柵用帯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