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264B1 -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264B1
KR101710264B1 KR1020150075790A KR20150075790A KR101710264B1 KR 101710264 B1 KR101710264 B1 KR 101710264B1 KR 1020150075790 A KR1020150075790 A KR 1020150075790A KR 20150075790 A KR20150075790 A KR 20150075790A KR 101710264 B1 KR101710264 B1 KR 10171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attern
air conditioner
contac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900A (ko
Inventor
이영구
배성원
김택수
김재한
조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26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B29C45/372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e.g. number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에는,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에 형성되며, 미리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부품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부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접촉부가 포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에는, 상기 제 1 부품의 일면을 형성하는 표면부; 및 상기 표면부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요철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Air condition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 장치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 장치에는,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공기조화기 또는 수분을 제거한 공기를 토출하는 제습기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자동차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 공간은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 공간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실내기는 실내공간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거나, 바닥에 놓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기의 토출구에서는 실내공간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는 냉풍이 토출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기의 토출구에서는 실내공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온풍이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실내공간의 온도 차이가 큰 경우, 실내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에 열변형, 즉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열변형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부품이 맞닿는 면에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소음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냉방에서 난방, 또는 난방에서 냉방으로 전환될 때,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될 때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다수의 부품이 맞닿는 면에 별도의 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다수의 부품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별도의 테이프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붙여야 하므로, 재료비가 증가하고 작업자 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프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지 않으면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저하되고 테이프를 부착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테이프가 손상되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 문헌은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공개일) : 일본공개특허공보 평6-129659(1994년 5월 13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소음발생이 저감되는 공기 조화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에는,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에 형성되며, 미리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부품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부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접촉부가 포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에는, 상기 제 1 부품의 일면을 형성하는 표면부; 및 상기 표면부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요철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부품 또는 제 2 부품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소재에는, ABS 수지 또는 HIPS 수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은 금형에 가공 처리되며, 상기 제 1 부품 또는 제 2 부품은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금형에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 처리에는, 에칭 가공이 포함된다.
또한, 팬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는 후방 패널; 상기 팬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스태빌라이저; 및 상기 후방 패널의 하부를 덮는 하부 패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 후방 패널, 스태빌라이저 및 하부 패널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 2 부품은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은 돌출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와 표면부는 각각 다수개가 구비되어, 교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은 격자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에는, 상기 표면부로부터 돌출되는 격자부가 포함되며, 상기 격자부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은 함몰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에는, 상기 표면부로부터 함몰되는 함몰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2 부품의 제 2 접촉부에는, 요철 형상을 가지는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 장치에는,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공기조화기 또는 수분을 제거한 공기를 토출하는 제습기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제조방법에는, 금형에 패턴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패턴이 가공된 금형에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가지는 제 1 부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부품과 접촉되는 제 2 부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을 조립하여, 상기 제 1 부품의 패턴이 형성되는 표면에 상기 제 2 부품이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패턴에는 요철형 패턴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2 부품에는, 요철형 패턴이 형성되는 표면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 장치에는, 팬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는 후방 패널; 상기 팬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스태빌라이저; 및 상기 후방 패널의 하부를 덮는 하부 패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 후방 패널, 스태빌라이저 및 하부 패널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 2 부품은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공기조화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부품간에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패턴이 형성되어 마찰계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 장치의 작동 또는 정지시 발생하는 부품의 열변형에 따른 마찰 소음을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패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부품의 접촉(마찰)면적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품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은 부품의 표면에 사출 성형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패턴을 구비하는 별도 부재를 부품에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공기조화 장치의 제조비용 또는 작업 공수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별도 부재의 수리 또는 교체와 같은 공정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2 부품에 구비되는 접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2 부품에 구비되는 접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부품이 제 1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패턴별 마찰계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부품이 제 2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패턴별 마찰계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2 부품에 구비되는 접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장치에는, 공기 조화기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장치의 일 종류로서 냉방 또는 난방운전이 가능한 히트펌프형 공기 조화기를 일례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는 다른 장치, 일례로 제습기등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으로 조화된 공기, 즉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도록 하는 실내기(1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0)는 실내공간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실내기일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팬(110)을 수용하며 흡입부(101) 및 토출부(103)를 형성하는 케이스(10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흡입부(101)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103)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서 이해되며, 후방은 그 반대방향으로서 상기 실내기(10)가 설치되는 벽면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개구된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 개구부(10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방 개구부(105)에는, 전면 패널(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110)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향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110)에는, 횡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는 후방 패널(120)이 포함된다. 상기 후방 패널(120)의 후방 상부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팬(110)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팬(110)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케이스(100)의 토출구(103)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스태빌라이저(1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130)에 의하여, 상기 팬(11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103)측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저(130)의 후방부 일측은 상기 후방 패널(120)의 전방부 일측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후방 패널(120)의 하측을 덮는 하부 패널(14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 패널(140)에 의하여, 상기 실내기(10)의 하부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패널(140)의 상면부는 상기 후방 패널(120)의 일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실내기(10)의 부품들, 즉 케이스(100), 후방 패널(120), 스태빌라이저(130) 및 하부 패널(140)들은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들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부품들이 접촉되지 않고 조립되는 경우, 이격된 부품들의 사이 공간으로 조화된 공기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부품간에는 서로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 패널(120)의 상부에 접촉하는 케이스접촉부(10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접촉부(107)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방 패널(120)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접촉부(107)와 접촉하는 제 1 패널접촉부(12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후방 패널(120)이 조립되면, 상기 케이스접촉부(107)와 상기 제 1 패널접촉부(121)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저(130)의 후방부에는, 상기 후방 패널(120)의 전방부에 접촉하는 스태빌라이접촉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태빌라이저접촉부(13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방 패널(120)의 전방부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접촉부(133)와 접촉하는 제 2 패널접촉부(12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스태빌라이저(130)와 상기 후방 패널(120)이 조립되면, 상기 스태빌라이저접촉부(133)와 상기 제 2 패널접촉부(123)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패널(140)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 패널(120)의 저면부에 접촉하는 하부패널접촉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접촉부(145)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방 패널(120)의 저면부에는, 상기 하부패널접촉부(145)와 접촉하는 제 3 패널접촉부(125)가 구비된다.
즉, 상기 하부 패널(140)과 상기 후방 패널(120)이 조립되면, 상기 하부패널접촉부(145)와 상기 제 3 패널접촉부(125)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기(10)가 조립된 상태에서, 다수의 부품들은 소정의 접촉면적을 가지고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가 구동하여 냉풍 또는 온풍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때,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실내공간의 온도간 차이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부품들에는 열변형, 즉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다수의 부품들의 접촉된 부분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2 부품에 구비되는 접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210,220)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부품(210,220)에는, 서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부품(210) 및 제 2 부품(22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부품(210)은 상기 케이스(100), 후방 패널(120), 스태빌라이저(130) 및 하부 패널(140)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이고, 상기 제 2 부품(220)은 다른 하나의 부품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부품(210)에는, 상기 제 2 부품(220)에 접촉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제 1 접촉부(2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품(220)에는, 상기 제 1 부품(210)의 제 1 접촉부(23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접촉부(22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접촉부(230)에는, 미리 설정된 돌출 형상을 가지는 패턴이 포함된다. 이를 돌출형 패턴이라 이름한다. 상기 패턴에는, 상기 제 1 부품(210)의 일면을 형성하는 표면부(231) 및 상기 표면부(231)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 2 접촉부(225)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돌출부(235)가 포함된다.
상기 돌출부(235)는 상기 제 1 부품(2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35)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면부(231)와 돌출부(235)는 각각 다수 개씩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표면부(231)와 돌출부(235)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돌출부(235)의 사이에, 상기 표면부(235)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부품(220)의 제 2 접촉부(225)는 매끄러운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부품(210)의 제 1 접촉부(230)에 돌출형 패턴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 부품(210)과 제 2 부품(220)의 접촉 면적 또는 마찰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2 부품(210,220)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제 1 부품(310)에는, 상기 제 2 부품(220)에 접촉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제 1 접촉부(33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접촉부(330)에는, 미리 설정된 격자 형상을 가지는 패턴이 포함된다. 이를 격자형 패턴이라 이름한다. 상기 패턴에는, 상기 제 1 부품(310)의 일면을 형성하는 표면부(331) 및 상기 표면부(331)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 2 접촉부(225)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격자부(335)가 포함된다. 상기 격자부(335)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격자부(335)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격자부(335)는 서로 이격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부품(3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방향은 세로방향이고, 상기 타방향은 가로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부품(310)의 제 1 접촉부(330)에 격자형 패턴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 부품(310)과 제 2 부품(220)의 접촉 면적 또는 마찰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2 부품(310,220)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2 부품에 구비되는 접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410,420)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부품(410,420)에는, 서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부품(410) 및 제 2 부품(42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부품(410)에는, 상기 제 2 부품(420)에 접촉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제 1 접촉부(4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품(420)에는, 상기 제 1 부품(410)의 제 1 접촉부(43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접촉부(42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접촉부(230)에는, 미리 설정된 함몰 형상을 가지는 패턴이 포함된다. 이를 함몰형 패턴이라 이름한다. 상기 패턴에는, 상기 제 1 부품(410)의 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접촉부(225)의 일면에 접촉되는 표면부(431) 및 상기 표면부(431)로부터 함몰되는 함몰부(435)가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435)는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435)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함몰부(435)는 서로 이격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부품(4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방향은 세로방향이고, 상기 타방향은 가로방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부품(420)의 제 2 접촉부(425)는 매끄러운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부품(210)의 제 1 접촉부(230)에 함몰형 패턴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 부품(210)과 제 2 부품(220)의 접촉 면적 또는 마찰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2 부품(210,220)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돌출부 및 함몰부를 합하여, "요철부"라 이름할 수 있으며, 돌출형 패턴, 격자형 패턴 및 함몰형 패턴을 합하여, 요철 형상을 가지는 패턴이라 이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부품이 제 1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패턴별 마찰계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부품이 제 2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패턴별 마찰계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품은 ABS(아크릴로니트릴+폴리부타디엔+스틸렌)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 중 서로 접촉되는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부품에 어떠한 패턴을 형성하는지 여부에 따라 마찰계수(정적 마찰계수)가 변화될 수 있다. 도 9는 이러한 마찰계수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가로축은 부품의 접촉부에 패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및 패턴이 형성된 경우 어떠한 패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세로축은 상기 부품의 접촉부에서 측정되는 마찰계수 값을 나타낸다.
가로축의 A1은 부품의 표면에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며, A2는 랜덤한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경우, A3는 함몰형 패턴, A4는 격자형 패턴, A5는 돌출형 패턴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며, A6는 패턴이 아닌 별도의 부재, 일례로 테이프를 접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랜덤한 요철 형상이라 함은, 특정한 규칙성 없이 돌출부 또는 함몰부가 인위적으로 부품의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A1 내지 A6에 대한 마찰계수 값은, 순서대로 0.27, 0.20, 0.20, 0.19, 0.16, 0.25를 나타냈다. 정리하면, 부품의 표면에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경우의 마찰계수가 가장 높고, 테이프를 접착한 경우가 그 다음으로 높으며, 부품의 표면에 요철형 패턴을 형성한 경우가 낮았다. 상기 요철형 패턴 중에서도, 돌출형 패턴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마찰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ABS 수지로 구성된 부품의 표면에 요철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부품간의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품은 HIPS(High impact Polystyrene)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가로축의 B1은 부품의 표면에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며, B2는 랜덤한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경우, B3는 함몰형 패턴, B4는 격자형 패턴, B5는 돌출형 패턴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며, B6는 패턴이 아닌 별도의 부재, 일례로 테이프를 접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B1 내지 B6에 대한 마찰계수 값은, 순서대로 0.26, 0.21, 0.18, 0.15, 0.14, 0.22를 나타냈다. 정리하면, 부품의 표면에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경우의 마찰계수가 가장 높고, 테이프를 접착한 경우가 그 다음으로 높으며, 부품의 표면에 요철형 패턴을 형성한 경우가 낮았다. 상기 요철형 패턴 중에서도, 돌출형 패턴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마찰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HIPS 수지로 구성된 부품의 표면에 요철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부품간의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 1,2 부품에 구비되는 접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510,520)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부품(510,520)에는, 서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부품(510) 및 제 2 부품(520)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부품(510)과 제 2 부품(520)에는, 각각 요철형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부품(510)에는, 상기 제 2 부품(520)에 접촉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제 1 접촉부(5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품(520)에는, 상기 제 1 부품(510)의 제 1 접촉부(53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접촉부(5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접촉부(530)에는, 돌출형 패턴이 포함된다. 상기 패턴에는, 상기 제 1 부품(510)의 일면을 형성하는 표면부(531) 및 상기 표면부(531)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 2 접촉부(54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돌출부(535)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접촉부(540)에는, 돌출형 패턴이 포함된다. 상기 패턴에는, 상기 제 2 부품(520)의 일면을 형성하는 표면부(541) 및 상기 표면부(541)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 1 접촉부(53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돌출부(54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35)와 상기 돌출부(545)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 1 부품(510)과 제 2 부품(520)에 각각, 돌출형 패턴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각각 격자형 패턴 또는 함몰형 패턴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 1,2 부품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하여 공기 조화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공기조화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품을 사출하기 위한 금형에 위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철형 패턴, 즉 돌출형 패턴, 격자형 패턴 또는 함몰형 패턴을 형성시킨다. 이를 위하여, 금형에 에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S11).
상기 패턴이 형성된 금형에 플라스틱 수지, 일례로 ABS 수지 또는 HIPS 수지를 사출한다(S12). 그리고, 사출 완료후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부품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부품은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을 가지도록, 사출되어 제조될 수 있다(S13).
상기 패턴이 형성된 부품 및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부품들을 조립하여, 서로 접촉되는 부품의 일면, 즉 접촉부에 패턴이 위치되도록 한다. 물론, 서로 조립되는 부품 모두에 패턴이 형성되어, 각 패턴이 접촉되도록 조립될 수도 있을 것이다(S14).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 1,2 부품의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패턴이 위치하여 마찰계수가 감소되므로, 상기 제 1,2 부품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마찰력이 작용하더라도,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10 : 실내기 100 : 케이스
101 : 흡입부 103 : 토출구
107 : 케이스접촉부 121 : 제 1 패널접촉부
123 : 제 2 패널접촉부 125 : 제 3 패널접촉부
110 : 팬 120 : 후방 패널
130 : 스태빌라이저 133 : 스태빌라이저 접촉부
140 : 하부 패널 145 : 하부패널접촉부
230,330,430,530,540 : 패턴

Claims (15)

  1.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에 형성되며,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부품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부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매끄러운 면을 형성하는 제 2 접촉부가 포함되고,
    상기 설정된 패턴에는,
    상기 제 1 부품의 일면에 형성되는 표면부; 및
    상기 표면부로부터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는 요철부가 포함되며,
    상기 요철부에는,
    상기 제 1 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일자로 배치되는 돌출부, 또는 상기 제 1부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이격 배치되는 격자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표면부와 상기 요철부는 각각 다수 개가 구비되어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 또는 제 2 부품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에는, ABS 수지 또는 HIPS 수지가 포함되는 공기조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은 금형에 가공 처리되며,
    상기 제 1 부품 또는 제 2 부품은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이 형성된 금형에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처리에는, 에칭 가공이 포함되는 공기조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팬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후면을 차폐하는 후방 패널;
    상기 팬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스태빌라이저; 및
    상기 후방 패널의 하부를 덮는 하부 패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 후방 패널, 스태빌라이저 및 하부 패널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 2 부품은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품의 제 2 접촉부에는,
    요철 형상을 가지는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장치에는,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공기조화기 또는 수분을 제거한 공기를 토출하는 제습기가 포함되는 공기조화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75790A 2015-05-29 2015-05-29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90A KR101710264B1 (ko) 2015-05-29 2015-05-29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90A KR101710264B1 (ko) 2015-05-29 2015-05-29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00A KR20160139900A (ko) 2016-12-07
KR101710264B1 true KR101710264B1 (ko) 2017-03-08

Family

ID=5757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790A KR101710264B1 (ko) 2015-05-29 2015-05-29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2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742B1 (ko) * 2002-03-15 2005-06-10 주식회사 현동 표면에 사출 무늬 모양을 갖는 성형제품의 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8356B2 (ja) * 1997-07-23 2001-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020036412A (ko) * 2000-11-09 2002-05-1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케이스 고정 구조
KR20090010452A (ko) * 2007-07-23 200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742B1 (ko) * 2002-03-15 2005-06-10 주식회사 현동 표면에 사출 무늬 모양을 갖는 성형제품의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00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630A1 (e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ide supporter for a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KR100896264B1 (ko) 냉장고 및 냉각장치
EP3040631B1 (en) Out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KR100885556B1 (ko) 공기 조화기
JP2017207244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KR2007004646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880103B1 (ko) 실내기의 전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10264B1 (ko)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199864U (ja) エアコン室外機
JP6646256B2 (ja) 空気調和機
KR10232629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070805B1 (ja) 空気調和機
JP4906544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401290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701530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50937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3162501A (zh) 具有提供了更高安全性和能效的后面板的制冷装置
KR100566002B1 (ko) 실외기의 상부패널 구조
KR100612098B1 (ko) 공기조화기
KR200181350Y1 (ko) 에어컨의 패널 조립체
JP2016223660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600069B1 (ko) 공기조화기
JPH0519846U (ja) 空気調和機の吹出しルーバ
JP2518453Y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