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301B1 -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301B1
KR101709301B1 KR1020140169592A KR20140169592A KR101709301B1 KR 101709301 B1 KR101709301 B1 KR 101709301B1 KR 1020140169592 A KR1020140169592 A KR 1020140169592A KR 20140169592 A KR20140169592 A KR 20140169592A KR 101709301 B1 KR101709301 B1 KR 10170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oll
layer
core layer
wir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520A (ko
Inventor
최병철
김홍복
Original Assignee
(주)후세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후세메닉스 filed Critical (주)후세메닉스
Priority to KR102014016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3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09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using vacuum and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환경 하에서 기판 코어층에 기판 배선층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할 수 있게 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진공 라인이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진공 챔버;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챔버를 밀폐할 수 있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되는 개폐문; 및 진공 환경에서 기판 코어층과 기판 배선층을 라미네이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개폐문이 개방되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문과 연결되어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Vaccum laminating system for substrates}
본 발명은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의 환경에서 기판 코어층에 기판 배선층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할 수 있게 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모바일 단말, PDA 및 오디오/비디오(audio/vidio) 장치가 구비된 3C 제품들(Computer, Communication and Consumer electronics)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은 적어도 두 개의 다른 타입의 기판을 함께 라미네이팅하여 제작된다.
종래의 이러한 기판 라미네이팅 장치는, 타겟 기판(target substrate)이 라미네이팅면을 가지며, 상기 면상에 접착제(adhesive)가 부가된다. 상기 타겟 기판의 라미네이팅면에 유연성 기판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하여, 롤러가 롤링되어 상기 유연선 기판에 대하여 가압력을 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유연성 기판은 상기 롤러가 롤링될 때, 상기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타겟 기판의 라미네이팅면에 점진적으로 라미네이팅된다. 이 과정에서 두 기판 사이의 에어(air)는 상기 두 기판 사이의 개방단으로 유출된다.
롤러를 사용하여 두 개의 기판을 서로 라미네이팅하는 앞서 기술된 종래의 방법은 상기 롤러가 제한된 개수의 기판만을 서로 라미네이팅하는 제한된 싸이클 타임(cycle time)을 가지는 기계적 장치라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롤러로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은 가스(gas)가 라미네이팅 접촉면(interface)에 갖히게 되어 기포가 형성됨으로써 라미네이팅된 기판의 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 에지 효과(edge effect)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6,106,665호는 ophthalmic 렌즈의 제조를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로, 두 개의 웨이퍼로부터 형성되고 광학 곡률(optical curvature)을 가지는 컴퍼지트 렌즈(composite lense)가 상부 및 하부의 유연성 투명 시트(transparent sheet)상에 형성된 기밀한 인크로저(airtight enclosure)에 리시브되고, 진공 펌프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유연성 투명 시트를 당겨, 상기 컴퍼지트 렌즈가 웨이퍼를 가압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자외선 램프가 조사(irradiate)를 위하여 사용되고 두개의 웨이퍼 사이의 접착층을 큐어(cure)하여 상기 컴퍼지트 렌즈를 형성한다.
미국 특허 6,106,665호는 단지 ophthalmic 렌즈를 제작하는데 적용하는 것만을 의도하고 있으며, 다른 기판들의 라미네이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의 제작에 사용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는 것도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판 라미네이팅 장치는, 진공 환경의 조성이 용이하지 않아서 완성된 제품에 에어나 기포층이나 이물질 등이 포함되는 접착 불량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판 라미네이팅 장치는, 압착시 히터가 부재하거나 히터가 있다 하더라도 히터가 압착롤의 표면만 골고루 가열할 수 없어서, 상술된 바와 같이 완성된 제품에 에어나 기포층이 포함되는 접착 불량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판 라미네이팅 장치는, 하나의 장비가 롤 타입의 기판들에만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시트 타입의 기판들에만 적용될 수 있어서 두 타입에 모두 적용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하여, 야기되어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서랍식 진공 챔버를 이용하여 기포 발생 현상이나 에어층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히터를 이용하여 압착롤의 표면을 골고루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완성된 제품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 현상이나 에어층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장비에서 롤 타입의 기판들은 물론이고 시트 타입의 기판들을 적용할 수 있어서 장비의 범용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은,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진공 라인이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진공 챔버;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챔버를 밀폐할 수 있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되는 개폐문; 및 진공 환경에서 기판 코어층과 기판 배선층을 라미네이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개폐문이 개방되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문과 연결되어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개폐문은 상기 출입구와 대응되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되고, 측면에 결착구가 설치되며, 하면에 굴림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개폐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되는 수평 형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진공 챔버의 타측에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에서 라미네이팅된 제품을 상기 개폐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게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 또는 상기 진공 챔버의 측면에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뷰 포트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는,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압착 위치로 로딩하는 로딩 장치; 적어도 한 쌍의 압착롤을 이용하여 상기 압착 위치로 로딩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압착시키는 압착 장치;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이 상기 압착롤에 의해 압착될 때,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롤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압착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장치; 및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압착롤의 적어도 일부분에 삽입되는 카트리지 히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상기 압착롤의 중심축에 삽입되는 봉상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압착롤은, 회전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고정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고정 압착롤; 및 상기 고정 압착롤 방향으로 전진되거나 후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위치가 가동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따라 액츄에이터에 의해 축이동될 수 있는 가동 압착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로딩 장치는, 두루마리 형태의 기판 코어층 롤과 기판 배선층 롤을 로딩할 수도 있고, 일정한 길이의 시트 형태인 기판 코어층 시트와 기판 배선층 시트를 로딩할 수도 있도록 상기 기판 코어층 롤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1 로딩롤 및 상기 기판 배선층 롤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2 로딩롤을 포함하는 롤 타입 로딩 장치; 및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와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이송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타입 로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로딩롤과 상기 제 2 로딩롤은,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 배선층 롤은, 상기 기판 배선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의 하면에 설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기판 배선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1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롤 타입 로딩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 코어층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 2 보호층 롤이 거치되는 제 3 로딩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절단 장치는,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의 하방 또는 상방에 설치되는 고정날; 및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을 기준으로 절단 각도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고정날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가동날;을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 장치는,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수용하는 수용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는,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압착 위치로 로딩하는 로딩 장치; 적어도 한 쌍의 압착롤을 이용하여 상기 압착 위치로 로딩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압착시키는 압착 장치;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이 상기 압착롤에 의해 압착될 때,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롤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압착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장치; 및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장치는, 두루마리 형태의 상기 기판 코어층 롤과 상기 기판 배선층 롤을 로딩할 수도 있고, 일정한 길이의 시트 형태인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와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를 로딩할 수도 있도록 상기 기판 코어층 롤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1 로딩롤 및 상기 기판 배선층 롤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2 로딩롤을 포함하는 롤 타입 로딩 장치; 및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와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이송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타입 로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품질의 진공 환경을 용이하게 조성하여 제품의 불량을 방지하고, 제품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 현상이나 에어층 발생 현상을 방지하여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비의 범용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여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전방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후방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진공 챔버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진공 챔버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압착 장치 및 가열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절단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전방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의 후방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의 진공 챔버(110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의 진공 챔버(110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은, 크게 진공 챔버(1100)와, 개폐문(1200) 및 라미네이팅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챔버(1100)는, 일측에 출입구(E)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P)이 형성되며, 진공 라인(VL)이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P)에 진공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박스 형태의 구조체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진공 챔버(1100)는 내부에 상술된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고, 진공 환경을 견딜 수 있는 각종의 패널이나 프레임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에서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제어부와 이외에도 각종 밸브나, 전기 장치나, 진공 장치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문(1200)은, 상기 출입구(E)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진공 챔버(1100)를 밀폐할 수 있도록 실링 부재(S)가 설치되는 일종의 덮개형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진공 챔버(1100)의 상기 출입구(E)는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라미네팅 장치(100)의 측방향 크기 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문(1200)은 상기 출입구(E)를 막아서 밀폐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출입구(E)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는, 진공 환경에서 기판 코어층(1-4)과 기판 배선층(1-2)을 라미네이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P)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개폐문(1200)이 개방되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문(1200)과 연결되어 상기 진공 챔버(1100)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G)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프레임(F)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컨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문(1200)은 상기 출입구(E)와 대응되도록 실링 부재(S)가 설치되고, 측면에 결착구(1201)가 설치되며, 하면에 굴림 바퀴(120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은 일단이 상기 개폐문(1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 챔버(1100)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G)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롤러(R)가 설치되는 수평 형태의 프레임 지지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G)는 가이드 레일이나, 리니어 모터 가이드나, 가이드 봉이나, 가이드 홈이나, 가이드 돌기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 부재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데,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문(1200)을 상기 진공 챔버(1100)의 상기 출입구(E)에 밀착시켜서 실링 부재(S)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 챔버(110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는 상기 개폐문(1200)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문(1200)이 닫히면 상기 진공 챔버(1100)의 내부의 수용 공간(P)에 서랍식으로 수납되어 라미네이팅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팅 공정을 마친 후,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를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문(1200)을 상기 진공 챔버(1100)의 상기 출입구(E)로부터 이격시켜서 상기 진공 챔버(11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는 상기 개폐문(1200)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문(1200)이 열리면 상기 진공 챔버(1100)의 내부의 수용 공간(P)에서 서랍식으로 인출되어 관리가 용이하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진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상술된 서랍식 진공 챔버(1100)를 이용하여 기포 발생 현상이나 에어층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완성된 제품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 현상이나 에어층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챔버(1100)의 타측에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에서 라미네이팅된 제품을 상기 개폐문(1200)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게이트(GA)가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GA) 또는 상기 진공 챔버(1100)의 측면에 상기 진공 챔버(110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뷰 포트(VP)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개폐문(1200)을 개방하지 않더라도 진공 환경을 해제한 후, 상기 게이트(GA)를 통해서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의 후술될 언로딩 장치(50)에 적재된 제품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게이트(GA) 및 상기 진공 챔버(1100)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뷰 포트(VP)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 챔버(1100)의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100)는, 로딩 장치(10)와, 압착 장치(20)와, 가열 장치(30)와, 절단 장치(40) 및 언로딩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 장치(10)는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압착 위치로 로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 장치(10)는, 두루마리 형태의 기판 코어층 롤(R1)과 기판 배선층 롤(R2)을 로딩할 수도 있고, 일정한 길이의 시트 형태인 기판 코어층 시트(S1)와 기판 배선층 시트(S2)를 로딩할 수도 있도록 상기 기판 코어층 롤(R1)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1 로딩롤(11-1) 및 상기 기판 배선층 롤(R2)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2 로딩롤(11-2)을 포함하는 롤 타입 로딩 장치(11) 및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S1)와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S2)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이송롤(12-1)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타입 로딩 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타입 로딩 장치(12)의 복수개의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12-1)들은 이송 경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밸트나 기어나 체인 등 동력 전달 장치(12-2)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12-1)를 모터(M)로 구동시켜서 일괄적으로 모두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로딩 장치(10)는, 다앙한 종류의 도 5에 예시된 가이드 롤러(GR)나, 도 6에 예시된 이송 롤러(MR)나 다양한 종류의 장력 유지 장치나, 모터나, 액츄에이터나, 각종 밸트 및 풀리나, 기어나, 도르레, 와이어 등의 동력전달장치 등이 부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로딩롤(11-1)과 상기 제 2 로딩롤(11-2)은,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12-1)의 상방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기판 배선층 롤(R2)은, 상기 기판 배선층(1-2)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의 하면에 설치되는 접착층(1-3) 및 상기 기판 배선층(1-2)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1 보호층(1-1)을 포함하며, 상기 롤 타입 로딩 장치(11)는,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12-1)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 코어층(1-4)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 2 보호층 롤(1-5)이 거치되는 제 3 로딩롤(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에폭시계 수지 시트를 다층 형성시킨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의 코어층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연성 재질의 플랙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코어층일 수 있다.
더욱 구제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코어층 롤(R1)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연성 재질의 플랙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코어층일 수 있다.
또한, 예컨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S1)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에폭시계 수지 시트를 다층 형성시킨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의 코어층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S1)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일절한 길이로 절단된 연성 재질의 플랙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코어층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상술된 상기 제 1 보호층(1-1), 상기 기판 배선층(1-2), 상기 접착층(1-3) 및 상기 제 2 보호층(1-5) 및 이들에 실장되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나 부품들을 충분히 지지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적당한 기계적 강도와 절연성을 갖는 재료나 전도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레진, 글래스 에폭시 등의 합성 수지 재질이나 열전도율을 고려하여 세라믹(ceramic)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적어도 EMC(Epoxy Mold Compound), PI(polyimide), 세라믹, 그래핀, 유리합성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기판 코어층(1-4)은, 절연 처리된 알루미늄, 구리, 아연, 주석, 납, 금, 은 등의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는 금속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배선층(1-2)은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구리, 아연, 주석, 납, 금, 은 등의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더욱 구제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배선층 롤(R2)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기판 배선층(1-2)은 연성 재질의 플랙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배선층일 수 있다.
또한, 예컨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S2)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기판 배선층(1-2)은 에폭시계 수지 시트를 다층 형성시킨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의 코어층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S2)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기판 배선층(1-2)은 일절한 길이로 절단된 연성 재질의 플랙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배선층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호층(1-1)은, 상기 기판 배선층(1-2)이 산화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보호하는 층으로서, 플랙서블한 각종 솔더 레지스트 층이나 수지 층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3)은, 상기 기판 배선층(1-2)이 상기 기판 코어층(1-4)에 열접착될 수 있도록 열경화성, 열가소성 또는 휘발성분을 포함하는 각종 바인더나 고분자물질층이나 수지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보호층(1-5)은, 상기 기판 코어층(1-4)이 산화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 코어층(1-4)을 보호하는 층으로서, 플랙서블한 각종 솔더 레지스트 층이나 수지 층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에 의하면, 하나의 장비에서 롤 타입의 기판들은 물론이고 시트 타입의 기판들을 모두 적용할 수 있어서 장비의 범용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의 압착 장치(20) 및 가열 장치(30)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 장치(20)는, 적어도 한 쌍의 압착롤(21)(22)을 이용하여 상기 압착 위치로 로딩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압착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압착롤(21)(22)은, 회전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고정 프레임(SF)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고정 압착롤(21) 및 상기 고정 압착롤(21) 방향으로 전진되거나 후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위치가 가동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GG)를 따라 액츄에이터(A)에 의해 축이동될 수 있는 가동 압착롤(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고정 압착롤(21)은, 회전축이 고정 프레임(F)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압착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압착롤(22)은, 상기 고정 압착롤(21) 방향으로 전진되거나 후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위치가 가동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고정 프레임(F)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GG)를 따라 액츄에이터(A)에 의해 축이동될 수 있는 압착롤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압착롤(21) 및 상기 가동 압착롤(22) 사이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술된 상기 제 1 보호층(1-1)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와, 상기 접착층(1-3)과, 상기 기판 코어층(1-4) 및 상기 제 2 보호층(1-5)을 진공의 환경 하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서로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압착롤(21) 및 상기 가동 압착롤(22)은, 예를 들어서, 금속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몸체의 표면에 코팅된 탄성 고무나 탄성 수지 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GG)는 가이드 레일 및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 블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각종 가이드 봉이나 가이드 돌기나 가이드 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A)는, 각종 동력전달장치 및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데, 상기 구동원은 각종 모터나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적어도 각종 기어 조합, 벨트/풀리 조합, 나사봉 조합, 체인/스프로킷휠 조합, 도르레/와이어 조합, 캠 조합, 링크 조합, 이들을 포함하는 각종 이송 장치나 로봇 장치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장치(30)는,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이 상기 압착롤(21)(22)에 의해 압착될 때,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롤(21)(22)을 가열하는 장치로서, 상기 압착롤(21)(22)의 적어도 일부분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카트리지 히터(3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31)를 이용하여 상기 압착롤(21)(22)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카트리지 히터(31)는 고장이나 성능 저하시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예컨데, 상기 압착롤(21)(22)의 중심축에 삽입되는 봉상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카트리지 히터(31)는 반드시 압착롤의 중심에 삽입되지 않는 것으로서, 도면에 국한되고 다양한 위치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세라믹 면상 발열체나 선상 발열체 등 다양한 형태의 히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면상 발열체는, 원적외선 파장대를 인가하는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착롤(21)과의 거리는 대략 50-200mm로 설치할 수 있다.
적외선이란, 태양광에 포함되며, 가시광선, 자외선과 같은 전자파의 일종으로 대략 0.83 내지 1000 ㎛의 파장대로, 파장이 짧은 것에서 부터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으로 나뉠 수 있다.
예컨데,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의 상기 히터(31)는, 상술된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 중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대략 3 내지 1000 ㎛의 파장대를 갖는다.
또한, 상기 히터(31)는 열풍 발생기와 함께 적용하여 하이브리드 형태로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히터(31)의 가열 원리는, 대상물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면, 원적외선이 대상물의 분자에 충돌되면서 전자파에너지에 의해 분자가 진동하고, 분자의 진동에 의해 대상물에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열 전달 방식은, 전도, 대류 및 방사 중 방사에 해당되는 것으로 중간 매체가 필요 없이 대상물의 분자 내 운동 에너지를 높여서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기존의 열저항 발열식 히터들에 비하여 소형화, 간이화가 용이하고, 설비 면적의 축소가 가능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고, 안정성과 내구성이 매우 우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카트리지 히터(31)를 이용하여 상기 압착롤(21)의 표면을 골고루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완성된 제품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 현상이나 에어층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0)의 절단 장치(40)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예컨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 장치(40)는, 압착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장치로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의 하방 또는 상방에 설치되는 고정날(41) 및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41)을 기준으로 절단 각도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액츄에이터(A)에 의해 상기 고정날(41)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가동날(4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 등 상기 액츄에이터(A)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절단 공정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날(41) 및 상기 절단 각도를 갖는 상기 가동날(42)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절단 장치(40)는, 톱날을 이용한 소윙방식이나, 레이져 절단 방식이나, 각종 트림 방식의 모든 종류 및 형태의 절단 장치(40)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로딩 장치(50)는,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언로딩하는 장치로서,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수용하는 수용 테이블(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언로딩 장치(50)는, 각종 컨베이어 이송롤, 이송 로봇, 픽커, 가동대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이송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 장치(10)에 의해서 상기 기판 코어층 롤(R1)에 감겨있던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 롤(R2)에 감겨 있던 상기 기판 배선층(1-2)이 상기 압착롤(21)(22)의 장력에 의해서 압착 위치로 로딩될 수 있다.
이 때,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상기 제 1 로딩롤(11-1) 및 상기 제 2 로딩롤(11-2)에 의해서 상기 기판 코어층 롤(R1) 및 상기 기판 배선층 롤(R2)의 풀림 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에 인가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로딩롤(11-3)에 장착된 상기 제 2 보호층 롤(R3)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 코어층(1-4)에 상기 제 2 보호층(1-5)을 라미네이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된 상기 제 1 로딩롤(11-1), 상기 제 2 로딩롤(11-2) 및 상기 제 3 로딩롤(11-3)과 함께 또는 이들을 부분적으로 또는 모두 제거하고,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12-1)을 이용하여 상기 압착롤(21)(22)에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S1) 및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12-2)를 로딩할 수 있다.
이어서, 적어도 한 쌍의 압착롤(21)(22)을 갖는 압착 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압착 위치로 로딩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압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착롤(21)을 가열하는 상기 가열 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이 상기 압착롤(21)(22)에 의해 압착될 때,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열 장치(30)는 상기 압착롤(21)과 이격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카트리지 히터(31)를 이용하여 매우 정밀하고 신속하며 경제적으로 상기 압착롤(21)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롤(21)의 내부에 카트리지 방식의 열저항 히터를 삽입하여 상기 압착롤(21)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절단 장치(40)를 이용하여 압착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상기 언로딩 장치(50)를 이용하여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언로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압착롤(21)의 표면을 골고루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완성된 제품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 현상이나 에어층 발생 현상을 방지하여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롤 타입이나 시트 타입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장비의 범용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여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의 라미네이팅 장치(100)는,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압착 위치로 로딩하는 로딩 장치(10)와, 적어도 한 쌍의 압착롤(21)(22)을 이용하여 상기 압착 위치로 로딩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압착시키는 압착 장치(20)와,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이 상기 압착롤(21)(22)에 의해 압착될 때,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롤(21)(22)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30)와, 압착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장치(40) 및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1-4)과 상기 기판 배선층(1-2)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장치(5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로딩 장치(10)는, 두루마리 형태의 기판 코어층 롤(R1)과 기판 배선층 롤(R2)을 로딩할 수도 있고, 일정한 길이의 시트 형태인 기판 코어층 시트(S1)와 기판 배선층 시트(S2)를 로딩할 수도 있도록 상기 기판 코어층 롤(R1)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1 로딩롤(11-1) 및 상기 기판 배선층 롤(R2)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2 로딩롤(11-2)을 포함하는 롤 타입 로딩 장치(11) 및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S1)와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S2)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이송롤(12-1)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타입 로딩 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제 1 보호층
1-2: 기판 배선층
1-3: 접착층
1-4: 기판 코어층
1-5: 제 2 보호층
10: 로딩 장치
11: 롤 타입 로딩 장치
11-1: 제 1 로딩롤
11-2: 제 2 로딩롤
11-3: 제 3 로딩롤
R1: 기판 코어층 롤
R2: 기판 배선층 롤
R3: 제 2 보호층 롤
S1: 기판 코어층 시트
S2: 기판 배선층 시트
12: 컨베이어 타입 로딩 장치
12-1: 컨베이어 이송롤
12-2: 동력 전달 장치
M: 모터
20: 압착 장치
21: 고정 압착롤
22: 가동 압착롤
F: 고정 프레임
A: 액츄에이터
G: 가이드
30: 가열 장치
31: 카트리지 히터
40: 절단 장치
41: 고정날
42: 가동날
50: 언로딩 장치
100: 라미네이팅 장치
1000: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Claims (10)

  1.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진공 라인이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진공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진공 챔버;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챔버를 밀폐할 수 있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되는 개폐문; 및
    진공 환경에서 기판 코어층과 기판 배선층을 라미네이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개폐문이 개방되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문과 연결되어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라미네이팅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는,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압착 위치로 로딩하는 로딩 장치;
    적어도 한 쌍의 압착롤을 이용하여 상기 압착 위치로 로딩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압착시키는 압착 장치;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이 상기 압착롤에 의해 압착될 때,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롤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
    압착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장치; 및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압착롤의 적어도 일부분에 삽입되는 카트리지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 장치는,
    두루마리 형태의 기판 코어층 롤과 기판 배선층 롤을 로딩할 수도 있고, 일정한 길이의 시트 형태인 기판 코어층 시트와 기판 배선층 시트를 로딩할 수도 있도록 상기 기판 코어층 롤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1 로딩롤 및 상기 기판 배선층 롤이 거치되고,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제 2 로딩롤을 포함하는 롤 타입 로딩 장치; 및
    상기 기판 코어층 시트와 상기 기판 배선층 시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이송롤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타입 로딩 장치;
    를 포함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상기 출입구와 대응되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되고, 측면에 결착구가 설치되며, 하면에 굴림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개폐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 챔버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되는 수평 형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챔버의 타측에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에서 라미네이팅된 제품을 상기 개폐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게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 또는 상기 진공 챔버의 측면에 상기 진공 챔버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뷰 포트가 설치되는 것인,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상기 압착롤의 중심축에 삽입되는 봉상 히터를 포함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은,
    회전축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고정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고정 압착롤; 및
    상기 고정 압착롤 방향으로 전진되거나 후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위치가 가동되어 상기 회전축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따라 액츄에이터에 의해 축이동될 수 있는 가동 압착롤;
    를 포함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딩롤과 상기 제 2 로딩롤은,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 배선층 롤은, 상기 기판 배선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의 하면에 설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기판 배선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1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롤 타입 로딩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이송롤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 코어층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 2 보호층 롤이 거치되는 제 3 로딩롤;
    을 더 포함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는,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의 하방 또는 상방에 설치되는 고정날; 및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날을 기준으로 절단 각도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고정날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가동날;을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 장치는,
    절단된 상기 기판 코어층과 상기 기판 배선층을 수용하는 수용 테이블을 포함하는,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10. 삭제
KR1020140169592A 2014-12-01 2014-12-01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KR10170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92A KR101709301B1 (ko) 2014-12-01 2014-12-01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92A KR101709301B1 (ko) 2014-12-01 2014-12-01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20A KR20160065520A (ko) 2016-06-09
KR101709301B1 true KR101709301B1 (ko) 2017-02-23

Family

ID=5613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592A KR101709301B1 (ko) 2014-12-01 2014-12-01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3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684B1 (ko) 2011-07-04 2011-11-01 주식회사 이녹스 롤투롤 타입의 금속 베이스 동박적층판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3337B1 (ko) 2011-07-21 2013-05-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라미네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597A (ko) * 2010-12-23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라미네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684B1 (ko) 2011-07-04 2011-11-01 주식회사 이녹스 롤투롤 타입의 금속 베이스 동박적층판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3337B1 (ko) 2011-07-21 2013-05-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라미네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20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903B1 (ko) 기판 라미네이팅 시스템
JP4790759B2 (ja) 板状加工物積層方法及び板状加工物積層装置
US89366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rge area hermetic encapsulation of one or mor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CN104476898A (zh) 组合式平板复合机
TW200900218A (en) Laminate molding apparatus and laminate molding process
CN110085690B (zh) 一种柔性太阳能电池板封装方法
TW201318093A (zh) 使用真空疊層之光電裝置之大面積密封封裝
JP2004058349A (ja) 積層装置および積層方法
WO2011158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minating pv device
KR101709301B1 (ko) 진공 라미네이팅 시스템
JP6066055B2 (ja) 有機el封止装置
WO2011154998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等のラミネートモジュ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210415821U (zh) 适用于连续纤维复合材料平面热压复合层压设备
KR101079951B1 (ko) 진공 라미네이터
CN111050483A (zh) 一种电子线路板配件的制作方法
KR101471718B1 (ko) 접착제 도포 방법 및 접착제 도포 장치
GB2478803A (en) Sheet laminating apparatus
JP6007148B2 (ja) ダブルベルト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成形品の製造装置
KR102431286B1 (ko)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라미네이팅 방법
JPH08281873A (ja) 板状複合材
JP2012529755A (ja) 太陽電池パネ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TWI247671B (en) Installation and process for continuous and intermittent production of laminates, with a multi-stage press
JPH08336932A (ja) 板状複合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537560B1 (ko) 다층 회로 기판의 제조장치 및 다층 회로 기판의 제조방법
JP201303826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封止方法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封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