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03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036B1
KR101709036B1 KR1020157030797A KR20157030797A KR101709036B1 KR 101709036 B1 KR101709036 B1 KR 101709036B1 KR 1020157030797 A KR1020157030797 A KR 1020157030797A KR 20157030797 A KR20157030797 A KR 20157030797A KR 101709036 B1 KR101709036 B1 KR 10170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pace
housing
protruding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092A (ko
Inventor
히데후미 호리우치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하우징 사이의 기울어짐 방지 기능의 향상과 감합 저항의 저감을 양립시킨다.
커넥터는, 네 모퉁이가 호형부(34)로 구성된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는 시일 링(30)과, 네 모퉁이의 호형부(34)를 따라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시일 링(30)에 형성되고, 양 하우징(10, 20)이 감합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0)의 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과 제2 하우징(20)의 후드부(22)의 선단면(22S)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됨으로써, 양 하우징(10, 20)의 감합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규제하는 귀형상 연장부(36)와, 귀형상 연장부(36)에서의 후드부(22)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로서, 홈부(39)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압력 수용부(38A, 38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단자 수용부와 통형상 감합부 사이에 감합 공간이 형성된 제1 하우징과, 감합 공간 내에 삽입되는 후드부를 갖는 제2 하우징과, 감합 공간 내에 수용되어 단자 수용부의 외주와 후드부의 내주의 간극을 밀봉하는 시일 링을 구비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시일 링은,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4개의 직선부를 네 모퉁이의 호형부로 연결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시일 링에는, 4개의 호형부를 따라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귀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양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에서는, 감합 공간의 안쪽 단부면과 후드부의 선단부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된 플랜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 하우징의 감합 방향에서의 덜거덕거림이 규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05135호 공보
상기 커넥터는, 시일 링의 네 모퉁이에 플랜지를 배치한 것에 의해, 양 하우징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2차원 방향에서의 양 하우징 사이의 기울어짐도 방지하고 있다. 이 2차원 방향에서의 기울어짐 방지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플랜지의 둘레 방향에서의 형성 영역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플랜지를 둘레 방향으로 길게 하면, 그 만큼, 플랜지의 체적이 증가하여, 플랜지의 탄성 복원력이 커지기 때문에,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의 마지막 단계(終期)에 감합 저항이 증대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하우징 사이의 기울어짐 방지 기능의 향상과 감합 저항의 저감을 양립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단자 수용부를 통형상 감합부로 포위한 형태의 제1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통형상 감합부 사이에 구성된 감합 공간과,
상기 감합 공간 내에 삽입되는 후드부를 갖는 제2 하우징과,
네 모퉁이가 호형부로 구성된 대략 사각 형상을 이루고,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에 부착되어,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와 상기 후드부의 내주의 간극을 밀봉하는 시일 링과,
상기 네 모퉁이의 호형부를 따라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시일 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합 공간의 안쪽 단부면과 상기 후드부의 선단면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규제하는 귀형상 연장부와,
상기 귀형상 연장부에서의 상기 후드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로서, 홈부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복수의 압력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귀형상 연장부 중 후드부에 접촉하는 영역을, 둘레 방향에서 홈부에 의해 복수의 압력 수용부로 분할했기 때문에, 둘레 방향에서의 귀형상 연장부의 형성 범위를 확대하더라도, 귀형상 연장부 중 압축 변형되는 체적의 증가량을, 홈부의 분만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사이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 마지막 단계에서의 감합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하우징에 시일 링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하우징을 구성하는 아우터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시일 링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시일 링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시일 링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시일 링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제2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귀형상 연장부 중 상기 감합 공간의 상기 안쪽 단부면과의 대향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압력 수용부와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의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귀형상 연장부 중 압축 변형하는 것은 주로 압력 수용부이며, 이 압력 수용부의 돌출 단부면의 면적에 대한 돌출 치수의 비율이 커질수록, 압축시에 압력 수용부가 좌굴되어 양 하우징이 부정한 위치 어긋남을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귀형상 연장부에, 압력 수용부에 대하여 배면 대향이 되도록 돌출되는 돌기부를 형성하여, 감합 방향에서의 귀형상 연장부의 압축 변형량을 압력 수용부와 돌기부로 분담시켰다. 이에 따라, 압력 수용부와 돌기부의 돌출 치수가 비교적 작게 억제되기 때문에, 좌굴될 우려가 없다.
(2)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감합 공간의 상기 안쪽 단부면을 오목하게 한 형태이며, 상기 귀형상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접촉시키는 수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귀형상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어 접촉함으로써, 귀형상 연장부가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3) 본 발명의 커넥터는, (2)에 있어서, 상기 귀형상 연장부 중 상기 감합 공간의 상기 안쪽 단부면과의 대향면 상에, 상기 복수의 압력 수용부와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의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과, 이웃하는 상기 수용 공간들끼리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가 압축 변형했을 때에, 돌기부의 일부가 연통 공간 내로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돌기부의 압축 변형이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 마지막 단계에서의 감합 저항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커넥터는, (3)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된 형태이며, 상기 돌기부의 휨 공간으로서 기능하는 잉여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의 압축 변형이 더욱 저해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감합 과정 마지막 단계에서의 감합 저항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커넥터는,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내면이, 상기 돌기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대하여, 면접촉 상태로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를 포함하는 귀형상 연장부가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을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의 커넥터는, 합성 수지제의 제1 하우징(10)과, 합성 수지제의 제2 하우징(20)과, 고무제의 시일 링(30)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의 방향에 관해서는, 도 2에서의 좌측을 전방측으로 정의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은, 부품 구성으로는, 아우터 하우징(11)과, 아우터 하우징(11)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조립되는 이너 하우징(12)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10)은, 형상적으로는, 블록형을 이루는 단자 수용부(13)와, 단자 수용부(13)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통형상 감합부(14)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3)는, 아우터 하우징(11)의 일부와 이너 하우징(12)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자 수용부(13) 내에는, 주지된 형태의 암단자 금구(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통형상 감합부(14)는, 아우터 하우징(11)에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 감합부(14)의 후단부와 단자 수용부(13)의 외주는, 단자 수용부(13)의 외주로부터 플랜지형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5)에 의해 연속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3)의 외주와 통형상 감합부(14)의 내주 사이는, 제1 하우징(10)의 전단면으로 개구되는 통형상의 감합 공간(16)으로 되어 있다. 지지부(15)의 전면은, 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을 구성한다. 또한, 단자 수용부(13)의 외주에서의 후단측 영역에는, 이너 하우징(12)의 후단으로부터 감합 공간(16)의 안쪽 끝에 이르는 영역을,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하게 한 형태의 시일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0)은, 단자 유지부(21)와, 단자 유지부(21)로부터 정면측(제1 하우징(1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통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의 후드부(22)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자 유지부(21)에는, 주지된 형태의 수단자 금구(도시 생략)가 부착되어 있고, 그 수단자 금구의 선단의 탭(tab)이 후드부(22)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후드부(22)의 선단면(22S)은, 양 하우징(10, 20)의 감합 방향과 직각인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링(30)은, 전체적으로 대략 각통형을 이루는 링 본체부(31)와, 링 본체부(31)의 후단 외주로부터 돌출된 4개의 귀형상 연장부(36)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링 본체부(31)는, 상하 한 쌍의 판형상을 이루는 수평부(32)와, 좌우 한 쌍의 판형상을 이루는 측면부(33)와, 네 모퉁이에 배치되어 수평부(32)와 측면부(33)를 연결하는 네 반원호 형상의 호형부(34)로 구성되어 있다. 링 본체부(31)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각각, 립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링(30)은, 단자 수용부(13)의 외주에 대하여, 링 본체부(31)를 시일 홈(17) 내에 감합시킨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시일 링(30)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링 본체부(31)의 내주의 립부(35)가, 단자 수용부(13)의 외주면(시일 홈(17)의 홈바닥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도 5,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양 하우징(10, 20)의 감합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4개의 귀형상 연장부(36)는, 링 본체부(31)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귀형상 연장부(36)는, 상하 대칭이며, 또한 좌우 대칭인 형태 및 배치로 되어 있다. 상측의 좌우 한 쌍의 귀형상 연장부(36)는, 상측의 호형부(34)의 외주 전체를 따르는 영역과, 측면부(33)의 외주에서의 상단부를 따르는 영역에 걸쳐 형성되고, 링 본체부(31)로부터 외주측으로 플랜지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측의 좌우 한 쌍의 귀형상 연장부(36)는, 하측의 호형부(34)의 외주 전체를 따르는 영역과, 측면부(33)의 외주에서의 하단부를 따르는 영역에 걸쳐 형성되고, 링 본체부(31)로부터 외주측으로 플랜지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귀형상 연장부(36)는, 각각, 링 본체부(31)의 후단면과 동일 평면으로 외주측으로 귀형상(플랜지형)으로 연장된 판형상부(37)와, 판형상부(37)에 형성된 제1 및 제2의 2개의 압력 수용부(38A, 38B)와, 판형상부(37)에 형성된 제1 및 제2의 2개의 돌기부(40A, 40B)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압력 수용부(38A, 38B)는, 판형상부(37)의 전면(후드부(22)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39)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로 되어 있다. 둘레 방향에서의 제1 압력 수용부(38A)(청구항에 기재된 압력 수용부)의 형성 영역은, 호형부(34)와만 대응하는 범위이다. 또한, 둘레 방향에서의 제2 압력 수용부(38B)(청구항에 기재된 압력 수용부)의 형성 영역은, 호형부(34)의 일부 및 측면부(33)의 일부와 대응하는 범위이다. 따라서, 홈부(39)는, 호형부(34)의 일부와만 대응하고 있다. 도 5,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수용부들(38A, 38B)의 전면(돌출 단부면)은, 판형상부(37)의 전면과 평행이며, 양 하우징(10, 20)의 감합 방향과 직각인 평면이다. 판형상부(37)의 전면으로부터의 제1 압력 수용부(38A)의 돌출 치수와 제2 압력 수용부(38B)의 돌출 치수는, 동일한 치수이다.
제1 압력 수용부(38A)와 제2 압력 수용부(38B)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서로 대략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압력 수용부(38A, 38B)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홈부(39)의 홈폭(2개의 압력 수용부(38A, 38B)의 간격)보다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제1 압력 수용부(38A)의 둘레 방향 양단부면 중 홈부(39)와 반대측의 단부면과, 제2 압력 수용부(38B)의 둘레 방향 양단부면 중 홈부(39)와 반대측의 단부면은, 판형상부(37)의 둘레 방향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속되어 있다. 압력 수용부들(38A, 38B)의 외주면은, 판형상부(37)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속되어 있다.
제1 돌기부(40A)(청구항에 기재된 돌기부)는, 판형상부(37)의 후면(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과의 대향면) 중 제1 압력 수용부(38A)와 대응하는 영역만을 부분적으로 돌출시킨 형태이며, 제2 돌기부(40B)(청구항에 기재된 돌기부)는, 판형상부(37)의 후면 중 제2 압력 수용부(38B)와 대응하는 영역만을 부분적으로 돌출시킨 형태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돌기부(40A, 40B)는, 절결부(41)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돌기부(40A)와 제2 돌기부(40B)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서로 대략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하나의 돌기부(40A, 40B)의 둘레 방향의 길이 치수는, 절결부(41)의 폭치수(2개의 돌기부(40A, 40B)의 간격)보다 크다. 제1 돌기부(40A)의 둘레 방향 양단부면 중 절결부(41)와 반대측의 단부면과, 제2 돌기부(40B)의 둘레 방향 양단부면 중 절결부(41)와 반대측의 단부면은, 판형상부(37)의 둘레 방향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속되어 있다. 돌기부들(40A, 40B)의 외주면은, 판형상부(37) 및 압력 수용부들(38A, 38B)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속되어 있다.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들(40A, 40B)의 후면(돌출 단부면)은, 판형상부(37)의 후면과 평행이며, 양 하우징(10, 20)의 감합 방향과 직각인 평면이다. 판형상부(37)의 후면은 링 본체부(31)의 후면에 대하여 동일 평면으로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들(40A, 40B)은, 링 본체부(31)의 후단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부(37)의 후면으로부터의 제1 돌기부(40A)의 돌출 치수와 제2 돌기부(40B)의 돌출 치수는, 동일한 치수이다. 판형상부(37)의 후면으로부터의 돌기부들(40A, 40B)의 돌출 치수는, 판형상부(37)의 전면으로부터의 압력 수용부들(38A, 38B)의 돌출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에는, 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을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한 형태의 수용 오목부(50)가, 4개의 귀형상 연장부(36)와 대응하도록 4개소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수용 오목부(50)는, 제1 수용 공간(51A)(청구항에 기재된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51B)(청구항에 기재된 수용 공간)과, 연통 공간(52)과, 잉여 공간(53)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 공간(51A)은, 대응하는 귀형상 연장부(36)의 제1 돌기부(40A)를 수용한다. 제2 수용 공간(51B)은, 대응하는 귀형상 연장부(36)의 제2 돌기부(40B)를 수용한다. 연통 공간(52)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수용 공간(51A, 51B)을 연통시킨다. 잉여 공간(53)은, 제2 수용 공간(51B) 중 연통 공간(52)과 반대측의 단부에 연통되어 있다. 제1 수용 공간(51A)의 내면은, 제1 돌기부(40A)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대하여, 면접촉으로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수용 공간(51B)의 내면은, 제2 돌기부(40B)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대하여, 면접촉으로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고 있다. 연통 공간(52)은, 절결부(41)와 대응하고 있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감합하면, 후드부(22)가 감합 공간(16) 내에 진입하고, 시일 링(30)의 외주측의 립부(35)가 후드부(22)의 내주에 밀착함과 동시에, 시일 링(30)의 내주측의 립부(35)가 단자 수용부(13)의 외주에 밀착한다. 이에 따라, 단자 수용부(13)의 외주면과 후드부(22)의 내주면의 간극이, 시일 링(30)에 의해 액체밀봉형으로 밀봉된다.
동일하게, 양 하우징(10, 20)을 감합한 상태에서는, 후드부(22)의 선단면(22S)이 귀형상 연장부(36)의 압력 수용부들(38A, 38B)을 전방으로부터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그 가압력은, 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수용 오목부(50)의 안쪽 단부면(16S))에서 전달받게 된다. 후드부(22)의 선단면(22S)과 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의 전후 방향의 간격은, 귀형상 연장부(36)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전후 방향의 두께 치수보다 작기 때문에, 귀형상 연장부(36)는 탄성적으로 압착된다.
이때, 주로 압축 변형되는 것은, 판형상부(37)가 아니라, 압력 수용부들(38A, 38B)과 돌기부들(40A, 40B)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압축 방향과 직각인 단면적은, 판형상부(37)의 전영역에 비하면, 양 압력 수용부(38A, 38B)를 합친 면적 쪽이 작고, 양 돌기부(40A, 40B)를 합친 면적 쪽이 작다. 또한, 판형상부(37)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전체 둘레에 걸쳐 통형상 감합부(14)의 내주면과 단자 수용부(13)의 외주면에 대하여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고 있고, 판형상부(37)의 내주측과 외주측에는, 판형상부(37)의 압축 변형시에 생기는 여분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휨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것도 원인이다.
한편, 압력 수용부(38A, 38B)에 관해서는, 압력 수용부(38A, 38B)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단측에, 압축 변형시에 생기는 여분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39)를 포함하는 휨 공간이 확보되어 있음과 동시에, 압력 수용부(38A, 38B)의 내주측에도, 압축 변형시의 여분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휨 공간이, 링 본체부(3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제1 돌기부(40A)에 관해서는, 절결부(41) 및 연통 공간(52)이, 제1 돌기부(40A)의 압축 변형시에 생기는 여분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휨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돌기부(40B)에 관해서는, 절결부(41), 연통 공간(52) 및 잉여 공간(53)이, 제2 돌기부(40B)의 압축 변형시에 생기는 여분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휨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후드부(22)의 선단면(22S)과 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 사이에서, 귀형상 연장부(36)를 전후 방향으로 눌러 압착하여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시키면, 귀형상 연장부(3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 하우징(10, 20) 사이의 전후 방향의 덜거덕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귀형상 연장부(36)는, 대략 각통형을 이루는 시일 링(30)의 네 모퉁이의 호형부(34)에 분산되며, 또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하여 대칭인 형상 및 배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양 하우징(10, 20)이, 좌우 방향의 축 둘레로 자세를 기울이는 것도, 상하 방향의 축 둘레로 자세를 기울이는 것도, 확실하게 규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4개의 귀형상 연장부(36)의 탄성 복원력이 균일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양 하우징(10, 20) 사이의 덜거덕거림 방지 기능이 안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서는, 시일 링(30)의 네 모퉁이에 4개의 귀형상 연장부(36)를 배치하여, 양 하우징(10, 20)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2차원 방향에서의 양 하우징(10, 20) 사이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있지만, 이 2차원 방향에서의 기울어짐 방지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귀형상 연장부(36)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 영역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귀형상 연장부(36)의 전체 길이를 둘레 방향으로 길게 해 버리면, 그 만큼, 귀형상 연장부(36)의 압축 변형되는 체적이 증가하여 탄성 복원력이 커지기 때문에, 양 하우징(10, 20)의 감합 과정에서의 마지막 단계에, 귀형상 연장부(36)의 탄성 복원력에서 기인하는 감합 저항이 증대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 1에서는, 양 하우징(10, 20) 사이의 기울어짐 방지 기능의 향상과 감합 저항의 저감을 양립시키는 수단으로서, 귀형상 연장부(36)에서의 후드부(22)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로서, 홈부(39)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2개의 압력 수용부(38A, 38B)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둘레 방향으로 귀형상 연장부(36)의 형성 범위를 확대하더라도, 귀형상 연장부(36) 중 압축 변형되는 체적의 증가량을, 홈부(39)의 분만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양 하우징(10, 20) 사이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양 하우징(10, 20)의 감합 과정 마지막 단계에서의 감합 저항을 저감하는 것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커넥터는, 귀형상 연장부(36) 중 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과의 대향면(후면)에, 2개의 압력 수용부(38A, 38B)와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의 2개의 돌기부(40A, 40B)를 형성하고 있다. 만약에 귀형상 연장부(36)에 돌기부들(40A, 40B)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귀형상 연장부(36) 중 압축 변형하는 것은 주로 압력 수용부들(38A, 38B)이 된다. 이 경우, 압력 수용부들(38A 38B)의 전면(돌출 단부면)의 면적에 대하여, 판형상부(37)로부터의 압력 수용부들(38A, 38B)의 돌출 치수의 비율이 커질수록, 압축시에 압력 수용부들(38A, 38B)이 좌굴되는 것과 같은 부정한 변형을 생성하고, 양 하우징(10, 20)이 부정한 위치 어긋남을 생성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 1에서는, 귀형상 연장부(36)에, 압력 수용부들(38A, 38B)에 대하여 배면 대향이 되는 위치 관계로 돌출되는 돌기부들(40A, 40B)을 형성하고, 감합 방향(전후 방향)에서의 귀형상 연장부(36)의 압축 변형량을, 전방의 압력 수용부들(38A, 38B)과 후방의 돌기부들(40A, 40B)로 분담시켰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 1에서는, 압력 수용부들(38A, 38B)과 돌기부들(40A, 40B)의 돌출 치수가 비교적 작게 억제되기 때문에, 좌굴될 우려가 없어졌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커넥터는, 감합 공간(16)의 안쪽 단부면(16S)을 오목하게 한 형태로서, 귀형상 연장부(36)의 돌기부들(40A, 40B)을 수용하여 접촉시키는 수용 오목부(50)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돌기부(40A)의 둘레 방향 양단부면 중 절결부(41)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이, 수용 오목부(50)의 내면에 대하여 둘레 방향(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접촉함과 동시에, 제2 돌기부(40B)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수용 오목부(50)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귀형상 연장부(36)가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1 돌기부(40A)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수용 오목부(50)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귀형상 연장부(36)가,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시일 링(30)의 대각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1 돌기부(40A)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수용 오목부(50)의 내면에 대하여 둘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대략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접촉함으로써, 귀형상 연장부(36)가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돌기부들(40A, 40B)을 수용 오목부(50)에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귀형상 연장부(36)가 압축 변형될 때에, 돌기부들(40A, 40B)의 탄성 변형이, 수용 오목부(50)의 내면과의 간섭에 의해 저해되는 것이 우려된다. 그래서, 수용 오목부(50)에는, 이웃하는 제1 수용 공간(51A)과 제2 수용 공간(51B)을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52)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들(40A, 40B)이 압축 변형될 때에, 돌기부들(40A, 40B)의 일부가 연통 공간(52) 내로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돌기부들(40A, 40B)의 압축 변형이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양 하우징(10, 20)의 감합 과정 마지막 단계에서의 감합 저항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하나의 귀형상 연장부에 형성하는 홈부를 1개만으로 하고 압력 수용부의 수를 2개로 했지만, 하나의 귀형상 연장부에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고, 압력 수용부의 수를 3개 이상으로 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귀형상 연장부에 압력 수용부와 대응하는 돌기부를 형성했지만, 귀형상 연장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로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감합 공간의 안쪽 단부면에 수용 오목부를 형성했지만, 감합 공간의 안쪽 단부면에 수용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로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수용 오목부에 잉여 공간을 형성했지만, 수용 오목부는, 잉여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여도 좋다.
10 : 제1 하우징, 13 : 단자 수용부, 14 : 통형상 감합부, 16 : 감합 공간, 16S : 감합 공간의 안쪽 단부면, 20 : 제2 하우징, 22 : 후드부, 22S : 후드부의 선단면, 30 : 시일 링, 34 : 호형부, 36 : 귀형상 연장부, 38A : 제1 압력 수용부(압력 수용부), 38B : 제2 압력 수용부(압력 수용부), 39 : 홈부, 40A : 제1 돌기부(돌기부), 40B : 제2 돌기부(돌기부), 50 : 수용 오목부, 51A : 제1 수용 공간(수용 공간), 51B : 제2 수용 공간(수용 공간), 52 : 연통 공간, 53 : 잉여 공간

Claims (6)

  1. 단자 수용부를 통형상 감합부로 포위한 형태의 제1 하우징,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통형상 감합부 사이에 구성된 감합 공간,
    상기 감합 공간 내에 삽입되는 후드부를 갖는 제2 하우징,
    네 모퉁이가 호형상부로 구성된 사각 형상을 이루고,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에 부착되어, 상기 단자 수용부의 외주와 상기 후드부의 내주의 간극을 밀봉하는 시일 링,
    상기 네 모퉁이의 호형상부를 따라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시일 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감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합 공간의 안쪽 단부면과 상기 후드부의 선단면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규제하는 귀형상 연장부,
    상기 귀형상 연장부에서의 상기 후드부와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로서, 홈부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복수의 압력 수용부,
    상기 귀형상 연장부 중 상기 감합 공간의 상기 안쪽 단부면과의 대향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압력 수용부와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의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공간의 상기 안쪽 단부면을 오목하게 한 형태이며, 상기 귀형상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접촉시키는 수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귀형상 연장부 중 상기 감합 공간의 상기 안쪽 단부면과의 대향면 상에, 상기 복수의 압력 수용부와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돌출시킨 형태의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 공간과, 이웃하는 상기 수용 공간들끼리 연통시키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된 형태이며, 상기 돌기부의 휨 공간으로서 기능하는 잉여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내면이, 상기 돌기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대하여, 면접촉 상태로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7030797A 2013-04-26 2014-02-24 커넥터 KR101709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4494A JP5924591B2 (ja) 2013-04-26 2013-04-26 コネクタ
JPJP-P-2013-094494 2013-04-26
PCT/JP2014/054325 WO2014174883A1 (ja) 2013-04-26 2014-02-2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092A KR20150137092A (ko) 2015-12-08
KR101709036B1 true KR101709036B1 (ko) 2017-02-21

Family

ID=5179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797A KR101709036B1 (ko) 2013-04-26 2014-02-24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05236B2 (ko)
JP (1) JP5924591B2 (ko)
KR (1) KR101709036B1 (ko)
WO (1) WO2014174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4910B2 (ja) * 2015-05-28 2018-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ゴム栓アッシー
JP6672995B2 (ja) * 2016-04-27 2020-03-25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6572193B2 (ja) * 2016-10-25 2019-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187912A (ja) * 2019-05-14 2020-11-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当接面にシール部材を設けたコネクタ
JP2022042037A (ja) * 2020-09-02 2022-03-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079A (ja) * 2002-12-05 2004-07-0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部材
JP2005005135A (ja) 2003-06-12 2005-01-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93903A (ja) 2008-02-18 2009-08-27 Yazaki Corp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8491B2 (ja) * 2002-06-11 2007-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699576B1 (ko) * 2009-12-24 2017-01-24 델파이 커넥션 시스템즈 홀딩 프랑스 전기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079A (ja) * 2002-12-05 2004-07-0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部材
JP2005005135A (ja) 2003-06-12 2005-01-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93903A (ja) 2008-02-18 2009-08-27 Yazaki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6260A (ja) 2014-11-17
KR20150137092A (ko) 2015-12-08
JP5924591B2 (ja) 2016-05-25
US9705236B2 (en) 2017-07-11
WO2014174883A1 (ja) 2014-10-30
US20160043498A1 (en)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036B1 (ko) 커넥터
CN107039824B (zh) 连接器
JP4973430B2 (ja) コネクタ
US10511119B2 (en) Waterproof connector
US11081829B2 (en) Connector
JP2019186062A (ja) コネクタ
WO2018074194A1 (ja) 防水コネクタ
US10283902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JP4941744B2 (ja) 防水コネクタ
US20200286694A1 (en) Seal Structure Including Sealing Member Provided with Protrusion and Switch Device Having Seal Structure
US20200251851A1 (en) Elastic member and waterproof connector
JP2009164145A (ja) コネクタ
JP2014059960A (ja) コネクタ
JP2022068907A (ja) コネクタ
JP6411304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21018910A (ja) コネクタ
WO2024101095A1 (ja) コネクタ
WO2022172740A1 (ja) コネクタ
JP7481194B2 (ja) 防水コネクタ
JP6170780B2 (ja) 防水コネクタ
JP4896192B2 (ja) 防水コネクタ
JP2022032203A (ja) 防水コネクタ
JP2022089566A (ja) コネクタ
JP2022007493A (ja) パッキン
JP2023146665A (ja)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弾性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