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018B1 - El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El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018B1
KR101709018B1 KR1020150149976A KR20150149976A KR101709018B1 KR 101709018 B1 KR101709018 B1 KR 101709018B1 KR 1020150149976 A KR1020150149976 A KR 1020150149976A KR 20150149976 A KR20150149976 A KR 20150149976A KR 101709018 B1 KR101709018 B1 KR 101709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ariable power
potential
display device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690A (ko
Inventor
히사시 토미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60055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05B33/145Arrangements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 H05B33/0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7/00
    • H05B37/0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EL 표시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기술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L 표시장치는,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전류 값에 의해 휘도를 제어하는 EL 표시장치이며, 상기 발광 소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의 출력 전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전원은, 제1 가변 전원과, 상기 제1 가변 전원보다 낮은 전위를 출력하는 제2 가변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 및 상기 제2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를 변화시킨다. 또한, EL 표시장치는, 게이트 신호 출력부와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신호 출력부의 전원 전위,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의 전원 전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Description

EL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계 발광 소자 등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는 화소를 갖는 EL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EL 표시장치의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발광(Electroluminescence : EL) 현상을 이용한 발광 소자로, 전계 발광 소자(이하 [EL] 소자라고 함)가 알려져 있다. EL 소자는, 애노드(양극)와 캐소드(음극) 사이에 발광 재료가 되는 EL 재료를 사이에 끼운 구조의 소자이며, EL 재료의 종류에 따른 파장의 광을 발광한다.
EL 소자의 애노드와 캐소드의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양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고, 그 전류 값에 따른 휘도로 EL재료가 발광한다. 따라서, EL 소자에 공급하는 전류 값을 제어함으로써, 소망의 휘도로 EL 소자를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EL 표시장치(13)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EL 표시장치(13)에는, EL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전원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전위측의 전위를 출력하는 제1 전원(11)과, 제1 전원(11)보다도 저전위측의 전위를 출력하는 제2 전원(12)이 구비되고, 그들 2개의 전원에서 전위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EL 표시장치(13)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1은, EL 표시장치(13)의 개략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EL 표시장치(13)의 내부에는, 화소 회로(14)와 구동 회로(15)가 배치되고, 양자는, 제1 전원선(16),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선(17) 및 데이터 신호선(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전원(11) 및 제2 전원(12)에는, 각각 제1 전원선(16) 및 제2 전원선(19)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전원(11) 및 제2 전원(12)이 각각 화소 회로(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화소 회로(14)는, EL 표시장치(13)의 화소부(표시 영역)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각각 구비되는 회로이며, 화상 데이터에 따라 EL 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지스터(14a), 제2 트랜지스터(14b), 용량 소자(14c) 및 EL 소자(14d)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트랜지스터(14a) 및 제2 트랜지스터(14b)는, 전형적으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로 형성된다.
구동 회로(15)는, 화소 회로(14)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 회로이며, 전형적으로는 구동용 IC(Integrated Circuit)로 구비된다. 기본적으로는, 게이트 신호선(17)에 대하여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로직 버퍼(15a)와, 데이터 신호선(18)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아날로그 버퍼(15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EL 표시장치(13)에서는, 제1 전원(11)은, 제1 전원선(16)을 통하여 로직 버퍼(15a), 아날로그 버퍼(15b), 용량 소자(14c) 및 제2 트랜지스터(14b)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다. 제2 전원(12)은, 제2 전원선(19)을 통하여 EL 소자(14d)의 캐소드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로직 버퍼(15a)는, 게이트 신호선(17)을 통하여 제1 트랜지스터(14a)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고, 아날로그 버퍼(15b)는, 데이터 신호선(18)을 통하여 제1 트랜지스터(14a)의 소스/드레인 단자에 접속된다.
실제로는, EL 표시장치(13)의 화소부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마다 화소 회로(14)가 구비되고, 각각의 화소 회로(14)가 대응하는 게이트 신호선(17)이나 데이터 신호선(18)에 접속된다. 제1 전원선(16) 및 제2 전원선(19)은, 모든 화소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EL 표시장치(13)에 있어서의 회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소 회로(14)에서는, 게이트 신호선(17)을 통하여 액티브 전위(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열기 위한 전위)가 제1 트랜지스터(14a)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면, 제1 트랜지스터(14a)가 온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신호선(18)을 통하여 공급된 데이터 신호가 제1 트랜지스터(14a)를 통하여 용량 소자(14c)에서 유지된다.
용량 소자(14c)에 유지된 전위는, 제2 트랜지스터(14b)의 게이트 단자에도 공급된다. 제2 트랜지스터(14b)는, 게이트 단자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의 전위 레벨에 따른 전류(드레인 전류)를 흘리고, EL 소자(14d)에 공급한다. EL 소자(14d)는, 제2 트랜지스터(14b)에서 공급되는 전류 값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즉, 제2 트랜지스터(14b)의 게이트 단자에 최대의 전위가 공급됐을 때, EL 소자(14d)는 최대 휘도로 발광하고, 게이트 단자에 최소의 전위가 공급됐을 때, EL 소자(14d)는 발광하지 않는다.
도 12는, 제2 트랜지스터(14b)와 EL 소자(14d)의 부하 특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횡축은, 제1 전원(11)과 제2 전원(12)의 사이의 차분(전원 전압)이며, 종축은, 제2 트랜지스터(14b)의 소스와 드레인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드레인 전류)이다.
도 12에 있어서, 곡선(21)은, EL 소자(14d)의 전압-전류 특성이며, 이른바 다이오드 특성을 도시한다. EL 소자(14d)는, 소자를 흐르는 전류 값에 거의 비례한 휘도로 발광한다. 곡선(22)은, 제2 트랜지스터(14b)의 소스-드레인 간 전압과 드레인 전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즉, MOS 트랜지스터 특성을 도시한다. 제2 트랜지스터(14b)는, 게이트-소스간 전압(소스 전위와 게이트 전위의 차분)이 소정의 문턱 값 이하일 때는 드레인 전류를 흘리지 않고, 문턱 값 이상인 경우에 드레인 전류를 흘리는 특성을 구비한다.
여기서, 도 12를 이용하여 EL 표시장치(13)에 있어서의 전원 전압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EL 표시장치(13)에 있어서의 소망하는 최대 휘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EL 소자(14d)에 흘리는 전류 값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L 소자(14d)에 흐르는 전류 값과 제2 트랜지스터(14b)에 흐르는 전류 값은 동일하므로, 곡선(21)과 곡선(22)의 교점(23)이 최대 휘도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점이 된다. 한편, 최소 휘도의 경우는, EL 소자(14d)가 전류를 흘리지 않는 점이 되기 때문에, 곡선(21)과 횡축의 교점(27)이 최소 휘도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 동작점이 된다. 그리고, 동작점(23)과 동작점(27)의 사이가 임의 계조로 표시할 때의 동작점이 된다.
최소 휘도로부터 최대 휘도에 걸쳐서, 휘도를 연속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대 휘도를 얻기 위한 동작점(23)은, 제2 트랜지스터(14b)의 포화 영역에 있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하기 위해, 통상은 최대 휘도 시의 동작점(23)을 제2 트랜지스터(14b)의 포화 영역과 선형 영역의 경계 부근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전원 전압을 최소로 설정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가 EL 표시장치의 휘도를 낮게 한 경우, 데이터 신호의 전위를 내려서 제2 트랜지스터(14b)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는 전위를 내린다. 즉, 제2 트랜지스터(14b)의 게이트 전압을 내리게 된다. 이 경우, 제2 트랜지스터(14b)의 소스-드레인간 전압과 드레인 전류와의 관계는, 곡선(24)에 도시하는 관계로 변화한다. 따라서, 최대 휘도의 동작점도, 교점 23에서 교점 25로 변화한다.
여기서, 곡선(26)은, 제2 트랜지스터(14b)의 포화 영역과 선형 영역의 경계를, 다양한 게이트 전압 하에 있어서의 전류 특성(곡선 22, 24 등)에 대하여 플롯한 것이다.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낮은 휘도로 EL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동작점(25)은 제2 트랜지스터(14b)의 포화 영역과 선형 영역의 경계(즉, 곡선 24와 곡선 26의 교점)에서 어긋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의 최소화가 도모되지 않았다.
또한, EL 표시장치(13)에 있어서는, 제1 전원(11)의 출력 전위와 제2 전원(12)의 출력 전위를 각각 일정 값으로 했기 때문에, 유저가 휘도를 낮게 한 경우에는 EL 소자(14d)를 흐르는 전류 값을 줄인 만큼의 전력 저감 효과밖에 얻을 수 없어, 충분한 저소비 전력화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그와 같은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1에는, EL 소자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내린 경우에, EL 소자의 캐소드에 접속된 전원의 출력 전위를 올려, EL 소자에 가해지는 전압(CV 마진)을 축소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특허 문헌1에 기재된 EL 표시장치에서는, EL 소자를 흐르는 전류 값의 감소에 의한 전력 저감에 더해, CV 마진의 축소에 따른 전력 저감을 행하는 것으로 소비 전력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특허 문헌1 : 일본 특허 공개 2008-151746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1에 기재된 기술은, EL 소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하는 것에만 착안되어 있으며, 다른 구동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력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 즉, 특허 문헌1에는, EL 표시장치 전체의 전력 저감이라는 관점이 결여되어 있으며, EL 표시장치의 저소비 전력화에는, 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EL 표시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특히, EL 소자뿐만 아니라, 다른 구동 회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한 EL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전류 값에 의해 휘도를 제어하는 EL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의 출력 전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전원은, 제1 가변 전원과, 상기 제1 가변 전원보다 낮은 전위를 출력하는 제2 가변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 및 상기 제2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게이트 신호 출력부와,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신호 출력부의 전원 전위,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의 전원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휘도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고, 취득한 유저의 휘도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휘도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발광 소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의 출력 전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전류 값에 의해 휘도를 제어하는 EL 표시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제1 가변 전원과, 상기 제1 가변 전원보다 낮은 전위를 출력하는 제2 가변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취득한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 및 상기 제2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EL 표시장치는, 게이트 신호 출력부와,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신호 출력부의 전원 전위,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의 전원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휘도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고, 취득한 유저의 휘도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휘도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EL 표시장치에 따르면, EL 소자에 흐르는 전류 값의 저감에 의한 전력 저감 효과에 더해, 전원 전압의 저하에 의한 전력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회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제2 트랜지스터와 EL 소자의 부하 특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정 전원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부 전원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휘도 설정 신호와 EL 휘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회로가 갖는 룩업 테이블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0은,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1은, EL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회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2는, EL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2 트랜지스터와 EL 소자의 부하 특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고, 이하에 예시하는 실시예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와 각 도에 있어서, 기출의 도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기 EL 표시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장치(100)는, 소자 형성용의 제1 기판(101) 상에 화소부(102)를 갖는다. 화소부(102)는, 화소(103)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고, 각 화소(103)에 후술하는 화소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제1 기판(101) 상에는, 봉지재로 제2 기판(104)이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화소부(102)에서 출력된 광은, 화살표 방향으로 출사되어 유저에 시인된다.
제1 기판(101) 상에는, 외부 장착 IC로, 구동용 IC(105)가 플립 칩 등의 마운트 방법으로 배치된다. 구동용 IC(105)는, 화소부(102)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능동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이며, 주로 게이트선 구동 회로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로 기능한다. 구동용 IC(105)로의 신호 입출력은, FPC(Flexible Print Circuit)(106)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용 IC(105)에 게이트선 구동 회로 및 데이터 선 구동 회로의 기능을 내장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게이트선 구동 회로나 데이터 선 구동 회로를 제1 기판(10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선 구동 회로는 제1 기판(101) 상에 형성하고, 데이터선 구동 회로는 구동용 IC(105)에 삽입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EL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후술하는 전원 제어 회로는, 구동용 IC(105)에 삽입할 수도 있지만, 다른 IC(예를 들어 파워 매니지먼트 IC)를 구동용 IC(105)와는 별개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화소부(102)를 구성하는 각 화소에는, 구동용 IC(105)로부터 영상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신호와, 소정의 타이밍에 맞춘 게이트 신호가 인가된다. 그들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신호를, 각 화소에 구비된 트랜지스터에 인가하는 것으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면 표시를 행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로는, 전형적으로는, 박막 형성 기술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단, 박막 트랜지스터에 한정되지 않고, 전류량을 제어 가능한 소자이면, 어떤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EL 표시장치(100)의 개략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본 실시예의 EL 표시장치(100)는, EL 소자 및 구동용 IC의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2개의 가변 전원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전위 측의 전위를 출력하는 제1 가변 전원(111)과, 제1 가변 전원(111)보다도 저전위측의 전위를 출력하는 제2 가변 전원(112)을 구비하고, 그들 2개의 전원 출력 전위에 의해 표시 제어 회로(113)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 제어 회로(113)란, 전술의 화소부(112)에 포함되는 화소 회로와, 구동용 IC(105)에 포함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군의 총칭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EL 표시장치(100)는,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회로(131)를 갖는다. 전원 제어 회로(131)는, 외부 입력 단자(132)에서 입력되는 휘도 설정 신호에 따라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의 출력 전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회로 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휘도 설정 신호로 최대 휘도 정보에 기초한 신호를 이용한다. 최대 휘도 정보란, EL 표시장치에서 출력하려고 하는 최대의 휘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취득할 수도 있고, 유저의 휘도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표시 제어 회로(113)와 전원 제어 회로(131)를 다른 회로로 기재하지만, 전원 제어 회로(131)의 기능을 표시 제어 회로(113)에 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구동용 IC(105)에 전원 제어 회로(131)를 내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표시 제어 회로(113)의 내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표시 제어 회로(113)의 내부에는, 화소 회로(114)와 구동 회로(115)가 배치되고, 양자는, 제1 전원선(116),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선(117) 및 데이터 신호(영상 신호)선(11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에는, 각각 제1 전원선(116) 및 제2 전원선(119)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이 각각 화소 회로(1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화소 회로(114)는, 도 1에 도시한 EL 표시장치(100)의 화소부(102)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103)에 각각 구비되는 회로이며, 화상 데이터에 따라 EL 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트랜지스터(114a), 제2 트랜지스터(114b), 용량 소자(114c) 및 EL 소자(114d)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트랜지스터(114a)는, 각 화소에 데이터 신호를 입력할 때 스위치로 기능한다. 제2 트랜지스터(114b)는, EL 소자(114d)에 공급하는 전류 값을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용량 소자(114c)는, 각 화소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 제2 트랜지스터(114b)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된 전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트랜지스터(114a) 및 제 2트랜지스터(114b)는, 전형적으로는, 박막 트랜지스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트랜지스터(114a) 및 제2 트랜지스터(114b)를 P채널형 트랜지스터로 형성할 수 있지만, N채널형 트랜지스터로 할 수도 있다. 단, 그 경우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역이 되기 때문에,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의 출력 전위의 관계 및 EL 소자(114b)의 방향이 역이 된다.
구동 회로(115)는, 화소 회로(114)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신호선(117)에 대하여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로직 버퍼(게이트 신호 출력부)(115a)와, 데이터 신호선(118)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아날로그 버퍼(데이터 신호 출력부)(115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회로 구성을 간략화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화소마다 화소 회로(114)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화소부(102)에는, 복수의 제1 전원선(116), 복수의 게이트 신호선(117) 및 복수의 데이터 신호선(118)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선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표시 제어 회로(113)에 있어서, 제1 가변 전원(111)은, 제1 전원선(116)을 통하여 로직 버퍼(115a), 아날로그 버퍼(115b), 용략소자(114c), 및 제2 트랜지스터(114b)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다. 제2 가변 전원(112)은, 제2 전원선(119)을 통하여 EL 소자(114d)의 캐소드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로직 버퍼(115a)는, 게이트 신호선(117)을 통하여 제1 트랜지스터(114a)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고, 아날로그 버퍼(115b)는, 데이터 신호선(118)을 통하여 제1 트랜지스터(114a)의 소스/드레인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제1 전원선(116) 및 제2 전원선(119)은, 모든 화소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EL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회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소 회로(114)에서는, 로직 버퍼(115a)에서 출력된 액티브 전위의 게이트 신호가 게이트 신호선(117)을 통하여 제1 트랜지스터(114a)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면, 제1 트랜지스터(114a)가 온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아날로그 버퍼(115b)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신호선(118) 및 제1 트랜지스터(114a)를 통하여 용량 소자(114c)에 유지된다.
용량 소자(114c)에 유지된 데이터 신호는, 제2 트랜지스터(114b)의 게이트 단자에도 공급된다. 제2 트랜지스터(114b)는, 게이트 단자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의 전위 레벨과,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의 사이의 차분 전압(제2 트랜지스터(114b)의 소스와 드레인의 사이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드레인 전류)를 흘려, EL 소자(114d)에 공급한다. EL 소자(114d)는, 제2 트랜지스터(114b)에서 공급되는 전류 값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즉, 제2 트랜지스터(114b)의 게이트 단자에 최대 전위가 공급되면 EL 소자(114d)에는 최대의 전류가 흐르고, EL 소자(114d)는 최대 휘도로 발광한다. 반대로, 게이트 단자에 최소 전위가 공급되면 EL 소자(114d)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EL 소자(114d)는 발광하지 않는다.
도 4는, 제2 트랜지스터(114b)와 EL 소자(114d)의 부하 특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횡축은, 제1 가변 전원(111)과 제2 가변 전원(112)의 사이의 차분 전압이며, 종축은, 제2 트랜지스터(114b)의 소스와 드레인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드레인 전류)이다. 이 경우, 드레인 전류는, EL 소자(114d)에 흐르는 전류라고 생각하면 된다.
도 4에 있어서, 곡선(121)은, EL 소자(114d)의 전압-전류 특성이며, 이른바, 다이오드 특성을 도시한다. EL 소자(114d)는, 소자를 흐르는 전류 값에 거의 비례한 휘도로 발광한다. 곡선(122)은, 제2 트랜지스터(114b)의 소스-드레인간 전압과 드레인 전류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MOS트랜지스터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제2 트랜지스터(114b)는, 게이트-소스 간 전압(소스 전위와 게이트 전위의 차분)이 소정의 문턱 값 이하일 때는 드레인 전류를 흘리지 않고, 문턱 값 이상인 경우에 드레인 전류를 흘리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4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100)의 전원 전압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EL 표시장치로의 최대 휘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EL 소자(114d)로 흘려야 하는 전류 값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L 소자(114d)에 흐르는 전류 값과 제2 트랜지스터(114b)에 흐르는 전류 값은 동일하므로, 곡선(121)과 곡선(122)의 교점(123)이 최대 휘도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점이 된다. 한편, 최소 휘도의 경우는, EL 소자(114d)가 전류를 흘리지 않기 때문에, 곡선(121)과 횡축과의 교점(127)이 최소 휘도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점이 된다. 그리고, 동작점(123)과 동작점(127)의 사이가 임의 계조로 표시할 때의 동작점이 된다.
최소 휘도로부터 최대 휘도에 걸쳐서 휘도를 연속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대 휘도를 얻기 위한 동작점(123)을, 제2 트랜지스터(114b)의 포화 영역에 있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EL 표시장치(100)에서는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하기 위해, 최대 휘도 시의 동작점(123)을 제2 트랜지스터(114b)의 포화 영역과 선형 영역의 경계 부근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제1 가변 전원(111)과 제2 가변 전원(112)의 사이의 차분 전압을 최소로 설정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가 EL 표시장치(100)의 휘도를 낮게 설정하는 경우, 설정된 휘도에 기초한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아날로그 버퍼(115b)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의 전위를 내리고, 제2 트랜지스터(114b)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되는 전위를 내린다. 즉, 제2 트랜지스터(114b)의 게이트 전압을 내리게 된다. 이 경우, 제2 트랜지스터(114b)의 소스-드레인간 전압과 드레인 전류의 관계는, 곡선(124)에 도시하는 관계로 변화한다. 따라서, 최대 휘도의 동작점도, 동작점 123에서 동작점 125로 변화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EL 표시장치(100)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전원 제어 회로(131)가, 휘도 설정 신호로 입력되는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제1 가변 전원(111)과 제2 가변 전원(112)의 양쪽의 출력 전위를 변경하여, 곡선 121의 위치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 128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즉, 곡선(124) 상의 동작점 125가 제2 트랜지스터(14b)의 포화 영역과 선형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곡선(126) 상의 점 129로 이동하도록, 제1 가변 전원(111)의 출력 전위를 내리고 제2 가변 전원(112)의 출력 전위를 올린다.
이 경우, EL 소자(114b)는, 동작점 129에서 동작할 때에 최대 휘도로 발광하고, 동작점 130에서 동작할 때에 최소 휘도가 됨과 동시에, 동작점(129)과 동작점(130)의 사이의 동작점에서 동작함으로써 임의 계조를 표현하는 구성이 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EL 표시장치(100)에서는, 제1 가변 전원(111)과 제2 가변 전원(112)의 사이의 차분 전압(즉, 전원 전압)을, 동작점 127에서 동작점 130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EL 표시장치에 비해, EL 소자에 흐르는 전류 값의 저감에 의한 전력 저감 효과에 더해, 전원 전압의 저하에 의한 전력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가변 전원(111)의 출력 전위를 내리는 것으로, 로직 버퍼(115a) 및 아날로그 버퍼(115b)에 공급되는 전원 전위가 내려간다. 따라서, 로직 버퍼(115a) 및 아날로그 버퍼(115b)에서 소비되는 전력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EL 표시장치(100)에서는, 구동용 IC(105)의 부하가 용량성 부하이면 전원 전압의 2승에 비례한 전력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부하가 전류 부하이면 전원 전압에 비례한 전력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EL 표시장치(100)의 전원 회로의 구성 및 전원 제어 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가변 전원(정전원)(111)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변 전원(111)은, 입력 단자(141)에서 3.0에서 3.5V까지의 전압을 입력하고, 출력 단자(142)에서 4.0에서 5.0V까지의 전압을 출력하는 승압형 스위칭 레귤레이터이다. 출력 전압을 가변으로 하기 위해서, 제어 단자(143)에는 입력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물론,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제어 신호에 의해 출력 전압이 가변인 구성이면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변 전원(111)은, 인덕터(144) 다이오드(145), 출력 평활용 콘덴서(146), 스위칭 트랜지스터(147), 제어 회로(148), 저항(149), 가변 저항(150), DA 컨버터(151)를 구비한다. 저항(149)과 가변 저항(150)으로 출력 전압이 분압되고, 가변 저항(150)의 출력이 제어 회로(148)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 회로(148)의 출력이 스위칭 트랜지스터(147)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147)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 진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의 피드백 제어가 이루어 지고, 부하 변동에 의한 출력 전압의 변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출력 단자(142)에서 출력되는 전압 값은, 가변 저항(150)의 저항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 단자(143)에 입력된 입력 제어 신호는 DA 컨버터(151)로 디코드되고, 그 디코드된 정보를 토대로 가변 저항(150)을 제어함으로써, 가변 저항(150)의 저항 값을 필요한 저항 값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제어 신호가 부호 0일 때에 제1 가변 전원(111)의 출력 전압이 최소가 되고, 부호 255일 때에 최대가 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최대 휘도(휘도100%)로 EL 소자를 발광시키는 경우, 도 4에 있어서 곡선(122)에 도시하는 특성으로 제2 트랜지스터(114b)가 동작하도록 가변 저항(150)의 저항 값을 설정한다. 또한, 중간 휘도(휘도 50%)로 EL 소자를 발광시키는 경우, 도 4에 있어서의 곡선(124)에 도시되는 특성으로 제2 트랜지스터(114b)가 동작하도록 가변 저항(150)의 저항 값을 설정한다.
도 6은, 제2 가변 전원(부전원)(112)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가변 전원(112)은, 입력 단자(161)에서 3.0에서 3.3V까지의 전압을 입력하고, 출력 단자(162)에서 -5.0에서 15V까지의 전압을 출력하는 반전형 스위칭 레귤레이터이다. 출력 전압을 가변으로 하기 위해, 제어 단자(163)에는 입력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물론,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제어 신호에 의해 출력 전압이 가변인 구성이면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변 전원(112)은, 스위칭 트랜지스터(164), 인덕터(165), 다이오드(166), 출력 평활용 콘덴서(167), 제어 회로(168), 저항(169), 가변 저항(170), DA 컨버터(171)를 구비한다. 저항(169)과 가변 저항(170)으로 출력 전압이 분압되고, 가변 저항(170)의 출력이 제어 회로(168)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 회로(168)의 출력이 스위칭 트랜지스터(164)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164)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출력 전압의 피드백 제어가 이루어지고, 부하 변동에 의한 출력 전압의 변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출력 단자(162)에서 출력되는 전압 값은, 가변 저항(170)의 저항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 단자(163)에 입력된 입력 제어 신호는 DA 컨버터(171)로 디코드되고, 그 디코드된 정보를 토대로 가변 저항(170)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변 저항(170)의 저항 값을 필요한 저항 값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제어 신호가 부호 0일 때에 제2 가변 전원(112)의 출력 전압이 최소가 되고, 부호 255일 때에 최대가 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최대 휘도(휘도 100%)로 EL 소자를 발광시키는 경우, 제1 가변 전원(111)과 제2 가변 전원(112)의 차분 전압이, 도 4에 있어서 동작점(127)의 전압을 만족하도록 가변 저항(170)의 저항 값을 설정한다. 즉, EL 소자(114d)의 전압-전류 특성이 곡선(121)이 되도록 가변 저항(170)의 저항 값을 설정한다. 또한, 중간 휘도(휘도 50%)로 EL 소자를 발광시키는 경우, 제1 가변 전원(111)과 제2 가변 전원(112)의 차분 전압이 도 4에 있어서 동작점(130)의 전압을 만족하도록 가변 저항(170)의 저항 값을 설정하면 된다. 즉, EL 소자(114d)의 전압-전류 특성이 곡선(128)이 되도록 가변 저항(170)의 저항 값을 설정하면 된다.
도 7은, 전원 제어 회로(131)에 입력되는 휘도 설정 신호와 EL 표시장치(100)의 휘도 관계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휘도 설정 신호를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하고, 0일 때를 최소 휘도, 255일 때를 최대 휘도로 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소 휘도(50%)와 최대 휘도(100%)의 사이에, 휘도 설정 신호로 0 ~ 255의 값을 할당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 사용을 고려하여, 최대 휘도의 50%의 휘도를 최소 휘도로 설정했지만, 통상 20%이상 50%이하의 사이에서 설정하면 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0%이상 100%이하의 사이에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휘도 설정 신호를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하고 있지만, 이 포멧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전원 제어 회로(131)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외부 입력 단자(132)에 입력된 휘도 설정 신호는, 제1 LUT(룩업 테이블)(181)와 제2 LUT(룩업 테이블)(182)에 입력된다. 제1 LUT(181) 및 제2 LUT(182)에는, 각각 입출력 변환을 위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제1 LUT(181)에 의한 변환 결과는, 출력 단자(183)에서 출력되고, 도 5에 도시한 제1 가변 전원(111)의 제어 단자(143)에 입력된다. 또한, 제2 LUT(182)에 의한 변환 결과는, 출력 단자(184)에서 출력되고, 도 6에 도시한 제2 가변 전원(112)의 제어 단자(163)에 입력된다.
제1 LUT(181) 및 제2 LUT(182)에 기억되는 데이터는, 입력되는 휘도 설정 신호에 따라서, EL 표시장치(100)가 적절한 휘도로 발광하도록,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8비트 디지털 신호로 구성되는 휘도 설정 신호가 255일 때 최대 휘도로 발광하고, 휘도 설정 신호가 0일 때 최소 휘도로 발광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9는, 제1 LUT(181) 및 제2 LUT(182)의 입출력 관계를 도시하는 도이다. 전원 제어 회로(131)로 룩업 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선형 관계뿐만 아니라, 비 선형 관계 등 다양한 입출력 관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면, 휘도 설정 신호에 따라, 다양한 변환 출력을 가변 전원용의 제어 신호로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휘도의 보정이나 조정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제어 회로(131)에 입력된 휘도 설정 신호를 룩업 테이블에 의해 변환하고,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예를 도시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제어 회로(131)를 아날로그 논리 회로나 디지털 논리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입력된 휘도 설정 신호에 대하여 연산을 행한 후, 제1 가변 전원(111) 및 제2 가변 전원(112)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설명한 EL 표시장치을 기초로 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또는 설계변경을 하는 것, 또는 공정의 추가 , 생략 또는 조건 변경을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요지을 갖추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특징에 의해 초래되는 작용 효과와는 상이한 다른 작용 효과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명확한 것, 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예측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에 의해 초래되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100: EL 표시장치 101: 제1 기판(소자 형성 기판)
102: 화소부 103: 화소
104: 제2 기판(봉지 기판) 105: 구동용 IC
106: FPC(Flexible Print Circuit)
111: 제1 가변 전원 112: 제2 가변전원
113: 표시 제어 회로 114: 화소 회로
114a: 제1 트랜지스터 114b: 제2 트랜지스터
114c: 용량소자 114d: EL 소자
115: 구동 회로 115a: 로직 버퍼
115b: 아날로그 버퍼 116: 제1 전원선
117: 게이트 신호선 118: 데이터 신호선
119: 제2 전원선 131: 전원 제어 회로
132: 외부 입력 단자

Claims (12)

  1.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전류 값에 의해 휘도를 제어하는 EL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의 출력 전위를 가변하는 제어부와,
    게이트 신호 출력부와,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은, 제1 가변 전원과, 상기 제1 가변 전원보다 낮은 전위를 출력하는 제2 가변 전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변 전원은 상기 게이트 신호 출력부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 및 상기 제2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게이트 신호 출력부 전원 전위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 전원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휘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취득한 유저의 휘도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휘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전원이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측에 접속되고, 상기 제2 가변 전원이 상기 발광 소자의 캐소드 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착 IC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가변 전원 및 상기 제2 가변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상기 최대 휘도 정보에 따른 휘도 설정 신호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
  8. 발광 소자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전원의 출력 전위를 가변하는 제어부와, 게이트 신호 출력부와,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갖고,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전류 값에 의해 휘도를 제어하는 EL 표시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제1 가변 전원과, 상기 제1 가변 전원보다 낮은 전위를 출력하는 제2 가변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 전원은 상기 게이트 신호 출력부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가, 취득한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 및 상기 제2 가변 전원의 출력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게이트 신호 출력부 전원 전위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 전원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L 표시장치는, 게이트 신호 출력부와,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최대 휘도 정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신호 출력부의 전원 전위,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출력부의 전원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취득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휘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취득한 유저의 휘도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 휘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가변 전원 및 상기 제2 가변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상기 최대 휘도 정보에 따른 휘도 설정 신호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의 출력 전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149976A 2014-11-10 2015-10-28 El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9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7925 2014-11-10
JP2014227925A JP2016090922A (ja) 2014-11-10 2014-11-10 El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90A KR20160055690A (ko) 2016-05-18
KR101709018B1 true KR101709018B1 (ko) 2017-02-21

Family

ID=5591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976A KR101709018B1 (ko) 2014-11-10 2015-10-28 El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28775B2 (ko)
JP (1) JP2016090922A (ko)
KR (1) KR101709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7730A (zh) 2020-10-12 2020-12-04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5861A (ko) * 2005-09-28 2007-04-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표시소자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51946A (ja) 2006-12-15 2008-07-03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0876276B1 (ko) * 2007-10-29 2008-12-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8120261B2 (en) * 2007-12-04 2012-02-2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1017997A (ja) * 2009-07-10 2011-01-27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及び自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084229B1 (ko) * 2009-11-19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 방법
KR101056434B1 (ko) * 2010-02-05 2011-08-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23708B1 (ko) * 2011-06-16 2018-01-30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표시 장치
KR20130108822A (ko) * 2012-03-26 2013-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계조전압 생성장치 및 계조전압 생성방법
KR101970564B1 (ko) * 2012-11-30 2019-08-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류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28775B2 (en) 2018-03-27
JP2016090922A (ja) 2016-05-23
KR20160055690A (ko) 2016-05-18
US20160133183A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5679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10132349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TWI473062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JP4737221B2 (ja) 表示装置
JP5014338B2 (ja) 電流駆動型表示装置
KR102116034B1 (ko) 비선형 감마 보상 전류 모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294274B2 (ja) 画素回路および表示装置
JP2005345992A (ja) 表示装置
KR2015014283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초기화 전압 설정 방법
WO2015063988A1 (ja) 表示装置の電源断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1073393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implementing normal and standby modes through driving transistor voltage control
US8125416B2 (en) Pixel drive circuit for organic EL display
KR20220088130A (ko) 디스플레이패널 및 화소구동장치
JP6706971B2 (ja) 表示装置
US20210183316A1 (en) Display device
JP4327042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190266950A1 (en) Amoled pixel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JP2011118300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KR10220579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90118225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U2015263831A1 (en) High resolution OLED display operation circuit
US11521547B2 (en) Display device
KR101709018B1 (ko) El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544459B (zh)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以及显示装置
JP2003228324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