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48B1 -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148B1
KR101707148B1 KR1020150109142A KR20150109142A KR101707148B1 KR 101707148 B1 KR101707148 B1 KR 101707148B1 KR 1020150109142 A KR1020150109142 A KR 1020150109142A KR 20150109142 A KR20150109142 A KR 20150109142A KR 101707148 B1 KR101707148 B1 KR 101707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idewall
mounting apparatus
housing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006A (ko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품장착장치(20)는 자동차용 블럭(10)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12) 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14)을 제1측벽(16)과 제2측벽(18)이 형성하는데, 상기 제1측벽(16)과 제2측벽(18)이 서로 직교하게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제1측벽(16)과 마주보게 제1격벽(21)이 하우징(12)의 바닥판(15)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18)과 마주보게 제2격벽(22)이 역시 바닥판(15)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측벽(16), 제2측벽(18), 제1격벽(21) 및 제2격벽(22)이 형성하는 안착공간(24)의 바닥은 이에 장착되는 부품(30)의 외면중 가장 면적이 좁은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장착장치(20)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품(30)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외면이 바닥판(15)이 안착되므로 부품장착장치(20)가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자동차용 블럭의 바닥판(15)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과 부품(30)을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장착하더라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Parts mounting apparatus for block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는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블럭에는 릴레이, 저항, 퓨즈 등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부품들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가 생산되면서, 자동차용 블럭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도 다양하게 된다. 즉, 자동차용 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면적은 넓으면서 높이는 낮게 되도록 되거나, 면적은 좁으면서 높이는 높게 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맞추기 위해서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를 최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084891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적을 최소로 하여 부품이 장착되도록 하는 부품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품을 자동차용 블럭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품이 장착되는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벽과 제2측벽이 만나 모서리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게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격벽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게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격벽이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협력하여 형성하는 안착공간과, 상기 제1격벽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부품의 길이방향 일단부 외면에 고정턱이 걸어져 부품을 상기 안착공간에 고정하는 고정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의 면적과 형상이 상기 부품의 길이방향 타단부 외면이고 외면중 가장 면적이 작은 외면의 면적 및 형상과 같도록 되고,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서로 직교하게 만나는 제1측벽과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고 상기 제2측벽에 일단부가 일체로 되는 제1격벽 그리고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고 상기 제1측벽에 일단부가 일체로 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격벽에 연결되는 제2격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에는 개구부가 상기 제2격벽의 상단에서부터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부품과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커넥터가 결합되는 연결레그가 관통하여 위치된다.
삭제
상기 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부품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리브가 형성된다.
삭제
상기 고정레그는 상기 제1격벽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2격벽의 최상단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품의 외면중 가장 좁은 면적을 가지는 면이 하우징의 바닥판에 안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품장착장치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의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어 자동차용 블럭의 바닥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품을 자동차용 블럭에서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고 있는데, 부품장착장치의 모서리가 자동차용 블럭의 모서리를 공유하도록 구성되므로 자동차용 블럭의 바닥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부품장착장치의 외관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따라서,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부품이 설치되더라도 부품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품장착장치의 안착공간에 안착된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레그가 부품의 일측에만 있어도 된다. 이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품의 일단부는 하우징의 바닥에 안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레그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을 안착공간에 삽입하고 분리해 내는 것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특히, 부품의 외면과 안착공간의 내면의 접촉은 상기 안착공간이 내면에 상기 부품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리브(27)에서만 이루어진다. 즉, 부품과 안착공간의 내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저항이 거의 없으므로 부품의 삽입과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장착장치가 채용된 자동차용 블럭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하우징의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장착장치에 장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장착장치에 부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장착장치에 부품이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차용 블럭(10)의 골격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상기 하우징(12)의 상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본 발명의 부품장착장치 등 다양한 구성이 구비되고 필요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을 차폐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바닥을 바닥판(15)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15)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제1측판(16)과 제2측판(18)이 있어 상기 내부공간(14)을 형성한다. 상기 제1측판(16)과 제2측판(18)은 대략 사각형의 판상이나 완전한 판형상은 아니다. 상기 제1측판(16)은 제2측판(18)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것으로 상기 바닥판(15)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2측판(18)은 제1측판(16)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데,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측판(16)과 제2측판(18)은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모서리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공간(14)에는 부품장착장치(20)가 있다. 상기 부품장착장치 (20)는 상기 바닥판(15) 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측판(16)과 제2측판(18)이 직교하게 만나는 모서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16)과 마주보게 제1격벽(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판(16)과 마주보게 제2격벽(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격벽(21)과 제2격벽(22)은 상기 제1측판(16) 및 제2측판(18)과 거의 같은 높이로 상기 바닥판(15)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격벽(21), 제2격벽(22) 그리고 상기 제1측판(16)과 제2측판(18)에 의해 안착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24)의 바닥은 상기 바닥판(15) 상에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부품몸체(32)의 외면중 가장 면적이 좁은 외면과 같은 형상과 면적을 가진다. 상기 부품몸체(32)는 육면체 형상이어서 외면은 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제2격벽(22)에는 개구부(26)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6)는 상기 제2격벽(22)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바닥판(15)까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개구부(26)의 하단이 반드시 상기 바닥판(15)까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닥판(15)에서 일정 높이까지는 상기 제2격벽(22)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격벽(22)에 개구부(26)가 형성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연결레그(34)의 이동시에 간섭이 없도록 하고 상기 안착공간(24)의 외부로 연결레그(34)가 돌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공간(24)의 내면, 즉, 상기 제1측판(16), 제2측판(18), 제1격벽(21), 제2격벽(22)의 내면에는 각각 고정리브(27)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27)는 상기 안착공간(24)의 내외부로 부품(30)이 쉽게 이동하면서도 장착시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리브(27)는 상기 안착공간(24)의 내면에 부품(30)의 삽입 및 분리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격벽(21)에는 고정레그(28)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레그(28)는 상기 제1격벽(21)의 상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레그(28)는 상기 제1격벽(21)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레그(28)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외팔보이고 판형상으로 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레그(28)에는 고정턱(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턱(29)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일측 외면에 걸어져서 부품(30)이 안착공간(24)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턱(29)의 끝부분에서 상기 고정레그(28)의 자유단부까지는 소정의 경사가 있다. 상기 경사는 부품(30)에 안내되면서 상기 고정레그(28)가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착공간(24)에 안착되는 부품(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부품(30)의 외관과 골격을 부품몸체(32)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몸체(32)는 길쭉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부품몸체(32)가 육면체 형상이므로 외면들은 모두 사각형이다. 상기 부품몸체(32)의 외면 중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면과 형상과 면적이 동일하게 상기 안착공간(24)의 바닥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몸체(32)의 일측 외면으로는 연결레그(3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레그(34)는 2개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레그(34)는 부품(30)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레그(34)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부품(30)은 시멘트 저항이다. 하지만, 상기 부품(30)이 반드시 시멘트저항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다른 기능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레그(34)에는 연결커넥터(35)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커넥터(36)에는 와이어(36)가 연결되어 자동차용 블럭(10) 내부의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부품(30)은 상기 부품장착장치(20)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커넥터(35)를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자동차용 블럭(10) 내의 회로에서 상기 부품(30)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부품(30)이 상기 하우징(12)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부품장착장치(20)의 안착공간(24)으로 상기 부품(30)이 삽입되기 위해서는 상기 부품(30)의 부품몸체(32)에서 가장 면적이 좁은 외면이 상기 안착공간(24)의 입구와 마주보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부품(30)의 연결레그(34)가 상기 제2격벽(22)의 개구부(26)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한다.
상기 부품(30)을 상기 안착공간(24)의 내부로 넣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고정레그(28)를 탄성변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품(30)의 일측 외면이 상기 고정레그(28)의 고정턱(29)에 있는 경사를 따라 안내된다.
상기 고정레그(28)의 고정턱(29)에 부품(30)의 일측 외면이 안내되면, 상기 고정레그(28)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부품(30)이 상기 안착공간(24)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부품(30)이 상기 안착공간(24)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상기 부품몸체(30)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리브(27)가 접촉되어 마찰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몸체(30)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리브(27)들만이 접촉되므로, 상기 부품(30)이 상기 안착공간(24)의 내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마찰면적은 최소화된다.
상기 부품(30)의 외면중 가장 면적이 작은 외면이 상기 안착공간(24)의 바닥에 해당되는 바닥판(15)에 안착되거나 가장 근접했을 때 상기 고정레그(28)는 상기 부품몸체(32)의 일측 외면을 통과해서 상기 바닥판(15)에 안착된 외면과 반대쪽의 외면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부품(30)의 연결레그(34)에 상기 연결커넥터(35)가 연결되면 외부와 부품(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연결레그(34)에 상기 연결커넥터(35)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30)을 상기 안착공간(24)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개구부(36)가 상기 제2격벽(22)의 상단에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부품(30)이 부품장착장치(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필요시에 상기 부품(30)을 상기 부품장착장치(20)에서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레그(28)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고정턱(29)이 상기 부품(3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부품(30)을 상기 안착공간(24)에서 빼내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자동차용 블럭 12: 하우징
14: 내부공간 15: 바닥판
16: 제1측판 18: 제2측판
20: 부품장착장치 21: 제1격벽
22: 제2격벽 24: 안착공간
26: 개구부 27: 고정리브
28: 고정레그 29: 고정턱
30: 부품 32: 부품몸체
34: 연결레그 35: 연결커넥터
36: 와이어

Claims (5)

  1.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품이 장착되는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벽과 제2측벽이 만나 모서리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게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격벽과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게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격벽이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협력하여 형성하는 안착공간과,
    상기 제1격벽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부품의 길이방향 일단부 외면에 고정턱이 걸어져 부품을 상기 안착공간에 고정하는 고정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의 면적과 형상이 상기 부품의 길이방향 타단부 외면이고 외면중 가장 면적이 작은 외면의 면적 및 형상과 같도록 되고,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서로 직교하게 만나는 제1측벽과 제2측벽, 상기 제1측벽과 마주보고 상기 제2측벽에 일단부가 일체로 되는 제1격벽 그리고 상기 제2측벽과 마주보고 상기 제1측벽에 일단부가 일체로 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격벽에 연결되는 제2격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에는 개구부가 상기 제2격벽의 상단에서부터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부품과 외부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커넥터가 결합되는 연결레그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부품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리브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그는 상기 제1격벽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2격벽의 최상단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장착장치.
KR1020150109142A 2015-07-31 2015-07-31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 KR101707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42A KR101707148B1 (ko) 2015-07-31 2015-07-31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42A KR101707148B1 (ko) 2015-07-31 2015-07-31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06A KR20170015006A (ko) 2017-02-08
KR101707148B1 true KR101707148B1 (ko) 2017-02-15

Family

ID=5811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42A KR101707148B1 (ko) 2015-07-31 2015-07-31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275B2 (ja) * 1991-08-26 1997-02-05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用電気接続装置
JP3286174B2 (ja) * 1996-08-20 2002-05-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の配線構造
KR100976511B1 (ko) * 2008-04-22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KR20100084891A (ko) 2009-01-19 2010-07-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06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3131A1 (en) Connector
US9764651B2 (en) Electric vehicle charger
CN104242189B (zh) 电气接线盒
US9699930B2 (en) Electric device system
CN110277278B (zh) 插座
JP2018152216A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WO2014142251A1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子部品
CN107615607B (zh) 电连接箱及电连接箱的防水结构
CN105633705A (zh) 具有稳定构件的连接器以及组装的方法
US20170250504A1 (en) Joint connector
US9819123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wings displaceably mounted in surrounding portions of a support to facilitate alignment with a mating housing
JP2018107948A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707148B1 (ko)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
JP5884137B2 (ja) 電気接続箱
CN109564812B (zh) 线圈组装体、电路结构体及电气接线箱
KR101561046B1 (ko) 자동차용 블럭
JP2019050660A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9142943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103387B2 (ja) 保護ケース
CN110513375A (zh) 保护器以及保护器的安装结构
KR20170072753A (ko) 기판실장형 조인트장치
JP6871230B2 (ja) 電気接続箱
JP6940339B2 (ja) 電子部品の収納構造
JP6262100B2 (ja) 電気接続箱
JP7042407B2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