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910B1 -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910B1
KR101706910B1 KR1020140179923A KR20140179923A KR101706910B1 KR 101706910 B1 KR101706910 B1 KR 101706910B1 KR 1020140179923 A KR1020140179923 A KR 1020140179923A KR 20140179923 A KR20140179923 A KR 20140179923A KR 101706910 B1 KR101706910 B1 KR 10170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ing
vehicle
unit
lock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986A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102014017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9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pressure on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의 착석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제1센서부; 착석한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제2센서부; 승객이 탑승한 차량의 주행을 잠금하는 주행록킹부;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주행록킹부를 제어하는 주행록킹제어부;가 포함되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에 제1센서부의 착석신호 및 제2센서부의 안전벨트 착용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상기 주행록킹부에 대하여 록킹해제 신호를 제공하여 주행록킹이 해제상태로 절환됨으로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DRIVING LOCKING SWITCHING SYSTEM BY WEARING SAFETY BELT}
본 발명은 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록킹이 절환됨으로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여야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승객으로 하여금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전벨트는 그 중요성이 이미 검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주행중에는 필수불가결의 착용의무를 부과하여 사고시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 하여야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운전자를 포함하여 모든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운전자나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아니하고 차량을 운전하거나 탑승한 경우 차량 내부 안내음향을 통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의무를 안내, 권고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좌석이 복수인 차량의 경우 뒷좌석을 포함한 전좌석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미착용 좌석을 일일이 단속하기 어려워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의무의 강제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교통안전의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종래 특허 제90-007449호에 좌석감지부 및 안전벨트감지부의 신호를 지연릴레이부에서 지연시켜 안전벨트미착용 승객에게 안전벨트 착용의 안내방송기부가 방송되게 하고, 계속 미착용시 지연릴레이부가 작동되어 방향지시등 릴레이부를 작동시켜 운행중인 차를 정차시켜 안전벨트를 착용토록 하며, 운전자가 이를 무시할시 지연릴레이부를 통하여 59초 카운터 다운부가 구동되어 59초 동안 카운터 다운이 끝다면 릴레이에 의하여 제동제어기부가 가동되어 일정이상의 속도를 내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벨트를 착용케하도록 한 자동차 안전벨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운행중인 차를 정차시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므로 이미 출발한 차량을 다시 정차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고 제동제어기부를 통하여 제동제어 장치가 작동하여, 자동차의 속력을 일정수준이하로 제어케 되게 함으로써 다수의 차량이 도로를 주행중인 경우 주행중인 다수의 차량에는 속도가 일정수준 이하로 제어되는 차량과 속도가 제어되지 않는 차량이 혼재하게 되어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따라 차량별로 주행속도가 각각 다르게 되는 결과 원활한 교통흐름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 제10-1345537호에 복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각 좌석에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대한 제 1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 좌석별로 압력 센서를 각각 구비하고, 차량의 출입문(도어)이 열린 후 사용자가 해당 좌석에 착석할 경우 그 압력 변화에 대한 제 1 센싱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제공하고, 좌석의 압력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평상시와 동일하게 압력 변화가 없는 제 1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센싱부와,복수의 온오프(on/off) 센서를 이용하여 각 좌석에 구비된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에 대한 제 2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량의 출입문(도어)이 열린 후 안전벨트의 결합클립과 버클이 체결될 경우 온 신호를 발생시키고, 결합클립과 버클이 착탈될 경우 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그 제 2 센싱 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2 센싱부와, 상기 제 1 센싱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 1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 좌석에 대응하는 상기 안전벨트에 대한 상기 제 2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 여부를 판별한 후에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차량의 내부 및 외부에 현시하기 위한 내부 현시 제어신호 및 외부 현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내부 현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현시하고,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경고 표시등을 통해 현시하는 내부 현시부와, 상기 외부 현시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외부 측면에 각 좌석에 대응되는 복수의 표시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석한 좌석에 구비된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안전벨트가 착용되지 않은 좌석에 대응되는 해당표시등을 적색으로 발광시키는 외부 현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 현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안전벨트 착용 현시 장치는 안전벨트 체결 여부에 대한 내부 또는 외부 현시부를 통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내부 또는 외부에서 판별할 수 있는 데 그치고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는 여전히 승객의 의사결정에 따르는 자유로운 영역으로 유보되어 승객의 자율적인 착용을 기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안전벨트의 착용을 구속하여 강제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더욱이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은 운전자 및 승객이 모두 일반적으로는 인지하고 있으나 안전벨트 미착용 운전자 또는 승객의 대부분은 차량 출발 이전 안전벨트 착용 의무를 순간적으로 망각하여 간과하고 차량 출발 이후 운전하는 중에 비로소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를 환기하여 뒤늦게 착용하거나 미처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를 환기하지 못하고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 그대로 차량주행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원천적인 방법을 통하여 승객의 안전벨트의 착용을 구속하여 강제하는 효과를 가지며 차량 출발시 안전벨트 착용 의무를 순간적으로 망각하여 간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자연스럽게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지는 발명을 제안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전 필수불가결 하게 이루어지는 착석, 시동, 변속, 출발, 주행의 일련의 단계에 있어서 차량의 출발 단계, 주행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해추돌, 피해추돌 및 전복사고 등의 발생을 대비하여 출발 단계의 사전에 즉 시동 단계, 변속 단계에서 안전벨트의 착용이 이루어져야만 다음 단계인 출발 단계, 주행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모든 차량의 모든 좌석에 100%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안전벨트 보증적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차량의 출발을 위하여 승객이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차량의 출발전 모든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주행록킹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중 운전자 또는 승객의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경우 주행의 연속성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주행록킹제어부를 필요에 따라 오프상태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차량 외부에서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판별하거나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의 온오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여부의 단속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안전벨트 착용안내부을 통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데 있다.
또한 다중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을 포함하여 차량에 있어서 각각의 좌석에서 승객이 안전벨트 착용을 안내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의 착석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제1센서부, 착석한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제2센서부, 승객이 탑승한 차량의 주행을 잠금하는 주행록킹부,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주행록킹부를 제어하는 주행록킹제어부가 포함되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에 제1센서부의 착석신호 및 제2센서부의 안전벨트 착용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상기 주행록킹부에 대하여 록킹해제 신호를 제공하여 주행록킹이 해제상태로 절환됨으로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차량의 좌석이 복수인 경우 운전자 좌석을 포함하여 모든 좌석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모든 좌석의 안전벨트 착용이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주행록킹부의 주행록킹을 해제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부는 리미트 스위치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소정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각각의 좌석에 대응하는 차량 내부의 상면 또는 차량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비접촉식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센서부는 안전벨트의 클립이 착탈결합되는 버클에 구비되어 클립과 버클의 결합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클에는 별도의 인증수단이 구비된 도난방지용 스토퍼수단이 구비되어 안전벨트의 클립 결합이 제한됨으로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로 차량의 주행신호를 제공하는 주행감지부가 더 포함되어 차량의 주행중에는 주행록킹부에 의한 주행록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부는 차량용 키박스의 시동을 잠금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변속장치의 기어변속을 잠금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부는 시동키의 회전단계가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키박스로서 시동회전시 소정의 단계에서 스토퍼수단으로 변위가 제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변속장치가 자동변속장치로서 P 또는 N레인지 상태에서 변속레버의 변위가 스토퍼수단으로 제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변속장치가 수동변속장치로서 시동을 위한 변속레버 조작시 변속단이 중립단 위치로부터 이루어지는 변속패턴 상에서 변속레버의 변위가 스토퍼수단으로 제한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박스의 시동을 잠금하는 장치는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을 변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여자전류를 통하여 자력을 작용시키는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에 따라 변위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어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을 스위칭하는 가동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나합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어 직동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캠, 상기 캠에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차량에 구비되는 콤프레샤, 상기 콤프레샤에 연결된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의 공압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되어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이 상기 공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차량에 구비되는 유압유니트, 상기 유압유니트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압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되어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이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속장치의 기어변속을 잠금하는 장치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을 변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여자전류를 통하여 자력을 작용시키는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에 따라 변위되고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어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을 스위칭하는 가동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나합되고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어 직동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고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캠, 상기 캠에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차량에 구비되는 콤프레샤, 상기 콤프레샤에 연결된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의 공압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되어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이 상기 공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차량에 구비되는 유압유니트, 상기 유압유니트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압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되어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이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또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은 직선운동에 의하여 출몰하며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또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대응하는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되는 경우 또는 회전운동에 의하여 출몰하며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또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대응하는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되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형성된 돌출부가 포함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수단에 출몰하며 걸림결합되는 경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홈부, 홀부 또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또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과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를 온오프 절환하는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를 온오프 절환하는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는 상기 주행감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감지부의 차량 주행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를 온오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감지부의 차량 주행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를 오프상태로 절환하는 경우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안내를 위하여 별도의 안전벨트 착용안내부용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에 연결되어 승객의 안전벨트 해제시 차량의 주행록킹을 설정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주행록킹타이머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는 주행록킹제어부 절환용 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 절환용 키박스는 차량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되 시동키로 절환이 가능하여 별도의 키가 구비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오프상태로 절환된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이 록킹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오프상태로 절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행록킹부가 록킹해제 초기위치 상태로 리셋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센서부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아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표시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외부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여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에 제1센서부의 착석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착석상태 표시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부가 착석상태 표시 또는 안전벨트 미착용 표시로 절환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에 제2센서부의 착용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안전벨트 착용완료 표시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부가 안전벨트 착용완료 표시로 절환되어차량 외부에서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대하여 판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차량의 하나 또는 복수의 좌석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차량의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여부 단속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문자, 숫자, 색채 또는 기호를 포함하여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표시를 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무선인식수단을 통하여 인식가능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져 차량 외부에서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대하여 판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한 광원으로 이루어지거나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와 연결되어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안전벨트 착용안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 착용안내부는 승객에게 음향을 전달하는 별도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차량의 내부 음향발생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상기 음향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부의 신호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로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로 부터 상기 음향발생장치에 안전벨트 착용 안내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를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경우 또는 좌석에 진동을 전달하는 별도의 진동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상기 진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부의 신호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로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로 부터 상기 진동장치에 안전벨트 착용 안내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신호를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경우 또는 각각의 좌석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식이 용이한 위치에 발광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상기 발광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부의 신호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로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로 부터 상기 발광장치의 점등과 소등의 교번점멸방식을 통하여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서 안전벨트의 착용을 안내하는 점멸신호를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져 승객에게 안전벨트 착용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향발생장치, 상기 진동장치 또는 상기 발광장치는 대중교통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각각의 좌석별로 구비됨으로서 각각의 좌석에서 승객이 안전벨트 착용을 안내받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은 디젤엔진자동차, 가솔린엔진자동차, 가스엔진자동차, 수소전지연료자동차,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자동차 및 메틸알콜엔진자동차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차종은 승용차, 버스, 트럭 및 승합차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부는 전기전자식 또는 기계식 방식을 포함하여 전기적 또는 물리적 힘으로 가해져 상기 차량의 출발을 개시하는 출발개시수단을 록킹하여 주행록킹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발개시수단은 출발 레버 또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전기 내지 전자식 보턴 또는 광학, 전기 내지 유압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은 변속 손잡이가 장치되고 차량변속기의 변속단을 전기 내지 전자식으로 선택 또는 조작하기 위한 변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손잡이의 기계적 변속운동을 광학, 전기 또는 유압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장치와 상기 신호의 전송수단으로 구성되는 변속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또는 전기 내지 전자식 변속보턴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서 상기 주행록킹부는 상기 변속기구 또는 변속보턴의 기계적 변속운동 또는 전기전자식 회로의 전기적 연결을 제한함으로서 주행록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된 효과는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자유로운 출발이 구속되어 차량을 출발시킬 수 없게 하여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출발을 위하여 모든 좌석의 안전벨트 착용이 강제되므로 차량의 출발전 모든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록킹 상태는 안전벨트의 클립이 버클에 결합되어야만 해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버클에는 별도의 인증수단이 구비된 도난방지용 스토퍼수단이 구비되어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별하여 주행록킹제어부로 차량의 주행신호를 제공하여 주행록킹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주행감지부가 더 포함되어 차량의 주행중 운전자 또는 승객의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경우에도 주행의 연속성에 영향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벨트를 착용할 필요없이 주행하여야 할 경우에는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를 통하여 주행록킹제어부를 오프상태로 절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구든지 표시부를 통하여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판별하거나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의 온오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표시를 하는 장치 또는 무선인식수단을 통하여 인식가능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부에 의하여 안전벨트 착용의무 위반 단속카메라를 통한 단속방법이나 안전벨트 착용의무 위반여부 단속자의 육안에 의한 차량의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여부 단속방법이나 무선인식수단을 이용한 단속방법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음향발생장치 ,진동장치 또는 발광장치를 통하여 안전벨트 착용 안내음향, 진동 또는 점멸신호를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 택시 등 다중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을 포함하여 차량에 있어서 각각의 좌석별로 안전벨트 착용안내부가 구비됨으로서 각각의 좌석에서 승객이 안전벨트 착용을 안내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는 본 실시예에 주행감지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3은 본 실시예에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실시예에 주행감지부 및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5은 안전벨트 해제시 주행록킹을 이루게 하는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6는 본 실시예에 표시부 및 안전벨트 착용안내부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안내부에 음향발생장치, 진동장치 및 발광장치가 포함된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승객은 운전자와 승객을 별도로 분리하여 기술하지 아니하는 한 각각의 좌석에 있어서 운전자 및 승객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는 먼저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착석여부에 대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제1센서부(110)가 구비된다. 승객의 착석시 제1센서부(110)는 승객의 착석여부를 판별하여 착석신호를 주행록킹제어부(130)에 제공한다.
또한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대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제2센서부(120)가 구비된다.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시 제2센서부(120)는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판별하여 착용신호를 주행록킹제어부(130)에 제공한다.
또한 승객이 탑승한 차량의 주행을 잠금하는 주행록킹부(140)가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자유로운 출발이 구속되어 차량을 출발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센서부(110)와 제2센서부(120)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주행록킹부(140)를 제어하는 주행록킹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에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 및 제2센서부(120)의 착용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주행록킹부(140)에 대하여 록킹해제 신호를 제공하여 주행록킹이 해제상태로 절환됨으로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해진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주행록킹부(140)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별도로 분리되지 아니하고 상기 주행록킹부(140)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가 일체로 이루어져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20)의 신호를 제공받아 안전벨트의 착용에 의하여 주행록킹의 절환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좌석에 착석했는데도 불구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아니한 경우 주행록킹부(140)에 의하여 차량의 자유로운 출발이 제한된다.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필요에 따라 승용차 차량의 좌석이 복수인 경우 운전자 좌석을 포함하여 모든 좌석의 상기 제1센서부(110)와 제2센서부(120)의 신호를 제공받아 모든 좌석의 안전벨트 착용이 판별된 경우에만 상기 주행록킹부(140)의 주행록킹을 해제상태로 절환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출발을 위하여 모든 좌석의 안전벨트 착용이 강제되므로 차량의 출발전 모든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를 제공받아 차량에 승객의 탑승여부를 판별하므로 승객이 탑승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2센서부(120)의 착용신호가 제공되지 아니하여도 주행록킹 여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즉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가 제공된 좌석에 대하여만 제2센서부(120)의 신호가 제공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모든 좌석에 대하여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판별하므로 승객이 착석하지 아니한 좌석에 대하여는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관한 제2센서부(120)의 신호가 주행록킹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상기 제1센서부(110)는 좌석의 착석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소정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또는 각각의 좌석에 대응하는 차량 내부의 상면 또는 차량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비접촉식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좌석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촉식센서이고, 압력센서는 좌석이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변형을 소정의 소자가 감지하여 소정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이고, 비접촉식센서는 승객의 착석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2센서부(120)는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안전벨트의 클립이 착탈결합되는 버클에 구비되어 클립과 버클의 결합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웨빙에 가동가능하게 부착된 안전벨트 클립에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버클의 내부에 상기 걸림홀을 관통해서 고정시키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가능한 버클레치가 포함되어 버클의 내부에 클립이 삽입되면 상기 버클레치가 걸림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걸림홀에 상기 버클레치가 결합되고 상기 버클에 형성되는 이탈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버클레치가 반대방향으로 변위되어 클립의 결합홀에서 버클레치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버클레치의 걸림방향 변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안전벨트 착용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는 접촉식의 스위치센서, 자성을 띈 검출체를 이용하여 이격거리에 따른 변화값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감지센서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차량의 주행록킹 상태는 안전벨트의 클립이 버클에 결합되어야만 해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버클에는 별도의 인증수단이 구비된 도난방지용 스토퍼수단이 구비되어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난방지용 스토퍼수단은 별도의 인증수단을 통하여 안전벨트의 클립 결합을 제한함으로서 차량의 주행록킹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클의 내부에서 상기 버클레치의 걸림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도난방지용 스토퍼수단을 통하여 상기 버클레치의 변위를 구속하여 제한하면 상기 상기 버클의 내부에 클립이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안전벨트 클립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상기 인증수단은 별도로 마련되는 삽입회전방식의 해제키, 인증정보가 저장된 칩을 포함하는 카드키, 패스워드의 입력방법 통한 인증장치, 지문, 홍채, 성문 등의 생체정보인식장치, RFID 내지 NFC 등의 무선인식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인식시스템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도난방지용 스토퍼수단은 상기 버클의 클립 인입부에 출몰하며 상기 클립의 결합을 제한하는 도난방지용 스토퍼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 운전자 또는 승객의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경우 주행의 연속성에 영향이 없도록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차량의 주행신호를 제공하는 주행감지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행감지부(150)는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또는 모터 회전수 감지 센서, 변속 장치 내부의 변속 기어의 입력 및 출력 속도를 각각 감지하는 변속 기어의 입력측 속도 센서 및 출력측 속도 센서, 바퀴축에 접속되어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 감지 센서 또는 스피드 미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출력 기어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 센서 등의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별하여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필요 따라 복수의 센서가 조합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주행감지부(150)는 각각의 엔진 또는 모터 회전, 입력 기어 회전, 출력 기어 회전, 바퀴 회전 또는 스피드 미터 내부의 출력 기어 회전 변위로부터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주행감지부(150)의 차량 주행신호를 제공받게 되면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판별하는 제2센서부(120)로 부터 제공되는 신호와 관계없이 차량의 주행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주행록킹부(140)로 록킹신호를 제공하지 아니한다.
차량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엔진기동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주행감지부(150)는 차량이 정지중인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에 차량 정지신호를 제공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20)로 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제공받은 신호에 따라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판별하여 그에 따라 주행록킹부(140)에 록킹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엔진기동 중 신호대기 등을 위하여 차량의 일시적 정지시 주행록킹부(140)로 록킹신호를 제공하여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주행의 연속성을 위하여 신호대기 등을 위한 차량의 일시적 정지시에는 상기 주행록킹부(140)로 록킹신호를 제공하지 아니하고 엔진기동 까지 정지되어야 주행록킹부(140)로 록킹신호를 제공하도록 하여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중 안전벨트의 해제시 일률적으로 주행록킹부(140)에 의한 주행록킹이 이루어지면 교통안전에 위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중에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주행의 연속성에 영향이 없도록 하고 다만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안전벨트의 착용을 권고하도록 안전벨트 착용안내부(400)에 안내신호를 제공하여 안전벨트 착용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중에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경우 음향발생장치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중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여야 인명의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와 같은 안내멘트가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제2센서부(120)의 안전벨트 착용신호의 제공이 있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행록킹부(140)는 차량의 주행을 록킹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여 그 실시예에 제한됨이 없고 예를 들어 차량용 키박스의 시동을 잠금하는 장치인 경우 또는 변속장치의 변속레버 시프트를 잠금하는 장치인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동키의 회전단계가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키박스로서 시동회전시 소정의 단계에서 스토퍼수단으로 변위가 제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변속장치가 자동변속장치로서 P 또는 N레인지 상태에서 변속레버의 변위가 스토퍼수단으로 제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변속장치가 수동변속장치로서 시동을 위한 변속레버 조작시 변속단이 중립단 위치로부터 이루어지는 변속패턴 상에서 변속레버의 변위가 스토퍼수단으로 제한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실시될 수 있다.
즉 키박스가 구비된 자동차의 경우 시동을 위하여 키박스에 삽입된 시동키의 회전 단계에 따라 통상적으로 LOCK/ACC/ON/START 의 4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시동키가 삽입되어 시동키의 요철굴곡에 각각 면접촉하는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가 정렬상태를 이루면 시동키의 회전시 시동스위칭을 이루는 회로구조에 로터의 접촉을 이루게 하는 캠 샤프트의 회전을 이루게 하므로 상기 캠 샤프트에 걸림수단으로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터케이스에 상기 요부로 연통하는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으로 출몰하고 상기 요부에 걸림되는 스토퍼수단을 통하여 소정단계에서 시동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키박스가 없거나 턴키방식이 아닌 스마트 키나 인텔리전트 키등의 경우에도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하는 시동스위칭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을 통한 주행록킹의 실시예가 가능하고 또한 스토퍼수단을 통하여 변속레버의 변위를 제한함으로서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박스의 시동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이 안전스토퍼핀인 경우 상기 키박스의 시동을 잠금하는 장치는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을 변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여자전류를 통하여 자력을 작용시키는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에 따라 변위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어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을 스위칭하는 가동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나합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어 직동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캠, 상기 캠에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차량에 구비되는 콤프레샤, 상기 콤프레샤에 연결된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의 공압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되어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이 상기 공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차량에 구비되는 유압유니트, 상기 유압유니트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압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이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변속장치가 자동변속장치 또는 수동변속장치인 경우 변속레버의 변위가 스토퍼수단에 의하여 구속되어 제한될 수 있도록 변속장치 내부의 소정위치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진 변속레버의 측방으로 부터 구동부를 통하여 출몰하는 스토퍼수단에 변속레버가 걸림되도록 함으로서 1스테이블 또는 2스테이블 등 소정의 변속패턴 상에서 변속레버가 시프트되어 위치될 지점들 사이로 돌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토퍼수단을 통하여 변속레버의 변위를 제한함으로서 차량의 주행록킹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의 변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수단이 안전스토퍼핀인 경우 상기 변속장치의 기어변속을 잠금하는 장치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을 변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소정의 여자전류를 통하여 자력을 작용시키는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에 따라 변위되고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어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을 스위칭하는 가동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나합되고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어 직동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고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정역회동에 따라 구동되는 캠, 상기 캠에 미끄럼접촉하고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차량에 구비되는 콤프레샤, 상기 콤프레샤에 연결된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의 공압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되어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이 상기 공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차량에 구비되는 유압유니트, 상기 유압유니트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유압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이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또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은 직선운동에 의하여 출몰하며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또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대응하는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되는 경우 또는 회전운동에 의하여 출몰하며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또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에 대응하는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되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형성된 돌출부가 포함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수단에 출몰하며 걸림결합되는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수단은 홈부, 홀부 또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또는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행록킹부(140)의 실시예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휠에 이르는 파워트레인에 있어서 일련의 설계 변경에 이르지 아니하고도 간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종래의 차량에도 부가되어 주행록킹을 보증할 수 있는 소정개소로서 키박스 내지 변속장치에 부가되어 주행록킹을 이루게 하는 실시예를 소개한 것이며 이와같이 상기 주행록킹부(140)는 차량의 주행을 잠금하는 구성으로서 차량에 대한 최소한의 부가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를 온오프 절환하는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안전벨트를 착용할 필요없이 주행하여야 할 경우에는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를 통하여 주행록킹제어부(130)를 오프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벨트 시스템의 이상유무 점검, 정기적인 차량 점검 및 정비, 차량이상 발생시 이상부품의 진단, 차량의 연구 개발 등에는 주행록킹제어부(130)를 오프상태로 절환하여 안전벨트의 착용과 관계없이 차량을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가 오프상태로 절환되면 상기 주행록킹부(140)는 차량의 주행록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원복하여 차량의 주행록킹을 위한 기술적 구성, 예를 들어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및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이 구동부로 연결되어 출몰하는 구성 등에 있어서 상기 주행록킹부(140)가 차량의 주행에 영향이 없는 록킹해제 초기위치 상태로 상기 구동부를 통하여 리셋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주행록킹부(140)의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및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이 임의의 위치에 걸림되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를 통하여 리셋기동하게 되면 상기 키박스용 안전스토퍼핀 및 변속장치용 안전스토퍼핀이 구동부에 의하여 록킹해제 초기위치 상태로 복귀됨에 더하여 록킹해제 초기위치 상태로 원복시키는 리셋기동 과정을 통하여 주행록킹부(140)의 고장여부의 진단이 용이하고 상기 주행록킹부(140)의 오작동시에도 상기 주행록킹부(140)용 절환부를 통하여 상기 주행록킹부(140)를 오프상태로 절환함으로서 차량주행의 연속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는 온오프 버튼으로 손쉽게 절환가능하도록 하는 등 실시예에 제한됨이 없고 예를 들어 주행록킹제어부(130) 절환용 키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 절환용 키박스는 차량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되 시동키로 절환이 가능하여 별도의 키가 구비될 필요가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가 오프상태로 절환된 경우에는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에 오프신호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가 오프상태로 절환되어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이 록킹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상기 주행감지부(150) 및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가 포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중 안전벨트의 해제시 일률적으로 주행록킹부(140)에 의한 주행록킹이 이루어지면 교통안전에 위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중에 안전벨트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주행의 연속성에 영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 주행 중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에 대하여 오프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감지부(150)의 차량 주행신호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로 차량 주행신호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를 오프상태로 절환하도록 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주행록킹부(140)로 록킹신호를 제공하지 않게 되므로 차량의 주행중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따른 주행록킹이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주행의 연속성에는 영향이 없게 된다.
상기 주행감지부(150)의 차량 주행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를 오프상태로 절환하는 경우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안내를 위하여 별도의 안전벨트 착용안내부용 제어부(500)를 구비하여 상기 안전벨트 착용안내부용 제어부(500)가 상기 제2센서부(120)의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아 안전벨트 착용안내부(400)에 안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5를 참조하여, 안전벨트가 해제된 경우 차량의 주행록킹에 관하여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차량의 주행중인 경우에는 주행의 연속성을 위하여 주행록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이 정지된 경우에는 주행감지부(150)가 구비된 경우 차량의 일시적 정지시에도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신호대기 등 일시적 정지시에도 안전벨트를 해제하면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의 엔진기동까지 정지되어야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엔진기동을 오프시켜 정지되면 주행록킹을 이루게 한다. 다음으로 주행감지부(15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안전벨트의 버클에서 클립이 해제되면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센서부(110)에 의하여 승객이 착석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행록킹을 유보하다가 상기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가 더이상 제공되지 않으면 유보된 주행록킹을 이루게 한다. 다음으로 주행감지부(15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를 통하여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안전벨트가 해제된 경우 바로 주행록킹을 이루게 하는 것이 아니라 주행록킹 미동작으로 유지되고 승객이 하차 후 다시 승차하여 상기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가 제공되면 바로 주행록킹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는 동시에 차량의 주행록킹을 이루게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주행록킹을 이루게 하는 시점을 필요에 따라 설정시간 동안 지연하여 실시할 수 있는 주행록킹타이머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행록킹타이머부는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에 연결되고 승객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록킹이 이루어지는 유보된 시점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일시적으로 차량의 좌석으로 부터 이탈하거나 속도방지턱 등에 의하여 상기 제1센서부(110)의 신호제공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 등에 있어서 주행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벨트가 해제된 경우 차량의 주행록킹은 상기 주행감지부(150) 및 주행록킹타이머부가 구비된 경우 차량의 일시적 정지로부터 설정시간 지연된 후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감지부(150) 및 주행록킹타이머부가 구비된 경우 차량의 엔진기동 정지로부터 설정시간 지연 후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감지부(150)가 구비되지 않았으나 주행록킹타이머부가 구비된 경우 안전벨트 버클로부터 클립이 해제되고 제1센서부(110)의 신호제공이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 지연된 후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감지부(150)가 구비되지 않았으나 주행록킹타이머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를 제공받은 후로부터 설정시간 지연된 후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상기 주행록킹에 관한 모든 실시예로부터 차량의 구성, 운행방법, 승객의 특성 및 다과, 승객의 차량이용 양태, 차량의 일시적정지 빈도, 교통상황 등 제반여건을 고려하여 교통안전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 제2센서부(120)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받아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표시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외부에서도 판별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표시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여 외부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용 표시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용 표시부(300)를 소정의 계기판으로서 일측과 타측에 각각 온오프 위치표시를 형성한 후 온오프 위치표시를 왕복 스위칭하며 지시하는 지침을 구비하도록 형성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칭 되는 지침의 현재 위치를 통하여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표시부(300)를 통하여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판별하거나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150)의 온오프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에 제1센서부(110)의 착석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표시부(300)에 착석상태 표시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부(300)가 착석상태 표시 또는 안전벨트 미착용 표시로 절환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에 제2센서부(120)의 착용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표시부(300)에 안전벨트 착용완료 표시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표시부(300)가 안전벨트 착용완료 표시로 절환되어 착석된 좌석의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를 외부에서도 인식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외부에서도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대하여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차량의 모든 좌석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인식가능하도록 차량의 하나 또는 복수의 좌석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300)에 의하여 안전벨트 착용의무 위반 단속카메라를 통한 단속방법이나 안전벨트 착용의무 위반여부 단속자의 육안에 의한 차량의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여부 단속이 용이하다.
상기 표시부(300)는 실시예에 제한됨이 없으며 예를 들어 문자, 숫자, 색채 또는 기호를 포함하여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표시를 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무선인식수단을 통하여 인식가능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300)는 LED 등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한 광원으로 이루어지거나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인식수단을 통하여 인식가능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 내지 상기 제2센서부(120)로부터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받는 RFID 태그 및 상기 태그의 데이터 정보를 독출하는 판독기 등 무선인식유닛을 통하여 소정의 주파수대의 정보를 송수신 하여 안전벨트 착용의무 위반에 대한 단속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인식유닛은 차량의 외면에 설치되는 경우 바람의 저항이 최소화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안전벨트 착용안내부(4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 착용안내부(400)는 승객의 시각, 청각, 촉각 등을 통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에 관하여 주의를 환기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 실시예에는 제한됨이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하는 안전벨트 착용안내부(400)로 연결되고 상기 안전벨트 착용안내부(400)에는 승객에게 음향을 전달하는 별도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차량의 내부 음향발생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음향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부(110)의 신호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부터 상기 음향발생장치에 안전벨트 착용 안내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를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좌석에 진동을 전달하는 별도의 진동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진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부(110)의 신호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부터 상기 진동장치에 안전벨트 착용 안내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신호를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좌석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식이 용이한 위치에 발광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상기 발광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부(110)의 신호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부터 상기 발광장치의 점등과 소등의 교번점멸방식을 통하여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서 안전벨트의 착용을 안내하는 점멸신호를 제공하여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 착용안내부(400)는 음향발생장치, 진동장치 또는 발광장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거나 필요에 따라 음향발생장치, 진동장치 및 발광장치가 복수로 조합되어 이루어져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별도의 음향발생장치 또는 차량의 내부 음향발생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부(110)의 신호가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로 제공되면 상기 음향발생장치에 안전벨트 착용 안내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신호를 제공하므로 예를 들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130)는 제1센서부(110)로 부터 착석신호를 제공받은 후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전 제2센서부(120)의 착용신호를 제공받을 때까지 상기 음향발생장치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안내음향으로 "안전한 차량운행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세요"등의 안내멘트, 멜로디 등 다양한 실시예의 안내음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주행록킹부(140)는 시동키의 회전단계가 복수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키박스로서 시동회전시 소정의 단계에서 스토퍼수단으로 변위가 제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변속장치가 자동변속장치로서 P 또는 N레인지 상태에서 변속레버의 변위가 스토퍼수단으로 제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변속장치가 수동변속장치로서 시동을 위한 변속레버 조작시 변속단이 중립단 위치로부터 이루어지는 변속패턴 상에서 변속레버의 변위가 스토퍼수단으로 제한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 안내멘트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여야 시동키가 회전합니다." 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여야 변속장치가 작동합니다."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좌석을 가진 차량의 경우 각 좌석의 명칭을 사전지정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하는 안내멘트에 있어서 제2센서부(120)의 착용신호를 제공받을 때까지 각 좌석의 사전지정된 명칭을 특정하여 호명하는 안내멘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벨트 착용안내부(400)에는 상기 음향발생장치, 상기 진동장치 또는 상기 발광장치가 포함되어 버스, 택시 등 다중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각각의 좌석별로 상기 음향발생장치, 상기 진동장치 또는 상기 발광장치가 구비됨으로서 각각의 좌석에서 승객이 안전벨트 착용을 안내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이 이루어져야만 차량의 출발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고속버스 내지 시외버스 차량의 출발시 안내멘트로 "0번 0번 0번 좌석의 안전벨트 미착용 승객께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시면 차량의 출발이 가능합니다."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제한됨이 없으며 예를 들어 디젤엔진자동차, 가솔린엔진자동차, 가스엔진자동차, 수소전지연료자동차,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자동차 및 메틸알콜엔진자동차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차종은 승용차, 버스, 트럭 및 승합차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이 전기자동차 등인 경우에는 엔진이 아닌 주행휠을 구동하는 주행모터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차량에 주행모터가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가능한 실시예이다.
상기 주행록킹부(140)는 전기전자식 또는 기계식 방식을 포함하여 전기적 또는 물리적 힘으로 가해져 상기 차량의 출발을 개시하는 출발개시수단을 록킹하여 주행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상기 출발개시수단은 출발 레버 또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전자식 보턴 또는 광학, 전기 내지 유압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은 변속 손잡이가 장치되고 차량변속기의 변속단을 전기 내지 전자식으로 선택 또는 조작하기 위한 변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손잡이의 기계적 변속운동을 광학, 전기 또는 유압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장치와 상기 신호의 전송수단으로 구성되는 변속기구를 가지고 있는 경우 또는 전기 내지 전자식 변속보턴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서 상기 변속기구 또는 변속보턴의 기계적 변속운동 또는 전기전자식 회로의 전기적 연결을 제한함으로서 상기 주행록킹부(140)에 의한 변속장치의 록킹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전기 내지 전자식으로 선택 또는 조작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차량에 있어서도 상기 주행록킹부(140)에 의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의 절환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안전벨트의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 시스템에 관한 기술적 사상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록킹을 절환하는 기술적 사상이 구체화 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 개별적 실시예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가능하며 그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10 : 제1센서부
120 : 제2센서부
130 : 주행록킹제어부
140 : 주행록킹부
150 : 주행감지부
200 :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
300 : 표시부
400 : 안전벨트 착용안내부
500 : 안전벨트 착용안내부용 제어부

Claims (34)

  1. 차량의 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의 착석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제1센서부;
    착석한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제2센서부;
    승객이 탑승한 차량의 주행을 잠금하는 주행록킹부;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주행록킹부를 제어하는 주행록킹제어부;가 포함되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에 제1센서부의 착석신호 및 제2센서부의 안전벨트 착용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상기 주행록킹부에 대하여 록킹해제 신호를 제공하여 주행록킹이 해제상태로 절환됨으로서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를 온오프 절환하는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는
    주행록킹제어부 절환용 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록킹제어부 절환용 키박스는 차량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되 시동키로 절환이 가능하여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는
    차량의 좌석이 복수인 경우 운전자 좌석을 포함하여 모든 좌석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모든 좌석의 안전벨트 착용이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주행록킹부의 주행록킹을 해제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리미트 스위치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소정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각각의 좌석에 대응하는 차량 내부의 상면 또는 차량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비접촉식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경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에 연결되어 승객의 안전벨트 해제시 차량의 주행록킹을 설정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주행록킹타이머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오프상태로 절환된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여부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이 록킹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록킹제어부용 절환부가 오프상태로 절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행록킹부가 록킹해제 초기위치 상태로 리셋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40179923A 2014-12-14 2014-12-14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KR10170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923A KR101706910B1 (ko) 2014-12-14 2014-12-14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923A KR101706910B1 (ko) 2014-12-14 2014-12-14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986A KR20160071986A (ko) 2016-06-22
KR101706910B1 true KR101706910B1 (ko) 2017-02-16

Family

ID=5636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923A KR101706910B1 (ko) 2014-12-14 2014-12-14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5973B2 (ja) * 2017-11-17 2021-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装置システム
CN108621791B (zh) * 2018-06-07 2023-06-13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车辆
KR102377773B1 (ko) * 2020-07-30 2022-03-22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좌석버스의 구동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288A (ja) * 2004-03-04 2005-09-15 Yoshi Amamiya 車両用シ−トベルト着用義務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857U (ja) * 1983-03-16 1984-09-26 日本繊維化工株式会社 安全ベルト
KR890011736A (ko) * 1988-01-27 1989-08-22 이재석 안전벨트 미착용시 시동 및 운행을 불가능케 하는 제어장치
JPH07251711A (ja) * 1994-03-16 1995-10-03 Hino Motors Ltd シートベルト未着用警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288A (ja) * 2004-03-04 2005-09-15 Yoshi Amamiya 車両用シ−トベルト着用義務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986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3094B (zh) 用于基于驾驶员身份控制电子稳定性控制的系统和方法
CN101503093B (zh) 用于基于驾驶员身份控制物体探测的系统与方法
CN201525349U (zh) 基于驾驶员身份控制盲点监测及交叉路口警报的系统
CN104245389B (zh) 机动车和涉及关闭机动车的动力装置的方法
CN102762417A (zh) 车辆远程操作系统以及车载机
US20150375703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706910B1 (ko)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주행록킹 절환시스템
EP3399510A1 (en) Detecting and signalling the presence of a passenger involuntarily left unattended in a motor vehicle
JP6636554B2 (ja) 車両の置き忘れ警報装置
US20080223645A1 (en) Automobile anti-theft and start control device to encourage wearing of seatbelts
US3784972A (en) Seat belt system
CN103770745B (zh) 车辆远程操作系统以及车载机
WO2012054431A2 (en) Cellular telephone detection and alarm activator for vehicular safety
US201201269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arly low fuel warning based on driver status
US7496431B2 (en) Rolling away protection after engine switch off and security device
JP4195842B2 (ja) エンジン始動・停止制御システム
JP201004705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キー照合不成立通知装置
JP2020192844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CN201712572U (zh) 一种安全带未系提醒装置
CN103538556B (zh) 一种汽车安全带认证式锁紧系统
CN210212325U (zh) 驾乘人员保护系统和具有其的全地形车
CN113147659A (zh) 安全带锁扣自动解锁方法、车载控制器及系统
ES2248027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puesta en marcha asistida de un vehiculo.
US20090043455A1 (en) Vehicle seatbelt usage technology
EP3170705B1 (en) Selective signalling method for a starter system of an engine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