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649B1 -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649B1
KR101706649B1 KR1020140148679A KR20140148679A KR101706649B1 KR 101706649 B1 KR101706649 B1 KR 101706649B1 KR 1020140148679 A KR1020140148679 A KR 1020140148679A KR 20140148679 A KR20140148679 A KR 20140148679A KR 101706649 B1 KR101706649 B1 KR 10170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isphenol
glucosinolate
glucuraphen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208A (ko
Inventor
임정호
양혜정
한규재
이옥환
박진주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6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07H1/08Separation; Purification from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93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63/195Bisphenol 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글루코시놀레이트, 특히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환경 호르몬 비스페놀 A에 의해 유발되는 독성 효과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과체중, 성장억제, 간독성, 저혈당 유발, 면역기능저하, 생식독성 및 면역독성 등 비스페놀 A 환경 호르몬 노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모든 건강 위해성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바, 약학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toxicity of bisphenol A comprising glucosinolate}
본 발명은 환경 호르몬에 의한 독성 효과를 유의하게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비스페놀 A는 대표적인 환경 호르몬으로서 인체 내에서 세포외 극성 독성 뿐만 아니라 내분비계 교란활성을 가진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스페놀 A]
Figure 112014104310738-pat00001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란 생명체의 내부에 들어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화학물질로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을 통칭한다. 환경 호르몬은 인체의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여성 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일으켜 호르몬 분비를 차단, 과잉, 과소 분비토록 하여 불임, 성기능 장애, 정자수 감소 등 생식기능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다. 이외에도 이에 노출되면 과체중, 성장억제, 간독성, 고환암, 유방암, 당뇨병, 면역기능 저하, 고지혈증, 요도하열, 잠복고한 및 기형아 출산 등을 초래하며, 야생동물에서도 성기기형, 암수 성비의 불균형, 짝짓기 감소, 동성간의 교배행위, 새끼 수의 감소, 수컷의 암컷화 등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비스페놀 A는 외인성 에스트로젠(estrogen)으로 에스트로젠 수용체에 결합하여 유사작용을 일으키는바, 즉, 유사호르몬을 만들어 고환을 축소시키고 수컷을 암컷화하는 것은 물론 암컷에서는 자궁 상피조직 이상증식을 유발하고 임신부의 독성이 태아로까지 이어져 잠재위험이 큰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이러한 환경 호르몬은 생체 호르몬과는 달리 쉽게 분해되지 않고 환경 및 체내에 수년간 잔류하며, 인체 등 생물체의 지방 및 조직에 농축되는 성질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Golden, R. J., et al., Crit. Rev. Toxicol., 28, pp109-227, 1998; Soto, A. M., et al., Environ. Health Perspect,92, pp167-173, 1991).
이러한 유해성과 독성에도 불구하고, 비스페놀 A는 에폭시 수지 및 플라스틱류 생산의 기초물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이며, 사용되는 산업 분야로는 자동차 부품, 젖병, 포장재, 치과용 수지, 병마개, 각종 플라스틱 등의 원료로 다양하다. 더욱이, pH 7의 수용액에서 300 mg/L의 고농도로 용해가능하여 생활 하수, 산업용 하수, 오염 토양 등에서 빈번하게 검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난분해성과 지방 친화성 특성으로 인해 그 위험 정도가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비스페놀 A 포함 환경 호르몬에 대한 독성방어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콜라비, 무순, 배추와 같은 십자화과(Cruciferae/Brassicaceae)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글루코스 및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래한 황 및 질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물에 잘 녹고, 글루코시드(glucoside)에 속한다. 자연에는 약 120가지의 서로 다른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알려져 있는데, 글루코라파닌(glucoraphanin, 4-methylsulfinyl-butyl GL), 글루코라페닌(glucoraphenin, 4-methylsulfinyl-3-butenyl GL) 등이 있으며, 아미노산(트립토판, 메싸이오닌, 페닐알라닌, 타이로신)으로부터 합성된다.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그 분해효소인 미로시나제는 정상적인 조건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조직이 파괴되면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미로시나제에 의해 분해되는데, 이때 포도당 계열이 분해되면서 남아 있는 분자는 싸이오사이안산염인 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 또는 나이트릴로 변화된다. 또한,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장내로 흡수되면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어 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가 형성되기도 한다.
[글루코시놀레이트(단, 상기 R은 다양함)]
Figure 112014104310738-pat00002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백혈구와 사이토카인의 조율 능력이 뛰어나며 유방, 간, 대장, 폐, 위, 식도 등에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비스페놀 A 독성 억제 효과에 관해서는 이제껏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글루코시놀레이트, 특히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 호르몬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루코시놀레이트, 특히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을 처리한 결과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이 유의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는바, 비스페놀 A에 의해 증가된 지방 축적량 및 활성산소종 생성량이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 처리에 따라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글루코시놀레이트, 바람직하게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예방, 개선, 치료용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고, 예컨대 약학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루코시놀레이트"에는 바람직하게 글루코라파닌 또는 글루코라페닌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루코시놀레이트", "글루코라파닌" 또는 "글루코라페닌" (이하, 다른 언급이 없는 이상, 이들 세 가지를 통칭하여 "글루코시놀레이트"라 칭함)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이상, 그 제조방법과 유래와는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화학적 또는 효소적으로 당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시판되고 있는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십자화과 식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십자화과 식물에는 무순, 배추, 콜라비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를 포괄하여 정의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는 글루코시놀레이트와 동일한 생물학적 기능 및/또는 활성을 갖거나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이상, 글루코시놀레이트의 프로드럭, 이들의 용매화물,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프로드럭"이란 투여 후 대사를 거쳐 소정 시간 내에 실험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양의 글루코시놀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글루코시놀레이트에 존재할 수 있는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을 말한다. 상기 산에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이 포함되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석신산, 석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메탄설폰산계 염을 포함하며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및 붕산계 염을 포함한다. 위와는 별도로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염기에는 무기염기 또는 유기염기가 포함되며, 상기 무기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알루미늄,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아민 등의 제1급아민, 디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의 제2급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tert-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억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스페놀 A의 독성에 기인한 질병, 증상 또는 장애는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대상 용도로 포함될 수 있다.
비스페놀 A는 체내에서 활성산소종을 증가시키는데,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동맥경화, 중풍, 심근 경색, 기미, 주근깨, 잔주름, 암, 백혈병, 교원병(collagen disease)(膠原病, 피부, 관절, 혈관 등 신체의 결합조직에 이상이 생기는 모든 질병), 남성의 생식 기능 저하 등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Harrison et al, Am J Cardiol, 2003. 2; 91(3A): 7A-11A; Behrend et al, Biochem Soc Trans, 2003. 12; 31: 1441-1444; Agarwal et al, Fertil Steril, 2003. 4; 79(4): 829-843). 뿐만 아니라, 체내 지방을 축적시키는데, 이로 인해 지방의 과도한 축적에 따른 모든 질병, 예컨대 비만, 동맥경화, 지방간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세포 형태를 비이상적으로 변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환경 호르몬은 같은 작용기전에 의해 유사한 독성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스페놀 A를 대상으로 독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비스페놀 A외에 할로겐화된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환경 호르몬에 의한 독성 억제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임상적 응용은 비스페놀 A 외의 다른 종류의 환경 호르몬의 해독 및 독성 발현의 억제 효과에도 효과를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환경 호르몬, 바람직하게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의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치료"는 질병, 장애 및 이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치료"는 광범위하게 "예방"의 의미를 포함하는바, "예방"은 질병, 장애 및 이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 억제되거나 발병이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개선"은 질병, 장애 및 이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과 같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유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며, 필요할 경우 감미제, 향료 및/또는 착색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고형제제 또는 액상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의사가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1일 1회 또는 수회, 단일 또는 반복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건강기능 식품"이란,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 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소량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기준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외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루코시놀레이트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개체에게 투여하여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억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포유류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사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글루코시놀레이트, 특히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은 환경 호르몬 비스페놀 A에 의해 유발되는 독성 효과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과체중, 성장억제, 간독성, 저혈당 유발, 면역기능저하, 생식독성 및 면역독성 등 비스페놀 A 환경 호르몬 노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모든 건강 위해성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글루코라파닌(20 μM) 및 글루코라페닌(20 μM)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3T3-L1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 비스페놀 A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 형태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3T3-L1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의 분화과정 중 비스페놀 A 처리 농도에 따른 중성지방 축적량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3T3-L1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의 분화과정 중 비스페놀 A(80 μM)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의 시간 경과에 따른 ROS 생성량 변화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3T3-L1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의 분화과정 중 비스페놀 A(80 μM) 처리 후 글루코라파닌(20 μM) 및 글루코라페닌(20 μM) 처리에 따른 중성지방 축적량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3T3-L1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의 분화과정 중 비스페놀 A(80 μM) 처리 후 글루코라파닌(20 μM) 및 글루코라페닌(20 μM) 처리에 따른 ROS 생성량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의 세포독성 평가>
3T3-L1 전지방세포에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 20 μM를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 20 μM에서 세포의 생존율에 변화가 없었는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
<실시예 2. 환경 호르몬 비스페놀 A 처리에 따른 세포독성>
(1) 세포 형태상의 변화(도 2)
3T3-L1 지방세포(adipocyte)의 분화과정에 환경 호르몬인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분화 후 7일째의 세포 형태상 변화(cell morphology)를 관찰하였다.
BPA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의 경우 리피드 드롭(lipid drop) 발생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세포가 섬유아세포 형태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BPA를 처리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내 리피드 드롭(lipid drop) 축적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세포의 형태(morphology)가 변하였는데, 대조군의 경우 섬유아세포 형태가 많이 보이는 반면, BPA를 처리한 군에서는 섬유아세포의 형태보다 둥그런 형태의 세포가 관찰되었다. 특히, 160 μM을 처리한 군의 경우 섬유아세포 형태의 세포가 거의 발견되지 않으며 대부분이 둥그런 형태의 세포 모양을 보였다.
(2)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량 변화(도 3)
BPA를 다양한 농도별로 처리함에 따른 3T3-L1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 내 중성지방 축적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측정결과, 0~60 μM의 BPA 처리의 경우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80 μM BPA 처리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지방축적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120~160 μM의 농도에서는 지방 축적량이 오히려 감소하였는데, 이는 BPA의 독성으로 인하여 세포 분화가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이후에 진행한 실험에서 BPA 처리 농도는 80 μM로 선택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3) ROS 생성량 변화(도 4)
3T3-L1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의 분화과정 중 BPA 처리(80 μM)에 따른 활선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처리 후 2일부터 BPA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세포 내 ROS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의 환경 호르몬 비스페놀 A 처리에 따른 세포독성 억제 효과>
(1)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량 변화(도 5)
BPA 처리를 통하여 3T3-L1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 내 지방 축적량을 증가시킨 후,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을 각각 처리하였을때 지방 축적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분화유도물질(MDI)만 처리한 대조군의 지방 축적량에 비해 분화유도물질(MDI)과 함께 BPA를 처리(80 μM)한 군의 지방 축적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글루코라파닌(20 μM) 및 글루코라페닌(20 μM) 처리에 의해 BPA 처리에 의해 증가된 지방 축적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 ROS 생성량 변화(도 6)
BPA 처리를 통하여 3T3-L1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 내 ROS 생성량을 증가시킨 후, 글루코라파닌 및 글루코라페닌을 각각 처리하였을때 ROS 생성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분화유도물질(MDI)만 처리한 대조군의 ROS 생성량에 비해 분화유도물질(MDI)과 함께 BPA를 처리(80 μM)한 군의 ROS 생성량은 약 2.5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글루코라파닌(20 μM) 및 글루코라페닌(20 μM) 처리에 의해 BPA 처리에 의해 증가된 ROS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Claims (6)

  1.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형태 변화, 지방축적 또는 활성산소종 생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는 글루코라파닌 또는 글루코라페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십자화과 식물로부터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화과 식물은 무순, 콜라비 또는 배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포 형태 변화, 지방축적 또는 활성산소종 생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스페놀 A에 의한 독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KR1020140148679A 2014-10-29 2014-10-29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KR10170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79A KR101706649B1 (ko) 2014-10-29 2014-10-29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79A KR101706649B1 (ko) 2014-10-29 2014-10-29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08A KR20160058208A (ko) 2016-05-25
KR101706649B1 true KR101706649B1 (ko) 2017-02-14

Family

ID=5611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679A KR101706649B1 (ko) 2014-10-29 2014-10-29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232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하람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 유발 대사증후군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944A (zh) * 2019-05-23 2019-07-26 武汉轻工大学 一种可用作黄曲霉毒素清除剂的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2245A (ja) * 1995-09-15 2000-02-29 ジョンズ・ホプキンス・スクール・オヴ・メディシン 癌に対する化学的防護食品
JP2008237117A (ja) 2007-03-27 2008-10-09 Kinos:Kk 抗疲労食品素材及び抗疲労食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7678B (zh) * 2008-08-27 2013-07-03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从青花菜种子中提取葡萄糖异硫氰酸盐的方法
KR101171846B1 (ko) * 2009-09-18 2012-08-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고압 처리를 통한 십자화과 채소의 활성성분 증폭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처리된 십자화과 채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2245A (ja) * 1995-09-15 2000-02-29 ジョンズ・ホプキンス・スクール・オヴ・メディシン 癌に対する化学的防護食品
JP2008237117A (ja) 2007-03-27 2008-10-09 Kinos:Kk 抗疲労食品素材及び抗疲労食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232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하람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 유발 대사증후군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99105B1 (ko) 2020-10-22 2023-02-13 주식회사 하람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 유발 대사증후군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08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5250B2 (ja) モリンガエキス
KR101767248B1 (ko)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5582036B (zh) 含有蒲公英提取物的透明质酸生成促进用组合物及其应用
JP2013236640A (ja) 有機化合物の新規使用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161262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06649B1 (ko)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스페놀-에이에 의한 독성 억제용 조성물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JP6161438B2 (ja) 脂肪蓄積抑制及び/又は脂肪蓄積量低減剤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US1144622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trinsic aging comprising paeoniflorin or albiflorin
KR20210002037A (ko)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8346A (ko) Chp(시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566772B (zh) 美白劑及黑色素生成抑制劑
KR20160054673A (ko)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CN110381954A (zh) 包含鸢尾黄素-7-o-木糖葡萄糖苷的女性更年期症状缓和用组合物
JP2007091662A (ja) 関節痛改善用食品組成物
JP2002047193A (ja) アレルギー性皮膚炎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170133820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8316A (ko) 황벽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2502445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5353B1 (ko) Chp(사이클로-히스프로) 및 부갑상선 호르몬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4368B1 (ko)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1409111B1 (ko) 카페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