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037A -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037A
KR20210002037A KR1020200078612A KR20200078612A KR20210002037A KR 20210002037 A KR20210002037 A KR 20210002037A KR 1020200078612 A KR1020200078612 A KR 1020200078612A KR 20200078612 A KR20200078612 A KR 20200078612A KR 20210002037 A KR20210002037 A KR 20210002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ain
olive leaf
dermis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준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1000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따른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또는 진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보다 통증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더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PAIN COMPRISING OLIVE LEAF AND CITRUS PERICARP EXTRACT}
본 발명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올리브(olive, Olea europaea Linnaeus)는 물푸레나무과의 식물로서 잎, 열매를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기준에 의거한다.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잎이 작고 단단하며 비교적 건조에 강하기 때문에 스페인, 이탈리아 등 고온건조한 남유럽에서 주로 자라난다. 올리브잎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올리유로핀(oleuropein)은 혈관건강 개선, 항노화, 항염, 변비예방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히드록시티로졸(hydroxytyrosol)은 염증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진피는 시트러스 속(Citrus sp.)의 성숙한 과일의 껍질로, 일반적으로 건조시킨 껍질을 의미한다. 홍피, 귤피 등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한방에서는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소화 촉진, 거담, 항균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염증은 외부로부터의 감염 혹은 물리적 자극에 의한 손상 혹은 노화 작용에 대해 신체가 반응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관련 신체 기관에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염증에 의해 열, 홍반, 부종 그리고 통증이 발생한다. 신체는 이를 감지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데, 해결하지 않을 시 기능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관절염, 치주염 및 건선 등의 만성염증질환은 물론이고 천식 및 암 등도 염증 질환과 관계가 깊다. 염증은 손상이 발생한 조직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인지질(phospholipid)이 특정 효소들의 작용을 통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 등을 포함하는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로 전환되어 국소적인 염증매개인자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발생한다.
프로스타글란딘 중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는 염증, 부종, 통증 및 발열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이 발생한 조직의 단핵 세포, 호중구, 대식 세포 등과 같은 다양한 세포에서 IL-1α, IL-1β, TNF-α, IL-6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지질다당류에 의해 PGE2가 형성된다. 특히, PGE2는 염증 전 사이토카인 생성, 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생성을 통한 염증 발생은 물론 통증에 대한 신경 민감성을 높인다. COX-2는 척추와 뇌의 여러 부분에서 발현되어 PGE2를 형성함으로써 중추감작 현상을 통해 신경세포의 민감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정상적 관절 구동에도 통증을 느끼게 하거나 가중된 통증을 유발한다.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특히 방사선 관찰을 통한 관절 손상 정도나 염증반응에 비해 과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것이 PGE2에 의한 중추감작 현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더불어 통증이 자주 발생하는 사람의 경우 우울증, 식욕 부진 등 정신적 고통 발생 빈도 역시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염증 조직의 세포막에서 유래한 아라키돈산은 시클로옥시게나아제(COX) 효소 외에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5-LOX) 효소 작용을 통해 LTB4라는 염증 유발 물질을 생성한다. 일단 염증 발생 조직 내 호중구, 대식세포 등에서 생성된 LTB4는 자가면역 관련 염증 및 위장관 궤양을 유발하고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 윤활액 속에 정상 환자 대비 상당히 증가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염증이 발생된 조직 내 세포에서 형성된 아라키돈산은 각기 다른 두 가지 종류의 효소(COX 류, LOX 류)를 통해 염증 유발 및 통증 발생 물질로 전환된다. 각기 다른 두 합성 경로의 가장 최종 산물이 각각 PGE2, LTB4로 이들은 체내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주요 물질로 신체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시 만성 염증뿐 아니라, 중추감작 등 신체 이상에 따른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 및 통증이 발생되는 질환으로서, 주요하게 골관절염(osteoarthritis)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으로 나눌 수 있다. 골관절염이란, 뼈와 뼈가 직접 부딪히는 충격과 마찰을 완화하기 위해 우리 몸의 관절 안에 발달한 연골층이 손상되어 뼈와 뼈가 직접 마찰하면서 통증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움직이기 어려워지는 질환을 말한다. 이러한 골관절염은 주로 무릎, 고관절, 손, 발, 척추 등 하나의 관절에서부터 발생할 수 있고, 여러 관절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는 질환이다. 특정한 기질적 원인이 없이 주로 노년에 많이 발생되며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관절구조의 변형으로 보행 장애 등의 운동 장애를 수반하게 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으로서, 자가면역 현상이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을 살펴보면, 관절 활막(synovial membrane) 조직에 염증이 발생되면서, 대식세포, 수상세포 및 T 림프구, B 림프구 등이 활막 조직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관절액이 증가하여 관절이 부으면서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염증이 지속되면서 염증성 활막조직이 증생(hyperplasia)하게 되면 뼈와 연골을 파괴하여 관절 구조가 변형되고 운동 장애가 발생된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에서도 TNF-α, IL-1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이 증가하여 MMPs의 분비가 증가됨으로써, 콜라겐(collagen)과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을 파괴하여 관절연골을 파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강 내에 발생하는 염증에는 구내염, 치주염, 치은염 등이 있다. 특히 치주염, 치은염은 잇몸과 잇몸 뿌리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을 통칭한다. 직접적인 원인은 치아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세균막이 치석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증에 의해 치조골이 파괴되는 것이다. 치조골 파괴 과정에서 생성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MMPs를 억제하거나 면역과민성 반응에 의해 정상적인 치조골 세포를 파괴하는 과정은 골관절염 혹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유사하다.
한편, 통증 억제를 위한 비수술적 치료에는 대표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NSAID) 복용이 있다(특허문헌 1). NSAID는 통증 증세 경감에 가장 기본이 되는 약물이다. 단일 약재로 미국에서 연간 20억 달러 이상 판매고를 올리고 있으며 두통, 월경곤란증, 운동 손상 등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비용 대비 효능이 높으나 장기 복용 시 위장 내 점막 보호 위장 장애를 일으킨다. 미국의 통계를 보면 위장관 부작용으로 7만 건 이상의 입원환자가 발생했다. 이 외 이완기 혈압을 5mmHg 상승시켰다는 연구 결과 등 심혈관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2에서는 선택적 COX-2 억제제 또는 합성 프로스타글란딘과의 조합 또는 양성자펌프억제제(PPI)의 사용을 보고하였으나, 이러한 약품들도 예상치 못한 부작용에 의해서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유래 물질로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통증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찾고자 연구, 개발해왔다.
1: KR 10-2016-0098029 2: KR 10-2018-0052080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이 통증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특히 상기 두 물질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 통증의 완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도는 의약외품 조성물 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기능성식품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올리브잎을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추출된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올리브잎 2차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 및 진피를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추출된 진피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진피 2차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60명의 실험대상을 선발하여 4주에 걸쳐 섭취시킨 결과, 통증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또한,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을 Raw264.7 쥐 대식 세포주(murine macrophage cell line)에 처리한 후 PGE2의 생성량을 ELISA를 통해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또한, 상기 진피 추출물을 Raw264.7 쥐 대식 세포주(murine macrophage cell line)에 처리한 후 LTB4의 생성량을 ELISA를 통해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일 수 있다.
상기 통증은 관절염 또는 구강 내 염증에 의한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조성물 일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또는 진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보다 통증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및 도 3).
또한,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은 PGE2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피 추출물은 LTB4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올리브잎'은 물푸레나무과(Oleaceae)의 식물인 올리브(olive, Olea europaea Linnaeus)의 잎으로, 올리브잎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고 알려진 올리유로핀(oleuropein)은 혈관건강 개선, 항노화, 항염, 변비예방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진피는 시트러스 속(Citrus sp.)의 성숙한 과일의 건조시킨 과피를 말한다. 홍피 또는 귤피로도 알려진 상기 진피는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 한방에서는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소화, 촉진, 거담, 항균작용 등에 쓰인다.
진피의 구체적인 예로 Aurantium acre, Aurantium bigarella, Aurantium corniculatum, Aurantium corniculatum, Aurantium coronatum, Aurantium distortum, Aurantium humile, Aurantium myrtifolium, Aurantium orientale, Aurantium Silvestre, Aurantium sinense, Aurantium variegatum, Aurantium vulgare, Citrus bigaradia, Citrus humilis, Citrus amara, Citrus aurata, Citrus benikoji, Citrus bigaradia, Citrus calot, Citrus canaliculata, Citrus changshan-huyou, Citrus communis, Citrus dulcimedulla, Citrus dulcis, Citrus florida, Citrus funadoko, Citrus fusca, Citrus glaberrima, Citrus humilis, Citrus intermedia, Citrus iwaikan, Citrus iyo, Citrus karna, Citrus keraji, Citrus kotokan, Citrus medioglobosa, Citrus mitsuharu, Citrus myrtifolia, Citrus natsudaidai, Citrus omikanto, Citrus pseudogulgul, Citrus reshni, Citrus rokugatsu, Citrus rumphii, Citrus sinograndis, Citrus subcompressa, Citrus sulcata, Citrus taiwanica, Citrus tangelo, Citrus tengu, Citrus tosa-asahi, Citrus truncate, Citrus vulgaris, Citrus yatsushiro 또는 Citrus yuge-hyokan을 포함하나,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피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계에서 재배 또는 채취한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식물체 등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제조된 분획물, 일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다시 추출하여 얻은, 즉, 2회 이상 추출한 2차 이상의 추출물 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의 희석이나 농축, 상기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물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물 자체와 추출물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사용되는 상기 식물체는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 및 식물 조직의 배양체와 배양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올리브잎 추출물 제조 시에는 90 내지 100%, 90 내지 95% 또는 95% 내지 100%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진피 추출물 제조 시에는 60 내지 80%, 60 내지 70%, 65 내지 75% 또는 70 내지 80% 에탄올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물,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구체적으로 조추출액에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분획물일 수 있다. 분획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일 수 있다. 상기 분획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조추출액에 헥산, 플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순서로 가한 후에, 층 분리한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순차적으로 수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순도의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추출액을 같은 방법으로 1회 이상씩 더 추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과정은 추출 단계, 건조 단계, 농축 단계 및 희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은 2회에 걸쳐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제조예 1 및 2).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올리브잎을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추출된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올리브잎 2차 추출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진피를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추출된 진피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진피 2차 추출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데 더욱 효과적인 통증 억제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차 추출물은 올리브잎 또는 진피 내 성분을 추출하는 데 효과적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증'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유쾌한 경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크게 침해성 통증(noiceptive pain), 염증성 통증(inflammatory pain) 또는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증성 통증일 수 있으며, 상기 통증은 관절염 또는 구강 내 염증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증은 관절 통증, 시린이 또는 치통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염증'이란 외부로부터의 감염, 물리적 자극에 의한 손상 또는 노화 작용에 신체가 반응해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관련 신체 기관에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현상으로 의미된다. 상기 염증에 의해 열, 홍반, 부종 또는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증에 의해 관절염, 치주염 또는 건선 등 만성염증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투여 전부다 증세가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 또는 질병을 호전시키거나 사라지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유효량'은 통증, 관절통증, 관절염 또는 염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거나, 이미 나타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60명의 실험대상을 선발하여 4주에 걸쳐 섭취시킨 결과, 통증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통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면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올리브잎 추출물 또는 진피 추출물을 0.001 내지 99.9%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피 추출물 및 올리브잎 추출물은 1:0.1 내지 10 중량비, 1:0.5 내지 5 중량비, 1:1 내지 10 또는 1:1 내지 5 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1 내지 3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중량비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기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올리브잎 추출물, 올리브유 및 올리브열매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PGE2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올리브유 및 올리브열매 추출물 대비 올리브잎 추출물의 PGE2 억제능이 월등하게 높음을 확인하였고(실험예 4), 상기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올리유로핀 및 히드록시티로졸의 함량을 HPLC 및 TLC를 통해 정량 분석한 결과, 올리브유 및 올리브열매 추출물 대비 올리브잎 추출물에서 상기 올리유로핀 및 히드록시티로졸의 함량이 월등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피 추출물의 각 농도별(50, 100, 200 ppm) 처리 결과, 진피 추출물(에탄올 70%)의 경우 다른 에탄올 농도 추출물과 비교해서 LTB4 억제 효과가 월등하게 높음을 확인하였고(실험예 6), 상기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정량 분석한 결과, 열수추출물, 에탄올 20% 추출물 및 에탄올 50% 추출물 대비 에탄올 70% 추출물에서 상기 헤스페리딘의 함량이 월등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7).
또한, 본 발명의 올리브잎 추출물과 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치통 경감 효과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 대비 상기 혼합 추출물이 포함된 치약을 사용한 실험군에서 치통 체감 현상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8).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피부(경피)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기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경로 또는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추출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의 예로 연고, 크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및 패치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일 수 있다.
상기 제형을 위하여 부형제, 일 예로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TABLETS),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CAPSULES), 환제(PILLS), 산제(POWDERS) 및 과립제(GRANULES)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에는 현탁제(SUSTESIONS), 내용액제, 유제(EMULSIONS) 및 시럽제(SYRUPS)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피부 투여를 위해 언급할 수 있는 예로는 더스팅 파우더, 에멀젼, 현탁액, 오일, 스프레이, 연고, 그리지 연고, 크림 페이스트, 겔, 폼, 또는 용액을 생성시키는데 적합한 제형과 경피 약물 전달체(TTS: Transdermal therapeuticsystem)에 적합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반고체상 제형일 수 있으며 특히 연고(용액 연고, 현탁액 연고), 크림, 겔 또는 페이스트가 있다. 유상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지방 알콜,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지방산, 예를 들면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 액상 또는 고체상 파라핀 또는 오조케라이트, 액상 내지 고체상 왁스,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천연 지방 또는 일부 합성 지방, 예를 들면 코코넛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유, 예를 들면 수소화된 피넛 또는 캐스터 오일, 또는 글리세롤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가 있다. 적합한 유화제로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폴리알코올 또는 이것의 산화에틸렌 부가물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올레에이트 또는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등,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롤,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콜 에테르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지방 알코올 설포네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세틸 설페이트 또는 나트륨 스테아릴 설페이트가 있으며 이들은 상기 지방 알코올, 예를 들면 세틸 알코올 또는 스테아릴 알코올의 존재 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크림 건조를 방지하는 제제, 예를 들면 폴리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수상에 첨가하거나 또는 보존제, 향료 등을 수상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는 무수상태의 연고일 수 있고, 국소용도에 적합하고 체온상태에서 액체인 파라핀, 특히 저점도 파라핀을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천연지방 또는 부분합성 지방, 예를 들면, 코코넛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유, 예를 들면 수소화된 피넛 또는 캐스터 오일, 글리세롤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디스테아레이트, 실리콘, 예를 들면 폴리메틸실록산, 예컨대 헥사메틸디실록산 또는 옥타메틸트리실록산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성크림과 관련되어 있고 수분 흡수 용량을 증가시키는 지방알코올, 그리고 스테롤, 울 왁스, 다른 유화제 및/또는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질병에 대한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의 효과를 나타내나 의약품 보다 인체에 미치는 작용이 경미한 물품을 의미한다.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하며, 보건복지부가 따로 정한 분류 기준에 의한 물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 또는 개인위생용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통증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 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또 다른 예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또는 연고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선, 완화,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올리브잎 및 진피는 천연 물질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일상적으로 섭취가 가능한 식품의 형태로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으므로, 통증 예방 또는 개선에서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 기능 식품,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식품은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등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의료식품(medical food),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및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기능성 식품, 건강 기능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건강보조식품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의 제형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통증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건강 기능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생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고, 건강 보조 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기능성 식품, 건강 식품, 건강 보조 식품의 용어는 혼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 기능 음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이나 과당 등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타우마틴이나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과 같은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 기능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올리브잎 추출물은 올리브잎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올리브잎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1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은 올리브잎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올리브잎 1차 추출물에 다시 추출용매를 가하여 올리브잎 2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브잎을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추출된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올리브잎 2차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은 올리브잎을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50 내지 70℃에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브잎 추출은 올리브잎을 분쇄한 후 올리브잎 부피 기준 8 내지 15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55 내지 65℃에서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피 추출물은 진피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피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진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1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피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은 진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진피 1차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진피 1차 추출물에 다시 추출용매를 가하여 진피 2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피를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추출된 진피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진피 2차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진피 1차 추출물은 진피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60 내지 90℃에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피 추출은 진피 부피 기준 8 내지 15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70 내지 80℃에서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추출 단계뿐 아니라, 상기 추출물의 여과 단계, 건조 단계, 농축 단계 및 희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준비에서 추출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발효법 또는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추출용매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앞서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설명으로 기술된 추출용매를 본 제조방법에 준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말토덱스트린 1 내지 20 중량%, 이산화 규소는 0.1 중량% 이내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축물에 다시 추출용매를 가하여 희석하고 이를 여과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혼합(물)”은 상기 진피 추출물 및 올리브잎 추출물의 혼합물로, 바람직하게는 진피 추출물 및 올리브잎 추출물을 1:2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의미하며, “복합(물)”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 값은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균등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올리브잎 추출물 또는 진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보다 통증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더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증에 대한 종래의 치료제와 달리 장기 섭취 시 발생하는 위장관 보호에 문제 없이 사용될 정도로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므로, 종래 통증에 대한 치료제로 그 활용도가 높다.
도 1은 올리브잎 추출물 처리에 의한 in vitro PGE2 형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진피 추출물 처리에 의한 in vitro LTB4 형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올리브잎 추출물, 진피 추출물 단복 및 올리브잎 추출물과 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섭취에 의한 관절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올리브잎 추출물, 올리브유 및 올리브열매 추출물의 PGE2 생성 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추출 조건 별 진피 추출물의 LTB4 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올리브잎 및 올리브열매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는 올리브잎 및 올리브열매 미립자가 되도록 갈아낸 후 부피 기준 10배의 95% 에탄올 주정을 넣고, 60℃에서 2시간 30분 간 1회에 걸쳐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기를 이용해 여과하고 남은 액체를 증발시켜 농축 및 건조하여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건조물에 다시 95% 에탄올 주정을 첨가해 상기 1회 추출과 동일한 농도 및 시간 조건에서 2차 추출 후 분무 건조 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추출물의 비율이 88%가 되도록 말토덱스트린 10%, 이산화규소 2%를 첨가해 추출물 원료화를 완료하였다.
올리브유의 경우 시중 엑스트라 버진 오일 제품을 구입해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1. 올리브잎 추출물 처리에 의한 in vitro PGE2 형성 억제 효능
PGE2 생성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Korean Cell Line Bank(KLCB)로부터 마우스 대식 세포주 Raw264.7 세포를 분양 받아, 10% BCS(Bovine Calf Serum)와 1% 항생제가 첨가된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배지를 이용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인큐베이터에서 2 내지 3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을 시행하였다. 이후 상기 RAW 264.7 세포 배양액 내의 PGE2 함량을 효소 면역 분석법 키트(#ADI900001, Enzo Life Scienc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264.7 세포를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1640(sigma #11875-093) 배지를 이용하여 8x104cell/well 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세균성 염증유발물질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이하 LPS) 1μg/ml와 실험 시료를 혼합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올리브잎 추출물을 DMSO에 각각 5%(50mg/ml)로 녹인 후 배양한 세포에 각각 농도 별로 0.01, 0.1, 1, 10, 100ppm 처리했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PGE2의 생성량을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올리브잎 추출물 처리하는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PGE2생성 억제능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진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서는 진피 부피 기준 10배의 물, 에탄올 주정 20%, 50%, 70% 용매를 넣고, 75℃에서 2시간 30분 간 1회에 걸쳐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1차로 여과하고 남은 액체를 증발시켜 상기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여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건조물에 다시 1차 추출물 시 사용한 동일한 용매를 첨가하여 부피 비 10%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키고, 이를 4℃에서 2일 간 보관 후 2차로 여과하였다. 2차 여과 후 110℃에서 1시간 가량 열을 가하여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농축물의 농도가 5%가 되도록 70% 에탄올 주정을 첨가하여 희석시키고, 부유물을 여과하여 추출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험예 2. 진피(에탄올 70%) 추출물 처리에 의한 in vitro LTB4 형성 억제 효능
LTB4 생성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Korean Cell Line Bank(KLCB)로부터 마우스 대식 세포주 RAW 264.7 세포를 분양 받아, 10% BCS(Bovine Calf Serum)와 1% 항생제가 첨가된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1640((sigma #11875-093) 배지를 이용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인큐베이터에서 2 내지 3일에 한 번씩 계대 배양을 시행하였다. 이후 상기 RAW 264.7 세포 배양액 내의 PGE2 함량을 효소 면역 분석법 키트(#10009292, cayman chemical)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264.7세포를 RPMI1640배지를 이용하여 8x104cell/well 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세균성 염증유발물질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이하 LPS) 1 μg/mL와 실험 시료를 혼합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진피 추출물을 DMSO에 각각 5%(50mg/ml)로 녹인 후 배양한 세포에 각각 농도 별로 12.5, 25, 50, 100, 200ppm 처리했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LTB4의 생성량을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피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LTB4의 생성 억제능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올리브잎 추출물, 진피(에탄올70%)추출물 단독 및 혼합 추출물 섭취에 의한 관절 통증 완화 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관절 통증 완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대전에 거주하는 45세~65세 사이 이상의 성인 남성 및 여성 중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60명의 실험대상 (VAS 5점 이상, 안면표정평가 6 이상)을 선발하여 2018년 10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4주에 걸쳐 각 추출물을 단독 혹은 혼합 추출물로 섭취시켜 무릎 통증 완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상기 피험자에게 올리브잎 추출물 500mg, 진피(에탄올70%)추출물 250mg,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에탄올70%)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750mg을 각각 섭취케 했다. 섭취 전후 대상자의 통증 정도는 VAS(Visual analog scale)을 이용해 '통증 없음' -> '극심한 통증' 순서로 0부터 10까지 점수를 나열한 후 선택하도록 해 측정하였다. 비교군(플라시보 섭취군)의 결과값이 0이 되도록 값을 보정한 후 각 섭취군의 통증억제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올리브잎 추출물, 진피(에탄올70%)추출물 단독 섭취군 대비 혼합 추출물 섭취군에서 통증에 대한 정도가 현저히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올리브잎 추출물, 올리브유 및 올리브열매 추출물의 PGE2 억제능
처리구를 올리브잎 추출물, 올리브유 및 올리브열매 추출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각 실험군의 PGE2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올리브잎 추출물과 올리브열매 추출물 각각은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도 4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농도 별 (0.01, 0.1, 1, 10ppm) 처리 결과, 올리브유와 올리브열매의 경우 PGE2 억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올리브잎 추출물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올리브유 및 올리브열매 추출물과 비교해서 월등하게 높았다.
실험예 5. 올리유로핀 및 히드록시티로졸의 정량 분석
실험에 사용된 올리브잎추출물, 올리브열매추출물, 올리브유를 HPLC 및 TLC를 통해 올리유로핀 및 히드록시티로졸을 정량 분석하였다. 칼럼은 Eclipse XCB-C18 (Agilent, USA)을 사용하였으며, TLC Plate는 Kieselgel 60F254S (Merck, Germany) 또는 RP-18254S pre-coated plate(Merck, Germany)를 사용하였다. 올리유로핀 및 히드록시티로졸 표준품은 Sigma Aldrich(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TLC 및 HPLC를 통해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확인한 후 정량했다.
[표 2]
Figure pat00002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올리브잎 추출물의 경우 올리유로핀 20.5%, 히드록시티로졸 0.13%, 올리브열매 추출물은 올리유로핀 .3%, 히드록시티로졸 0.01%, 올리브유는 올리유로핀 1.9%, 히드록시티로졸 0.05%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어, 올리브잎 추출물에 올리유로핀과 히드록시티로졸의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추출 조건 별 진피 추출물의 LTB4 억제능
진피 열수추출물, 진피 에탄올 농도별(20%, 50%, 70%) 추출물을 50, 100, 200 ppm씩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각 실험군의 LTB4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추출 조건별 진피 추출물은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도 5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농도 별 (50, 100, 200ppm) 처리 결과, 진피 열수추출물의 경우 LTB4 억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에탄올 70% 추출물의 경우 다른 에탄올 농도 추출물과 비교해 LTB4 억제 효과가 월등하게 높았다.
실험예 7. 헤스페리딘 정량 분석
실험에 사용된 진피 열수추출물,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을 Waters 2690 liquid chromatograph (Waters Co, Milford, M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상은 methanol (A)과 0.5% acetic acid (B)를 사용하였으며, 0~10분까지 A: 15%, 10~20분까지 A: 30%, 20~35분까지 A: 40%, 35~50분까지 A: 65% 그리고 50~60분까지 A: 15%의 gradient 조건으로 용출하였다. 분석 column은 sunfire C18, 5 μm(4.6 mm × 150 mm, Waters, Co, USA)을 사용하였고, 유속 1 mL/min로 UV 280 nm에서 검출하였다(표 4).
[표 4]
Figure pat00004
실험예 8. 시린이 억제 효과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과 진피(에탄올70%)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치통(통증) 경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대상자를 선별하여 임상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임상실험에서 사용된 대조군 치약 및 실험군 치약은 상기 치약 제조 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르복시메틸세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류,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도디신과 감미제, 방향제, 착색제 등을 이용하여 대조군 치약을 만들었고, 상기 대조군 치약에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이 2 : 1 중량비로 0.1 중량% 함유하도록 하여 실험군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평소 치통을 느끼는 사람으로서 이 실험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지원자 40명이며, 총 실험 대상 치아는 80개였다. 또한, 실험 대상자들 중 남자는 20명, 여자는 20명이고, 연령은 20세에서 50세였다. 실험 대상자들이 치약 내용물을 알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총 실험기간은 2주로 하였다.
실험은 온도 자극을 가한 후 실험 대상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미리 각 실험 대상자의 상아질과민증 치아의 과민 부위를 체크하고, 치아의 시린 부위에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하기 표 5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 평점을 한 후 대조군은 상기 대조군 치약을, 실험군은 상기 실험군 치약을 2주 동안 1일 3회 사용하게 하고, 2주가 지나 평점을 하였다. 통계처리는 실험 실시 전과 2주 후의 통증 체감 점수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Student-t test)로 검정하였으며, 통증에 대한 2주 후의 반응 점수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5
[표 6]
Figure pat00006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올리브잎 추출물과 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이 포함된 치약을 사용한 실험군은 2주 경과 후 치통 체감 현상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올리브잎 추출물과 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이 치통을 완화하거나 이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5)

  1.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진피 추출물 및 올리브잎 추출물은 1:0.1 내지 10 중량비를 포함하는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의 추출물 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염증성 통증인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관절통증, 시린이 또는 치통인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기능성식품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은 올리브잎을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1차 추출되고,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추출된 올리브잎 2차 추출물인,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은 올리브잎을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50 내지 70℃에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추출물은 진피를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1차 추출되고,
    진피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추출된 진피 2차 추출물인,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1차 추출물은 진피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60 내지 90℃에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2차 추출물은 진피 1차 추출물의 건조물을 추출 용매에 용해하여 1 내지 10℃에서 1 내지 5일 동안 추출한 것인,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진피 추출물 및 올리브잎 추출물은 1:0.1 내지 10 중량비를 포함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의 추출물 인,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염증성 통증인 약학적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관절통증, 시린이 또는 치통인 약학적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잎 추출물은 올리브잎을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1차 추출되고,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추출된 올리브잎 2차 추출물인,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은 올리브잎을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50 내지 70℃에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추출물은 진피를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1차 추출되고,
    진피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추출된 진피 2차 추출물인,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1차 추출물은 진피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60 내지 90℃에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2차 추출물은 진피 1차 추출물의 건조물을 추출 용매에 용해하여 1 내지 10℃에서 1 내지 5일 동안 추출한 것인,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2.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연고, 또는 젤의 형태인, 의약외품 조성물.
  24. 올리브잎을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추출된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올리브잎 2차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 및
    진피를 추출용매로 처리하여 추출된 진피 1차 추출물을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건조물에 추출용매를 다시 처리하여 진피 2차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잎 1차 추출물은 올리브잎을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50 내지 70℃에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이고,
    상기 진피 1차 추출물은 진피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60 내지 90℃에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통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00078612A 2019-06-28 2020-06-26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2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7937 2019-06-28
KR1020190077937 2019-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37A true KR20210002037A (ko) 2021-01-06

Family

ID=7412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612A KR20210002037A (ko) 2019-06-28 2020-06-26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8863A (ko) 2022-11-28 2024-06-04 내추럴초이스 (주) 올리브잎을 주요구성으로 하여 아열대 작물을 이용한 블렌딩 차 조성물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029A (ko) 2015-01-13 2016-08-18 오토텔릭 엘엘씨 개별화된 약물 치료요법을 위한 방법
KR20180052080A (ko) 2016-11-08 2018-05-1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의 부작용 방지용 조성물 및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항염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029A (ko) 2015-01-13 2016-08-18 오토텔릭 엘엘씨 개별화된 약물 치료요법을 위한 방법
KR20180052080A (ko) 2016-11-08 2018-05-1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의 부작용 방지용 조성물 및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항염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8863A (ko) 2022-11-28 2024-06-04 내추럴초이스 (주) 올리브잎을 주요구성으로 하여 아열대 작물을 이용한 블렌딩 차 조성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6966206B2 (ja) 更年期症状又は骨粗鬆症改善用組成物
WO2005094860A1 (ja) 末梢血流改善剤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20210002037A (ko) 올리브잎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170100100A (ko) 상백피(Morus alba Linne)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8944B1 (ko) 생강 추출물의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통 및 조기분만진통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65346B1 (ko) 구절초 및 꾸지뽕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0531B1 (ko) Agkistrodon piscivorous piscivorous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99514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snake venom
KR101897720B1 (ko)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610894B1 (ko) 맛이 차폐된 비타민 c 과립
KR20180058997A (ko) 백발생성 억제 또는 흑모생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150120741A (ko) 감 껍질, 감 과육, 감잎 및 고욤잎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40534B1 (ko)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2445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806766B2 (en) Method for treating,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EP3449736B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 or osteoporosis
KR20230139952A (ko) 천년초 및 금화규 유래의 식물성 콜라겐,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JP6151027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
KR20170133821A (ko) 안면홍조 또는 골다공증 증상 완화용 조성물
KR20230157782A (ko) 산초나무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