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856B1 -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856B1
KR101705856B1 KR1020160062344A KR20160062344A KR101705856B1 KR 101705856 B1 KR101705856 B1 KR 101705856B1 KR 1020160062344 A KR1020160062344 A KR 1020160062344A KR 20160062344 A KR20160062344 A KR 20160062344A KR 101705856 B1 KR101705856 B1 KR 10170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cathode
ion capacitor
anode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준
이찬우
김용일
이해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856B1/ko
Priority to US15/227,002 priority patent/US100791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01G11/2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arranged or disposed on a current collector; Layers or phases between electrodes and current collectors, e.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8Carbon pastes or blends; Binders or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2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2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solute, e.g. salts, anions or cation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68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0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2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에 접하는 전해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극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이고, 상기 전해질이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하여, 상기 양극에서는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에서는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에너지 밀도가 높아진 슈퍼커패시터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비하여 재료적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전극 구조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제조비용이 낮고 에너지 밀도와 출력밀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ALUMINUM-ION CAPACITOR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슈퍼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알루미늄 이온을 통해 에너지밀도를 높인 슈퍼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퍼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또는 울트라커패시터(Ultra-capacitor)라고도 일컬어지며,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와 달리 전극과 전해질 계면으로의 단순한 이온의 이동이나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충전현상을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슈퍼커패시터는 도전체에 부착된 전극과 그에 함침된 전해질 용액으로 구성되며, 전극의 계면에 각각 부호가 다른 한 쌍의 전하층(전기이중층)이 생성된 것을 이용한다. 이러한 슈퍼커패시터는 급속 충방전이 가능하고 높은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며, 충전/방전 동작의 반복으로 인한 열화가 매우 작아서 보수가 필요 없이 반영구적인 사이클 수명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보조배터리나 배터리 대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슈퍼커패시터는 급속한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고, 이차 전지와 비교하여 사이클 수명이 우수하며, 가용 온도 범위가 넓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가 이차전지와 비교하여 매우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다양한 형태로 보완이 수행되고 있으며, 최근 한쪽 전극에 리튬이온의 삽입과 탈리를 함께 적용하여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리튬이온 커패시터라고도 불리는 이러한 슈퍼커패시터는, 리튬의 가격이 비싸고 리튬이온이 삽입과 탈리되는 전극을 구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유사한 형태로서 리튬보다 가격이 저렴한 납산화물을 이용한 납산화물 커패시터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유독물질인 납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772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면서 환경문제가 없는 알루미늄 이온을 적용한 슈퍼커패시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에 접하는 전해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극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이고, 상기 전해질이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하여, 상기 양극에서는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에서는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음극은 알루미늄 포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은 안정한 물질이기 때문에, 종래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와 달리, 본 발명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알루미늄 포일을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음극의 제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종래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가 리튬을 도핑하여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밀도를 높이는 것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알루미늄 포일을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음극은 알루미늄 폼, 알루미늄 분말 및 알루미늄 코팅층을 구비한 쉘입자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알루미늄은 안정한 물질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알루미늄 폼, 알루미늄 분말 및 알루미늄 코팅층을 구비한 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알루미늄 재질의 음극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은 알루미늄 그 자체인 경우뿐만 아니라, 알루미늄과 구리, 마그네슘, 망간, 실리콘, 티타늄, 아연 등의 합금인 것도 가능하다.
양극은 표면적이 넓은 다공성 탄소를 활물질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공성 탄소로서는 활성탄,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양극은 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및 전도성고분자 등의 물질에서 선택된 활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양극이나 음극에 집전체가 부착된 구조일 수 있으며, 집전체는 양극 또는 음극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가 될 수 있다. 집전체의 재질로는 전도성이 높은 그래파이드 등의 탄소재와 다양한 금속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 금속 소재로서는 금,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스테인리스 스틸, 크롬, 구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로서는 이온성 액체 전해질과 유기 전해질 또는 수계 전해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 전해질은 AlCl3 와 같은 알루미늄염을 이온성 액체에 용해한 경우가 있으며, 예를 들어 이온성 액체인 [EMIM]Cl(1-Ethyl-3-methylimidazolium chloride)에 AlCl3을 용해하는 것이 가능하고,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킬리미다졸륨 알루미네이트 (alkylimidazolium aluminates), 알킬피리디늄 알루미네이트(alkylpyridinium aluminates), 알킬플루오로피라졸리륨 알루미네이트(alkylfluoropyrazolium aluminates), 알킬트리아졸륨 알루미네이트(alkyltriazolium aluminates), 알알킬암모늄 알루미네이트(aralkylammonium aluminates), 디알킬피펜디늄 알루미네이트(dialkylpipendinium aluminates), 알킬알콕시암모늄 알루미네이트(alkylalkoxyammonium aluminates), 알알킬포스포늄 알루미네이트(aralkylphosphonium aluminates), 알알킬설포늄 알루미네이트(aralkylsulfonium aluminates), 에틸메틸이미다졸륨 테트라클로로알루미네이트(ethylmethylimidazolium tetrachloroaluminate) 등이 가능하다. 유기 전해질로는 AlCl3 Al(NO3)3 등의 알루미늄염을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아세토니트릴(Acetronitril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carbonate),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메틸 삼차-부틸 에테르(Methyl tert-but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것이 가능하다. 수계 전해질로는 AlCl3, Al(NO3)3 등의 수용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에 접하는 전해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해질이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이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 양극에서는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에서는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극에서는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고 음극에서는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어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음극 재질로서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는 재질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질 탄소인 그래파이트 또는 알루미늄이 도핑된 그래파이트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가능한 양극을 구성할 수 있고, 삽입 복합체(insertion compound)로서의 탄소와 실리콘 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의 산화물과 몰르브덴설파이드 등의 황화물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가능한 양극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은,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원과 상기 에너지 저장원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서, 에너지 저장원으로서 상기한 구조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단위셀을 하나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을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잉여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도록 제어부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지역이나 건물 또는 기업 단위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 상기한 구조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를 사용하면, 이차 전지와 비교하여 사이클 수명이 우수하면서도 종래의 슈퍼커패시터에 비하여 에너지 밀도가 높은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초소형 보조 배터리는 상기한 구조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단위셀을 하나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외부 활동 중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한 구조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사이클 수명이 우수하면서도 에너지 밀도가 충분히 높기 때문에 초소형 보조 배터리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충분한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슈퍼커패시터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비하여 재료적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전극 구조에 대한 제한이 없으므로, 제조비용이 낮고 에너지 밀도와 출력밀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자유롭게 채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에 대하여 전위창에 따른 용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도 2의 비용량 측정 결과를 기준으로 면적당 비용량을 산출한 결과이다.
도 4는 도 2의 비용량 측정 결과를 기준으로 전체 전극의 중량당 비용량을 산출한 결과이다.
도 5는 도 2의 비용량 측정 결과를 기준으로 양극의 중량당 비용량을 산출한 결과이다.
도 6은 도 4를 기준으로 양극 활물질의 중량당 비용량을 산출한 결과이다.
도 7은 도 5를 기준으로 양극 활물질의 중량당 비용량을 산출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에 대하여 측정된 순환전압전류곡선을 나타낸다.
도 9와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에 대한 정전류 충전/방전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집전체(40)에 도포된 양극(10)과 이에 대향된 음극(20) 및 양극(10)과 음극(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30)으로 구성되며, 전해질(미도시)이 채워진다.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분리막(30)으로서 유리섬유 분리막을 사용하였고, 금(Au)재질의 집전체(40)에 활성탄을 포함하는 양극(10)을 도포하여 사용하였다. 음극(20)으로는 알루미늄 포일을 사용하였으며, 별도의 집전체를 부착하지는 않았다.
구체적으로 Kuraray 사의 YP50F 활성탄 85wt%, 수퍼-P(Super-P) 7wt%,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carboxymethyl cellulose) 3wt%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7wt%로 구성된 슬러리를 금재질의 집전체(40)에 도포하여 양극(10)을 구성하였으며, 도포된 양극의 면적은 2.54cm2이다.
다공성 탄소재료인 활성탄은 양극 활물질이며, 수퍼-P는 도전재로서 기능한다. 수용성 고분자 재료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수계 바인더로서 활물질과 도전재를 고정한다.
음극(20)으로 사용된 알루미늄 포일은 두께가 110㎛이며, 0.1M의 NaOH로 표면 처리하여 표면의 산화물과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종래에 리튬 이온을 사용한 슈퍼커패시터는 리튬의 안정성 문제로 인하여 리튬 포일 자체를 음극으로 사용하지 못하였으나, 알루미늄은 안정한 물질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알루미늄 포일을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제조가 매우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알루미늄 재질의 음극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양극(10)과 음극(20)에 채워지는 전해질로는 AlCl3를 이온성 액체인 [EMIM]Cl(1-Ethyl-3-methylimidazolium chloride)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전해질에는 알루미늄 이온이 분산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의 음극(20)에서는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고, 양극(10)에서는 전해질에 포함된 전자에 의해서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여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에 대하여 전위창에 따른 용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전위(potential)를 변화시키면서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의 비용량(specific capacitance)을 측정하였으며, 주사속도(scan rate)는 10mV/S이다.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1.5V에서 300mF 이상의 비용량을 나타내었으며, 전위의 증가에 따라서 비용량이 점차 증가하여 2.2V에서는 400mF 이상의 비용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비용량 측정 결과를 기준으로 면적당 비용량을 산출한 결과이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집전체에 도포된 양극의 면적은 2.54cm2이며,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단위면적(1cm2)당 120mF 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비용량 측정 결과를 기준으로 전체 전극의 중량당 비용량을 산출한 결과이고, 도 5는 양극의 중량당 비용량을 산출한 결과이다.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에 포함된 양극의 무게는 8.54mg이고 알루미늄 포일의 무게는 64.4mg이다. 도 4는 양극과 음극의 무게를 모두 합하여 산출된 중량당 비용량 값이고, 도 5는 양극 무게를 기준으로 산출된 중량당 비용량 값이다.
한편, 양극에 포함된 활물질인 YP50FH 활성탄은 양극 전체의 85wt%를 차지하므로, 도 4와 도 5를 기준으로 양극 활물질의 중량당 비용량을 산출하면, 도 6 및 도 7과 같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상당히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리튬 이온을 이용한 종래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료비와 제조 공정으로도 충분한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는 슈퍼커패시터를 제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종래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가 리튬을 도핑하여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밀도를 높이는 것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알루미늄 포일 등을 제한 없이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에 대하여 측정된 순환전압전류곡선을 나타낸다.
순환전압전류곡선(cyclic voltammogram, CV 곡선)은 전극의 전위를 초기전위부터 특정 전위까지 증가, 이후 원래의 전위로 돌아오도록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전위에 따른 전류를 측정한 것으로서, 소자의의 충전과 방전 시 거동을 보여준다. 도시된 모양은 슈퍼커패시터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CV곡선의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가 양극에서만 전기 이중층이 형성되고 음극에서 알루미늄이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고 있지만 슈퍼커패시터의 충방전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가되는 전위가 높아질수록 폐곡선의 면적이 증가하였고, 이는 비용량이 증가한 것이므로 앞선 비용량 측정결과와 일치하였다.
도 9와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에 대한 정전류 충전/방전 그래프이다.
충방전 전류를 4mA로 고정하였으며, 도 9는 0~2V 범위에서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였고, 도 10은 0~2.1V의 범위에서 충전과 방전을 수행하였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이상적인 커패시터의 특징인 전형적인 삼각형태의 충방전 곡선을 보이고 있으며, 나아가 사이클 반복에도 안정적인 충전과 방전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종래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비하여 저렴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의 음극을 제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면적당 비용량과 중량당 비용량이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충분히 적합한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알루미늄 재질의 안정성으로 인하여 포일 형태의 알루미늄 음극을 사용하였고, 알루미늄 이온으로부터 2개 또는 3개의 전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높아진 결과이다. 또한, 알루미늄 음극의 구조에 대한 제한도 없으므로 출력밀도를 높이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는 저렴한 가격으로 사이클 수명이 우수하면서도 에너지 밀도가 높은 뛰어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에너지 저장원으로 사용하거나 초소형 보조 배터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양극
20: 음극
30: 분리막
40: 집전체

Claims (11)

  1.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에 접하는 전해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전기 이중층에 의해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슈퍼커패시터로서,
    상기 음극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이고, 상기 전해질이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하여,
    상기 양극의 표면에서는 상기 전해질에 포함된 전하에 의한 전기 이중층의 형성과 해제가 수행되고, 상기 음극에서는 상기 전해질에 포함된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어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극이 알루미늄 포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극이 알루미늄 폼, 알루미늄 분말 및 알루미늄 코팅층을 구비한 쉘입자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이 다공성 탄소를 활물질로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탄소가 활성탄,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이 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및 전도성고분자 중에 하나를 활물질로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에 집전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극에 집전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9.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에 접하는 전해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해질이 알루미늄 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이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 양극에서는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에서는 알루미늄 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10.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원과 상기 에너지 저장원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으로서,
    상기 에너지 저장원으로서 청구항 1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단위셀을 하나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11. 청구항 1의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단위셀을 하나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보조 배터리.
KR1020160062344A 2016-05-20 2016-05-20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 KR10170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344A KR101705856B1 (ko) 2016-05-20 2016-05-20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
US15/227,002 US10079116B2 (en) 2016-05-20 2016-08-03 Aluminum-ion capacitor and 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344A KR101705856B1 (ko) 2016-05-20 2016-05-20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856B1 true KR101705856B1 (ko) 2017-02-10

Family

ID=5812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344A KR101705856B1 (ko) 2016-05-20 2016-05-20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79116B2 (ko)
KR (1) KR101705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6861B (zh) * 2019-01-17 2021-03-16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混合电化学储能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23B1 (ko) 2010-11-15 2012-04-24 비나텍주식회사 탄소가 코팅된 집전체를 이용한 리튬이온 커패시터 셀 및 그 제조방법
JP2014207453A (ja) * 2012-02-13 2014-10-30 日新電機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70771A1 (fr) 1999-04-30 2000-10-30 Hydro-Quebec Nouveaux materiaux d'electrode presentant une conductivite de surface elevee
JP4190207B2 (ja) 2002-05-20 2008-12-0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電気化学ディバイス用電解質、その電解液または固体電解質並びに電池
US9466853B2 (en) * 2010-09-30 2016-10-11 Ut-Battelle, Llc High energy density aluminum battery
KR101843194B1 (ko) * 2011-10-21 2018-04-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JP6313636B2 (ja) 2014-04-04 2018-04-18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超格子構造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極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23B1 (ko) 2010-11-15 2012-04-24 비나텍주식회사 탄소가 코팅된 집전체를 이용한 리튬이온 커패시터 셀 및 그 제조방법
JP2014207453A (ja) * 2012-02-13 2014-10-30 日新電機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D. Reed and E. Menke, ‘The Roles of V2O5 and Stainles Steel in Rechargeable Al-Ion Batteries,’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60 (6) A915-A917 (2013) (2013.04.11.)* *
M. Lin, et al., ‘An ultafast rechargeable aluminium-ion battery,’ Nature 520, 324-328(2015.04.16.) *
M. Lin, et al., ‘An ultafast rechargeable aluminium-ion battery,’ Nature 520, 324-328(2015.04.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79116B2 (en) 2018-09-18
US20170338052A1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1878B2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TWI623003B (zh) 電雙層電容器
KR101516500B1 (ko) 전기 화학 디바이스
WO2006112070A1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12089825A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08252013A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12004491A (ja) 蓄電デバイス
KR20170134335A (ko)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및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세퍼레이터
WO2014049440A2 (en) Hybrid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TWI670736B (zh) 混合式電容器
US20190006122A1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KR101705856B1 (ko)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용도
WO2013146464A1 (ja) 電極材料、及びこの電極材料を用いたキャパシタ、二次電池
TWI692786B (zh) 混合式電容器
JP2012028366A (ja) 蓄電デバイス
KR101852400B1 (ko) 이황화몰리브덴 전극을 구비한 알루미늄 이온 커패시터
JP2010141065A (ja) 蓄電デバイス
KR102467810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
EP3218953B1 (en)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JP6967688B2 (ja) ハイブリッドキャパシタ
JP2015012016A (ja) 蓄電セル
JP2009260187A (ja) 蓄電デバイス
JP2007281287A (ja) 蓄電デバイス
JP2009026508A (ja) 蓄電デバイス
CN104662627A (zh) 电容器用电极以及使用其的电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