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796B1 -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 Google Patents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796B1
KR101705796B1 KR1020150105702A KR20150105702A KR101705796B1 KR 101705796 B1 KR101705796 B1 KR 101705796B1 KR 1020150105702 A KR1020150105702 A KR 1020150105702A KR 20150105702 A KR20150105702 A KR 20150105702A KR 101705796 B1 KR101705796 B1 KR 10170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raille
mold
support plat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970A (ko
Inventor
이학철
Original Assignee
동양전자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전자테크(주) filed Critical 동양전자테크(주)
Priority to KR102015010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7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in Braille or with key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by blind or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점자 성형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플라스틱 수지에도 점자 형성이 가능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0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크(11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누름대(130)와; 상기 회전축(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무게추(140)와;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하는 상부금형(150)과;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되고, 제품이 놓여지는 지지플레이트(160)와;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200)에 구비되며,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수지 등에도 효과적으로 점자 성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Punchingapparatus have braile block}
본 발명은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자블럭이 구비되어 점자 성형시 블럭의 교체만으로 간단히 다양한 점자를 성형할 수 있는 점자 형성이 가능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사용하는 인쇄방식은 표면에 인쇄를 하여 점자체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된 점자체는 손톱에 의해 인쇄된 내용이 떨어져 나가거나, 색상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견고하지 못하여 신뢰성에 약하고, 조그마한 충격에서도 인쇄된 점차체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타발 방식은 점자기기를 사용하여 점자체를 구현하는 것이며, 기존의 타발방식은 일반 필름(FILM)에 가공함으로서 타발 형상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고 나면, 눌림 현상이 발생하여 형상이 변형되고, 점자체의 높이가 낮아져 장애인들이 인식하기 어려운 약 0.1mm~0.2mm의 높이가 되며, 프라스틱(PC,아크릴,PET,PP,PETP.....등)수지에는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에서는 점자 성형을 위해서 핀을 일일이 글자에 맞춰 교환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669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하게 블럭을 교환함으로써 인쇄되는 점자 변경이 가능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는, 상하로 유동하는 상부금형(150)과; 상기 상부금형(15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부금형(20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30)이 구비되는 다수의 점자블럭(3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200)은, 상면에는 다수의 블럭홈(212)이 형성되는 하부지지판(210)과; 상기 블럭홈(212)에 삽입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점자핀(330)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점자블럭(300)과;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상측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점자블럭(300)이 상기 블럭홈(2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하부접촉판(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접촉판(220)에는, 상기 하부지지판(210)에 형성되는 다수의 블럭홈(212)과 대응되는 다수의 블럭공(2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블럭공(222)의 크기는, 상기 블럭홈(212)의 평면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블럭(300)은, 상기 블럭홈(212)에 수용되는 하블럭(310)과; 상기 하블럭(3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블럭(320)과; 상기 하블럭(310)과 상블럭(320)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단은 상기 상블럭(3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점자핀(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블럭(320)은, 상기 하블럭(31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안착단(322)과; 상기 안착단(32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블럭공(222)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3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노출부(324)에는 상기 점자핀(330)의 상단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핀공(3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 형태를 가지는 누름대를 작업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점자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누름대는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원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점자 형성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다수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점자체 성형이 완료되고 나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플레이트가 자동으로 원상으로 복귀되므로 연속하여 점자 성형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점자핀이 설치된 점자블럭을 다수 구비하여, 필요시 점자블럭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점자 인쇄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금형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단의 상세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금형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점자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금형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점자블럭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점자블럭의 상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블럭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를 구성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상세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0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크(11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120)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누름대(130)와, 상기 회전축(120)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무게추(140)와,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하는 상부금형(150)과,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160)와, 상기 바디(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170)와, 상기 베이스(170)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단(180)과,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부금형(2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0)는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2)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102)를 상하로 관통하여 링크(110)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110)는 관절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20)의 회전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상기 상부금형(15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20)은,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축(120)은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기동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0)의 상단 전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우측단은 상기 바디(100)의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0)의 우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120)의 우측단에는 상기 누름대(130)가 연결된다.
상기 누름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20)의 우측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120)의 우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누름대(130)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누름대(130)의 끝단을 잡고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회전축(120)이 반시계방향(도 1의 우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링크(11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120)에는 상기 무게추(140)가 더 연결 설치된다. 상기 무게추(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20)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무게추(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무게추(140)는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지는 연결봉(142)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무게추(140)는 상기 연결봉(142)의 후단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142)의 후단에 설치되는 무게추(14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무게추(140)와 회전축(1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즉, 상기 무게추(140)가 상기 회전축(1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무게추(140)의 하중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을 시계방향(도 1의 우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게추(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142)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금형(150)이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는 하중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무게추(140)는 자연 상태(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금형(15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102)의 하단에 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적어도 상기 상부금형(150)과 링크(110)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축(1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하중을 가져야 한다.
상기 연결봉(142)의 외면에는 상기 무게추(14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14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상부지지판(152)과 하측의 상부접촉판(1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지지판(152)은 철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110)에 직접 접하게 된다.
상기 상부접촉판(1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판(152)과 대응되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지지판(152)의 하면에 밀착된다.
상기 상부접촉판(154)은 동(銅)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접촉판(154)의 하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점자핀(330)의 상단에 밀려 올라오는 제품이 접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품과 점자핀(3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의 재질이 적합하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60)는 상기 상부금형(150)과 하부금형(200)의 크기보다 더 큰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제품이 놓여져 점자가 성형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바디(100)의 하단에는 소정 크기의 베이스(170)가 형성되며, 이러한 베이스(170)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7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단(180)이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단(180)은 상기 베이스(170)의 상면에 나사 등으로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180)의 상측에는 상기 하부금형(200)이 안착되며, 이러한 하부금형(200)은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하부금형(200)은, 상기 상부금형(150)과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금형(200)은,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180)에 접하는 하부지지판(210)과, 상기 하부지지판(210)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접촉판(2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지지판(210)은 상기 상부지지판(152)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접촉판(220)은 상기 상부접촉판(154)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접촉판(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블럭(320)의 노출부(324)가 관통되는 다수의 블럭공(22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를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금형(200)의 네 모퉁이에는 4개의 탄성홀(2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중앙부 전후에는 2개의 돌기홀(226)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탄성홀(224)에는 상기 탄성부재(230)가 각각 삽입 설치되며, 이러한 탄성부재(230)는 상단이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30)이 구비된 다수의 점자블럭(300)이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점자블럭(300) 및 점자핀(330) 상단부가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점자블럭(300)은 상단부가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지지판(210)에 수용된다.
상기 점자블럭(300) 및 점자핀(33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바디(100)의 상측에는,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부금형(15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1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절레버(190)는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20)이 회전하거나 상기 링크(11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금형(200)의 초기 위치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는 상기 고정단(180)의 상세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180)은 상기 베이스(170)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부 전후에는 2개의 고정돌기(18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82)는 상기 고정단(180)의 상측에 상기 하부금형(200)이 제 위치에 놓여져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금형(20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돌기(182)과 대응되는 홈이나 홀(hole)이 형성된다.
도 5에는 상기 상부금형(150)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15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돌기(156)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상부돌기(156)는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의 하면에는 다수의 상부핀홈(158)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핀홈(158)은 제품이 상기 점자핀(330)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핀홈(158)은 상기 점자핀(330)의 상단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곡률로 이루어진다.
도 6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에는 상기 점자핀(330)의 상반부가 통과하는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저면에는 중앙부에 전후 2개의 플레이트돌기(164)가 돌출(도 6에서는 상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레이트돌기(164)는 상기 하부금형(200)의 돌기홀(226)에 삽입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돌기(164)가 상기 하부금형(200)의 돌기홀(226)에 삽입되면, 상기 플레이트돌기(164)가 상기 하부금형(200)의 상측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정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도 7에는 상기 점자핀(330)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자핀(330)은 상하의 외경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점자핀(330)은, 하반부는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는 지지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2)의 상측에는 지지부(332)보다 외경 크기가 작은 가압부(3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부(332)와 가압부(334) 사이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자 외경 크기가 작아지는 테이퍼부(33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자핀(330)이 상기 하부금형(200)에 설치되면, 상기 가압부(334)가 상기 하부금형(20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를 관통한 다음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점자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점자핀(330)의 상하 외경 크기가 다르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점자핀(330)이 상기 점자블럭(300)에 쉽게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점자핀(330)의 상기 지지부(332) 외경 크기가 2mm이고 상기 가압부(334)의 외경 크기가 1.5mm인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점자블럭(300)의 핀공(324')의 상단부 내경 크기는 1.5mm보다는 크고 2mm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하블럭(310)의 핀홈(312) 내경은 2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점자핀(330)을 아래에서 설명할 하블럭(310)의 핀홈(312)에 삽입한 후 아래에서 설명할 상블럭(320)을 상측으로부터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점자핀(330)의 상단부는 상블럭(320)의 핀공(324')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되며, 이때 상기 점자핀(330)의 지지부(332) 외경은 핀공(324')의 상단부 내경보다 크므로 점자핀(330)이 핀공(324')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탈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상기 하부금형(200)과 점자블럭(30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는 상기 하부금형(200)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및 도 10에는 상기 점자블럭(300)이 사시도 및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상기 점자블럭(300)을 구성하는 하블럭(3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30)이 구비되는 다수의 점자블럭(3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00)은, 상면에는 다수의 블럭홈(212)이 형성되는 하부지지판(210)과, 상기 블럭홈(212)에 삽입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점자핀(330)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점자블럭(300)과,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상측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점자블럭(300)이 상기 블럭홈(2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하부접촉판(2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판(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하부지지판(210)에는 다수의 블럭홈(212)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블럭홈(212)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부지지판(21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판(210)에는 상기 탄성부재(230)가 각각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탄성홈(214)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네 모퉁이에는 4개의 탄성홈(214)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30)의 하단이 삽입된다.
상기 점자블럭(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블럭홈(212)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점자블럭(300)의 상단은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점자블럭(300)은, 상기 블럭홈(212)에 수용되는 하블럭(310)과, 상기 하블럭(3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블럭(320)과, 상기 하블럭(310)과 상블럭(3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점자핀(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블럭(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다수의 핀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핀홈(312)은 상기 점자핀(330)의 하단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핀홈(312)의 내경은 상기 점자핀(330)의 하단 외경 크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블럭(320)은, 상기 하블럭(310)과 결합하여 상기 점자핀(33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블럭(320)은, 상기 하블럭(31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안착단(322)과, 상기 안착단(32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블럭공(222)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324)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블럭(320)의 테두리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하단은 안착단(322)을 형성하고 있으며, 안착단(322)의 내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노출부(32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322)의 크기는 상기 하블럭(310)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단(322)은 상기 하블럭(310)의 상면에 볼트(bolt) 등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상기 노출부(324)에는 상기 점자핀(330)의 상단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핀공(3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핀공(324')은 상기 점자핀(330)의 상단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며, 하단부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핀공(324')은 상반부의 내경이 하반부의 내경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도 10 참조). 즉, 상기 핀공(324')의 상반부 내경은 상기 점자핀(330)의 하단부 외경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자핀(330)의 하단부는 상기 핀공(324')을 관통하지 못하므로 상기 하블럭(310)과 상블럭(320)이 결합되면, 자연적으로 상기 점자핀(330)은 하블럭(310)과 상블럭(320) 사이에서 고정된다.(도 10 참조)
상기 점자핀(33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블럭(310)과 상블럭(320)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단은 상기 상블럭(3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접촉판(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상측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점자블럭(300)이 상기 블럭홈(21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접촉판(220)에는, 상기 하부지지판(210)에 형성되는 다수의 블럭홈(212)과 대응되는 다수의 블럭공(2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공(222)의 크기는, 상기 블럭홈(212)의 평면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블럭공(222)의 크기는, 상기 상블럭(320)의 안착단(322) 크기보다는 작고, 상기 노출부(324)의 크기보다는 더 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두께는 상기 노출부(324)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설치가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노출부(324)의 상면과 상기 점자핀(330)이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4와 같은 고정단(180)의 상측에 상기 하부금형(200)을 장착한다. 이때에는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상기 점자핀(330)이 삽입되어 있으며, 점자핀(330)의 상단이 하부금형(20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00)의 탄성홀(224)에 상기 탄성부재(230)를 각각 삽입하게 되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200) 상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플레이트돌기(164)는 상기 하부금형(200)의 돌기홀(226)에 삽입되고, 이때의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상면에 제품을 얹은 다음, 상기 누름대(130)의 선단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아래로 내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축(120)이 반시계방향(우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링크(110)가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고, 상기 링크(110)와 연된되어 있는 상부금형(150)이 하측으로 내려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에 놓여진 제품을 가압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160)가 하측ㄹ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다수의 점자핀(330)이 지지플레이트(160)의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제품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은 장착된 점자핀(330)의 형태에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점자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상기 누름대(130)를 누른 손을 놓게 되면, 상기 누름대(130)는 상기 무게추(140)의 하중에 의해 상측으로 원상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무게추(140)의 무게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이 시계방향(우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하면, 상기 링크(1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금형(150)도 상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점자 형성이 완료된다.
그리고 다른 점자를 인쇄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자블럭(300)을 교환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에에서는 상기 점자블럭(300)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점자블럭(300)은 원형이나 다른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것도 무방하다.
100. 바디 110. 링크
120. 회전축 130. 누름대
140. 무게추 150. 상부금형
160. 지지플레이트 170. 베이스
180. 고정단 190. 조절레버
200. 하부금형 300. 점자블럭
310. 하블럭 320. 상블럭
330. 점자핀

Claims (5)

  1. 상하로 유동하는 상부금형(150)과, 상기 상부금형(15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부금형(20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30)이 구비되는 다수의 점자블럭(3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200)은,
    상면에는 다수의 블럭홈(212)이 형성되는 하부지지판(210)과, 상기 블럭홈(212)에 삽입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점자핀(330)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점자블럭(300)과,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상측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점자블럭(300)이 상기 블럭홈(2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하부접촉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접촉판(220)에는, 상기 하부지지판(210)에 형성되는 다수의 블럭홈(212)과 대응되는 다수의 블럭공(2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블럭공(222)의 크기는, 상기 블럭홈(212)의 평면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점자블럭(300)은,
    상기 블럭홈(212)에 수용되는 하블럭(310)과, 상기 하블럭(3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블럭(320)과, 상기 하블럭(310)과 상블럭(320)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단은 상기 상블럭(3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점자핀(330)을 포함하며;
    상기 상블럭(320)은,
    상기 하블럭(31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안착단(322)과, 상기 안착단(32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블럭공(222)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3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노출부(324)에는 상기 점자핀(330)의 상단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핀공(3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05702A 2015-07-27 2015-07-27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KR10170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702A KR101705796B1 (ko) 2015-07-27 2015-07-27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702A KR101705796B1 (ko) 2015-07-27 2015-07-27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70A KR20170012970A (ko) 2017-02-06
KR101705796B1 true KR101705796B1 (ko) 2017-02-13

Family

ID=5810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702A KR101705796B1 (ko) 2015-07-27 2015-07-27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61A (ko) * 2020-07-27 2022-02-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점자 라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34Y1 (ko) 2003-09-18 2003-12-11 김은철 조립식 도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859A (ja) * 1993-02-17 1994-08-30 Hinode Koki Kk 点字刻印用の点字文字ピ−ス、及びこれを用いた点字文字列カ−トリッジ
KR101226208B1 (ko) 2011-05-12 2013-02-22 정종수 점자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34Y1 (ko) 2003-09-18 2003-12-11 김은철 조립식 도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861A (ko) * 2020-07-27 2022-02-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점자 라벨기
KR102431881B1 (ko) * 2020-07-27 2022-08-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 점자 라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70A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043B2 (en) Punch die and punch machine using the same
US2481883A (en) Punch apparatus
KR101705796B1 (ko)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KR101700795B1 (ko) 점자 성형장치
US10946691B2 (en) Embosser including rollers
KR200484709Y1 (ko) 점자 성형장치용 금형
JP5190770B2 (ja) 電子楽器用鍵盤装置と鍵ガイドの調整方法
US6189220B1 (en) Punch having changeable punching member
JP4517586B2 (ja) ダブルカム装置
KR20160046351A (ko) 점자 성형장치용 금형
KR20080100521A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거리 미세조정 표시장치
CN101262989B (zh) 可翻转使用的冲孔工具
CN104308016B (zh) 冲压模具板料定位装置
JP5047910B2 (ja) フィルムのトリミング方法及びトリミング装置
JP6418229B2 (ja)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US4675000A (en) Press
KR101888945B1 (ko) 휴대용 모양커팅기
JP6066368B2 (ja)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2003285523A (ja) スタンプ装置
JP7441781B2 (ja) キャップ付きキャリ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25592A (en) Die-stamp.
JPH0627163U (ja) 印面高さ調節式印判装置
KR102396765B1 (ko) 자성 유닛을 이용한 압형 제작 기구
US946824A (en) Press for stamping raised characters on printing-plates.
JP4015491B2 (ja) 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