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795B1 - 점자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점자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795B1
KR101700795B1 KR1020140141598A KR20140141598A KR101700795B1 KR 101700795 B1 KR101700795 B1 KR 101700795B1 KR 1020140141598 A KR1020140141598 A KR 1020140141598A KR 20140141598 A KR20140141598 A KR 20140141598A KR 101700795 B1 KR101700795 B1 KR 10170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mold
support plate
li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350A (ko
Inventor
이학철
Original Assignee
동양전자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전자테크(주) filed Critical 동양전자테크(주)
Priority to KR102014014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7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점자 성형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플라스틱 수지에도 점자 형성이 가능한 점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성형장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0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크(11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누름대(130)와; 상기 회전축(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무게추(140)와;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하는 상부금형(150)과;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되고, 제품이 놓여지는 지지플레이트(160)와;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200)에 구비되며,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수지 등에도 효과적으로 점자 성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점자 성형장치 {Manufaturing apparatus for braille}
본 발명은 점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의 동작에 의해 점자 성형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플라스틱 수지에도 점자 형성이 가능한 점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사용하는 인쇄방식은 표면에 인쇄를 하여 점자체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된 점자체는 손톱에 의해 인쇄된 내용이 떨어져 나가거나, 색상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견고하지 못하여 신뢰성에 약하고, 조그마한 충격에서도 인쇄된 점차체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타발 방식은 점자기기를 사용하여 점자체를 구현하는 것이며, 기존의 타발방식은 일반 필름(FILM)에 가공함으로서 타발 형상이 찌그러지는 형상이 발생한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고 나면, 눌림 현상이 발생하여 형상이 변형되고, 점자체의 높이가 낮아져 장애인들이 인식하기 어려운 약 0.1mm~0.2mm의 높이를 가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점자체를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플라스틱(PC,아크릴,PET,PP,PETP.....등)수지에는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669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레버 조작에 의해 점자 성형이 가능하며 플라스틱 수지에도 점자 형성이 가능한 점자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성형장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0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크(11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120)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누름대(130)와; 상기 회전축(120)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무게추(140)와;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하는 상부금형(150)과;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되고, 제품이 놓여지는 지지플레이트(160)와; 상기 바디(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170)와; 상기 베이스(17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70)에 고정되는 고정단(180)과; 상기 고정단(180)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200)에 구비되며,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200)은,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180)에 접하는 하부지지판(210)과; 상기 하부지지판(210)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점자핀(300)이 관통되는 다수의 금형홀(222)이 형성되는 하부접촉판(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접촉판(220)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를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2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부금형(15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19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추(140)는, 연결봉(142)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금형(150)이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는 하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 형태를 가지는 누름대를 작업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점자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누름대는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원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점자 형성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절레버에 의해 상부금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점자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점자체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품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다수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점자체 성형이 완료되고 나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플레이트가 자동으로 원상으로 복귀되므로 연속하여 점자 성형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금형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단의 상세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금형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점자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성형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상세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성형장치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0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크(11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120)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누름대(130)와, 상기 회전축(120)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무게추(140)와,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하는 상부금형(150)과,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160)와, 상기 바디(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170)와, 상기 베이스(170)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단(180)과,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200)에 구비되어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0)는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02)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102)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링크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110)는 관절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20)의 회전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상기 상부금형(15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20)은,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축(120)은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기동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0)의 상단 전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우측단은 상기 바디(100)의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0)의 우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120)의 우측단에는 상기 누름대(130)가 연결된다.
상기 누름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20)의 우측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120)의 우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누름대(130)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누름대(130)의 끝단을 잡고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회전축(120)이 반시계방향(도 1의 우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링크(11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120)에는 상기 무게추(140)가 더 연결 설치된다. 상기 무게추(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20)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무게추(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무게추(140)는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지는 연결봉(142)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무게추(140)는 상기 연결봉(142)의 후단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142)의 후단에 설치되는 무게추(14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무게추(140)와 회전축(1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즉, 상기 무게추(140)가 상기 회전축(1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무게추(140)의 하중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을 시계방향(도 1의 우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게추(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142)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금형(150)이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는 하중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무게추(140)는 자연 상태(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금형(150)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102)의 하단에 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므로, 적어도 상기 상부금형(150)과 링크(110)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회전축(1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하중을 가져야 한다.
상기 연결봉(142)의 외면에는 상기 무게추(14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14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의 상부지지판(152)과 하측의 상부접촉판(1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지지판(152)은 철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110)에 직접 접하게 된다.
상기 상부접촉판(1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판(152)과 대응되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지지판(152)의 하면에 밀착된다.
상기 상부접촉판(154)은 동(銅)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접촉판(154)의 하면에는 상기 점자핀(300)의 상단에 밀려 올라오는 제품이 접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품과 점자핀(3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의 재질이 적합하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60)는 상기 상부금형(150)과 하부금형(200)의 크기보다 더 큰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제품이 놓여져 점자가 성형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바디(100)의 하단에는 소정 크기의 베이스(170)가 형성되며, 이러한 베이스(170)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7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단(180)이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단(180)은 상기 베이스(170)의 상면에 나사 등으로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180)의 상측에는 상기 하부금형(200)이 안착되며, 이러한 하부금형(200)은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하부금형(200)은, 상기 상부금형(150)과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금형(200)은,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180)에 접하는 하부지지판(210)과, 상기 하부지지판(210)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접촉판(2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지지판(210)은 상기 상부지지판(152)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접촉판(220)은 상기 상부접촉판(154)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접촉판(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며, 여기에는 상기 점자핀(300)이 관통되는 다수의 금형홀(22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금형홀(222)은,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반부의 내경이 하반부의 내경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금형홀(222)의 상반부 내경은 상기 점자핀(300)의 하단부 외경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접촉판(220)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를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접촉판(2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금형홀(22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금형홀(222)의 전후로는 4개의 탄성홀(2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중앙부 전후에는 2개의 돌기홀(226)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탄성홀(224)에는 상기 탄성부재(230)가 각각 삽입 설치되며, 이러한 탄성부재(230)는 상단이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00)이 다수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점자핀(300)이 상단부가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점자핀(300)은 상기 하부접촉판(2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자핀(300)은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금형홀(222)에 삽입된다.
상기 점자핀(30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바디(100)의 상측에는,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부금형(15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1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절레버(190)는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20)이 회전하거나 상기 링크(11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금형(200)의 초기 위치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는 상기 고정단(180)의 상세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180)은 상기 베이스(170)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부 전후에는 2개의 고정돌기(18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82)는 상기 고정단(180)의 상측에 상기 하부금형(200)이 제 위치에 놓여져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금형(20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돌기(182)과 대응되는 홈이나 홀(hole)이 형성된다.
도 5에는 상기 상부금형(150)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15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돌기(156)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상부돌기(156)는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금형(150)의 하면에는 다수의 상부핀홈(158)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핀홈(158)은 제품이 상기 점자핀(300)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핀홈(158)은 상기 점자핀(300)의 상단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곡률로 이루어진다.
도 6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상세 구성을 보인 하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에는 상기 점자핀(300)의 상반부가 통과하는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저면에는 중앙부에 전후 2개의 플레이트돌기(164)가 돌출(도 6에서는 상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레이트돌기(164)는 상기 하부금형(200)의 돌기홀(226)에 삽입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돌기(164)가 상기 하부금형(200)의 돌기홀(226)에 삽입되면, 상기 플레이트돌기(164)가 상기 하부금형(200)의 상측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정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도 7에는 상기 점자핀(300)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자핀(300)은 상하의 외경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점자핀(300)은, 하반부는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지는 지지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10)의 상측에는 지지부(310)보다 외경 크기가 작은 가압부(3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부(310)와 가압부(320) 사이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자 외경 크기가 작아지는 테이퍼부(3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자핀(300)이 상기 하부금형(200)에 설치되면, 상기 가압부(320)가 상기 하부금형(20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를 관통한 다음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점자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점자핀(300)의 상하 외경 크기가 다르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점자핀(300)이 상기 하부접촉판(220)에 쉽게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점자핀(300)의 상기 지지부(310) 외경 크기가 2mm이고 상기 가압부(320)의 외경 크기가 1.5mm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접촉판(220)에 형성되는 금형홀(222)의 상단부 내경 크기는 1.5mm보다는 크고 2mm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형홀(222)의 하단 내경은 2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점자핀(300)을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하측으로부터 금형홀(222)에 삽입할 경우, 상기 점자핀(300)은 상기 금형홀(222)의 하반부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되며, 이때 상기 점자핀(300)의 지지부(310) 외경은 상기 금형홀(222)의 상단부 내경보다 크므로 점자핀(300)이 금형홀(222)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탈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접촉판(220)의 하측에 하부지지판(21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점자핀(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지지판(210)의 상면에 접하게 되므로, 상기 금형홀(222)에 삽입된 점자핀(300)은 상하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점자 성형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4와 같은 고정단(180)의 상측에 상기 하부금형(200)을 장착한다. 이때에는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상기 점자핀(300)이 삽입되어 있으며, 점자핀(300)의 상단이 하부금형(20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00)의 탄성홀(224)에 상기 탄성부재(230)를 각각 삽입하게 되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200) 상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플레이트돌기(164)는 상기 하부금형(200)의 돌기홀(226)에 삽입되고, 이때의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의 상면에 제품을 얹은 다음, 상기 누름대(130)의 선단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아래로 내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축(120)이 반시계방향(우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링크(110)가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고, 상기 링크(110)와 연동되어 있는 상부금형(150)이 하측으로 내려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60)에 놓여진 제품을 가압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16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다수의 점자핀(300)이 지지플레이트(160)의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제품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은 장착된 점자핀(300)의 형태에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점자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상기 누름대(130)를 누른 손을 놓게 되면, 상기 누름대(130)는 상기 무게추(140)의 하중에 의해 상측으로 원상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무게추(140)의 무게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이 시계방향(우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하면, 상기 링크(1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금형(150)도 상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점자 형성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바디 110. 링크
120. 회전축 130. 누름대
140. 무게추 150. 상부금형
160. 지지플레이트 170. 베이스
180. 고정단 190. 조절레버
200. 하부금형 300. 점자핀

Claims (5)

  1.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0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크(11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120)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누름대(130)와, 상기 회전축(120)으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무게추(140)와,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하는 상부금형(150)과, 다수의 핀홀(162)이 관통 형성되고 제품이 놓여지는 지지플레이트(160)와, 상기 바디(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170)와, 상기 베이스(17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70)에 고정되는 고정단(180)과, 상기 고정단(180)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금형(15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부금형(200)과, 상기 하부금형(200)에 구비되어 점자 형성을 위해 제품을 가압하는 점자핀(3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하부금형(200)은,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180)에 접하는 하부지지판(210)과, 상기 하부지지판(210)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점자핀(300)이 관통되는 다수의 금형홀(222)이 형성되는 하부접촉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점자핀(300)은,
    상기 금형홀(222)의 상단부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지지부(310)와, 상기 지지부(310)의 상측에 지지부(310)보다 외경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가압부(320)와, 상기 지지부(310)와 가압부(320) 사이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 크기가 작아지는 테이퍼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310)의 외경 크기는 2mm이고, 상기 가압부(320)의 외경 크기는 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성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촉판(220)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60)를 탄성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부재(2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성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부금형(15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19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성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140)는,
    연결봉(142)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금형(150)이 하측으로 이동한 다음 원상으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는 하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성형장치.
KR1020140141598A 2014-10-20 2014-10-20 점자 성형장치 KR10170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598A KR101700795B1 (ko) 2014-10-20 2014-10-20 점자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598A KR101700795B1 (ko) 2014-10-20 2014-10-20 점자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350A KR20160046350A (ko) 2016-04-29
KR101700795B1 true KR101700795B1 (ko) 2017-01-31

Family

ID=5591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598A KR101700795B1 (ko) 2014-10-20 2014-10-20 점자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5145B (zh) 2018-09-04 2023-09-29 株式会社Lg化学 多环化合物和包含其的有机发光器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737B1 (ja) * 1998-10-19 2000-04-24 ダイワ技研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等の投入方法と投入装置、及び受取方法と受取装置
KR200247063Y1 (ko) * 2001-06-26 2001-10-17 주식회사 동진기계 핸드프레스의 램 유동억제장치
JP2010128267A (ja) 2008-11-28 2010-06-10 Hidemasa Saji アクチュエータ、点字ピン駆動装置及び接触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79043B1 (ko) * 2011-04-06 2012-09-06 김호종 시각장애인용 점자 조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19B2 (ja) * 1989-06-30 1995-03-22 全国農業協同組合連合会 バレイショ塊茎の製造法
KR101226208B1 (ko) 2011-05-12 2013-02-22 정종수 점자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737B1 (ja) * 1998-10-19 2000-04-24 ダイワ技研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等の投入方法と投入装置、及び受取方法と受取装置
KR200247063Y1 (ko) * 2001-06-26 2001-10-17 주식회사 동진기계 핸드프레스의 램 유동억제장치
JP2010128267A (ja) 2008-11-28 2010-06-10 Hidemasa Saji アクチュエータ、点字ピン駆動装置及び接触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79043B1 (ko) * 2011-04-06 2012-09-06 김호종 시각장애인용 점자 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350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795B1 (ko) 점자 성형장치
KR101705796B1 (ko) 점자블럭이 구비된 타발장치
US10946691B2 (en) Embosser including rollers
KR200484709Y1 (ko) 점자 성형장치용 금형
KR850002573Y1 (ko) 단추부착기의 단추 공급장치
KR20160046351A (ko) 점자 성형장치용 금형
KR20170081878A (ko) 휴대용 마킹기
CN205414156U (zh) 轴冲压模具
KR20180089227A (ko) 스탬프를 이용한 점자라벨 프린팅 장치
US3703142A (en) Self-centering marking device
CN104308016B (zh) 冲压模具板料定位装置
CN210148291U (zh) 一种按压式票据打孔装置
KR20150086043A (ko) 자동스탬프
US3868904A (en) Bed and platen printer
KR101888945B1 (ko) 휴대용 모양커팅기
US4675000A (en) Press
JP5047910B2 (ja) フィルムのトリミング方法及びトリミング装置
US3587178A (en) Memory-exercising device
JP2003285523A (ja) スタンプ装置
CN215696967U (zh) 一种弹片整形工装
JP6066368B2 (ja)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US511410A (en) Stamp-canceler
US946824A (en) Press for stamping raised characters on printing-plates.
CN212329490U (zh) 地坎支架模具出料装置
CN217705145U (zh) 一种全能打码烫金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