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787B1 -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787B1
KR101705787B1 KR1020150014581A KR20150014581A KR101705787B1 KR 101705787 B1 KR101705787 B1 KR 101705787B1 KR 1020150014581 A KR1020150014581 A KR 1020150014581A KR 20150014581 A KR20150014581 A KR 20150014581A KR 101705787 B1 KR101705787 B1 KR 10170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reference value
sensing unit
cove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483A (ko
Inventor
이규진
노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타
Priority to KR102015001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787B1/ko
Priority to JP2017559268A priority patent/JP6568236B2/ja
Priority to PCT/KR2016/000978 priority patent/WO2016122241A1/ko
Priority to US15/547,184 priority patent/US20180021628A1/en
Priority to CN201680008061.XA priority patent/CN107209070A/zh
Publication of KR2016009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787B1/ko
Priority to JP2019142040A priority patent/JP2020000880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7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constricting muscles, i.e. sphinc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4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floats or liquids as sens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Abstract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은 복근이 수축되어 압력센서를 밀어내는 힘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상기 복근이 최대로 수축된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최대값을 수신하여 상기 최대값의 1/n(n은 실수)인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을 대응하는 구간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기준값제어부 및 상기 복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값이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측정값을 표시하는 측정값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core stability excercise}
본 발명은 코어안정화운동(core stability exercise)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근의 수축과 이완이 원하는 정도에 이르렀는지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코어안정화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허리통증환자의 통증경감과 증상의 호전을 위해서 코어안정화(core stability)운동의 효과에 대하여는 널리 알려져 있다. 코어안정화란 척추를 둘러싼 몸통의 근육(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척추기립근 등)이 척추를 안정하게 만들어주는 능력을 말한다. 코어안정화 운동으로는 배가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복근을 수축시키는 운동(abdominal hollowing)과 배가 바깥쪽으로 나오도록 복근을 수축시키는 운동(abdominal bracing)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운동은 복부 근육을 최대한 수축시키는 힘의 10% 또는 20%의 힘으로 복근을 수축시켜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복근을 이완시켜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행하게 된다. 그러나 혼자 이와 같은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복근을 최대한 수축하는 힘의 10% 또는 20%로 유지하는 것이 어느 정도의 힘을 주어야 하는지 알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의사나 치료사가 환자의 복부 양쪽에 손가락으로 누르고 환자에게 힘을 주는 정도를 느껴서 운동을 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의사나 치료사의 주관적인 판단이므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 근전도(electromyogram)를 측정하여 적절한 수준의 힘을 알려주는 방법이 있으나, 근전도 측정 장치는 고가의 장치이므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가 어렵고 전극을 근육 표면에 장시간 부착하는 경우 접촉이 불량해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050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근의 수축과 이완이 원하는 정도에 이르렀는지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코어안정화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은 복근이 수축되어 압력센서를 밀어내는 힘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상기 복근이 최대로 수축된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최대값을 수신하여 상기 최대값의 1/n(n은 실수)인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을 대응하는 구간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기준값제어부 및 상기 복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값이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측정값을 표시하는 측정값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제어부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복근이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가 측정한 초기값을 번갈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측정값제어부는 상기 복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상기 기준값과 초기값이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탄성재질의 면으로 밀폐된 내부에 비압축성 유체가 채워져 있는 커버 및 상기 비압축성 유체가 채워져 있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비압축성 유체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커버의 내부 중 탄성재질의 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비압축성 유체가 있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된 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기준값제어부 또는 측정값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의 일면을 지지하는 비탄성재질의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커버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면은 탄성재질이고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면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탄성재질일 수 있다.
상기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상기 복근에 밀착되도록 벨트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은 개인별로 복근을 수축할 수 있는 최대값을 측정한 후 일정 수준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본인의 현재 복근 수축 정도가 화면에 같이 표시되므로, 혼자서도 쉽게 코어안정화운동이 가능하고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은 저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고가의 근전도 측정 장비를 구입하지 않고 가정이나 회사 등 일상생활을 하면서 쉽게 코어안정화운동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코어안정화 운동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감지부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기준값제어부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준값을 표시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측정값제어부에서 도 4의 기준값이 표시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측정값을 표시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감지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감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감지부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감지부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10 도 6의 감지부에 힘을 가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힘 감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감지부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100)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코어안정화 운동을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10), 기준값제어부(120), 측정값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10)는 복근이 수축되어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탄성재질의 면으로 밀폐된 내부에 비압축성 유체가 채워져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결합되는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커버의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비압축성 유체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0)의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지부(110)는 상기 감지된 결과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기준값제어부(120) 또는 측정값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준값제어부(120)는 상기 복근이 최대로 수축된 경우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최대값을 수신하여 상기 최대값의 1/n(n은 실수)인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을 대응하는 구간마다 디스플레이장치(14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복근을 수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예를 들어 상기 최대값의 10% 또는 20% 등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측정값제어부(130)는 상기 복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값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140)의 화면에 상기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측정값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장치(140)의 화면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40)에 표시되어 있는 기준값과 상기 기준값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에 표시되는 상기 측정값을 보면서 적절한 힘으로 복근에 힘을 주어 복근이 수축되고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40)는 상기 최대값과 상기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가지고 있는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모니터, 노트북 등의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코어안정화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복근을 일정 정도의 힘(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대로 복근을 수축할 수 있는 힘의 10% 등)으로 복근을 수축하여야 하며, 만약 복근의 수축이 과하면 오히려 요통이 유발될 수 있고 복근의 수축이 약하면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현재 적절한 힘을 가하여 복근을 수축하고 있는 지를 실시간을 파악하여 복근의 수축이 과하면 힘을 줄이고 복근의 수축이 약하면 힘을 더 가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코어안정화 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고하여 정리하면, 먼저 감지부(110)에서 복근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의 힘을 감지하여 최대값을 측정하고(S210), 상기 측정된 최대값을 기준값제어부(120)에서 수신하여 상기 최대값의 1/n인 기준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에 표시할 수 있다(S220).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40)에 기준값이 표시되는 구간에서 상기 복근의 수축을 하고 기준값이 표시되지 않는 구간에서 상기 복근의 이완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기 복근의 수축과 이완의 정도를 감지부(110)에서 상기 측정값으로써 감지를 하게된다(S230). 감지부(110)는 상기 감지된 측정값을 측정값제어부(130)로 전송하게 되며, 측정값제어부(130)는 상기 수신된 측정값을 상기 기준값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14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240). 그리고 측정값제어부(130)는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값이 상기 기준값에 임계값을 더한 값과 뺀 값 사이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정한 힘을 복부에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소리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장치(140)의 화면을 통해서 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감지부(110)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110)는 상기 복근에 밀착되도록 벨트(3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는 벨트(310)에 두 개의 감지부(110)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개수의 감지부(110)가 벨트(3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벨트(310)는 복부를 압박하는 정도로 복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벨트(310)에 의하여 감지부(110)가 복부를 압박하는 상태에서 복근이 수축하면 감지부(110)는 복근의 수축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기준값제어부(12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40)에 기준값을 표시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측정값제어부(130)에서 도 4의 기준값이 표시된 디스플레이장치(140)에 측정값을 표시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기준값제어부(120)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복근이 수축된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가 측정한 초기값을 번갈아 디스플레이장치(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근의 수축과 이완을 10초 단위로 반복해서 해야 한다면 기준값제어부(120)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초기값을 10초 단위로 번갈아가면 디스플레이장치(14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복근을 10초동안 수축하고 20초동안 이완하는 운동을 반복하여야 한다며 기준값제어부(120)는 상기 기준값을 10초 동안 표시한 후 상기 초기값을 20초 동안 표시하는 것을 반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4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기준값제어부(120)는 상기 기준값을 t1에서 t2 구간과 t3에서 t4 구간에 표시하고, 상기 초기값을 t2에서 t3 구간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최대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이 결정되면 실제로 사용자가 감지부(110)를 복부에 부착하여 코어안정화 운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복근을 수축하거나 이완하는 정도에 따라 도 5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측정값제어부(13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40)에 측정값을 표시하게 된다. 즉, t1 시점부터 복근이 수축되어 t2 시점까지 상기 복근이 수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측정값이 디스플레이장치(140)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보면서 복근에 힘을 더 주어야 할지 힘을 빼야 할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시점에서 복근을 수축해야 하는지 이완해야 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측정값제어부(130)는 상기 측정값을 상기 기준값과 상기 초기값이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상기 기준값과 상기 측정값이 오버랩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고, 오버랩되지 않는 상태에서 구간을 일치시켜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값제어부(130)는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이 대응하는 시점에서 임계값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감지부(110)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의 감지부(11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감지부(110)가 지지부(81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감지부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10′)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6의 감지부(110)에 힘을 가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감지부(1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부(110)는 커버(610), 압력센서(620) 및 비압축성 유체(63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610)는 탄성재질의 면으로 밀폐되어 있고, 상기 밀폐된 공간의 내부에서 비압축성 유체(630)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압력센서(620)는 상기 비압축성 유체가 채워져 있는 커버(610)의 내부에 결합되고, 커버(610)의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비압축성 유체(63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압력센서(630)에서 측정된 값은 전기적 신호로써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기준값제어부(120) 또는 측정값제어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지지부(8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810)는 비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610)의 일 면에 결합되어 커버(610)의 일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810)는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지지부(810)가 반드시 도 8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810)가 없는 경우에도, 커버(610) 중 힘이 가해지는 면의 반대면을 바닥에 놓거나 벽에 대고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모두 비압축성 유체(630)를 통하여 압력센서(620)로 전달되므로 지지부(810)를 구비하지 않고도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압력센서(630)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비압축성 유체(630)를 통하여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의 내부에 공기와 같은 압축성 유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커버의 탄성재질의 면이 변형되면서 유체가 압축이 되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압력센서에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탄성재질의 커버(610) 내부에 비압축성 유체(630)가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탄성재질의 커버(610)에 약간의 변형이 생기더라도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비압축성 유체(630)를 통하여 압력센서(620)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압력센서(620)는 외력에 대한 압력의 발생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압력센서(620)는 커버(610)의 내부에 결합되게 되는데, 커버(610)의 내부 중 탄성재질의 면에 결합되거나 비압축성 유체(630)가 있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압력센서(620)가 커버(61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 하부에서 상부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 등 어느 방향에서 힘이 가해져도 압력센서(620)에 의하여 측정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도 9의 실시예와 같이 압력센서(620)는 비압축성 유체(630)가 있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의 압력센서(620)의 위치가 중앙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커버(61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압축성 유체(630)가 있는 공간 중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어느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압력센서(620)는 전달되는 힘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압력센서(620)는 비압축성 유체(630)를 통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면 커버(610)의 내부에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커버(610) 내부의 비압축성 유체(630)의 압력의 변화를 압력센서(620)에서 검출하여 외부에서 가해진 힘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힘이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비스듬하게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는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커버(610) 내부의 밀폐된 공간을 비압축성 유체(630)로 채우고 비압축성 유체(630)의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620)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상관없이 힘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610)의 면을 탄성재질로 함으로써, 신체와 접촉을 하여 힘을 측정하더라도 신체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거나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부에 힘을 주어 복근이 수축하는 정도에 따른 힘의 세기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복대나 벨트 등에 복부 방향으로 감지부(110)를 결합한 후 복부에 힘을 주어 복근이 수축하면 커버(610)의 탄성재질의 면도 함께 변형이 됨으로써 복부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거나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감지부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10″)의 커버(1110)는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면이 탄성재질(1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면 이외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비탄성재질(11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1110)의 내부에는 비압축성 유체(630)가 채워진 상태로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압력센서(620)는 커버(1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커버(1110)의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비압축성 유체(63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도 8의 커버(610)와 지지부(810)가 일체로 하나의 커버(1110)로 생성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커버(111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6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감지부(110)는 도 5 내지 도 11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복근이 수축되어 압력센서를 밀어내는 힘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상기 복근이 최대로 수축된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최대값을 수신하여 상기 최대값의 1/n(n은 실수)인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을 대응하는 구간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기준값제어부; 및
    상기 복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기준값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측정값을 표시하는 측정값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제어부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복근이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가 측정한 초기값을 번갈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측정값제어부는,
    상기 복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상기 기준값과 초기값이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탄성재질의 면으로 밀폐된 내부에 비압축성 유체가 채워져 있는 커버; 및
    상기 비압축성 유체가 채워져 있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비압축성 유체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커버의 내부 중 탄성재질의 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비압축성 유체가 있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된 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기준값제어부 또는 측정값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의 일면을 지지하는 비탄성재질의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면은 탄성재질이고 상기 힘이 가해지는 방향의 면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상기 복근에 밀착되도록 벨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안정화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0150014581A 2015-01-29 2015-01-29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KR10170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581A KR101705787B1 (ko) 2015-01-29 2015-01-29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JP2017559268A JP6568236B2 (ja) 2015-01-29 2016-01-29 コア安定化運動管理システム
PCT/KR2016/000978 WO2016122241A1 (ko) 2015-01-29 2016-01-29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US15/547,184 US20180021628A1 (en) 2015-01-29 2016-01-29 Core stability exercise management system
CN201680008061.XA CN107209070A (zh) 2015-01-29 2016-01-29 核心稳定性训练管理系统
JP2019142040A JP2020000880A (ja) 2015-01-29 2019-08-01 コア安定化運動管理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581A KR101705787B1 (ko) 2015-01-29 2015-01-29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771A Division KR20170018366A (ko) 2017-02-03 2017-02-03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483A KR20160093483A (ko) 2016-08-08
KR101705787B1 true KR101705787B1 (ko) 2017-02-13

Family

ID=5654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581A KR101705787B1 (ko) 2015-01-29 2015-01-29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21628A1 (ko)
JP (2) JP6568236B2 (ko)
KR (1) KR101705787B1 (ko)
CN (1) CN107209070A (ko)
WO (1) WO2016122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2427B2 (en) * 2018-03-30 2023-03-14 Qura, Inc. Intraocular lenses including an intraocular pressure sensor
CN109363672B (zh) * 2018-09-07 2021-09-07 南方医科大学珠江医院 一种核心肌群的智能监测装置及训练监测方法
JP7231150B2 (ja) * 2019-03-04 2023-03-01 株式会社槌屋 アブドミナル・ホローイング促進システム、伸縮センサー、および、プログラム
JP7209363B2 (ja) * 2020-04-13 2023-01-20 リオモ インク スタビリティ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2633977B1 (ko) * 2020-12-08 2024-02-06 서울대학교병원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421B1 (ko) * 1999-02-26 2005-03-30 와커-헤미 게엠베하 스마트 에어백 시스템용 실물 검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4809A (en) * 1939-05-20 1940-03-26 Jr Daniel William Powell Diaphragmeter
US5957491A (en) * 1996-12-19 1999-09-2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eat weight sensor having fluid filled bladder
US5823913A (en) * 1996-12-26 1998-10-20 Aruin; Alexander S. Method for exercising the abdominal muscles
US6616579B1 (en) * 1999-06-14 2003-09-09 Sensorpad Systems, Inc. Apparatus for isometric exercise
KR200167675Y1 (ko) * 1999-08-18 2000-02-15 김해용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US6384729B1 (en) * 1999-11-01 2002-05-07 Irwin Plotkin Biofeedback exercise stimulation apparatus
JP3434501B2 (ja) * 2001-01-22 2003-08-11 山嶋 康弘 肢体能力退行予防装置
WO2005001406A1 (ja) * 2003-06-26 2005-01-06 Eamex Corporation 可撓性素子
CN2688230Y (zh) * 2004-04-07 2005-03-30 步召德 腹肌紧张度测量仪
US20070021282A1 (en) * 2005-07-19 2007-01-25 Karp Shaun A Abdominal exercising and strength testing systems
JP4859035B2 (ja) * 2006-04-13 2012-01-18 学校法人日本大学 センサ出力信号評価システム
CN101427923B (zh) * 2007-11-05 2010-11-24 昆山双桥传感器测控技术有限公司 生物医用压力传感器
CN101961529B (zh) * 2010-08-13 2013-06-05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肌电反馈训练和功能评测遥操作装置及方法
US20120109016A1 (en) * 2010-11-03 2012-05-03 Marilyn Hintz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uncal control
KR20130080500A (ko) 2012-01-05 2013-07-1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전자 복대
KR20140033788A (ko) * 2012-09-10 2014-03-19 주식회사 코아스트론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US9226706B2 (en) * 2012-12-19 2016-01-05 Alert Core,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moting usage of core muscles and other applications
ITGE20130016A1 (it) * 2013-02-06 2014-08-07 Corehab S R L Fascia per la misura dell'attivazione dei muscoli addominal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421B1 (ko) * 1999-02-26 2005-03-30 와커-헤미 게엠베하 스마트 에어백 시스템용 실물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0880A (ja) 2020-01-09
CN107209070A (zh) 2017-09-26
US20180021628A1 (en) 2018-01-25
JP2018506403A (ja) 2018-03-08
KR20160093483A (ko) 2016-08-08
WO2016122241A1 (ko) 2016-08-04
JP6568236B2 (ja)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787B1 (ko)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US202203131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pelvic floor muscles
KR101324868B1 (ko) 표면 근전도 검사 및 운동 범위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30032413A1 (en) Bodyweight distribution and postur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ITGE20130016A1 (it) Fascia per la misura dell'attivazione dei muscoli addominali
WO200811256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neuromotor disorders
US20140070949A1 (en) Muscle activity training facility for lower body of user
US202001212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ime-resolved measurement of characteristic variables of the cardiac function
KR20160011551A (ko)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자가 안정화 운동 제어기구
US20160235367A1 (en) Device for contactless monitoring of patient's vital signs
US20190328321A1 (en) Sensitivity metering system for use in patient diagnosis field
US20040260207A1 (en)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s within body cavities
KR102202619B1 (ko)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EP3387987B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bioelectrical impedance of a patient
KR20170018366A (ko)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US20230320906A1 (en) Arrangement for compression treatment, in particular compression therapy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monitoring the same
RU2504350C1 (ru) Интерак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человека и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KR101493989B1 (ko) 압전센서를 이용한 재활치료용 재활복
US11213214B2 (en) Electronic blood pressure monitor
JP2015020033A (ja) 動物の呼吸及び/又は心拍により発生する圧力変動を監視する方法
NL2009690C2 (en) Medical rehabilitation device.
JP5913144B2 (ja) 体幹筋力測定及びトレーニング装置
EP4098188B1 (en) Monitoring kit with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computer-implemented evaluation program
US20140057234A1 (en) Device for training the application of compression material
Arumugam et al.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modified sphygmomanometer in cranio-cervical flexion test on asymptomatic individ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