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675Y1 -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 Google Patents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675Y1
KR200167675Y1 KR2019990017038U KR19990017038U KR200167675Y1 KR 200167675 Y1 KR200167675 Y1 KR 200167675Y1 KR 2019990017038 U KR2019990017038 U KR 2019990017038U KR 19990017038 U KR19990017038 U KR 19990017038U KR 200167675 Y1 KR200167675 Y1 KR 200167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ominal
abdomen
key
microcompute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용
Original Assignee
김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용 filed Critical 김해용
Priority to KR2019990017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 공간, 장소 등에 관계없이 착용 휴대하여 자동적으로 복부근육 운동을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복부비만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주 마이콤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 및 스피커와, 상기 주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따라 보조 마이콤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액정 표시부와, 상기 주 마이콤과 보조 마이콤 사이의 데이터 라인 각각에 설치한 온/오프 키, 진동/알람 모드전환 키, 삭제/시간 기능 키, 복부압력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복근운동 유도기 본체의 후면에 걸이부를 형성하여 휴대착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본체의 걸이부를 착용자의 복부 부근의 혁대 등에 걸어두고, 본체의 온/오프 키를 온 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배가 임의로 나오게 되면 배의 힘을 복부압력 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진동 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배에 힘을 주도록 유도하여 복부근육이 발생되게 하는 운동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INDUCTION MACHINE OF ELECTRONIC BELLY EXERCISE AUTOMATICALLY}
본 고안은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현대 생활체육계와 의학계에서 이미 발표된 복부근육운동 이론에 의하면 '복부를 강화시키는 복부근육운동으로 복부근육이 피하지방을 당겨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꾸준히 복부근육운동을 하게 되면 배가 들어간다'(아주의대 비만 클리닉 연구소 김상만 저 성공률 99% 다이어트 업그레드 참조)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복부 비만자를 위한 특별한 다이어트 방법이 제기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복부근육운동을 비만자 스스로 하기란 매우 어렵고, 체육관, 헬스클럽, 가정 등에서 중량체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복부근육 단련운동을 하고 있으나, 이는 힘이 많이 들게되어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많은 실정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지방이 가장 많이 쌓이는 곳이 배꼽 주위의 복부이어서 이 부분에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기가 쉽기 때문에 이런 여성들의 최대 관심은 어떻게 하면 복부의 비만을 뺄 것인가에 큰 고민을 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힘들이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복부비만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이들 여성들에게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힘들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배의 살을 뺄 수 있는 방법은 간혹 배에 힘을 주어 배를 당기고 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인데,배가 나올때 마다 배에 힘을 주어 배를 당기기란 그렇게 수월하지 않으며, 다른 일을 하거나 할 경우에는 이러한 운동을 거의 잊어버려 운동효과를 크게 높일 수 없다.
본 고안은 복부근육운동이 피하지방을 당겨주어 복부근육을 단련 시켜줌으로써, 복부의 살을 뺄 수 있다는 이론을 근거로 하여 시간, 공간, 장소에 관계없이 재미있고 지속적으로 복부근육운동을 할 수 있게 유도하여 효과적으로 복부살을 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몇초, 몇분간 의식적으로 배에 힘을 준 상태에서 일을 하고 있다가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게 배를 내밀게 되면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배에 힘을 주게 함으로써, 복부근육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휴대하기 쉽게 착용하고 시간과 공간 및 장소에 관계없이 배가 임의의 힘으로 나오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배의 힘을 주게 유도하며, 배의 근육운동과 관련된 일련의 시간을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기록관리를 통해 배의 근육운동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 마이콤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 및 스피커와, 상기 주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따라 보조 마이콤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액정 표시부와, 상기 주 마이콤과 보조 마이콤 사이의 데이터 라인 각각에 설치한 온/오프 키, 진동/알람 모드전환 키, 삭제/시간 기능 키, 복부압력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복근운동 유도기 본체의 후면에 걸이부를 형성하여 휴대착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착용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본체 11 : 액정표시부 12 : 복부압력센서
13 : 온/오프 키 14 : 삭제/시간 기능 키
15 : 진동/알람모드 전환 키
16 : 주 마이콤 17 : 보조 마이콤 18 : 진동모터
19 : 스피커 20 : 걸이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착용상태도로서, 본체(10)의 후면에 걸이부(20)를 두어 사용자의 배 부근의 혁대(30) 등에 상기 걸이부(20)를 걸어 착용한다.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 관련 각종 정보 즉, 총복부 근육운동시간, 운동하지 않은 시간(진동/알람 하루누계 시간)등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11)를 형성하며, 복부압력센서(12)가 사용자의 복부부근에 면접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외부에는 온/오프 키(13), 삭제/시간기능 키(14), 진동/알람모드 전환 키(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로서, 주 마이콤(16)과 보조 마이콤(17)사이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상기 복부압력센서(12), 온/오프 키(13), 삭제/시간기능 키(14)의 조작 및 입력신호에 의해 제어 처리되는 주 마이콤(16)과 상기 주 마이콤(16)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 처리되는 보조 마이콤(17)각각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본체(10)의 동작, 복부압력 감지에 따른 진동/알람 모드전환 및 작동, 삭제/시간 기능전환 및 작동이 이루어지며, 진동모드 시에는 진동모터(18)의 동작에 의해 진동이 이루어지고, 알람모드 시에는 스피커(19)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주 마이콤(16)내에는 복부 비만자의 배가 나온 정도 또는 나이, 체격, 성별, 체형 등에 따라 복부압력(복압 : 무의식중 배를 내미는 힘)이 다르므로 복압유형에 따라 복부압력센서(12)에 가해지는 압력을 유형별 표준값을 정하여 프로그래밍한다. 따라서 복부비만자의 유형에 따라 본체(10)를 선택 사용할 수 있고, 미도시한 조절 스위치로 자신의 유형에 따라 선택할 수도 있게 하며, 진동/알람 작동시간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프로그래밍 한다. 그리고, 보조 마이콤(17)은 주 마이콤(16)에서 제어되는 모든 신호에 의한 데이터를 액정 표시부(11)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중 40은 동작 표시 발광 다이오드 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복압에 알맞은 상태의 본체(1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무위식적으로 배를 내밀면 이의 복압을 복부압력센서(12)가 감지하여 진동 모터(18) 또는 스피커(19)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알람으로 알려주어 복부에 힘을 주게끔 유도하게 함으로써, 복부의 근육운동을 잊어버리지 않고 장소나 시간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복부운동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체(10)의 진동 또는 알람에 의해 복부운동을 수행하는 도중의 모든 데이터는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기록을 관리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진동 또는 알람시간을 줄여 운동시간을 크게 늘릴 수 있게된다.
본 고안은 복부비만자의 내미는 배의 힘을 감지하여 이를 진동 또는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함으로써, 배의 근육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배의 살을 시간, 장소에 관계없이 수월하게 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남녀노소 누구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주 마이콤(16)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18) 및 스피커(19)와, 상기 주 마이콤(16)의 제어신호에 따라 보조 마이콤(17)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되는 액정 표시부(11)와, 상기 주 마이콤(16)과 보조 마이콤(17) 사이의 데이터 라인 각각에 설치한 온/오프 키(13), 진동/알람 모드전환 키(15), 삭제/시간 기능 키(14), 복부압력 감지센서(12)로 이루어진 복근운동 유도기 본체(10)의 후면에 걸이부(20)를 형성하여 휴대착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KR2019990017038U 1999-08-18 1999-08-18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KR200167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038U KR200167675Y1 (ko) 1999-08-18 1999-08-18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038U KR200167675Y1 (ko) 1999-08-18 1999-08-18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675Y1 true KR200167675Y1 (ko) 2000-02-15

Family

ID=1958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038U KR200167675Y1 (ko) 1999-08-18 1999-08-18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6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241A1 (ko) * 2015-01-29 2016-08-04 주식회사 크레타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241A1 (ko) * 2015-01-29 2016-08-04 주식회사 크레타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649B1 (en) Exercise apparatus and kits
JP7060647B2 (ja) 取り外し可能なモジュールを備える運動バンド
EP1124483B1 (en) Measuring device
EP1405594B1 (en) Non-invasive measuring device with different operating modes
US7648441B2 (en) Self-contained real-time gait therapy device
US8572764B2 (en) Exercising glove
US5755674A (en) Abdominal exerciser
EP2155050B1 (en) Haptic health feedback monitoring
US6024575A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signals
US8085153B2 (en) Activity monitoring device
US20060052727A1 (en) Activity monitoring device and weight management method utilizing same
GB2492754A (en) An electronic posture sensor / personal massager / pelvic floor trainer reactive to the squeezing or orientation or motion of the device
US20130218058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calised vibrations, in particular to muscles of a user
US20110066056A1 (en) Exercise auxiliary device
JPH02502965A (ja) 周期的な関節運動及び筋肉の活性を増進する装置
KR200167675Y1 (ko) 전자식 자동 복근운동 유도기
US5894271A (en) Private alert system for muscle flexing regimen
JPH05509239A (ja) 脊椎骨の姿勢不良への防止と姿勢不良の脊椎骨の治療を行なう方法及び装置
GB2448880A (en) Exercise monitoring device
US20230255642A1 (en) Wearable compression device
WO2023039608A1 (en) System and apparatus to apply vibration, thermal and compressive therapy
KR101461622B1 (ko)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KR200409335Y1 (ko) 복근강화의자
US20220409475A1 (en) Adult pleasure enhancement neck pressure cuff with safety release
JP2019514622A (ja) 可変ウェイトのトーニング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