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977B1 -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977B1
KR102633977B1 KR1020200170069A KR20200170069A KR102633977B1 KR 102633977 B1 KR102633977 B1 KR 102633977B1 KR 1020200170069 A KR1020200170069 A KR 1020200170069A KR 20200170069 A KR20200170069 A KR 20200170069A KR 102633977 B1 KR102633977 B1 KR 10263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band
patient
degree
full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853A (ko
Inventor
오승준
공현중
서준교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0017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9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61B5/204Determining bladder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rinary organs, e.g. urethroscopes, cys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2Volum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하복부에 위치하여 환자 방광의 충만 정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환자의 하복부에 상기 감지부를 고정시키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밴드부가 탄성 변형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환자 방광의 충만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APPARATUS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URINARY BLADDER DISTENTION}
본 발명은 비뇨기 계통의 수술에서 방광에 주입되는 관개액(irrigation fluid)의 양에 따라 방광 충만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광은 신장에서 보내는 요를 일정량까지 저장했다가 배출시키는 주머니 모양의 장기이다.
골반강 안에서 치골결합의 바로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방광은 남성의 경우 직장 앞에 위치하고, 여성의 경우 자궁과 질 앞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복부의 치골상부의 적절한 지점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방광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한편, 경요도 방광종양절제술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경요도전립선절제술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레이저기화술 (vaporization of prostate), 또는 레이저전립선종적출술 (enucleation of prostate)등의 비뇨기 계통의 수술에서는 요도를 통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술들로서, 수술과정 중 방광 내부로 관개액을 주입하게 된다. 이는 수술 중 절제면에서 발생되는 출혈로 인하여 유발되는 내시경 수술시야의 혼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1a 내지 도 1f를 참조하면, 요도내면에서 전립선피막(1, prostatic capsule) 방향으로 전립선종(a) 조직을 차례차례 절제해 내는 경요도 전립선절제술과는 달리, 경요도 전립선종적출술은 전립선종(a) 전체를 내시경을 통해 전립선피막(1)과 분리하여 전립선종(a) 조직을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는 좀더 근본적인 전립선비대증 수술 방법이다.
수술집도자는 이렇게 전립선피막(1)과 분리된 전립선종(a)을 방광(2) 내부(2)로 밀어 넣은 후, 그 다음 단계로 음압흡입(suction)과 동시에 칼날이 있는 분쇄기(15, morcellator)를 이용하여 방광(2) 내부에서 전립선종(a) 조직을 작은 조각들로 만들어 최종적으로는 몸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경요도 전립선종적출술 중 전립선종(a) 분쇄 단계에서는 관개액(irrigation fluid)의 출구를 막은 채 방광(2)의 완전한 충만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경요도 전립선종적출술에 사용되는 수술 장치(10)를 설명한다.
수술 장치(10)는, 관개액에 저장되는 컨테이너(11)와, 컨테이너(11)의 관개액이 내시경(12)의 튜브(12a)를 통해 방광(2)으로 주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입 스톱 콕(13)과, 튜브(12a)를 통해 방광(2)으로 유입되는 관개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14)와, 튜브(12a)의 단부에 위치하는 분쇄기(15)와, 방광(2) 내부의 관개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유출 스톱 콕(16)과, 외부로 배출되는 관개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17)를 포함한다.
관개액은 튜브(12a)의 내부 공간을 통해 방광(2)으로 유입되고, 방광(2)의 관개액 및 분쇄된 조직은 분쇄기(15)에 형성된 배출구(15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1압력센서(14)에서 측정된 압력(Pin)과 제2압력센서(17)에 측정된 압력(Pout)에 차이가 발생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방광(2) 내부에는 관개액이 부족하여 방광(2)이 충만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분쇄기(15)에 의한 전립선종(a)의 분쇄는 중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방광(2) 내부에 관개액을 주입하면 제1압력센서(14)에서 측정된 압력(Pin)과 제2압력센서(17)에 측정된 압력(Pout)이 상승하고 제1압력센서(14)에서 측정된 압력(Pin)과 제2압력센서(17)에 측정된 압력(Pout)의 차이는 줄어든다. 이때 방광(2) 내부에는 관개액은 충분한 상태이므로, 분쇄기(15)에 의해 전립선종(a)의 분쇄는 유지될 수 있다(도 1f).
그런데 이러한 제1압력센서(14)에서 측정된 압력(Pin)과 제2압력센서(17)에 측정된 압력(Pout)을 모니터링하는 것만으로는 방광(2)이 충만된 상태인지 판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관련 수술 중 수술 보조자가 환자의 하복부를 수시로 눌러보아 방광(2) 내부로 관개액이 충만되었는지 확인하는데, 시술자의 착오나 실수가 발생할 경우 방광(2) 내부에 관개액이 주입되지 않은 채 수술이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공간적으로 분쇄기(3) 끝의 칼날과 방광벽(2a)과는 최대한 충분한 이격이 필요하다. 분쇄기(3) 칼날 끝 근처에는 전립선종(a) 조직만이 있어야 전립선종(a)의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충분한 방광충만이 유지되지 못하여 방광(2)이 짜부러져 있게되면 순간적으로 분쇄기(3) 칼날 끝에 방광벽(2a)이 휩쓸려 들어가 방광천공(bladder perforation)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도 1b 참조). 방광천공이 발생하게 되면 방광(2) 바깥에 있는 장 조직 손상이 유발될 수 있고 수술 내용물이 복강내로 유출되어 환자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방광충만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들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된다. 우선 전립선비대증에 속발된 2차적 방광 기능이상으로 환자의 방광(2) 크기 자체가 작은 경우, 환자의 체형이 비만인 경우 복벽을 통해 방광충만을 감지 하기가 쉽지 않는 등 환자의 요인에 의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수술 보조자가 환자의 방광 짜부러짐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관개액이 다 주입되어 다른 관개액 봉으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수술 보조 간호사가 관개액 교체 시기를 놓치는 경우, 그리고 수술 중 내시경의 관개액 유출 코크가 잠겨져 있어야 하나 어떠한 이유로 열려 이 코크가 방광충만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등 환자요인에 의하지 아니한 요인에 의해서도 방광충만 유지가 안되는 경우도 있다.
수술 중에는 수술 집도의가 내시경 모니터의 수술시야에만 집중하게 되므로 이러한 수술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주변의 방광충만 유지 실패 유발 요인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지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84807호(2010.10.0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비뇨기 계통의 수술에서 방광 충만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환자의 하복부에 위치하여 환자 방광의 충만 정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환자의 하복부에 상기 감지부를 고정시키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밴드부가 탄성 변형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환자 방광의 충만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환자 방광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광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환자의 몸을 감싸는 메인밴드와, 상기 메인밴드와 연결되며, 환자 방광의 충만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메인벤드의 일단과 상기 감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탄성밴드와, 상기 메인벤트의 타단과 상기 감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탄성밴드와 상기 제2탄성밴드의 팽창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1탄성밴드와 상기 제2탄성밴드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하면, 비뇨기 계통의 관련 수술에서 방광 충만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의료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방광에 관개액이 주입되는 수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d 및 도 1e는 방광에 관개액이 주입되는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f는 방광에 관개액의 유입 압력 및 유출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가 환자의 복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감지부가 방광 상측의 하복부에 위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감지부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부분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비뇨기관 관련 수술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수술은 환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누워있는 환자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가 환자의 복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도 2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감지부가 방광 상측의 하복부에 위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감지부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감지부(110)와 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환자의 복부(10)에 위치하여 환자의 방광(20)의 팽창 정도에 따라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요도 전립선종적출술 등 방광충만 유지가 필요한 수술 과정에서 방광(20) 내부로 관개액이 주입되면, 방광(20)은 팽창되고 복부(10)는 팽창된 방광(20)에 의해 외부로 가압된다. 방광(20)에 의해 외부로 가압되는 복부(10)는 상측으로 상승하고, 복부(10)에 위치하는 상기 감지부(110)도 상측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방광(20)의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방출되면, 복부(10)는 수축되는 방광(20)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앉고 상기 감지부(110)도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상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밴드부(120)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밴드부(120)는 환자의 등허리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감지부(11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인장되고 상기 감지부(11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수축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120)는 상기 감지부(110)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감지부(110)를 환자의 복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밴드부(120)는 상기 감지부(110)가 환자의 복부(1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환자의 복부를 감쌀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부분 블록도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밴드부(120)가 탄성 변형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환자 방광(20)의 팽창 또는 수축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중앙처리장치(111),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 정보 제공부(113) 및 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4)은 하면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측을 향하여 상기 삽입홈(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4)의 하면은 하측으로 볼복한 곡면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14)의 하면이 환자의 복부(10)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114)의 하면 일부만 방광(20) 상측의 복부(10)와 접촉시켜, 방광(20)의 수축 내지 팽창하는 것 이외의 요소에 의해 상기 프레임(114)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방광(20) 내부에 관개액을 주입하는 정도에 따른 방광의 충만 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는 상기 프레임(114)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는 상기 삽입홈(114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는 초음파의 발생시키고 검출하는 초음파 프로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의 하면 표면에 초음파가 투과할 수 있는 겔(gel) 등이 도포된 후, 상기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는 환자의 복부(10) 표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복부(10) 표면에서 하측으로 발진되어 지방, 근육, 소변, 다른 장기들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사되면,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서는 반사된 초음파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초음파가 방광(20) 내부의 관개액에서 거의 반사가 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방광(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통해 검출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방광(20)에 관한 탄성 영상(Elastography)을 상기 정보 제공부(113)를 통해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는 상술한 초음파 프로브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레이저 프로브 등 방광(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상기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방광 위치 감지 센서(112)에서 방광(20)의 위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113)를 통해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113)는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 스피커(peaker) 또는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등으로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표시 장치(display device)는 내시경 모니터일 수도 있다.
상기 밴드부(120)는 메인밴드(121)와 탄성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밴드(121)는 환자의 복부 일부를 감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밴드(121)는 환자의 등허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122)는 상기 메인밴드(121)의 양단과 상기 감지부(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122)는 상기 메인밴드(121)와 연결되며, 방광(20)의 팽창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밴드(122)는 제1탄성밴드(122a)와 제2탄성밴드(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밴드(122a)는 상기 메인밴드(121)의 일단과 상기 감지부(1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밴드(121)의 일단과 상기 감지부(110)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밴드(122b)는 상기 메인밴드(121)의 타단과 상기 감지부(1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밴드(121)의 타단과 상기 감지부(110)의 타측을 연결할 수 있다.
방광(20)이 팽창하여 환자의 복부가 상측으로 상승하면,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메인밴드(12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는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메인밴드(121)에 의해 인장 변형될 수 있다.
반대로 방광(20)이 짜부러져 환자의 복부가 하측으로 하강하면, 상기 감지부(110)와 상기 메인밴드(12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는 수축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가 인장 또는 수축되는 정도에 따라 방광(20)의 충만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방광(20)의 충만 정도가 기준 수준에서 벗어날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상기 정보 제공부(113)를 통해 시술자에게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환자의 방광(20)이 관개액을 완충되어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가 최대로 인장되었을 때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의 탄성력을 제1측정 값으로 설정하고, 환자의 방광(20)으로부터 관개액을 배출되어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가 최소로 수축되었을 때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의 탄성력을 제2측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환자의 방광(20)이 관개액으로 적절하게 충만된 상태일 때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의 탄성력을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측정 값, 상기 제2측정 값 및 기준값은 환자의 체형 등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상기 기준값이 상기 제1측정 값으로 접근할 때와 상기 기준값이 제2측정 값으로 접근할 때에, 상기 정보 제공부(113)의 서로 다른 표시 방식으로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상기 기준값이 상기 제1측정 값으로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푸른색 LED가 점등되는 양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준값이 상기 제2측정 값으로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붉은색 LED가 점등되는 양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상기 기준값이 상기 제1측정 값으로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제1사운드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준값이 상기 제2측정 값으로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제1사운드와 다른 제2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술 집도자나 수술 보조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상기 기준값이 상기 제1측정 값으로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플러스 수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기준값이 상기 제2측정 값으로 접근하는 정도에 따라 마이너스 수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도 수 있다.
상기 밴드부(120)는 고정밴드(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123)는 상기 감지부(110)가 환자의 배꼽 측으로 밀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123)의 각 단부는 상기 메인밴드(121)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밴드(123)는 제1고정밴드(123a) 및 제2고정밴드(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밴드(123a) 및 제2고정밴드(123b)는 각각 양단이 상기 메인밴드(121)에 고정되어 고리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밴드(123a) 및 상기 제2고정밴드(123b)는 각각 환자의 서혜부측에 고정되어, 상기 감지부(110), 상기 메인밴드(121) 및 탄성밴드(122)가 환자의 배꼽 측으로 밀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123)는, 1회만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밴드(12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며 수술후 상기 메인밴드(12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압력센서(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15)는 방광(20) 상측의 복부(10)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114)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15)는 방광(20)의 충만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방광(20) 상측의 복부(10)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15)에서 측정된 방광(20) 상측의 복부(10)의 압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로 전달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상기 압력센서(115)에서 측정된 방광(20) 상측의 복부(10)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수치화 하여 상기 정보 제공부(11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100)는 조절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30)는 상기 감지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의 팽창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의 팽창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감지부(110)가 방광(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시술자가 방광(20)이 감지된 환자의 복부(10)에 상기 감지부(110)를 위치시켰을 때,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탄성 변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부(130)는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상기 제2탄성밴드(122b)의 장력 수준이 설정된 수준으로 회복되도록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30)는 텐션롤러(131)와 보조밴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롤러(131)는 제1롤러(131a)와 제2롤러(131b)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밴드(132)는 제1밴드(132a)와 제2밴드(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밴드(132a)는 상기 제1탄성밴드(122a)와 연결되고 상기 제1롤러(131a)에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131a)가 회전하여 상기 제1밴드(132a)의 풀리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탄성밴드(122a)의 탄성력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밴드(132b)는 상기 제2탄성밴드(122b)와 연결되고 상기 제2롤러(131b)에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131b)가 회전하여 상기 제2밴드(132b)의 풀리는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탄성밴드(122b)의 탄성력은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롤러(131a)와 상기 제2롤러(131b)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제1밴드(132a)와 상기 제2밴드(132b)가 각각 상기 제1탄성밴드(122a) 및 상기 제2탄성밴드(122b)에 제공하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110: 감지부
111: 중앙처리장치
112: 방광 위치 감지 센서
113: 정보 제공부
120: 밴드부

Claims (5)

  1. 환자의 하복부에 위치하여 환자 방광에 관개액이 주입되거나, 환자 방광으로부터 관개액이 배출될 때 환자 방광의 팽창 정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양단이 연결되어 환자의 하복부에 상기 감지부를 고정시키고,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환자 방광의 팽창 정도에 따른 상기 밴드부가 탄성 변형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환자 방광의 충만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환자 방광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광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환자의 몸을 감싸는 메인밴드와,
    상기 메인밴드와 연결되며, 환자 방광의 충만 정도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메인밴드의 일단과 상기 감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탄성밴드와,
    상기 메인밴드의 타단과 상기 감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탄성밴드를 포함하는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탄성밴드와 상기 제2탄성밴드의 팽창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1탄성밴드와 상기 제2탄성밴드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1020200170069A 2020-12-08 2020-12-08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10263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069A KR102633977B1 (ko) 2020-12-08 2020-12-08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069A KR102633977B1 (ko) 2020-12-08 2020-12-08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853A KR20220080853A (ko) 2022-06-15
KR102633977B1 true KR102633977B1 (ko) 2024-02-06

Family

ID=8198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069A KR102633977B1 (ko) 2020-12-08 2020-12-08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9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07B1 (ko) * 2009-05-18 2010-10-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역동학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05B1 (ko) * 2010-03-24 2012-01-3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방광 내 잔뇨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431051B1 (ko) * 2012-12-31 2014-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KR101705787B1 (ko) * 2015-01-29 2017-02-13 주식회사 크레타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KR102319029B1 (ko) * 2019-09-26 2021-10-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07B1 (ko) * 2009-05-18 2010-10-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요역동학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853A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9479B2 (en) Integrity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vapor to the uterus
US11849991B2 (en) Integrity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vapor to the uterus
JP4156366B2 (ja) 女性尿失禁の治療用のスリング張力の測定及び評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Noyes et al. Extraarticular fluid dissection in tissues during arthroscopy: a report of clinical cases and a study of intraarticular and thigh pressures in cadavers
US8216159B1 (en) Anastomosis leak test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7049444B (zh) 用于腹腔镜全子宫切除术的阴道切开系统
US20090093758A1 (en) Fibro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59992A1 (en) Air introduction device for anastomotic leak testing
US2022026520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Integrity of a Bodily Cavity
CN110680442B (zh) 一种用于产后恢复的球囊系统
KR102633977B1 (ko) 방광 충만 상태 모니터링 장치
US20180000488A1 (en) Inflatable intrauterine balloon
CN208447744U (zh) 子宫切除器
WO2014162363A1 (ja) 膣内部支持具及び流体注入デバイス
US20190201233A1 (en) Fallopian Tube BioCompatible Plug
TWM450353U (zh) 骨盆約束套組
TW202310791A (zh) 測量前列腺尿道長度之方法及裝置
CN114947720A (zh) 一种妇产科用扩宫装置
EP142404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sling-tension for treatment of female urinary incontinence
Shafi Staging Procedures: Examination Under Anesthesia, Cystoscopy, Sigmoidoscopy, and Biopsy Techniques
Gami et al. Gynaecology and the GI Surg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