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788A -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788A
KR20140033788A KR1020120100098A KR20120100098A KR20140033788A KR 20140033788 A KR20140033788 A KR 20140033788A KR 1020120100098 A KR1020120100098 A KR 1020120100098A KR 20120100098 A KR20120100098 A KR 20120100098A KR 20140033788 A KR20140033788 A KR 2014003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pad
pad
deep
deep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트론
브이2유 헬스캐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트론, 브이2유 헬스캐어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트론
Priority to KR102012010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788A/ko
Publication of KR2014003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4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with signall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incorrect posture, for deep-breat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2Ultra-soun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심부 근육 강화 훈련 장치는 압력 패드, 압력 조정부, 압력 측정부, 제어부, 표시 경보부 및 기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심부근육 운동을 할 때에 실시간으로 심부근육이 제대로 운동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심부근육의 운동 상태가 잘못된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시켜 운동 자세 등을 교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Train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deep muscle and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의 근육 강화 훈련이나 재활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의 심부근육(deep muscle or inner muscle)을 강화시키는 훈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근육 강화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부근육은 인체의 깊은 곳에 위치한 근육으로 코어 근육(core muscle)이라고도 불리기도 하며, 척추 관련 질병의 치료나 운동선수들의 근육 훈련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심부근육은 척추와 골반 등과 같은 뼈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심부근육이 약화되면 만성 요통이나 퇴행성 디스크 등의 질병들이 발생할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사지 관절의 손상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심부근육이 약화되면 이를 정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재활 운동 등이 필요하게 된다.
최근, 심부근육이 스포츠의 경기력이나 부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들이 밝혀지면서, 운동선수들이 경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심부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운동 방법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심부근육은 인체의 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심부근육의 운동을 할 때에, 심부근육이 제대로 이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사용자가 심부근육을 사용하여 운동을 하고 있는지 아니면 다른 근육을 사용하여 운동을 하고 있는지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훈련이나 재활의 성과를 높이기가 어려웠다.
근육 운동의 실시 중에 심부근육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기존에 공지된 초음파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초음파 측정 장치는 고가의 장비일 뿐만 아니라, 숙련된 전문가만이 다룰 수 있는 장비이기 때문에, 운동을 할 때마다 매번 사용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한편, 심부근육의 운동 중에 다른 외부 근육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압력 측정 장치로 감지하여, 심부근육이 제대로 훈련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단순한 압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심부근육이 제대로 운동되고 있는지 정확히 확인할 수 없으며, 운동 자세를 즉시 교정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질병의 치료나 경기력의 향상을 위해 심부근육을 강화하고자 할 때에, 심부근육이 제대로 운동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운동 상태가 잘못되었을 경우에, 이를 즉시 확인하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심부근육의 강화 훈련 또는 재활 운동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심부근육 운동을 할 때에 실시간으로 심부근육이 제대로 운동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잘못된 운동 상태를 즉시 확인하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는,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밀폐형 패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압력 패드와; 상기 압력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상기 압력 패드를 팽창 혹은 수축시키는 압력 조정부와;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압력 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압력 패드에 공기가 주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을 출력하며,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를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표시 경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압력값을 저장하는 기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압력 패드는 내부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의 압력 셀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조정부는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압력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는 모터 펌프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상기 압력 패드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측정부는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보내주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를 이용한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은, 상기 압력 조정부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압력 패드의 공기를 모두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압력 조정부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잠그는 단계와, 상기 압력 조정부에 의해 상기 압력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압력 패드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초기 압력값이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 패드 위에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시 경보부에 표시되는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면서, 심부근육의 운동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심부근육의 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를 벗어나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운동의 자세를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한 범위는 상기 압력 패드의 초기 압력값에 오차 범위를 더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패드의 초기 압력값은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 또는 운동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오차 범위는 사용자의 신체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와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은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심부근육 운동을 할 때에 심부근육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심부근육의 운동 효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강화 훈련이나 재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심부근육의 운동 상태가 잘못되었을 경우, 즉 사용자가 심부근육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 근육을 사용하여 운동할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 자세 등을 즉시 교정하여 더욱 정확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부근육의 운동 상태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판단하는 기준을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맞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최적화된 심부근육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에서 압력 패드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경보부에 표시되는 압력 패드의 압력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와 표시 경보부를 일체로 형성한 경우의 표시 스크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는, 압력 패드(100), 압력 조정부(200), 압력 측정부(300), 제어부(400), 표시 경보부(500), 입력부(600) 및 기록부(7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 상기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압력 패드(100)는 밀폐형 패드 형태로서 공기를 주입하거가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압력 패드(100)에 공기가 주입되면, 압력 패드는 팽창되어 소정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압력 패드(100)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공기 이외의 기체나 액체 등을 주입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압력 패드(100)는 단일 압력 셀(cell)의 형태로 할 수도 있고, 다수의 분리된 압력 셀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다수의 분리된 셀 형태의 압력 패드(100)는 패드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셀로 분리된 압력 패드(100)를 형성하였으며, 이를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압력 조정부(200)는 상기 압력 패드(100)의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상기 압력 패드(100)를 팽창 혹은 수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 조정부(200)는 공기의 주입을 위한 모터 펌프(210)와, 공기의 배출을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갖추고 있다.
모터 펌프(210)는 상기 제어부(400)의 지시에 따라 릴레이(230)가 동작하여 가동되며, 모터 펌프(210)가 가동되면 상기 압력 패드(100)에 공기가 주입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0)도 상기 제어부(400)의 지시에 따라 가동되며, 릴레이(240)의 온/오프(On/Off)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220)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상기 압력 패드(10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개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 펌프(210)에 의한 상기 압력 패드(100)에의 공기 주입은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압력 패드(10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초기 압력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 펌프(210)의 가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압력 패드(100)가 설정된 초기 압력값으로 자동으로 팽창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압력 측정부(300)는 상기 압력 패드(100)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적정한 규격의 압력 센서(310)가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압력 측정부(300)는 압력 센서(310)로부터 감지된 아날로그 압력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320)를 포함한다. A/D 변환기(32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상기 제어부(400)에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MPZ 2200 시리즈의 압력 센서와 12 비트(Bit)의 A/D 변환기를 사용하였다.
제어부(400)는 상기 입력부(600)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본 발명의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압력 조정부(200)가 상기 압력 패드(100)에 공기가 주입 또는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 패드(100)의 압력값을 입력받아 상기 표시부(500)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기록부(600)로 출력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압력 패드(100)의 압력값이 제한 범위를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표시 경보부(500)가 경보 신호를 발생하게 제어한다. 상기 제한 범위는 앞서 설명한 압력 패드(100)의 초기 압력값에 소정의 오차 범위를 포함시켜 결정된다. 상기 오차 범위는 사용자의 신체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경보부(50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된 상기 압력 패드(100)의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상기 압력 패드(100)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압력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압력 패드(100)의 압력값이 제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시켜 운동 상태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준다.
상기 표시 경보부(500)에 표시되는 압력 패드(100)의 압력값의 일례를 도 3(a) 및 3(b)에 나타내었다. 도 3(a)와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압력값이 그래프로 표시되며, 설정된 제한 범위를 상한선(Upper Limit)과 하한선(Lower Limit)으로 표시한다. 도면에 나타낸 그래프의 경우 제한 범위를 40mmHg10%로 설정하였으므로 실제의 수치 범위는 36~44 범위로 되며, 도 3(a)는 상한선을 벗어나는 경우를, 도 3(b)는 하한선을 벗어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시 경보부(500)는 컴퓨터 모니터만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빛이나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보 장치를 별도로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600)는 사용자의 지시나 초기 설정값을 제어부(400)에 입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터치 패드(touch pad)와 같은 입력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입력부(60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표시 경보부(50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입력부(600)와 표시 경보부(500)를 일체로 형성한 경우의 표시 스크린의 일례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00)로 입력될 사용자의 지시와 관련된 버튼들(PRESSURE, CHECK, STOP 등)이 표시됨과 동시에, 도 3(a)와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력값의 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기록부((70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된 압력값을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이력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심부근육 운동을 실시할 경우에, 운동 결과를 누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압력 조정부(200)와 압력 측정부(300)는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모듈과 압력 패드(100)는 하나의 배관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즉, 압력 패드(100)는 하나의 배관을 통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고, 이 배관에 모터 펌프(210) 및 솔레노이드 밸브(220)와 압력 센서(310)가 다중으로 동시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 표시 경보부(500), 입력부(600) 및 기록부(700)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컴퓨터의 본체로, 상기 표시 경보부(500)는 컴퓨터 모니터로, 상기 입력부(600)는 컴퓨터의 키보드로, 상기 기록부(600)는 컴퓨터의 저장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400)와 상기 압력 조정부(200) 및 압력 측정부(300) 간의 통신은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는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에 사용자가 심부근육을 사용하고 있는지 아니면 다른 외부 근육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 패드(100)가 접촉된 신체 부위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압력의 변화가 있다면 심부근육이 제대로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동 자세의 교정 등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내었다.
먼저, 상기 압력 조정부(200)의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개방시켜 상기 압력 패드(100)의 공기를 모두 배출시킨다(단계 1). 이것은 과거의 사용으로 인해 압력 패드(100)에 남아 있을 수 있는 공기를 빼는 것으로서, 압력 패드(100)를 초기화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 조정부(200)의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잠근다(단계 2). 이것은 공기의 주입 직전에 실행하는 것으로서 압력 패드(100)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 조정부(200)에 의해 상기 압력 패드(100)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압력 패드(10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초기 압력값이 되도록 한다(단계 3). 상기 압력 패드(100)의 내부 압력이 초기 압력값에 도달하면 상기 압력 조정부(200)의 모터 펌프(210)가 자동으로 중단된다. 이때, 상기 초기 압력값은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나 운동 목적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0mmHg 또는 70mmHg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 패드(100) 위에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접촉시킨다(단계 4). 즉, 사용자의 등, 복부, 손목과 같은 신체 부위를 상기 압력 패드(100) 위에 올려놓는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 경보부(500)에 표시되는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면서, 심부근육의 운동을 실시한다(단계 5). 심부근육 운동은 해당 신체 부위와 압력 패드(100)가 압착된 상태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근육 운동이라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심부근육의 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상기 압력 패드(100)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를 벗어나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6), 상기 운동의 자세를 교정한다(단계 7).
상기 제한 범위는 앞서 설명한 압력 패드(100)의 초기 압력값에 소정의 오차 범위를 포함시켜 결정된다. 예를 들어, 40mmHg 10% 또는 70mmHg 10%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차 범위는 사용자의 신체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운동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 건강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상기 오차 범위를 더 넓게 설정하고, 사용자의 신체 건강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상기 오차 범위를 더 좁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심부근육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장치와 초음파 측정 장치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심부근육의 움직임을 더욱 정밀하게 관찰한다면, 더욱 확실한 운동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압력 패드 200 압력 조정부
210 모터 펌프 220 솔레노이드 밸브
300 압력 측정부 310 압력 센서
320 A/D 변환기 400 제어부
500 표시 경보부 600 입력부
700 기록부

Claims (9)

  1. 심부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훈련 장치로서,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밀폐형 패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압력 패드와,
    상기 압력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상기 압력 패드를 팽창 혹은 수축시키는 압력 조정부와,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압력 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압력 패드에 공기가 주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을 출력하며,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를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표시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압력값을 저장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패드는 내부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의 압력 셀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정부는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에 의해 가동되어, 상기 압력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는 모터 펌프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상기 압력 패드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는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보내주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를 이용한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으로서,
    상기 압력 조정부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압력 패드의 공기를 모두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압력 조정부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잠그는 단계와,
    상기 압력 조정부에 의해 상기 압력 패드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압력 패드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초기 압력값이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압력 패드 위에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표시 경보부에 표시되는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면서, 심부근육의 운동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심부근육의 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상기 압력 패드의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범위를 벗어나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운동의 자세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한 범위는 상기 압력 패드의 초기 압력값에 오차 범위를 더하여 결정되는 특징으로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압력 패드의 초기 압력값은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 또는 운동 목적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오차 범위는 사용자의 신체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근육 강화 훈련 방법.
KR1020120100098A 2012-09-10 2012-09-10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KR20140033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98A KR20140033788A (ko) 2012-09-10 2012-09-10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98A KR20140033788A (ko) 2012-09-10 2012-09-10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788A true KR20140033788A (ko) 2014-03-19

Family

ID=5064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098A KR20140033788A (ko) 2012-09-10 2012-09-10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37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241A1 (ko) * 2015-01-29 2016-08-04 주식회사 크레타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GR1009368B (el) * 2017-05-04 2018-10-01 Σπυριδων Εμμανουηλ Γιγουρτακης Συσκευη αξιολογησης-εξασκησης οσφυοπυελικης περιοχης δια ηχητικης και οπτικης αναδρασης
KR20190023416A (ko) 2017-08-29 2019-03-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요추 반경 복부 근육 활성화 기반의 흉추부 통증 완화 장치
KR20190023415A (ko) 2017-08-29 2019-03-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횡격막 및 관련 근육 활성화 기반의 흉추부 강화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241A1 (ko) * 2015-01-29 2016-08-04 주식회사 크레타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KR20160093483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크레타 코어안정화운동 관리 시스템
CN107209070A (zh) * 2015-01-29 2017-09-26 科睿Ta 核心稳定性训练管理系统
JP2018506403A (ja) * 2015-01-29 2018-03-08 クレタ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コア安定化運動管理システム
GR1009368B (el) * 2017-05-04 2018-10-01 Σπυριδων Εμμανουηλ Γιγουρτακης Συσκευη αξιολογησης-εξασκησης οσφυοπυελικης περιοχης δια ηχητικης και οπτικης αναδρασης
KR20190023416A (ko) 2017-08-29 2019-03-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요추 반경 복부 근육 활성화 기반의 흉추부 통증 완화 장치
KR20190023415A (ko) 2017-08-29 2019-03-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횡격막 및 관련 근육 활성화 기반의 흉추부 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4894B1 (en)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ize of body parts as part of compression therapy procedures
EP4203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providing and monitoring physical therapy
JP6227006B2 (ja) 筋肉トレーニング方法及び筋肉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KR20140033788A (ko) 심부근육 강화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RU24688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контроллер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US8021283B2 (en) Pressure muscle strength increasing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method being carried out by control device
CN107735149B (zh) 适当压力决定装置、适当压力决定系统、决定适当压力的方法
CA2659862A1 (en) Method of improving medical apparatus in order to replace ancillary medical assistance by employing audible verbal human sounding voices to prompt therapeutic usage and provide guidance, measurements, encouragement and response, as needed, to the patient, by using electronic technology
CA26663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health score for a patient
ITGE20130016A1 (it) Fascia per la misura dell'attivazione dei muscoli addominali
KR20100136512A (ko) 타동식 운동 장치
CN104000712A (zh) 一种肢体缺血治疗仪及其控制方法
CN107209070A (zh) 核心稳定性训练管理系统
AU2022306658A1 (en) Monitoring system for a hemostasis band
CN116725613B (zh) 基于气压止血设备的控制装置
KR101490410B1 (ko) 신체 상태 기반 운동/재활 난이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86983B1 (ko) 능동적 케겔 운동 및 복식 호흡을 위한 의료용 기능성 게임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888889B1 (ko)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코어 운동기구 시스템
US20120136262A1 (en) Electronic sphygmomanometer and a method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by using an electronic sphygmomanometer
WO2009013490A1 (en) Biofeedback orthosis
RU2307636C1 (ru) Прибор для развития мышц тазового дна
CN113648020B (zh) 一种智能自适应缺血预适应训练系统
KR20110078795A (ko) 체간과 골반안정화 장치 및 평가방법
AU2008202699A1 (en) Blood Gas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Kanehira et al. Computer-supported training system for clinical engine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