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345B1 -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 Google Patents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345B1
KR101704345B1 KR1020160066106A KR20160066106A KR101704345B1 KR 101704345 B1 KR101704345 B1 KR 101704345B1 KR 1020160066106 A KR1020160066106 A KR 1020160066106A KR 20160066106 A KR20160066106 A KR 20160066106A KR 101704345 B1 KR101704345 B1 KR 10170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metal core
type metal
spiral typ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빙인섭
Original Assignee
빙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빙인섭 filed Critical 빙인섭
Priority to KR102016006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에 관한 것으로서, 태풍 등의 강풍에 대한 휨강도가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지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Cross beam using a metal core of the spiral type}
본 발명은 태풍 등의 강풍에 대한 휨강도가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지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보유대수가 날로 늘어감에 따라 인력으로는 도저히 교통흐름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이르러 보다 효과적으로 교통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신호등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교통신호등과 보행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적인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교통과 보행자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설치되는 신호등은 도로변 상에 설치고정된 신호등 지주장치를 통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신호등 지주장치는 크게, 도로변 상에 직립되게 설치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관통 결합되어 도로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보와; 상기 고정보에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 고정되고, 신호등이 설치되는 가로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가로보는 태풍 등의 강풍에 의해 흔들리면서 휘어져 상기 가로보의 고정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40582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태풍 등의 강풍에 대한 휨강도가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지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와 접하는 부위를 접합하여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피층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와 접하는 상기 외피층의 부위가 용접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피층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크기를 갖는 관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관체형태로 형성된 상기 외피층에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피치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외피층은 장방형의 금속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장방형의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벤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벤딩하여 형성된 상기 외피층에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피치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외피층은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와 접하는 상기 외피층의 부위가 접착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피층의 전후길이는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전후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외피층의 좌우폭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피층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비틀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외피층이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외피층은 망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주에 설치되는 가로보를 이루는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로 인해 가로보의 태풍 등의 강풍에 대한 휨강도가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상기 지주에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의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관체형태로 이루어진 외피층이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장방형의 금속플레이트를 벤딩하여 외피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로부터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에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나선상으로 감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에 망부재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나선상으로 감아 형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의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관체형태로 이루어진 외피층이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와 외피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는 장방형의 금속판재를 일방향으로 비틀어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는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전측에서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된다.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후측에는 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고정판(120)이 용접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피층(20)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층(20)은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피층(20)의 내측에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외피층(20)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나선형상의 날개부(110) 및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외피층(20) 부위 중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나선형상의 날개부(110)와 접하는 부위는 스폿용접 등에 의해 서로 용접접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외피층(20)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와 대응되는 내경크기를 갖는 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관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체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외피층(20)의 표면에는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피치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슬릿(210)이 나선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릿(210)의 내주면과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나선부위는 스폿용접 등에 의해 서로 용접접합될 수 있다.
도 5는 장방형의 금속플레이트를 벤딩하여 외피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외피층(2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방형의 금속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벤딩기 등을 이용하여 장방형의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원형 형상 등으로 벤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장방형의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벤딩하여 형성된 상기 외피층(20)의 표면에도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피치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기 슬릿(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다른예로,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와 상기 외피층(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보의 경량화 및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피층(20)은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나선형상의 날개부(110) 및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외피층(20) 부위 중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나선형상의 날개부(110)와 접하는 부위는 접착제 등에 의해 서로 접착접합될 수 있다.
도 7은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로부터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피층(20)을 이룰 수 있는 장방형의 탄소섬유시트의 전후길이(L)는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전후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피층(20)을 이룰 수 있는 장방형의 상기 탄소섬유시트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외측에 1회이상으로 감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피층(20)을 이룰 수 있는 장방형의 상기 탄소섬유시트의 좌우폭(D)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피층(20)을 이룰 수 있는 상기 탄소섬유시트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벤딩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에 탄소섬유시트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나선상으로 감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피층(20)을 이룰 수 있는 상기 탄소섬유시트는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를 감싸도록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피층(20)을 이룰 수 있는 상기 탄소섬유시트의 단면형상을 원형 형상 등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층(20)을 이룰 수 있는 상기 탄소섬유시트는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비틀림방향(도 8의 점섬화살표 참조.)과 반대방향(도 8의 실선화살표 참조.)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에 망부재로 이루어진 외피층을 나선상으로 감아 형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다른예로, 상기 외피층(20)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망부재를 금속재질 또는 탄소섬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외피층(20)을 이룰 수 있는 금속재질 또는 탄소섬유 재질 등의 상기 망부재는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비틀림방향(도 8의 점섬화살표 참조.)과 반대방향(도 8의 실선화살표 참조.)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나선형상의 날개부(110) 및 금속재질 또는 탄소섬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외피층(20) 부위 중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나선형상의 날개부(110)와 접하는 부위는 스폿용접 등에 의해 서로 용접접합되거나 접착제 등에 서로 접착접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인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의 후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판(120)에는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연장관(121)의 전측이 용접접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장관(121)의 후측에는 도로변 등에 수직설치된 지주(3)의 상부에 수평구비된 고정보(310)의 전측에 형성될 수 있는 환형의 플랜지(311)와 접한 상태로 볼트고정되는 환형 또는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플랜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지주(3)에 설치되는 가로보를 이루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로 인해 태풍 등의 강풍에 대한 가로보의 휨강도가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상기 지주(3)에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 20; 외피층.

Claims (11)

  1. 장방형의 금속판재를 일방향으로 비틀어 형성된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와;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크기를 갖는 금속재질의 관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피치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나선방향으로 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릿의 내주면과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나선부위가 용접접합되는 외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2. 장방형의 금속판재를 일방향으로 비틀어 형성된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와;
    장방형의 금속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장방형의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벤딩하여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가 수용되며,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피치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나선방향으로 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내주면과 상기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의 나선부위가 용접접합되는 외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66106A 2016-05-30 2016-05-30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KR10170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06A KR101704345B1 (ko) 2016-05-30 2016-05-30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06A KR101704345B1 (ko) 2016-05-30 2016-05-30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345B1 true KR101704345B1 (ko) 2017-02-07

Family

ID=5810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106A KR101704345B1 (ko) 2016-05-30 2016-05-30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84B1 (ko) * 2010-09-03 2013-04-22 (주)청산가로등주 미관이 개선되는 신호등주용 아암
JP2013083071A (ja) * 2011-10-07 2013-05-0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スパイラル管を用いた二重管構造
KR101405825B1 (ko) 2013-01-04 2014-06-1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가로보의 보강구조 및 가로보의 보강방법
KR20160029175A (ko) * 2014-09-04 2016-03-15 한국전력공사 복합형 송전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84B1 (ko) * 2010-09-03 2013-04-22 (주)청산가로등주 미관이 개선되는 신호등주용 아암
JP2013083071A (ja) * 2011-10-07 2013-05-0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スパイラル管を用いた二重管構造
KR101405825B1 (ko) 2013-01-04 2014-06-1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가로보의 보강구조 및 가로보의 보강방법
KR20160029175A (ko) * 2014-09-04 2016-03-15 한국전력공사 복합형 송전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538B2 (en) Extruded plastic u-channel sign post covers
KR101216951B1 (ko) 관체 보강구조를 갖는 신호등 지주장치
KR101085031B1 (ko) 가로 시설물 설치대
KR101712321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경량의 강도가 향상된 가로보
KR101704345B1 (ko) 스파이럴타입의 금속심재를 이용한 가로보
KR101254484B1 (ko) 미관이 개선되는 신호등주용 아암
JP2001303680A (ja) 充填鋼管部材とrc部材またはpc部材との接合部
KR101703493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JP4440929B2 (ja) 道路または車道クラッシュバリア用スペーサ
KR20090080584A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688413B1 (ko) 이중 구조형 암대를 가진 지주
KR20120037171A (ko) 고정 클립을 갖는 철망 펜스용 지주 및 그 고정 클립
KR101113137B1 (ko) 신호등 지지용 팔각형 가로보
KR102409523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JP4767872B2 (ja) 弾性ポールの形成方法
FI64679B (fi) Reflexbaerare
JP2005188279A (ja) 地上に立設される長尺の鋼管製ポール
JP5736126B2 (ja) 道路用標示体
KR102423261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JP2007270467A (ja) ガードケーブル用視線誘導型間隔保持材
JP2002348821A (ja) 統合コラム組織体
KR102504725B1 (ko) 조립식 와이어리스 신호등주
KR200392295Y1 (ko) 가로등 지주
KR101155743B1 (ko) 조립식 가로등 주
JP6383531B2 (ja) 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