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301B1 -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 - Google Patents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301B1
KR101704301B1 KR1020150175686A KR20150175686A KR101704301B1 KR 101704301 B1 KR101704301 B1 KR 101704301B1 KR 1020150175686 A KR1020150175686 A KR 1020150175686A KR 20150175686 A KR20150175686 A KR 20150175686A KR 101704301 B1 KR101704301 B1 KR 10170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piston
suctio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301B1/ko
Priority to US15/246,291 priority patent/US9995215B2/en
Priority to DE102016216999.8A priority patent/DE102016216999A1/de
Priority to CN201610808892.7A priority patent/CN10687015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4Cleaning of, 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in, or preventing unwanted deposits in,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2250/00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2250/00Measuring
    • F01M2250/64Number of revolu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9/00Internal-combustion engines convertible into other combustion-engine type, not provided for in F02B11/00; Internal-combustion engines of different typ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s facilitating use of same main engine-parts in different types
    • F02B69/02Internal-combustion engines convertible into other combustion-engine type, not provided for in F02B11/00; Internal-combustion engines of different typ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s facilitating use of same main engine-parts in different types for different fuel types,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fuel consumed, e.g. convertible from light to heavy fuel
    • F02B69/04Internal-combustion engines convertible into other combustion-engine type, not provided for in F02B11/00; Internal-combustion engines of different typ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s facilitating use of same main engine-parts in different types for different fuel types,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fuel consumed, e.g. convertible from light to heavy fuel for gaseous and non-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엔진의 피스톤 오일 업 방지는 오일 업 조건 형성 시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이나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이나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실린더 블록의 복수개 기통(1,2,3,4,5,6)에 각각 구비된 피스톤(20)의 상부로 올라가는 오일업 오일을 석션하고, 오일업 오일의 석션에 오일 펌프(50)의 흡입력을 이용함으로써 아이들 운전과 타행 주행(cost down)시 오일 업 방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Method and Engine for Preventing Piston Oil Up}
본 발명은 피스톤 오일 업(oil-u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오일 업 형성 조건에서 펌프를 이용한 신속한 오일 석션(suction)으로 하드 카본 형성이 차단된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스톤 오일 업(oil-up)은 엔진 오일을 실린더 내 피스톤 링 틈을 타고 올려줌으로써 고부하시 연소과정을 통해 하드 카본이 생성되는 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상용 CNG 엔진에서 아이들 운전은 흡기 매니폴드 및 엔진의 실린더 내 부압(Max. -0.7bar)의 형성으로 오일 업을 발생시키고, 장시간 아이들 운전은 오일젯 체크밸브 압력 보다 높은 오일압력으로 오일 업을 촉진시키며, 타행 주행(coast down)은 부하 미 인가 상황에서 흡기 매니폴드의 급격한 부압 형성으로 오일 업을 촉진한다. 그 결과, 오일 업은 피스톤 간극을 통해 오일을 유입시켜 부하 인가 시 탄화물로 피스톤 및 헤드 하면에 점착되고, 배기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이탈된 입자가 배기밸브와 헤드 사이에 찍힘(Dent)을 유발하며, 이 과정의 반복 악화 시 밸브 용손(또는 소손)을 가져온다.
이로 인해, 상용 CNG 엔진은 피스톤 및 링 팩(ring pack) 사양 개선을 통해 저속구간/고속구간 오일 소모를 개선함으로써 오일 업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한다.
미국등록특허US 6,935,220B2(2005.8.30)
하지만, 엔진의 오일 소모가 작을수록 이득인 저속구간과 적정 오일 공급이 필요한 고속구간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가짐으로써 피스톤 및 링 팩 사양 개선을 통한 오일 업 개선은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엔진의 오일 업 형성 조건 시 펌프에 의한 강제적인 오일 석션(suction)으로 오일 업에 의한 오일이 실린더 블록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오일의 피스톤 상부 유입을 방지하고, 특히 엔진오일압력과 흡기 매니폴드 부압에 연계된 펌프 제어로 오일 업을 해소함으로써 아이들 운전과 타행 주행(coast down)시 오일 업 방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은 (A) 엔진 가동 상태를 체크한 후 엔진 오일이 피스톤 상부로 올라오는 오일업 오일을 발생하는 오일 업 조건 형성이 컨트롤러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 (B) 상기 오일 업 조건 형성 시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이나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이나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중 어느 하나로 상기 오일업 오일의 석션 조건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 (C) 오일 펌프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오일 펌프의 흡입력이 상기 오일업 오일을 석션하여 실린더 블록에서 배출하는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엔진 가동 상태는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과 오일압력의 검출값으로 체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오일 업 조건 형성은 엔진 아이들 조건과 타행주행조건으로 판단되고, 상기 엔진 아이들 조건의 판단 후 상기 타행주행조건의 판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엔진 아이들 조건은 오일압력이고, 상기 오일압력은 상기 엔진의 엔진오일유로의 체크밸브 개변 압력과 비교되며, 상기 오일압력이 상기 체크밸브 개변 압력과 동일하거나 큰 값일 때 상기 오일 업 조건 형성으로 판단된다. 상기 타행주행조건은 흡기매니폴드 부압이며, 상기 흡기매니폴드 부압은 설정값과 비교되고, 상기 흡기매니폴드 부압이 설정값보다 작은 값일 때 상기 오일 업 조건 형성으로 판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은 상기 오일업 오일이 상기 엔진의 복수개 기통에서 동시에 석션된다. 상기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은 상기 오일업 오일이 상기 엔진의 복수개 기통의 폭발 순서에 맞춰 석션된다. 상기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은 상기 오일업 오일이 상기 엔진의 복수개 기통의 동일 상/하사 움직임에 맞춰 석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펌프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 ECU는 상기 오일 펌프를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은 실린더 블록의 복수개 기통에 각각 구비되고, 오일 석션 홀이 피스톤 링에 형성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으로 나온 복수의 오일 석션 라인, 상기 엔진의 오입압 상승이나 흡기 매니폴드 부압 저하 시 구동되어 상기 오일 석션 라인에 흡입력을 형성하는 오일 펌프, 상기 오일 펌프를 제어하도록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계된 펌프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구성된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 상기 오일 석션 라인의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에서 배출된 오일의 정제 오일을 오일팬으로 보내면서 블로바이 가스가 포함된 미스트 오일을 터보차저로 보내는 오일 여과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엔진은 상용 CNG엔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오일 업에 의해 피스톤 상부로 올라가려는 오일이 펌프로 강제 석션되어 실린더 블록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오일 업 발생 율이 높은 아이들 운전과 타행 주행(cost down)시 피스톤 상면의 오일 유입이 배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 업에 의한 피스톤 상면의 오일 유입이 배제됨으로써 연소 시 피스톤 및 헤드 하면에 하드 카본이 퇴적되지 않고, 카본 퇴적 방지로 배기 밸브 수명 연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스톤 오일 업 방지는 펌프 제어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서 피스톤 및 링 팩 사양 개선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방식대비 현저한 오일 업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엔진은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으로 배기 밸브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엔진 신뢰성향상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업 오일 석션 장치가 적용된 상용 CNG 엔진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 부압 선도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에서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이 동작하는 상태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의 피스톤 석션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의 순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은 S10내지 S30과 같이 엔진의 오일 업 조건 형성을 2단계로 확인하고, S40내지 S80과 같이 오일 업 조건으로 피스톤 상부로 올라오는 오일을 다양한 방식으로 배출함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업 오일 석션 장치가 적용된 엔진의 실린더 블록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100)은 실린더 블록(10)의 제1,2,3,4,5,6 기통(1,2,3,4,5,6)과 연계된 오일 석션 라인(40), 오일 펌프(50), 펌프 ECU(Electronic Control Unit)(60), 오일 여과기(70), 터보차저(80),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90)와 함께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석션 라인(40)은 제1,2,3 플렉시블 호스(40-1,40-2,40-3)로 구분되어 실린더 블록(10)을 빠져나온 후 1개의 호스로 합쳐진다. 일례로, 상기 제1 플렉시블 호스(40-1)는 제1 기통(1)과 제6 기통(6)에 구비된 피스톤(20)과 연계되고, 상기 제2 플렉시블 호스(40-2)는 제2 기통(2)과 제5 기통(5)에 구비된 피스톤(20)과 연계되며, 제3 플렉시블 호스(40-3)는 제3 기통(3)과 제4 기통(4)에 구비된 피스톤(20)과 연계됨으로써 각 기통의 피스톤(20)의 상부로 올라오는 오일을 실린더 블록(10)의 외부로 배출시켜준다. 또한, 상기 제1,2,3 플렉시블 호스(40-1,40-2,40-3)의 각각은 피스톤(20)과 실린더 블록(10)의 니플(nipple)을 이용해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제1 플렉시블 호스(40-1)에는 제1,2 제어밸브(41-1,41-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플렉시블 호스(40-2)에는 제3,4 제어밸브(41-3,41-4)가 설치되며, 상기 제3 플렉시블 호스(40-3)에는 제5,6 제어밸브(41-5,41-6)가 설치되고, 상기 제1,2,3,4,5,6 제어밸브(41-1,41-2,41-3,41-4,41-5,41-6)의 각각은 펌프 ECU(60) 또는 엔진 ECU(90)로 개폐된다. 특히, 상기 제1,2,3,4,5,6 제어밸브(41-1,41-2,41-3,41-4,41-5,41-6)는 옹/오프타입 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오일 석션 라인(40)은 제1 기통(1)과 제4 기통(4)에 구비된 피스톤(20)과 연계된 제1 플렉시블 호스(40-1), 제2 기통(2)과 제3 기통(3)에 구비된 피스톤(20)과 연계된 제2 플렉시블 호스(40-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린더 블록(10)은 제1,2,3,4,5,6 기통(1,2,3,4,5,6)으로 구분된 6기통 엔진용 실린더 블록으로 설명되나 엔진 사양에 따라 6기통 이상 엔진이나 6기통 이하 엔진용 실린더 블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20)은 적어도 2개의 제1,2 피스톤 링(30-1,30-2)을 갖추고, 상기 제2 피스톤 링(30-2)은 오일 석션 라인(40)과 연계된 적어도 2개의 오일 석션 홀(31)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펌프(50)는 제1,2,3 플렉시블 호스(40-1,40-2,40-3)가 1개의 호스로 합쳐져 오일 여과기(70)와 연결되는 오일 석션 라인(40)에 구비됨으로써 제1,2,3 플렉시블 호스(40-1,40-2,40-3)의 각각을 통해 피스톤(20)의 상부로 올라오는 오일을 실린더 블록(10)의 외부로 석션하여 준다. 이를 위해, 상기 오일 펌프(50)는 전자식 모터 펌프를 적용하나 필요 시 석션 효과를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 ECU(60)는 오일 펌프(50)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일례로, 제어신호는 온/오프 신호일 수 있으나 PWM(Pulse Width Modulation) 듀티 신호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펌프 ECU(60)는 오일 펌프(50)의 구동을 위한 전용 컨트롤러 일 수 있으나 엔진 ECU(90)로 대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여과기(70)는 오일 펌프(50)의 출구에 호스로 연결되고, 오일 석션 라인(40)을 통해 실린더 블록(10)에서 빠져 나온 오일이 유입되어 정제된 오일을 오일팬으로 복귀시키며 블로바이 가스를 포함한 미스트 오일(mist oil)을 터보차저(80)로 보내준다. 일례로, 상기 오일 여과기(70)는 CCV 필터(Crank Case Ventilation Filter)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보차저(80)는 오일 여과기(70)의 출구에 호스로 연결되어 오일 여과기(70)를 나온 블로바이 가스가 포함된 미스트 오일(mist oil)을 컴프레서로 유입한 후 엔진에서 연소시켜 준다. 일례로, 상기 터보차저(80)는 엔진에서 나온 배기가스로 흡기를 과급하는 터보차저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 ECU(90)는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오일압력, 체크밸브 개변 압력, 흡기 매니폴드 부압을 입력데이터로 읽고, 입력 값을 이용해 오일압력과 체크밸브 개변 압력의 크기차이를 판단하며, 흡기 매니폴드 부압과 절대압의 크기 차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오일 펌프(50)의 정지 및 구동을 위해 펌프 ECU(60)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엔진 ECU(90)는 펌프 ECU(60)의 기능을 포함하여 오일 펌프(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의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의 실시예를 도 2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는 펌프 ECU(60)에 의한 오일 펌프(50)의 제어를 제외하고 엔진 ECU(90)에서 수행됨으로 설명되나 엔진 ECU(90)는 엔진 제어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컨트롤러로 수행됨을 전제로 한다.
S10은 엔진 가동 상태가 엔진 ECU(90)에 의해 체크되는 상태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엔진 ECU(90)는 엔진 RPM 센서 및 오일압력 센서에서 검출된 값을 읽어 엔진 및 오일압력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엔진 ECU(90)는 엔진 RPM 및 오일압력의 검출 미확인 시 오일 업 조건과 관계없으므로 S100으로 전환하여 오일 펌프(50)의 정지가 유지되도록 펌프 ECU(60)를 제어하는 반면 확인 시 엔진 ECU(90)는 S20으로 진입하여 오일 펌프(50)의 가동을 위한 1단계 오일 업 조건을 판단한다.
S20은 검출된 오일압력의 크기가 엔진 ECU(90)에 의해 체크되는 상태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엔진 ECU(90)는 오일압력과 체크밸브 개변 압력을 오일압력 ≥ 체크밸브 개변 압력의 관계식으로 비교한다. 여기서, "≥"은 두 값의 크기를 나타내는 부등호로서 오일압력 ≥ 체크밸브 개변 압력은 오일압력이 체크밸브 개변 압력과 동일하거나 큰 값임을 의미한다. 상기 체크밸브 개변 압력은 엔진 오일을 오일 팬에서 엔진오일유로로 보내주도록 실린더 블록내 엔진오일유로에 설치된 체크밸브이다. 그러므로, 상기 엔진 ECU(90)는 체크밸브가 열려 오일이 피스톤 상부로 올라오는 오일 업 형성을 의미하는 오일압력 ≥ 체크밸브 개변 압력의 충족 시 S40의 오일석션조건 체크단계로 바로 진입한다. 따라서, 오일압력을 이용함으로써 아이들 장시간 운전 시 오일온도가 낮아져 상대적으로 오일압력이 증가하여 체크밸브 개변압력보다 높을 수 있는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피스톤 오일 업의 형성이 유력한 장시간 아이들 운전조건에서 오일 연소에 의한 하드 카본 형성을 예방할 수 있다.
S30은 오일압력이 체크밸브 개변 압력과 동일하거나 큰 값을 만족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검출된 흡기 매니폴드 부압의 크기가 엔진 ECU(90)에 의해 체크되는 상태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엔진 ECU(90)는 흡기 매니폴드 부압을 흡기 매니폴드 부압 < 설정값의 관계식으로 비교한다. 여기서, "<"은 두 값의 크기를 나타내는 부등호로서 흡기 매니폴드 부압 < 설정값은 흡기 매니폴드 부압이 설정값보다 작은 값임을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설정값은 100kpa로 설정되고, 엔진 ECU(90)가 흡기 매니폴드 부압을 절대압인 100kpa과 비교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는 도 3의 엔진RPM-흡기압 선도로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에서 운영되는 상용차량의 부압 발생영역은 100Kpa 이하이고, 특히 70Kpa 이하는 피스톤 오일 업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는 아이들 장시간 운전 조건이나 타행 주행 조건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엔진 ECU(90)는 부압으로 오일이 피스톤 상부로 올라오는 오일 업 형성을 의미하는 흡기 매니폴드 부압 < 100kpa의 충족 시 S40의 오일석션조건 체크단계로 바로 진입한다. 따라서, 흡기매니폴드 부압을 이용함으로써 타행 주행 시 부압으로 피스톤 상부로 오일이 올라오기 유리한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피스톤 오일 업의 형성이 유력한 타행 주행 운전조건에서 오일 연소에 의한 하드 카본 형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엔진 ECU(90)는 흡기 매니폴드 부압 < 100kpa의 미충족 시 오일 업 조건과 관계없으므로 S100으로 전환하여 오일 펌프(50)의 정지가 유지되도록 펌프 ECU(60)를 제어한다.
S40은 오일 석션 조건이 엔진 ECU(90)에 의해 체크되는 단계이다. 그 결과, 상기 엔진 ECU(90)는 S50의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이나 S60의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이나 S70의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으로 구분하고, 펌프 ECU(60)를 제어함으로써 S80과 같이 오일 펌프(50)의 가동을 통한 오일 석션으로 피스톤 상부로 올라가는 오일이 실린더 블록(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이나 상기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이나 상기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중 어느 하나로 실린더 블록(10)을 빠져 나온 오일 업 오일은 오일 석션 라인(40)을 통해 오일 여과기(70)로 들어가고, 상기 오일 여과기(70)는 내부과정을 통해 정제된 오일을 오일팬으로 복귀시키며 동시에 블로바이 가스를 포함한 미스트 오일(mist oil)을 터보차저(80)로 보내준다. 따라서, 오일 업에 의한 피스톤 상면의 오일 유입이 배제됨으로써 연소 시 피스톤 및 헤드 하면에 하드 카본이 퇴적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은 펌프 ECU(60) 또는 엔진 ECU(90)에 의해 제1,2,3 플렉시블 호스(40-1,40-2,40-3)의 각각에 구비된 제1,2,3,4,5,6 제어밸브(41-1,41-2,41-3,41-4,41-5,41-6)가 동시에 함께 열려짐으로써 제1,2,3,4,5,6 기통(1,2,3,4,5,6)에서 동시에 석션된 오일이 실린더 블록(10)을 빠져나오는 방식이다. 상기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은 제1,2,3,4,5,6 기통(1,2,3,4,5,6)의 폭발 순서인 1->5->3->6->2->4을 적용함으로써 제1 제어밸브(41-1)의 열림 후 닫힘 -> 제4 제어밸브(41-4)의 열림 후 닫힘 -> 제5 제어밸브(41-5)의 열림 후 닫힘 -> 제2 제어밸브(41-2)의 열림 후 닫힘 -> 제3 제어밸브(41-3)의 열림 후 닫힘 -> 제6 제어밸브(41-6)의 열림 후 닫힘의 순으로 제1,2,3,4,5,6 기통(1,2,3,4,5,6)에서 각각 석션된 오일이 실린더 블록(10)을 빠져나오는 방식이다. 상기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은 동일 상/하사 움직임 기준으로 한 1&6, 2&5, 3&4을 적용함으로써 제1,2 제어밸브(41-1,41-2)의 열림 후 닫힘 -> 제3,4 제어밸브(41-3,41-4)의 열림 후 닫힘 -> 제5,6 제어밸브(41-5,41-6)의 열림 후 닫힘의 순으로 제1,6 기통(1,6), 제2,5 기통(2,5), 제3,4 기통(3,4)에서 각각 석션된 오일이 실린더 블록(10)을 빠져나오는 방식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20)에는 제2 피스톤 링(30-2)의 오일 석션 홀(31)을 통해 오일 펌프(50)의 흡입력이 작용하고, 상기 흡입력은 피스톤 상부로 올라가는 오일을 오일 석션 홀(31)로 흡입함으로써 오일 석션 라인(40)이 석션된 오일을 실린더 블록(10)으로 배출시켜줌을 알 수 있다.
한편, S90은 엔진 ECU(90)가 오일 펌프(50)의 펌프 가동 시간을 체크하고, 설정된 펌프 가동시간 후 S10으로 복귀함으로써 엔진 가동 조건에서 엔진 ECU(90)는 오일 업 조건 형성 여부를 지속적으로 제어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피스톤 오일 업 방지는 오일 업 조건 형성 시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이나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이나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실린더 블록의 복수개 기통(1,2,3,4,5,6)에 각각 구비된 피스톤(20)의 상부로 올라가는 오일업 오일을 석션하고, 오일업 오일의 석션에 오일 펌프(50)의 흡입력을 이용함으로써 아이들 운전과 타행 주행(cost down)시 오일 업 방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1,2,3,4,5,6 : 제1,2,3,4,5,6 기통
10 : 실린더 블록 20 : 피스톤
30-1,30-2 : 제1,2 피스톤 링
31 : 오일 석션 홀 40 : 오일 석션 라인
40-1,40-2,40-3 : 제1,2,3 플렉시블 호스
41-1,41-2,41-3,41-4,41-5,41-6 : 제1,2,3,4,5,6 제어밸브
50 : 오일 펌프 60 : 펌프 ECU(Electronic Control Unit)
70 : 오일 여과기 80 : 터보차저
90 :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
100 :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

Claims (15)

  1. (A) 엔진 가동 상태를 체크한 후 엔진 오일이 피스톤 상부로 올라오는 오일업 오일을 발생하는 오일 업 조건 형성이 컨트롤러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
    (B) 상기 오일 업 조건 형성 시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이나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이나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중 어느 하나로 상기 오일업 오일의 석션 조건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
    (C) 오일 펌프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오일 펌프의 흡입력이 상기 오일업 오일을 석션하여 실린더 블록에서 배출하는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가동 상태는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과 오일압력의 검출값으로 체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업 조건 형성은 엔진 아이들 조건과 타행주행조건으로 판단되고, 상기 엔진 아이들 조건의 판단 후 상기 타행주행조건의 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엔진 아이들 조건은 오일압력이고, 상기 타행주행조건은 흡기매니폴드 부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일압력은 상기 엔진의 엔진오일유로의 체크밸브 개변 압력과 비교되고, 상기 오일압력이 상기 체크밸브 개변 압력과 동일하거나 큰 값일 때 상기 오일 업 조건 형성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기매니폴드 부압은 설정값과 비교되고, 상기 흡기매니폴드 부압이 설정값보다 작은 값일 때 상기 오일 업 조건 형성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통 총괄 석션 방식은 상기 오일업 오일이 상기 엔진의 복수개 기통에서 동시에 석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통 폭발순 석션 방식은 상기 오일업 오일이 상기 엔진의 복수개 기통의 폭발 순서에 맞춰 석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통 동일 행정순 석션 방식은 상기 오일업 오일이 상기 엔진의 복수개 기통의 동일 상/하사 움직임에 맞춰 석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펌프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 ECU는 상기 오일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12. 청구항 1내지 청구항 11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이 수행되는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이 장착된 실린더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은 실린더 블록의 복수개 기통에 각각 구비되어 오일 석션 홀이 피스톤 링에 형성된 피스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은 오일 여과기에 연결되고, 상기 오일 여과기는 상기 오일 업 오일 석션 시스템을 통해 실린더 블록으로 배출된 오일을 정제하여 오일팬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오일 여과기는 터보차저와 연결되고, 상기 터보차저는 상기 오일 여과기에서 나온 블로바이 가스가 포함된 미스트 오일(mist oil)을 컴프레서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KR1020150175686A 2015-12-10 2015-12-10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 KR101704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686A KR101704301B1 (ko) 2015-12-10 2015-12-10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
US15/246,291 US9995215B2 (en) 2015-12-10 2016-08-24 Method for preventing piston oil-up and engine employing the same
DE102016216999.8A DE102016216999A1 (de) 2015-12-10 2016-09-07 Verfahren zum Verhindern der Verölung eines Kolbens und Motor, der dieses Verfahren einsetzt
CN201610808892.7A CN106870158B (zh) 2015-12-10 2016-09-08 用于防止活塞机油上升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发动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686A KR101704301B1 (ko) 2015-12-10 2015-12-10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301B1 true KR101704301B1 (ko) 2017-02-07

Family

ID=5810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686A KR101704301B1 (ko) 2015-12-10 2015-12-10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95215B2 (ko)
KR (1) KR101704301B1 (ko)
CN (1) CN106870158B (ko)
DE (1) DE10201621699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106A (ja) * 1993-02-10 1994-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用積層型素子
US6935220B2 (en) 2003-05-30 2005-08-30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Contoured pist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7106A (ja) 1984-05-08 1985-11-26 Teikoku Piston Ring Co Ltd 内燃機関における燃焼室内への潤滑油の流入防止装置
JPH0389959U (ko) 1989-12-29 1991-09-12
WO1997002418A1 (fr) 1995-06-30 1997-01-23 Isuzu Motors Limited Piston
KR19990020684A (ko) 1997-08-30 1999-03-25 추호석 오일 업 방지용 피스톤
DK173533B1 (da) * 1999-01-18 2001-02-05 Man B & W Diesel As Fremgangsmåde til smøring af en cylinder i en forbrændingsmotor samt cylindersmøresystem og tilslutningselement
JP3991496B2 (ja) * 1999-03-30 2007-10-1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オイル及びブローバイガスの遠心分離機。
KR100450441B1 (ko) * 2001-10-30 2004-09-30 삼영기계주식회사 역류 방지 구조를 갖는 내연기관용 피스톤조립체
DE102004017909A1 (de) * 2004-04-13 2005-1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r Kühlung von zumindest einem Kol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7023641B4 (de) * 2007-05-22 2015-04-02 Ibs Filtran Kunststoff-/ Metallerzeugnisse Gmbh Ölfiltervorrichtung
WO2010103288A1 (en) * 2009-03-13 2010-09-16 T Baden Hardstaff Ltd A metho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ngine
WO2012002960A1 (en) * 2010-06-30 2012-01-05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Dual function breather bypass system
CN103422933A (zh) * 2012-05-14 2013-12-04 瓦锡兰瑞士公司 用于润滑往复活塞式燃烧发动机的缸中活塞结构的方法和汽缸润滑装置
CN203189076U (zh) * 2013-03-28 2013-09-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涡轮增压器的发动机上的机油过滤装置
JP6217236B2 (ja) * 2013-08-22 2017-10-25 マツダ株式会社 多気筒エンジ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7106A (ja) * 1993-02-10 1994-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用積層型素子
US6935220B2 (en) 2003-05-30 2005-08-30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Contoured pis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16999A1 (de) 2017-06-14
US20170167371A1 (en) 2017-06-15
US9995215B2 (en) 2018-06-12
CN106870158B (zh) 2020-09-04
CN106870158A (zh)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4847B2 (ja) 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JP5083417B2 (ja) 車両用吸気装置
JP5505267B2 (ja) 吸気冷却装置
JP2013117176A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及び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の異常診断方法
RU271717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запорного клапана аспиратора усилителя тормоза
JP201813578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969378B2 (ja) クランクケース換気装置
KR101704301B1 (ko) 피스톤 오일 업 방지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엔진
JP2013124544A (ja) 内燃機関
JP2017002827A (ja) エンジンの清浄装置
RU2016121865A (ru) Создание разрежения в картере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частиц
RU2717471C2 (ru)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постоянной вентиляции картера атмосферным воздухом
JP2009191790A (ja) エンジンのオイル消費量低減装置
JP2019143529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9228600A (ja) 内燃機関
JP6040921B2 (ja) 車両の制御装置
CN104033210A (zh) 用于两汽缸发动机的曲轴箱强制通风系统
CN103511027B (zh) 具有负压蓄存器的车辆
JP6859839B2 (ja) 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JP2012237231A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JP200806407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6156284A (ja) 内燃機関の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及び内燃機関のブレーキ制御方法
JP2007247611A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US20230287814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60053511A (ko) 엔진 오일 업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