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273B1 -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273B1
KR101704273B1 KR1020150148462A KR20150148462A KR101704273B1 KR 101704273 B1 KR101704273 B1 KR 101704273B1 KR 1020150148462 A KR1020150148462 A KR 1020150148462A KR 20150148462 A KR20150148462 A KR 20150148462A KR 101704273 B1 KR101704273 B1 KR 10170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rake booster
choke valve
negative pressur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273B1/ko
Priority to US15/204,910 priority patent/US10166962B2/en
Priority to DE102016213006.4A priority patent/DE102016213006A1/de
Priority to CN201610596393.6A priority patent/CN10660825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8Silenc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16K15/02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서지탱크의 부압을 이용하기 위해 브레이크 부스터와 서지탱크 간을 진공호스로 연결한 차량에서 진공호스, 즉 부압 라인에 설치되어 엔진 피스톤 작동에 따른 공기 흐름의 맥동과 밸브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개선된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Noise reducing device for vacuum pressure line of brake booster}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 서지탱크의 부압을 이용하기 위해 브레이크 부스터와 서지탱크 간을 진공호스로 연결한 차량에서 진공호스, 즉 부압 라인에 설치되어 엔진 피스톤 작동에 따른 공기 흐름의 맥동과 밸브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점차 대형화 및 고속화됨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작은 답력으로 차량을 확실하게 제동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 부스터가 사용되고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는 진공과 대기압의 차압을 이용하는 진공식 브레이크 부스터와, 압축공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압축공기식 브레이크 부스터가 있다.
진공식 브레이크 부스터는 엔진의 서지탱크 또는 진공펌프에서 발생하는 부압과 대기압의 차압을 부스터 내에 설치한 파워 피스톤에 작용시켜 큰 힘을 브레이크에 가해주는 장치이다.
진공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여 차량의 원가상승을 야기하므로, 통상적으로 엔진의 서지탱크에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엔진의 서지탱크에서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하는 경우, 부압이 항상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밀도가 낮은 고지대 등과 같은 주위 환경에 따라 변화하게 되므로, 부스터에 필요한 부압을 항상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브레이크 부스터측의 진공을 증대시키기 위한 부압증폭기(Intensifier)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부압증폭기는 서지탱크의 부압에 의해 에어 클리너 측에서 들어온 공기가 부압증폭기에 설치된 벤츄리관을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짐과 동시에 발생하는 압력 강하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부스터측의 진공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부스터에 필요한 부압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러한 부압증폭기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10-0767486호(2007.10.9.), 등록특허 제10-0941808호(2010.2.3.), 등록특허 제10-1037019호(2011.5.18.)를 들 수 있다.
도 1은 엔진(10)의 서지탱크(13)와 브레이크 부스터(20),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부압 라인(진공호스)(14)을 예시한 도면으로, 엔진(10)의 서지탱크(13)와 브레이크 부스터(2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부압 라인(14)에 체크밸브(15)를 설치하고 있다.
도 1과 같은 구성(부압증폭기 미적용)에서는 엔진 피스톤 작동에 의해 부압 라인(14) 내 공기 흐름의 맥동 및 체크밸브(15)의 진동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공진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브레이크 부스터(20)의 부압 충전시 엔진 피스톤 작동에 의한 공기 흐름의 맥동, 즉 부압 라인(14) 내부의 공기 진동과 체크밸브(15)의 진동이 공진하여 기류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다.
도 2는 부압증폭기를 추가로 설치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 엔진(10)의 흡기구(에어 인테이크 호스)(11)와 부압증폭기(21), 엔진(10)의 서지탱크(13), 브레이크 부스터(20) 사이에 부압 라인(16a,16b,16c)이 연결되고 있다.
이때, 엔진(10)의 흡기구(11)에서 분기되어 스로틀 밸브(12)를 우회하는 부압 라인(16a)이 부압증폭기(21)의 벤츄리관(미도시)에 연결되고, 이 벤츄리관은 다시 부압 라인(16b)을 통해 엔진(10)의 서지탱크(13)로 연결된다.
또한, 브레이크 부스터(20)의 진공포트로부터 부압 라인(16c)이 연장되어 부압증폭기(21)로 연결되며, 이 부압 라인(16c)은 부압증폭기(21) 내 체크밸브(미도시)를 통해 벤츄리관의 목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부압 라인(16c)과 벤츄리관측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는 부압증폭기(21)에 내장되어 공기가 브레이크 부스터(20)의 진공포트로부터 벤츄리관측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이며, 벤츄리관측에서 체크밸브를 통해 브레이크 부스터(20)의 진공포트로 연결되는 상기 부압 라인(16c)은 부압 증폭이 이루어지는 부압 증폭 라인이 된다.
또한, 부압 증폭이 이루어지는 상기 부압 라인(16c)에는 별도의 외장형 체크밸브(17)가 더 설치된다.
도 2와 같은 구성(부압증폭기 적용)에서도 엔진 피스톤 작동에 의해 부압 라인 내 공기 흐름의 맥동 및 부압증폭기 내 체크밸브의 진동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공진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즉,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 충전시 엔진 피스톤 작동에 의한 공기 흐름의 맥동, 즉 진공호스 내부의 공기 진동과 부압증폭기 내 체크밸브의 진동이 공진하여 기류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공기 흐름의 맥동으로 인한 소음은 명확한 원인 및 해결책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부압증폭기(21)를 적용한 경우 브레이크 부스터(20)와 부압증폭기(21) 간을 연결하고 있는 부압 라인(16c)의 중간에 외장형 체크밸브(17)를 설치함으로써 저감하고 있다.
외장형 체크밸브(17)는, 부압증폭기(21)에 이미 체크밸브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의 역할을 한다기보다는, 소음 저감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밸브 내부의 공기 유로 특성에 따라 부압 라인 내 소음을 유발하는 공기 진동을 감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3은 종래의 외장형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체크밸브(17)의 설치시 밸브 양측의 유로관부(17a)를 2개의 부압 라인(16c), 즉 서로 분리된 양측의 각 진공호스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클립(18)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외장형 체크밸브(17)는 유로관부(17a)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가 6 ~ 7 cm에 달하고, 사이즈가 커서 진공호스 주변의 레이아웃 조건에 따라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진공호스(16c)를 양측으로 분리하여야 하고 고정클립(18)을 추가로 사용해야 등 그로 인한 원가 상승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소음 저감을 위한 외장형 체크밸브(17)로 통상의 역류 방지용 체크밸브를 사용함으로써 부압 충전 속도가 악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엔진 서지탱크의 부압을 이용하기 위해 브레이크 부스터와 서지탱크 간을 진공호스로 연결한 차량에서 진공호스, 즉 부압 라인에 설치되어 엔진 피스톤 작동에 따른 공기 흐름의 맥동과 밸브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개선된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작은 사이즈를 가짐으로써 진공호스 내 적용이 용이하고, 부압 충전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가 통과하는 메인 유로를 가지며, 메인 유로에 위치되는 폐쇄부가 설치되고, 일측 진공호스를 통해 브레이크 부스터측과 연결되는 메인 유로 입구와, 타측 진공호스를 통해 엔진측과 연결되는 메인 유로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폐쇄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내부 유로와 메인 유로를 연통시키는 초크밸브 홀이 관통 형성된 유로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유로관부의 내부유로와 상기 일측 진공호스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초크 유로 입구가 형성된 제1밸브체를 포함하는 초크밸브; 및 상기 초크밸브를 하우징 내부에서 탄력적인 전후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메인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초크밸브가 메인 유로 입구를 통해 제1밸브체 전면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측 압력과 메인 유로 출구 및 메인 유로를 통해 제1밸브체 후면에 작용하는 엔진측 압력 상태에 따라 전후 이동하고, 초크밸브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제1밸브체가 메인 유로 입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초크밸브 홀이 폐쇄부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측과 엔진의 서지탱크측 사이를 연결하는 진공호스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측과 엔진의 서지탱크측 사이를 연결하는 진공호스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압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또한, 상기 하우징에서 메인 유로 입구의 전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밸브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초크밸브의 제1밸브체 전면이 밸브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인 유로 입구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쇄부가 하우징에서 지지대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폐쇄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초크밸브의 유로관부가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관부의 초크밸브 홀이 초크밸브 및 유로관부의 전후 위치에 따라 폐쇄부 내측에 위치하여 닫히거나 폐쇄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지지대가 하우징의 내측면과 폐쇄부의 외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에서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공간이 메인 유로 출구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가 메인 유로 입구를 형성하도록 개구된 원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 및 폐쇄부가 설치된 링 형상의 서브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크밸브는, 상기 초크밸브 홀이 관통 형성되고 튜브 형상을 가지는 유로관부; 및 상기 유로관부의 일단부에 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제1밸브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 사이의 진공호스에 부압증폭기가 설치된 경우, 상기 부압증폭기와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진공호스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 사이의 진공호스에 부압증폭기가 설치된 경우, 상기 일측 진공호스가 브레이크 부스터측과 연결되는 진공호스이고, 상기 타측 진공호스가 부압증폭기를 통해 엔진측과 연결되는 진공호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압증폭기가 설치된 경우, 상기 초크밸브의 유로관부 내측에 유로관부의 내부 유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측 압력 상태에 따라 초크밸브 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초크밸브의 유로관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초크밸브의 유로관부 내측에서 브레이크 부스터측 압력 상태에 따라 전후 이동하여 초크밸브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체; 및 상기 고정부와 제2밸브체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고정부에서 제2밸브체를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관부 내측에는 제2밸브체가 전진하여 초크밸브 홀을 닫아준 상태가 되면 제2밸브체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안착될 수 있는 걸림턱 구조의 밸브 시트 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 시트 면은, 상기 유로관부에서 초크밸브 홀을 기준으로 제1밸브체가 형성된 쪽의 내경을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삽입된 부분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하여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에 의하면, 부스터 압력과 엔진측 압력 상태에 따라 메인 유로, 및 유로관부의 내부 유로와 초크밸브 홀을 포함하는 초크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특히 초크 유로를 이용한 소음 저감 작동뿐만 아니라, 부스터 압력 상태에 따라 메인 유로를 이용한 부압 충전 속도 악화 방지 작동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부압 충전 속도 악화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은 사이즈를 가지면서 진공호스 내에 간단히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종래와 같이 설치 위치의 부압 라인(진공호스)이 분리될 필요가 없으며, 고정클립 등의 부품이 삭제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고, 진공호스 주변의 레이아웃 조건에 따른 설치 제약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엔진의 서지탱크와 브레이크 부스터,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부압 라인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서 부압증폭기를 추가로 설치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외장형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가 진공호스 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에서 초크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에서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초크밸브의 홀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에서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길이가 긴 오리피스, 즉 초크(choke) 유로를 가지는 소음 저감 장치를 개시하며, 이러한 소음 저감 장치를 진공호스 내부에 설치하여 엔진 피스톤 작동에 의한 공기 흐름의 맥동 및 공기 진동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초크 유로에 의해 본 발명의 소음 저감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줄어들게 되면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 충전 속도가 악화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소음 저감 장치에서는 부스터 부압이 어느 정도 충분한 상황에서 부압 충전시 초크 유로(후술하는 초크밸브 홀을 포함하는 유로임)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되, 부스터 부압이 특정 수준 이하로 부족한 상황에서는 유량이 상대적으로 큰 메인 유로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하여 부압 충전 속도 악화를 방지한다.
부스터 부압이 특정 수준 이하로 부족한 상황에서는 소음 저감보다는 제동력을 위한 부압 확보가 중요하므로 메인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여 공기 유량 손실을 최소화하고, 부스터 부압이 높은 수준으로 충분히 확보된 상황, 즉 부압 수준은 만족하여 소음 저감의 상품성이 중요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초크 유로가 개방되고 메인 유로가 닫히도록 하여 진동 감쇄 및 소음 저감 효과가 최대한 발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부스터 압력 상태에 따라 초크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며, 이때 개폐수단은 메인 유로를 닫은 경우 초크 유로는 개방하여 부압 충전을 위해 초크 유로를 통해서만 공기가 흐르도록 하고, 메인 유로를 열은 경우 초크 유로를 닫아주어 부압 충전을 위해 메인 유로를 통해서만 공기가 흐르도록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부압증폭기가 설치되지 않은 차량에서는 엔진(10)의 서지탱크(13)와 브레이크 부스터(2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진공호스(부압 라인)(16c)에 종래의 체크밸브를 대체하여 소음 저감 장치(100)가 설치된다.
부압증폭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제1실시예)의 소음 저감 장치(100)가 사용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부압증폭기(21)가 설치된 차량에서는 부압증폭기(21)와 브레이크 부스터(2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진공호스(16c)에 종래의 외장형 체크밸브를 대체하여 소음 저감 장치(100)가 설치되며, 부압증폭기(21)가 설치된 경우에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지 않고 삭제한 실시예(제2실시예)의 소음 저감 장치(100)가 사용된다.
즉, 부압증폭기가 없는 경우에는, 기존 체크밸브를 대신하여 소음 저감 장치(100)가 역류 방지 기능을 수행해야 하므로, 부스터 압력(Pb)을 기준으로 특정 압력 조건에서 엔진(10)의 서지탱크(13)로부터 부스터(20)로의 역방향 공기 흐름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체크밸브 어셈블리(140)를 포함한 소음 저감 장치(100)가 사용된다.
반면, 부압증폭기(21)가 있는 경우에는, 부압증폭기가 자체 체크밸브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삭제된 소음 저감 장치(100)를 사용하여 공기 유량에 불리한 체크밸브가 이중으로 구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음 저감 장치(100)는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어 진공호스(16c) 내측으로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바, 진공호스 주변의 레이아웃 조건에 상관없이 쉽고 간단하게 진공호스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양측으로 분리된 진공호스(16c)를 적용할 필요가 없고, 고정클립 등의 사용도 필요 없게 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제1실시예로 하고,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지 않고 삭제한 실시예를 제2실시예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가 진공호스 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초크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제1실시예에서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의해 초크밸브 홀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에서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100)는 하우징(110), 초크밸브(120), 체크밸브 어셈블리(140), 메인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초크밸브(120), 체크밸브 어셈블리(140), 메인 스프링(130)이 내장되고 메인 유로(110a)로 사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에 부품들이 넣어질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결합되는 두 부분의 하우징(110), 즉 메인 하우징(111)과 서브 하우징(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하우징(110)의 구성 중, 진공호스(16c) 내에서 부압 충전시 브레이크 부스터(20)로부터 엔진(10)의 서지탱크(13)로 흐르게 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인 전측으로 메인 하우징(111)이 위치되고, 하류측인 후측으로는 서브 하우징(114)이 위치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 후 방향은 소음 저감 장치(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한다.
메인 하우징(111)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진공호스(16c) 내부에 메인 하우징(111)이 압입됨으로써 소음 저감 장치(100)의 전체가 진공호스(16c)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메인 하우징(111)의 일단부, 즉 전단부는 메인 유로 입구(112)를 형성하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이 메인 유로 입구(112)는 진공호스(16c)를 통해 브레이크 부스터(20)측에 연결되는 부분이 된다.
또한, 메인 하우징(111)의 전단부에는 메인 유로 입구(112)의 전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밸브 안착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 안착부(113)는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 전면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한다.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 전면이 밸브 안착부(113)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하우징(110)의 메인 유로 입구(112)가 제1밸브체(122)에 의해 폐쇄된 닫힘 상태가 된다.
서브 하우징(114)은 메인 하우징(111)의 타단부, 즉 후단부에 압입되어 결합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링 형상을 가진다.
링 형상을 가지는 서브 하우징(114)의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초크밸브(120)의 유로관부(121)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폐쇄부(115)가 설치되며, 상기 폐쇄부(115)는 메인 유로(110a)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서브 하우징(114)의 내측면에서 폐쇄부의 외측면으로 연결되는 지지대(116)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116)는 서브 하우징(114)의 내측면과 폐쇄부(115)의 외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지대(116)가 폐쇄부(115)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하우징(114)에서 지지대(116)와 지지대 사이의 공간(117)은 소음 저감 장치(100)의 공기 출구 및 메인 유로(110a)의 공기 출구가 되는 부분이며, 진공호스(16c)를 통해 엔진(10)의 서지탱크(13)측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물론,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서는 진공호스(16c)와 부압증폭기(21), 그리고 다시 진공호스(16c)를 통해서 엔진(10)의 서지탱크(13)측 연결되는 부분이 된다.
또한, 폐쇄부(115)는 초크밸브(12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 내측으로 삽입된 초크밸브(120)의 유로관부(121)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내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초크밸브(120)의 전후 위치에 따라 상기 유로관부(121)에 형성된 초크밸브 홀(123)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서브 하우징(114)에서 소음 저감 장치(100)의 공기 출구 및 메인 유로(110a)의 공기 출구가 되는 지지대(116)와 지지대 사이의 공간(117)은 메인 하우징(111)의 내부공간과 소음 저감 장치의 외부공간인 진공호스(16c)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면서 상시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엔진(10)의 서지탱크(13), 진공호스(16c),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까지의 하우징(110) 내부공간은 동일한 압력을 갖게 된다.
즉,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 후면(엔진측 면임, 제1밸브체의 전면은 부스터측 면이 됨)에 서지탱크(13) 및 진공호스(16c) 내 압력과 동일한 엔진(10)의 서지탱크의 압력(Pe)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초크밸브(120)는 긴 튜브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튜브 형상의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초크 유로를 가지는 유로관부(121)와, 상기 유로관부(121)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밸브체(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로관부(121)의 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폐쇄부(115) 내측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로관부(121)의 일측에는 전후 슬라이드 이동된 위치에 따라 하우징(110)의 폐쇄부(115)에 의해 개폐되는 초크밸브 홀(123)이 관통 형성된다.
초크밸브 홀(123)은 유로관부(121)의 내부 유로인 초크 유로의 출구가 되는 홀로서, 유로관부(121)과 메인 유로(110a)를 연통시키도록 유로관부(12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로관부(121)의 내부 유로인 초크 유로를 따라 흐른 공기가 초크밸브 홀(123)을 통과한 뒤 메인 유로(110a)를 거쳐 소음 저감 장치(100)의 출구, 즉 하우징(110)(서브 하우징)의 지지대(116) 간 공간(117)을 통해 진공호스(16c) 및 엔진(10)측으로 흡입되게 된다.
유로관부(121)의 단부 내측으로는 체크밸브 어셈블리(14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바, 유로관부(121)의 후단부 끝면에는 유로관부(121)의 내부 유로를 밀폐하도록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의 고정부(141)가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이때,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에서 전후 이동된 위치에 따라 유로관부(121)의 초크밸브 홀(12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체(142)가 유로관부(121) 내측에서 전진하여 초크밸브 홀(123)을 완전히 닫아준 상태가 되면, 제2밸브체(142)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안착되어 걸릴 수 있는 밸브 시트 면(valve seat)(124)이 유로관부(121)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밸브 시트 면(124)은 제2밸브체(142)가 초크밸브 홀(123)을 닫고 있는 위치에서 더 이상 전진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초크밸브 홀(123)을 기준으로 제1밸브체(122)가 형성된 쪽인 유로관부(121)의 전단부 내경(ΦB)을, 체크밸브 어셈블리(140)가 삽입된 부분인 유로관부(121)의 후단부 내경(ΦA)에 비해 작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관부(121)에서 체크밸브 어셈블리(140)가 내장되는 부분은 내경(ΦA)을 크게 하고, 제2밸브체(142)가 초크밸브 홀(123)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초크밸브 홀(123) 이후의 나머지 유로관부(121) 내경(ΦB)은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제2밸브체(142)가 걸릴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내경이 축소된 유로관부(121)의 전단부 끝면은 제2밸브체(142)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걸리게 되는 걸림턱 역할을 하며, 초크밸브 홀(123)을 폐쇄한 상태의 제2밸브체(142)가 안착 지지되는 밸브 시트 면(124)이 된다.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는 전후 슬라이드 이동된 초크밸브(120)의 위치에 따라 메인 하우징(111)의 전단부에 마련된 메인 유로 입구(112)를 개폐하게 되는 부분으로, 제1밸브체(122)의 후면이 메인 하우징(111)의 밸브 안착부(113)에 안착된 상태일 때 메인 유로 입구(112)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1밸브체(122)는 유로관부(121)의 일단부인 전단부에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밸브체(122)의 중심부에는 유로관부(121)의 내부 유로와 진공호스 내부를 연통시키는 초크 유로 입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밸브체(122)의 전면에는 하우징(110)의 메인 유로 입구(112) 및 진공호스(16c)를 통해 브레이크 부스터(20)의 압력(Pb)이 작용하게 되고, 제1밸브체(122)의 후면에는 진공호스(16c) 및 하우징(110)의 출구를 통해 엔진(10)의 압력(서지탱크의 압력)(Pe)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메인 스프링(130)은 하우징(110)에서 초크밸브(120)를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10), 보다 명확히는 서브 하우징(114)과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 후면 사이에 설치된다.
메인 스프링(130)은 일단부가 서브 하우징(114)에 접촉 내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 후면에 접촉 내지 결합되어, 제1밸브체(122)를 통해 초크밸브(12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때, 메인 스프링(130)의 스프링력은 제1밸브체(122)의 전면과 후면에 작용하는 부스터 압력(Pb)과 엔진(10) 압력 상태에 따라 제1밸브체(122)가 하우징(110)의 메인 유로 입구(112)를 필요한 시점에서 원활히 개폐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체크밸브 어셈블리(140)는 유로관부(121)의 내부 유로를 밀폐하도록 유로관부의 후단부 끝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141)와, 상기 유로관부(1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로관부(121)를 통해 작용하는 부스터 압력 상태에 따라 전후 이동하여 초크밸브 홀(12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체(142)와, 상기 고정부(141)와 제2밸브체(142)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고정부(141)에서 제2밸브체(142)를 탕성 지지하게 되는 밸브 스프링(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실시예의 소음 저감 장치(100)에 대해 상술하였는바, 제2실시예의 소음 저감 장치(100)는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삭제될 뿐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소음 저감 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소음 저감 장치(100)는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의 제2밸브체(142)에 작용하는 압력 상태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 유로인 메인 유로(110a)와, 유로관부(121)의 내부 유로 및 초크밸브 홀(123)을 포함하는 초크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먼저, 도 1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100)의 작동상태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부압증폭기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체크밸브 어셈블리(140)가 포함된 소음 저감 장치(100)가 진공호스(부압 라인)(16c)에 설치된다.
(a)는 메인 유로(110a)와 초크 유로가 모두 닫힌 상태를, (b)는 초크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c)는 메인 유로(110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부스터 압력(Pb)이 엔진(10)의 서지탱크(13) 압력(이하 '엔진 압력'이라 칭함)(Pe)보다 더 낮은 역부압 조건에서는,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크밸브(120)와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에 의해 하우징(110)의 메인 유로 입구(112)와 초크밸브(120)의 초크밸브 홀(123)이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 전면에 작용하는 부스터 압력(Pb)이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 후면에 작용하는 엔진 압력(Pe)보다 낮으므로, 초크밸브(120)가 전진한 위치에서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가 하우징(110)의 전단부에 구비된 메인 유로 입구(112)를 막고 있게 된다.
또한,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가 메인 스프링(130)의 스프링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밸브 안착부(113)에 안착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게 된다.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에서는 밸브 스프링(14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는 제2밸브체(142)가 초크밸브(120)의 유로관부(121) 내측에서 밸브 시트 면(124)에 걸리어 안작된 상태로 초크밸브 홀(123)을 막고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엔진 압력(Pe)에 비해 부스터 압력(Pb)이 높은 상태에서 부스터 압력(Pb)과 엔진 압력(Pe)의 차이(Pb-Pe)가 설정치(Pc) 이하인 경우,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크밸브(120)의 위치는 메인 유로 입구(112)를 닫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의 제2밸브체(142)는 초크밸브(120)의 유로관부(121) 내에서 작용하는 부스터 압력(Pb)에 의해 밸브 스프링(143)의 스프링력을 이기고 후진하여 초크밸브 홀(123)을 개방하게 된다.
이에 메인 유로(110a)는 닫힌 상태에서 초크밸브 홀(123)을 포함하는 초크 유로는 개방되며, 부스터(20)의 부압 충전시 유로관부(121)의 내부 유로 및 초크밸브 홀(123)을 통해 공기가 흐르면서 소음 저감 효과를 내게 된다.
다음으로, 부스터(20) 내 부압이 특정 수준 이하로 부족한 상황으로서, 엔진 압력(Pe)에 비해 부스터 압력(Pb)이 높은 상태에서 부스터 압력(Pb)과 엔진 압력의 차이(Pb-Pe)가 설정치(Pc) 보다 큰 경우,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에 가해지는 부스터 압력(Pb)에 의해 초크밸브(120)가 하우징(110) 내부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에 하우징(110)의 메인 유로 입구(112)가 열리게 된다.
이때, 초크밸브(120)가 후진함에 따라 서브 하우징(114)의 폐쇄부(115) 내에서 초크밸브(120)의 유로관부(12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초크밸브 홀(123)이 폐쇄부(115) 내측에 있게 되면서 폐쇄부(115)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된다.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에서는 제2밸브체(142)가 초크밸브(120)의 유로관부(121) 내에서 작용하는 부스터 압력(Pb)에 의해 좀더 후진한 상태로 있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메인 유로 입구(112)가 열리면서 소음 저감 장치(100)의 메인 유로(110a)를 통해 공기가 통과하게 됨에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20)의 부압 충전률 및 부압 충전 속도가 악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부압증폭기(21)가 적용된 경우 체크밸브 어셈블리(140)가 삭제된 소음 저감 장치(100)가 진공호스(부압 라인)(16c)에 설치된다.
(a)는 초크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b)는 메인 유로(110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없는 제2실시예의 소음 저감 장치(100)에서는 부스터(20)의 부압이 특정 수준 이하로 부족한 상황이 아니면, 소음 저감 장치(100)가 초크 유로에 의한 소음 저감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즉, 부스터 압력(Pb)이 엔진 압력(Pe)보다 더 낮은 역부압 조건이거나, 엔진 압력(Pe)에 비해 부스터 압력(Pb)이 높은 상태에서 부스터 압력(Pb)과 엔진 압력(Pe)의 차이(Pb-Pe)가 설정치(Pc) 이하인 경우,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크밸브(120)의 위치는 메인 유로 입구(112)를 닫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유로관부(121)에 형성되어 있는 초크밸브 홀(123)은 서브 하우징(114)의 폐쇄부(115)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열려 있게 된다.
결국, 메인 유로(110a)의 닫힘 상태에서 초크밸브 홀(123)을 포함하는 초크 유로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부스터(20)의 부압 충전시 유로관부(121)의 내부 유로 및 초크밸브 홀(123)을 통해 공기가 흐르면서 소음 저감 효과를 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 저감 장치(100)에서는 제2실시예뿐만 아니라 제1실시예에서도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가 하우징(110)의 메인 유로 입구(112)를 닫아주도록 밸브 안착부(113)에 안착된 상태일 때 유로관부(121)의 초크밸브 홀(123)이 폐쇄부(115) 바깥쪽의 노출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초크밸브 홀(123)이 폐쇄부(115)에 의해서만 개폐되므로 초크밸브(120)가 메인 유로 입구(112)를 닫은 상태에서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제1실시예에서는 초크밸브 홀(123)이 폐쇄부(115)(초크밸브의 전후 위치에 따라 초크밸브 홀을 개폐함)뿐만 아니라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의 제2밸브체(142)에 의해서도 개폐되므로, 초크밸브(120)가 메인 유로 입구(112)를 닫아준 상태라 하더라도 체크밸브 어셈블리(140)의 제2밸브체(142)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초크밸브 홀(123)이 개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스터(20) 내 부압이 특정 수준 이하로 부족한 상황으로서, 엔진 압력(Pe)에 비해 부스터 압력(Pb)이 높은 상태에서 부스터 압력(Pb)과 엔진 압력(Pe)의 차이(Pb-Pe)가 설정치(Pc) 보다 큰 경우,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크밸브(120)의 제1밸브체(122)에 가해지는 부스터 압력(Pb)에 의해 초크밸브(120)가 하우징(110) 내부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에 하우징(110)의 메인 유로 입구(112)가 열리게 된다.
이때, 초크밸브(120)가 후진함에 따라 서브 하우징(114)의 폐쇄부(115) 내에서 초크밸브(120)의 유로관부(12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초크밸브 홀(123)이 폐쇄부(115) 내측에 있게 되면서 폐쇄부(115)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메인 유로 입구(112)가 열리면서 소음 저감 장치(100)의 메인 유로(110a)를 통해 공기가 통과하게 됨에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20)의 부압 충전률 및 부압 충전 속도가 악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엔진 11 : 흡기구
12 : 스로틀 밸브 13 : 서지탱크
14 : 부압 라인(진공호스) 15 : 체크밸브
16a, 16b, 16c : 부압 라인(진공호스) 17 : 외장형 체크밸브
17a : 유로관부 18 : 고정클립
20 : 브레이크 부스터 21 : 부압증폭기
100 : 소음 저감 장치 110 : 하우징
110a : 메인 유로 111 : 메인 하우징
112 : 메인 유로 입구 113 : 밸브 안착부
114 : 서브 하우징 115 : 폐쇄부
116 : 지지대 117 : 공간
120 : 초크밸브 121 : 유로관부
122 : 제1밸브체 123 : 초크밸브 홀
124 : 밸브 시트 면 125 : 초크 유로 입구
130 : 메인 스프링 140 : 체크밸브 어셈블리
141 : 고정부 142 : 제2밸브체
143 : 밸브 스프링

Claims (15)

  1. 공기가 통과하는 메인 유로를 가지며, 메인 유로에 위치되는 폐쇄부가 설치되고, 일측 진공호스를 통해 브레이크 부스터측과 연결되는 메인 유로 입구와, 타측 진공호스를 통해 엔진측과 연결되는 메인 유로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폐쇄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내부 유로와 메인 유로를 연통시키는 초크밸브 홀이 관통 형성된 유로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유로관부의 내부유로와 상기 일측 진공호스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초크 유로 입구가 형성된 제1밸브체를 포함하는 초크밸브; 및
    상기 초크밸브를 하우징 내부에서 탄력적인 전후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메인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초크밸브가 메인 유로 입구를 통해 제1밸브체 전면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측 압력과 메인 유로 출구 및 메인 유로를 통해 제1밸브체 후면에 작용하는 엔진측 압력 상태에 따라 전후 이동하고, 초크밸브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제1밸브체가 메인 유로 입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초크밸브 홀이 폐쇄부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초크밸브의 유로관부 내측에 유로관부의 내부 유로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부스터측 압력 상태에 따라 초크밸브 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측과 엔진의 서지탱크측 사이를 연결하는 진공호스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측과 엔진의 서지탱크측 사이를 연결하는 진공호스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압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메인 유로 입구의 전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밸브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초크밸브의 제1밸브체 전면이 밸브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인 유로 입구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가 하우징에서 지지대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폐쇄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초크밸브의 유로관부가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부의 초크밸브 홀이 초크밸브 및 유로관부의 전후 위치에 따라 폐쇄부 내측에 위치하여 닫히거나 폐쇄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지지대가 하우징의 내측면과 폐쇄부의 외측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에서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공간이 메인 유로 출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가 메인 유로 입구를 형성하도록 개구된 원통 형상의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 및 폐쇄부가 설치된 링 형상의 서브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초크밸브는,
    상기 초크밸브 홀이 관통 형성되고 튜브 형상을 가지는 유로관부; 및
    상기 유로관부의 일단부에 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제1밸브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 사이의 진공호스에 부압증폭기가 설치된 경우, 상기 부압증폭기와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의 진공호스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와 엔진 사이의 진공호스에 부압증폭기가 설치된 경우, 상기 일측 진공호스가 브레이크 부스터측과 연결되는 진공호스이고, 상기 타측 진공호스가 부압증폭기를 통해 엔진측과 연결되는 진공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초크밸브의 유로관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초크밸브의 유로관부 내측에서 브레이크 부스터측 압력 상태에 따라 전후 이동하여 초크밸브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체; 및
    상기 고정부와 제2밸브체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고정부에서 제2밸브체를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부 내측에는 제2밸브체가 전진하여 초크밸브 홀을 닫아준 상태가 되면 제2밸브체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안착될 수 있는 걸림턱 구조의 밸브 시트 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면은,
    상기 유로관부에서 초크밸브 홀을 기준으로 제1밸브체가 형성된 쪽의 내경을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삽입된 부분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하여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KR1020150148462A 2015-10-26 2015-10-26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KR10170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462A KR101704273B1 (ko) 2015-10-26 2015-10-26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US15/204,910 US10166962B2 (en) 2015-10-26 2016-07-07 Noise reduction device for negative pressure line of brake booster
DE102016213006.4A DE102016213006A1 (de) 2015-10-26 2016-07-15 Einrichtung zur Geräuschverringerung für eine Unterdruckleitung eines Bremskraftverstärkers
CN201610596393.6A CN106608253B (zh) 2015-10-26 2016-07-26 用于制动助力器的负压管线的降噪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462A KR101704273B1 (ko) 2015-10-26 2015-10-26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273B1 true KR101704273B1 (ko) 2017-02-07

Family

ID=5810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462A KR101704273B1 (ko) 2015-10-26 2015-10-26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6962B2 (ko)
KR (1) KR101704273B1 (ko)
CN (1) CN106608253B (ko)
DE (1) DE102016213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828A1 (en) * 2018-04-23 2019-10-31 Dayco Ip Holdings, Llc A check valve insert defining an open position and check valves having same
CN112776783B (zh) * 2021-01-04 2022-06-07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制动真空管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574A (ja) * 1997-06-16 1999-01-12 Mikuni Corp チェックバルブ
KR100579735B1 (ko) * 2004-03-25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장치의 원웨이 밸브
JP2012047291A (ja) * 2010-08-27 2012-03-08 Bosch Corp チェックバルブ
KR101266116B1 (ko) * 2012-09-18 2013-05-27 남호창 유압절단기용 체크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3489U (ko) * 1981-06-03 1982-12-08
US5117860A (en) * 1991-10-22 1992-06-02 Allied-Signal Inc. Check valve
US20050023887A1 (en) * 2003-07-29 2005-02-03 Delphi Technologies Inc. Vacuum actuated brake pressure intensifier
ITMI20041019A1 (it) 2004-05-21 2004-08-21 Giorgio Scanferla Caldaia bi-termica con circuito di bypass anticolpo di ariete
KR100767486B1 (ko) * 2006-06-26 200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부압 증폭기
KR100941808B1 (ko) 2008-07-11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조절 장치
JP2010116979A (ja) 2008-11-13 2010-05-27 Advics Co Ltd 逆流防止装置
KR101037019B1 (ko) 2009-03-31 2011-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용 부압증폭기
JP2011153684A (ja) 2010-01-28 2011-08-11 Kansai Kiki Kk 水撃緩衝器
CN102853131B (zh) 2012-08-30 2013-11-27 杭州春江阀门有限公司 抗水锤定压减压阀
US9227610B2 (en) * 2013-11-25 2016-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cuum brake booster vacuum enhanc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574A (ja) * 1997-06-16 1999-01-12 Mikuni Corp チェックバルブ
KR100579735B1 (ko) * 2004-03-25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장치의 원웨이 밸브
JP2012047291A (ja) * 2010-08-27 2012-03-08 Bosch Corp チェックバルブ
KR101266116B1 (ko) * 2012-09-18 2013-05-27 남호창 유압절단기용 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13671A1 (en) 2017-04-27
CN106608253A (zh) 2017-05-03
US10166962B2 (en) 2019-01-01
CN106608253B (zh) 2020-10-20
DE102016213006A1 (de)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628B2 (en) High mass flow check valve aspirator
JP6491209B2 (ja) ベンチュリ効果を使用して真空吸引力を生成するためのアスピレータにおける流れ制御
RU26462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ия вакуума в усилителе тормозов
JP6030811B2 (ja) 圧縮エアコンプレッサ再循環バルブシステム
JP6595486B2 (ja) 改良型シール部材を有するチェックバルブ
US10473235B2 (en) Bypass check valve and Venturi having same
ITRM990576A1 (it) Modulo di pompa del carburante per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KR101693140B1 (ko) 서징을 언더부스팅시키는 공압식 컴프레서 재순환 밸브 시스템
KR101704273B1 (ko)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라인의 소음 저감 장치
US92736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KR100941808B1 (ko)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 조절 장치
JP2013072434A5 (ko)
US9581060B2 (en) Evacuator system for supplying high suction vacuum or high suction flow rate
KR20160122176A (ko) 통합된 이중 흐름 차단을 가진 슈퍼 흡인기
US10526938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low of crankcase gases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ior to oil separation
KR20170108166A (ko) 단일 탄성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모터/펌프 유닛
JP2019518179A (ja) 逆止弁および逆止弁を有するベンチュリデバイス
US10415553B2 (en) Device for choking a fluid flow and corresponding piston pump for delivering fluids
KR102478140B1 (ko)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압 증폭장치
KR100384295B1 (ko) 엔진의 흡입공기 바이패스 밸브
US20190277416A1 (en) High mass flow check valve aspirator
JP2004204802A (ja) 車両用マフラー
KR100395008B1 (ko) 엔진의 흡입공기 바이패스 밸브
FR2544794A1 (fr) Silencieux monte dans la tubulure de purge d'un regulateur de pression
JPH0662268U (ja) ニードルバルブの空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