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778B1 -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778B1
KR101701778B1 KR1020160079256A KR20160079256A KR101701778B1 KR 101701778 B1 KR101701778 B1 KR 101701778B1 KR 1020160079256 A KR1020160079256 A KR 1020160079256A KR 20160079256 A KR20160079256 A KR 20160079256A KR 101701778 B1 KR101701778 B1 KR 101701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ser
backward
kiosk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7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는 정보 입력, 정보 출력, 물품 발행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고정된 지지 유닛;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지지 유닛에 결합 되어 상기 본체를 고정된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하여 전후진 시켜 사용자 및 상기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전후진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KIOSK HAVING FORWARD OR BACKWARD DRIVING FUCTION}
본 발명은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키오스크 앞쪽으로 움직이지 않고 키오스크의 본체가 사용자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하여 사용자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는 정부 기관,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과 같은 다양한 공공 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로 교통정보, 대중 교통 정보, 경로 안내, 전시품 설명, 요금 카드 배포, 예약 업무, 가공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 행정 절차 설명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설물의 이용 방법 등을 제공하는 IT 기기로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에는 정보를 출력 및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표시 패널,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인터넷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가 장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4029호,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2011년 11월 10일 등록에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특히 물체 감지 센서 및 높이 센서에 의하여 성인, 아동, 장애인, 노약자의 신장에 맞는 높이로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66708호,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2013년 4월 26일 등록에는 높이조절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높이 조절을 수행하는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다수개의 센서들을 통해 접근하는 물체의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또는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의 경우는 모두 사용자를 감지하여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수직 방향으로만 조절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또는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의 경우,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직접 조작 또는 사용자가 키오스크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높이가 조절되는 키오스크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해야만 키오스크를 직접 조작 또는 키오스크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높낮이만이 조절되는 키오스크들은 특히 사용자가 자동차 등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키오스크에 접근하는데 제약이 있을 경우 키오스크의 높낮이 조절만으로는 키오스크를 조작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이용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4029호,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2011년 11월 10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66708호,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2013년 4월 26일 등록
본 발명은 사용자와 키오스크의 본체와 이루는 간격이 넓을 경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고 키오스크 본체가 사용자를 향해 전진하여 사용자와 키오스크 본체 사이의 간격을 좁혀 사용자가 키오스크 본체로부터 정보 또는 물품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는 정보 입력, 정보 출력, 물품 발행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고정된 지지 유닛;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지지 유닛에 결합 되어 상기 본체를 고정된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하여 전후진 시켜 사용자 및 상기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전후진 유닛을 포함한다.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어 차광을 수행하는 캐노피를 더 포함한다.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사용자를 센싱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 센서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본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상기 전후진 유닛은 상기 본체 및 상기 지지 유닛에 각각 힌지 결합 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구동 링크 부재,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회동편이 편심되게 배치된 회동판 및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켜 상기 구동 링크 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상기 구동 링크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지지 유닛에 각각 힌지 결합 된 종동 링크 부재를 포함한다.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회동판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판을 회전시키며 치열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치열에 결합 된 웜 기어 및 상기 웜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전후진 유닛을 제어하는 정보처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본체에는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패널이 장착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패널은 사용자의 손 높이에 따라 터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1 터치 영역의 하부에 배치된 제2 터치 영역을 포함한다.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상기 본체는 RF리더기, 영수증 생성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주차권과 고속도로 통행권을 발행하는 발행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는 사용자와 키오스크의 본체와 이루는 간격이 넓을 경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고 키오스크 본체가 사용자를 향해 전진하여 사용자와 키오스크 본체 사이의 간격을 좁혀 사용자가 키오스크 본체로부터 정보 또는 물품을 쉽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600)는 본체(100), 지지유닛(200) 및 전후진 유닛(3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정보 입력, 정보 출력 및 물품 발행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10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0)는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본체(100)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보를 손가락을 이용하는 터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체(100)에는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모듈 및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로부터 표시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특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을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은 사용자의 키,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높이를 고려하여 제1 터치 영역 및 제1 터치 영역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2 터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터치 영역들에서는 동일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키 높이 및 손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1 터치 영역을 터치하거나 제2 터치 영역을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보조 본체(130)가 장착될 수 있고, 보조 본체(130)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물품인 신용 카드, 교통 카드 등과 통신할 수 있는 RF 통신 모듈(140), 영수증, 고속도로 통행권, 주차권 등을 인출 또는 출력할 수 있는 발행부(150), 신용카드 등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드 리더기(160),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170) 및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 장착된 보조 본체(130)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편의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0)에 장착된 보조 본체(130)는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의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본체(10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체(100)에 장착된 보조 본체(130)는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과 평행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보조 본체(130)는 사용자의 조작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보조 본체(130)의 전면은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의 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에는 음성 또는 소리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스피커(19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피커(190)는, 예를 들어, 본체(100)에 장착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스피커(190)는 보조 본체(130)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체(100)에 장착된 보조 본체(130)에 RF 통신 모듈(140), 발행부(140), 카드 리더기(160), 카메라 모듈(170) 및 마이크로 폰(180) 등이 장착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들은 보조 본체(130) 대신 본체(100)의 측면 등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체(100) 및 사용자와의 간격이 넓을 경우 본체(100)가 사용자를 향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체(100)의 상단에는 태양광을 차단하여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의 정보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또는 눈 등을 차단하여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캐노피(115)가 배치될 수 있다.
캐노피(115)는 태양광 차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캐노피(115)에는 조명 장치가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캐노피(115)에 장착되는 조명 장치는 야간에 보조 본체(130)의 전면으로 광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을 보면서 보조 본체(130)에 장착된 RF 통신 모듈(140), 발행부(140), 카드 리더기(160), 카메라 모듈(170) 및 마이크로 폰(180)들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유닛(200)은 본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지지유닛(200)은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지유닛(200)은 지면에 고정되며, 지지 유닛(200)의 내부에는 후술 될 전후진 유닛(300)의 일부가 배치된다.
지지유닛(200)은 받침대(210) 및 박스 형태의 수납함(220)을 포함한다.
받침대(210)는 지면에 접촉되어 본체(100)가 쓰러지지 않고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수납함(220)은 받침대(210) 상에 배치된다.
받침대(210) 및 수납함(220)은 외부에서 인가된 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하여 형상 변형이 발생 되지 않는 강성을 갖는 소재, 예를 들어,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수납함(220)은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수납함(220)은 받침대(210)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평면적이 점차 감소 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함(220)의 형태를 이와 같이 가져감으로써 본체(100) 및 수납함(220)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 및 본체(100) 및 수납함(220)의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다.
수납함(220) 중 사용자와 마주하는 전면(221)에는 사용자 감지 센서(230) 및 거리 감지 센서(240)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 감지 센서(230)는 본체(100)와 마주하는 위치에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위치 여부를 센싱한다. 사용자 감지 센서(230)는 본체(100)와 마주하는 위치에 사용자 또는 차량이 위치할 경우 센싱 신호를 생성한다.
본체(100)와 마주하는 위치에 사용자 또는 차량이 배치되어 사용자 감지 센서(230)로부터 센싱 신호가 발생 될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정보처리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이 작동되어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 패널(110)로부터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면서 스피커(190)를 통해 음성 안내가 수행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240)는 본체(100)와 마주하는 수납홈(221)에 장착되어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과 본체(100) 사이의 거리를 센싱 한다. 거리 감지 센서(240)는 사용자 감지 센서(230)로부터 센싱 신호가 발생 되면 작동될 수 있으며, 거리 감지 센서(240)는 본체(100) 및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 사이의 거리를 디지털 신호 형태로 생성한다.
거리 감지 센서(240)로부터 디지털 신호가 발생 될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디지털 신호를 근거로 본체(100)와 사용자 또는 본체(100)와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 사이의 거리 데이터를 산출한다.
정보처리모듈은 거리 데이터에 의하여 본체(100)와 사용자 사이의 간격이 넓은가를 판단하여 본체(100)와 사용자 사이의 간격이 지정된 간격보다 넓을 경우 후술 될 전후진 유닛(3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본체(100)와 사용자 사이의 간격이 지정된 간격보다 좁을 경우 스피커(19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본체(100)와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음을 경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보처리모듈은 전후진 유닛(300)을 작동시키지 않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전후진 유닛(300)은 본체(100)를 고정된 지지 유닛(200)에 대하여 전진시켜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본체(100) 및 사용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후진 유닛(300)은 구동 링크 부재(310), 회동판(320), 구동 유닛(330) 및 종동 링크 부재(340)를 포함한다.
구동 링크 부재(31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 링크 부재(310)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구동 링크 부재(310)는, 예를 들어, 수납함(220)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구동 링크 부재(310)의 일측단은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보조 링크(10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구동 링크 부재(310)의 상기 일측단과 대향 하는 타측단은 수납함(22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구동 링크 부재(310) 중 수납함(220)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구동 링크 부재(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315)이 형성된다.
수납함(220)의 내부에는 한 쌍의 회동판(320)이 배치되는데, 회동판(320)은, 예를 들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회동판(320)은 한 쌍의 구동 링크 부재(310)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수납함(220)에는 한 쌍의 회동판(320)을 노출하는 개구(225)가 형성되며, 회동판(320)은 개구에 의하여 수납함(220)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 쌍의 회동판(320)의 외측에는 돌기(325)가 형성되는데, 돌기(325)는 회동판(320)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회동판(320)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 되게 형성된 돌기(325)는 구동 링크 부재(310)에 형성된 가이드 홈(315)에 삽입된다.
가이드 홈(315)에 삽입된 돌기(325)는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325)의 직경은 가이드 홈(315)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가이드 홈(315)에 삽입된 돌기(325)는 회동판(320)의 회전에 의하여 원 운동을 하게 되는데, 돌기(325)의 원 운동에 의하여 구동 링크 부재(310)는 일정 각도로 반복하여 회동된다.
구동 링크 부재(310)의 회동에 의하여 구동 링크 부재(310)에 결합된 본체(100)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된다.
구동 유닛(330)은 회동판(320)을 회전시킨다. 구동 유닛(330)은 회전축(333), 웜 기어 박스(334) 및 모터(335)를 포함한다.
회전축(333)은 한 쌍의 회동판(320)의 회전 중심을 상호 연결하며, 회동판(320)은 회전축(33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축(333)에는 치열이 형성되고, 치열에는 웜 기어 박스(334)에 배치된 웜 기어(미도시)가 치차 결합 된다.
모터(335)의 축에는 웜 기어가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모터(335)의 축이 회전됨에 따라 웜 기어가 회전되고, 웜 기어는 회전축(333)을 회전시킨다.
웜 기어 박스(334)는 모터(335)의 축의 회전수를 감속 및 모터(335)의 축의 회전 방향을 회동판(320)의 회전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동 링크 부재(340)는 일측단이 본체(100)의 상단에 힌지 결합 되고, 상기 일측단과 대향 하는 타측단은 수납함(220)의 상단에 결합 된다. 종동 링크부재(340)는 구동 링크 부재(3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종동 링크 부재(340)의 상단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블록(34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고정 블록(345)는 본체(1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종동 링크 부재(340)를 직접 본체(100)의 후면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종동 링크 부재(340)는 구동 링크 부재(310)와 연동하여 회동되며 종동 링크 부재(340)는 구동 링크 부재(310)의 회동에 의하여 본체(10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전진 및 후진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진이 가능한 키오스크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감지 센서(230)에 의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이 감지되고 거리 감지 센서(340)에서 사용자와 본체(100) 사이의 거리가 산출되면 정보처리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모터(335)에 상기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모터(335)를 작동시키고, 이로 인해 회동판(320)은 회전된다.
회동판(320)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판(320)에 형성된 돌기(325)는 회동판(320)의 회전 중심의 주변을 따라 원 운동을 하게 된다.
돌기(325)가 회동판(20)의 회전 중심의 주변을 따라 원 운동함에 따라 돌기(325)는 구동 링크 부재(310)의 가이드 홈(315)에 힘을 가하고 이 힘에 의하여 구동 링크 부재(310) 및 종동 링크 부재(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고, 구동 링크 부재(310) 및 종동 링크 부재(340)의 회동에 의하여 본체(100)는 전진된다.
구동 링크 부재(310) 및 종동 링크 부재(340)의 회동에 의하여 본체(100)가 전진됨에 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본체(100)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본체(100)로부터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사용자와 키오스크의 본체와 이루는 간격이 넓을 경우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고 키오스크 본체가 사용자를 향해 전진하여 사용자와 키오스크 본체 사이의 간격을 좁혀 사용자가 키오스크 본체로부터 정보 또는 물품을 쉽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본체 200...지지유닛
300...전후진 유닛 600...키오스크

Claims (9)

  1. 정보 입력, 정보 출력, 물품 발행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고정된 지지 유닛;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지지 유닛에 결합 되어 상기 본체를 고정된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하여 전후진 시켜 사용자 및 상기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전후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진 유닛은 상기 본체 및 상기 지지 유닛에 각각 힌지 결합 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구동 링크 부재,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회동편이 편심되게 배치된 회동판 및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켜 상기 구동 링크 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어 차광을 수행하는 캐노피를 더 포함하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사용자를 센싱하기 위한 사용자 감지 센서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본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크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지지 유닛에 각각 힌지 결합 된 종동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회동판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판을 회전시키며 치열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치열에 결합 된 웜 기어 및 상기 웜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전후진 유닛을 제어하는 정보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는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패널이 장착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 표시패널은 사용자의 손 높이에 따라 터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터치 영역 및 상기 제1 터치 영역의 하부에 배치된 제2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RF리더기, 영수증 생성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주차권과 고속도로 통행권을 발행하는 발행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KR1020160079256A 2016-06-24 2016-06-24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KR101701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256A KR101701778B1 (ko) 2016-06-24 2016-06-24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256A KR101701778B1 (ko) 2016-06-24 2016-06-24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778B1 true KR101701778B1 (ko) 2017-02-02

Family

ID=5815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256A KR101701778B1 (ko) 2016-06-24 2016-06-24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7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46B1 (ko) * 2019-12-17 2020-05-19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스마트 시니어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KR102147426B1 (ko) * 2020-05-04 2020-08-24 주식회사 드래곤미디어 확장형 키오스크
KR20210000520U (ko) * 2021-01-19 2021-03-04 홍승경 360도 수평 회전하여 vr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키오스크
KR102340156B1 (ko) * 2020-11-24 2021-12-17 박화영 고령자 체험형 안전학습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596160B1 (ko) * 2023-08-28 2023-11-01 (주)퍼스트솔루션즈 클래임 방지를 위한 영상 저장이 가능한 키오스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786A (ko) * 2007-08-16 2009-02-19 김태훈 로봇 키오스크
KR101084029B1 (ko)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101155387B1 (ko) * 2011-12-13 2012-06-20 이미옥 음식물 쓰레기 악취제거탈취장치
KR200466708Y1 (ko) 2013-03-11 2013-05-09 (주)엘리비젼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KR20140143515A (ko) * 2013-06-07 2014-12-17 (주)본시스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786A (ko) * 2007-08-16 2009-02-19 김태훈 로봇 키오스크
KR101084029B1 (ko)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101155387B1 (ko) * 2011-12-13 2012-06-20 이미옥 음식물 쓰레기 악취제거탈취장치
KR200466708Y1 (ko) 2013-03-11 2013-05-09 (주)엘리비젼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KR20140143515A (ko) * 2013-06-07 2014-12-17 (주)본시스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46B1 (ko) * 2019-12-17 2020-05-19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스마트 시니어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KR102147426B1 (ko) * 2020-05-04 2020-08-24 주식회사 드래곤미디어 확장형 키오스크
KR102340156B1 (ko) * 2020-11-24 2021-12-17 박화영 고령자 체험형 안전학습용 키오스크 시스템
KR20210000520U (ko) * 2021-01-19 2021-03-04 홍승경 360도 수평 회전하여 vr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키오스크
KR200495446Y1 (ko) * 2021-01-19 2022-05-25 홍승경 360도 수평 회전하여 vr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키오스크
KR102596160B1 (ko) * 2023-08-28 2023-11-01 (주)퍼스트솔루션즈 클래임 방지를 위한 영상 저장이 가능한 키오스크 장치
KR102606172B1 (ko) * 2023-08-28 2023-11-30 (주)퍼스트솔루션즈 사용자 행동 분석을 위한 키오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778B1 (ko) 전후진 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US6703999B1 (en) System for computer user interface
US7771058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2011150221A (ja) 映像出力装置搭載機器、映像出力装置の投影方法
US10646015B1 (en) Smart luggage system with camera installed in pull rod
WO2003104965A3 (en) COMPUTER NAVIGATION
EP1686450A3 (en) Image navigation in a mobile station
EP069160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3076108A1 (en) Method to help navigate users of mobile devices by re-directed camera views
KR101534806B1 (ko) 사용자 위치 추적 기반의 자동 각도조절을 위한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각도 제어 방법
JP2014216885A (ja) 携帯端末取付装置
US20170223342A1 (en) Object capture and illumination
KR20190124366A (ko) 3차원 위치 좌표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위치 좌표 인식 방법
JP3786767B2 (ja)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CN102473333B (zh) 用于处理货币交易的设备
WO2021073086A1 (zh) 可移动式全息投影设备和全息投影方法
KR102543476B1 (ko) 전자 디바이스용 하우징 구조체 및 입출력 디바이스
JP2001133728A5 (ko)
KR102414378B1 (ko) 드라이브 스루 공간터치 시스템 및 방법
CN2694370Y (zh) 控制鼠标光标的装置
US11102390B2 (en) Versatile viewing device
TWI484379B (zh) 光學感測裝置
JP2864453B2 (ja) 三次元物体計測装置
KR20180107670A (ko) 투명 oled를 이용한 전시 시스템
US20070113455A1 (en) Automatic swappable image frame with DIY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