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155B1 - 기중차단기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155B1
KR101701155B1 KR1020150051744A KR20150051744A KR101701155B1 KR 101701155 B1 KR101701155 B1 KR 101701155B1 KR 1020150051744 A KR1020150051744 A KR 1020150051744A KR 20150051744 A KR20150051744 A KR 20150051744A KR 101701155 B1 KR101701155 B1 KR 10170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pull
conjunction
operation sta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314A (ko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155B1/ko
Priority to CN201610228137.1A priority patent/CN106057598B/zh
Publication of KR2016012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접속부재에 연결되며 접속부재의 전극바로의 투입 및 차단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접속부재 구동부와, 상기 접속부재 구동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개시부재를 구비하는 인입출부 및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구동되어 상기 접속부재의 투입 시 상기 동작개시부재에 접촉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회전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일단이 지지되고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타단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바를 구비하는 기중차단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는 비교적 저전압의 송배전선로에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자동으로 선로를 차단하고, 선로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소화시키는 산업용 전력기기이다.
기중차단기는 크게 통전회로를 폐로시키는 투입동작과, 통전회로를 개로시키는 차단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중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동작은 일반적으로 통전회로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된다.
한편, 기중차단기는 외함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래들과, 크래들의 외함으로의 인입출을 위한 크래들 인입출장치를 구비한다.
그런데, 크래들의 차단기 투입상태에서 크래들을 인입출시키는 경우 과전류와 같은 사고전류가 발생되어 기중차단기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크래들의 차단기 투입상태에서 크래들의 인입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771922호
차단기 투입상태에서 크래들의 인입출을 방지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접속부재에 연결되며 접속부재의 전극바로의 투입 및 차단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접속부재 구동부와, 상기 접속부재 구동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개시부재를 구비하는 인입출부 및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구동되어 상기 접속부재의 투입 시 상기 동작개시부재에 접촉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회전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일단이 지지되고 기중차단기의 크래들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타단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바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 핀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제1 가압부재와, 상단부에 상기 제1 가압부재가 조립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제2 가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재는 홈을 가진 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조립홈과 상기 제1 가압부재의 홈이 대응되도록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인입출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인입출부 케이스와, 상기 인입출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동제한용 걸림바를 구비하는 동작개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제한용 걸림바에는 단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 투입상태에서의 인입출부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회전축부와 인입출부 및 록킹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고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회전축부와 인입출부 및 록킹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100)는 일예로서, 접속부재 구동부(120), 인입출부(140) 및 록킹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접속부재 구동부(120), 인입출부(140) 및 록킹유닛(160)은 크래들 본체(110)에 설치되어 인입출부(140)에 의해 기중차단기(100)의 외함(미도시)에 입출될 수 있다.
접속부재 구동부(120)는 접속부재(미도시)에 연결되며 접속부재의 전극바(미도시)로의 투입 및 차단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축부(122)를 구비한다.
즉, 접속부재 구동부(120)는 동력전달구조를 가진 구성들로 이루어져 접속부재를 전극바로 투입시키거나 사고전류발생시 접속부재를 전극바로부터 차단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입출부(140)는 접속부재 구동부(120)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개시부재(142)를 구비한다.
인입출부(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크래들 본체(110)를 외함에 입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인입출부(14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인입출부 케이스(144),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동제한용 걸림바(142a)를 구비하는 동작개시부재(1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인입출부(140)는 상기 동작개시부재(142)에 연결되어 상기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푸시버튼(145)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푸시버튼(145)을 누르면 동작개시부재(142)가 푸시버튼(145)과 함께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면으로부터 후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단에 형성되는 랜치홀(144a)에 연결된 랜치 결합홀(미도시)이 일치되도록 연통된다. 이후 작업자는 랜치홀(144a)을 통해 랜치를 삽입하여 인입출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측면에는 구동제한용 걸림바(142a)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홀(144b)이 형성된다.
록킹유닛(160)은 회전축부(122)와 연동하여 구동되어 접속부재의 투입 시 동작개시부재(142)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한다.
한편, 록킹유닛(160)은 회전부재(162), 가압부재(164), 코일 스프링(166) 및 스토퍼바(168)을 구비한다.
회전부재(162)는 회전축부(122)에 설치되어 회전축부(122)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즉, 회전부재(162)는 접속부재(미도시)에 링크 연결되어 접속부재가 전극바(미도시)에 접촉되도록 이동되도록 회전축부(122)가 회전되는 경우 회전부재(162)는 회전축부(122)가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를 위해 회전부재(162)는 회전축부(122)에 고정 설치된다.
가압부재(164)는 회전부재(162)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부재(162)의 회전에 연동하여 승강된다. 한편, 가압부재(164)는 제1 가압부재(164a)와 제2 가압부재(16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164a)는 회전부재(162)의 끝단에 핀(165)를 매개로 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1 가압부재(164a)는 홈(164c)을 가진 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가압부재(164b)는 상단부에 제1 가압부재(164a)가 조립되는 조립홈(164d)이 형성된다. 즉, 제2 가압부재(164b)의 조립홈(164d)와 제1 가압부재(164a)의 홈(164c)이 대응되도록 제1 가압부재(164a)와 제2 가압부재(164b)가 조립된다.
또한, 제2 가압부재(164b)는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가압부재(164b)는 코일 스프링(166)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64e)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휠 형상을 가진 제1 가압부재(164a)가 제2 가압부재(164b)의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조립홈(164d)에 조립되므로, 제1 가압부재(164a)의 회전에 의해 제2 가압부재(164b)가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코일 스프링(166)은 일단이 가압부재(164)에 지지되고 타단이 크래들 본체(110)에 구비되는 지지부(112)에 지지된다. 한편, 크래들 본체(110)에 구비되는 지지부(112)에는 코일 스프링(166)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12a)에 삽입 배치된다. 이를 위해 삽입홈(112a)은 코일 스프링(16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66)은 접속부재가 전극바에 접촉되도록 이동되는 경우 압축되고, 접속부재가 전극바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164)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스토퍼바(168)는 코일 스프링(166)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가압부재(164)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다. 일예로서, 스토퍼바(168)는 단면이 사각형인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이 제2 가압부재(164b)의 지지판(164e)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바(168)가 지지판(164e)에 고정 설치되므로, 지지판(164e)이 하강하여 코일 스프링(166)을 압축시키는 경우 스토퍼바(168)는 크래들 본체(110)의 지지부(112)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구동제한용 걸림바(142a)에 형성된 단차홈(142b)에 스토퍼바(168)의 하단부가 삽입 배치되어 동작개시부재(142)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푸시버튼(145)을 누르더라도 동작개시부재(142)가 푸시버튼(145)과 함께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면으로부터 후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단에 형성되는 랜치홀(144a)에 연결된 랜치 결합홀(미도시)이 겹쳐지게 배치된다. 결국 작업자는 랜치홀(144a)을 통해 랜치를 삽입하지 못하고 인입출부(140)를 작동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록킹유닛(160)에 의해 인입출부(140)의 구동이 제약되지 않는다. 즉, 접속부재가 전극바로부터 이격되기 위한 차단상태인 경우 록킹유닛(160)은 인입출부(140)의 동작개시부재(142)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작업자는 동작개시부재(142)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크래들(110)을 자유롭게 인입출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록킹유닛(160)의 스토퍼바(168)가 동작개시부재(142)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위치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푸시버튼(145)을 누르면 동작개시부재(142)가 푸시버튼(145)과 함께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면으로부터 후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단에 형성되는 랜치홀(144a)에 연결된 랜치 결합홀(미도시)이 일치되도록 연통된다. 이후 작업자는 랜치홀(144a)을 통해 랜치를 삽입하여 인입출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접속부재가 전극바에 접촉되기 위한 투입상태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유닛(160)은 인입출부(140)의 동작개시부재(142)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하여 작업자가 동작개시부재(142)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없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크래들(110)을 인입출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접속부재가 전극바에 접촉되기 위한 투입상태인 경우 회전축부(122)가 회전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부(122)에 고정 설치된 회전부재(162)가 회전축부(122)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162)에 의해 가압부재(164)가 하강하고, 가압부재(164)에 설치된 스토퍼바(168)가 하강하여 인입출부(140)의 동작개시부재(168)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한다. 즉, 스토퍼바(168)의 하단부가 하강하여 동작개시부재(168)의 구동제한용 걸림바(142a)에 형성된 단차홈(142b) 내에 삽입 배치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166)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구동제한용 걸림바(142a)에 형성된 단차홈(142b)에 스토퍼바(168)의 하단부가 삽입 배치되어 동작개시부재(142)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푸시버튼(145)을 누르더라도 동작개시부재(142)가 푸시버튼(145)과 함께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면으로부터 후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인입출부 케이스(144)의 전단에 형성되는 랜치홀(144a)에 연결된 랜치 결합홀(미도시)이 겹쳐지게 배치된다. 결국 작업자는 랜치홀(144a)을 통해 랜치를 삽입하지 못하고 인입출부(140)를 작동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후, 접속부재가 전극바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차단상태인 경우 코일 스프링(166)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재(164)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기중차단기
120 : 접속부재 구동부
140 : 인입출부
160 : 록킹유닛

Claims (6)

  1. 접속부재에 연결되며 접속부재의 전극바로의 투입 및 차단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접속부재 구동부;
    상기 접속부재 구동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작개시부재를 구비하는 인입출부; 및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구동되어 상기 접속부재의 투입 시 상기 동작개시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회전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에 일단이 지지되고, 크래들 본체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타단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바;
    를 구비하는 기중차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 핀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제1 가압부재와, 상단부에 상기 제1 가압부재가 조립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제2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기중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재는 홈을 가진 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조립홈과 상기 제1 가압부재의 홈이 대응되도록 제1 가압부재와 상기 제2 가압부재가 조립되는 기중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인입출부 케이스와, 상기 인입출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동제한용 걸림바를 구비하는 상기 동작개시부재를 구비하는 기중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한용 걸림바에는 단차홈이 형성되는 기중차단기.
KR1020150051744A 2015-04-13 2015-04-13 기중차단기 KR101701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44A KR101701155B1 (ko) 2015-04-13 2015-04-13 기중차단기
CN201610228137.1A CN106057598B (zh) 2015-04-13 2016-04-13 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44A KR101701155B1 (ko) 2015-04-13 2015-04-13 기중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14A KR20160122314A (ko) 2016-10-24
KR101701155B1 true KR101701155B1 (ko) 2017-02-02

Family

ID=5725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744A KR101701155B1 (ko) 2015-04-13 2015-04-13 기중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3982B (zh) * 2017-10-30 2019-10-25 现代重工(中国)电气有限公司 一种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743B1 (ko) * 1999-12-01 2002-02-19 이종수 진공차단기의 인입출시 자동트립 및 투입방지 장치
KR100771922B1 (ko) 2006-10-17 2007-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14A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8729B2 (en) Switch device
KR101643589B1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JP4587994B2 (ja) 回路遮断器
KR102229437B1 (ko) 스위치의 접점 구조,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US20200388451A1 (en) Battery lock out for power tool
JP2009241237A (ja) 電動工具
KR101701155B1 (ko) 기중차단기
KR20160063560A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JP4965359B2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734046B1 (ko) 차단기
JP4449667B2 (ja) 引出形開閉機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13176819A (ja) 電動工具
US10354822B2 (en) Electrical switch, in particular a switch for an electrical power tool
KR101700576B1 (ko) 회로차단기
JP6319837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3272476A (ja) スイッチ装置
KR101734047B1 (ko) 차단기
KR20170134890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조작기
KR101702537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JP2007115589A (ja) 電磁開閉器
KR10162456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JP6010983B2 (ja) 回路遮断器
KR101503317B1 (ko) 소형차단기의 개폐기구
WO2019065627A1 (ja) スイッチ
WO2019021385A1 (ja) 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