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537B1 - 스위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537B1
KR101702537B1 KR1020140132500A KR20140132500A KR101702537B1 KR 101702537 B1 KR101702537 B1 KR 101702537B1 KR 1020140132500 A KR1020140132500 A KR 1020140132500A KR 20140132500 A KR20140132500 A KR 20140132500A KR 101702537 B1 KR101702537 B1 KR 10170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late
switch
rotat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747A (ko
Inventor
김민형
신량범
변정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5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는, 구동력 전달축부를 갖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으로 스위치를 개폐하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부가 구동될 때,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구동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 커버 개방 시 스위치를 접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구동 장치{Switch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스위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절연 매체에 따라 공기 절연 배전반(Air insulated switch-gear), 고체 절연 배전반(Solid insulated switch-gear) 및 가스 절연 배전반(Gas insulated switch-gear)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스 절연 배전반은 개폐 및 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진공 용기(vaccum linterrupter)와 이를 동작시키는 차단 기구장치 및 주모선과 분기 회로를 단속할 수 있는 접지 스위치 기능을 부가한 3상 스위치(3-position switch) 등의 주회로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스 절연 배전반에서 절연 매체로 사용되는 육불화황(SF6) 가스는 상온에서 안정도가 높은 무색, 무취, 무독, 불연성 기체로 공기보다 3.7배 높은 절연 내력을 가지며 현재까지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절연매체이다. 비교적 적은 전계치의 변화로도 쉽게 절연이 파괴되는 전자 상태(Avalanche)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 기기의 설계, 제작에는 전계 분포의 저감과 평등화를 도모하고 금속 입자 및 습기 등의 이물 혼입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배전반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개방 및 차단을 위한 차단기가 구비된다. 한편, 차단기에는 전원의 개방 및 차단을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한 차단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구동 장치가 차단기에 연결되어 스위치를 개방 및 차단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차단 시 접지를 위한 접지 스위치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배전반 차단 시 배전반 내에 남은 잔류 전류를 제거한다.
그런데 배전반의 커버를 개방할 때,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작업자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 커버의 상태에 따라 스위치의 동작을 유지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배전반 커버 개방 시 접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위치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는, 구동력 전달축부를 갖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으로 스위치를 개폐하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부가 구동될 때,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구동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에 연결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를 회전시키는 구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은,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 홈과, 상기 구동 유지부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와 상기 구동판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지부는, 상기 커버에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 바; 일단이 상기 회전 바에 체결되는 연결 케이블; 상기 커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타단이 배전반의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회전 바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는, 납작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에 체결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회전 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밀어내며 이동시키는 스위치 구동 장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판의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판이 회전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구동판 회전 시 상기 핸들 삽입 홈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핸들 삽입 홈을 노출시키는 안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안내 홈을 완전히 노출 시키고, 타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안내 홈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접지 개폐 스위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피복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피복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회전 바에 체결될 수 있다.
접지 상태에서만 배전반의 도어를 열 수 있으며, 도어가 열린 후에는 접지 상태가 유지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부를 나타내는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의 동력 전달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링크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링크부를 나타내는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100)는 일예로서, 전방 플레이트(110), 후방 플레이트(120), 구동력 전달축부(130), 회전부재축부(140), 구동력 전달부(150), 링크부(180), 회전축(200), 멈춤 랫치(210)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와, 동력 전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20), 및 구동 유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110)는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방 플레이트(110)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링크부(180)의 구동상태 확인축(190)이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플레이트(110)의 전면에는 구동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플레이트(110)에는 구동력 전달부(15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11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후방 플레이트(120)는 전방 플레이트(1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전방 플레이트(110)와 같이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후방 플레이트(120)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회전축(200)이 관통되는 회전축 설치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 후방 플레이트(110, 120)는 연결부재(102)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02)는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102a, 102b, 102c, 102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 후방 플레이트(110, 120)에는 스토퍼부재(192)가 결합되기 위한 설치바(104)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바(104)는 전, 후방 플레이트(110, 12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력 전달축부(130)는 일단이 상기한 전방 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며, 상기한 구동부(220)에 연결되어 구동부(220)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구동력 전달축부(130)는 전, 후방 플레이트(110,12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축부(140)는 구동력 전달축부(130)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즉, 회전부재축부(140)는 구동력 전달축부(130)의 외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구동력 전달축부(130)가 회전되더라도 회전되지 않는다.
구동력 전달부(150)는 회전부재축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 스프링(16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부(150)는 동력전달부재(152), 동력전달바(154), 제1 회전부재(156), 제2 회전부재(158), 스프링 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부를 나타내는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의 동력 전달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동력전달부재(152)는 구동력 전달축부(130)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즉, 동력전달부재(152)는 구동력 전달축부(130)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력 전달축부(130)의 회전 시 회전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동력전달부재(152)에는 상기한 전방 플레이트(110)의 가이드홀(114)에 삽입되어 회전 시 가이드홀(114)을 따라 이동되는 돌출바(15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52a)가 가이드홀(114)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동력전달부재(152)의 회전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동력전달부재(152)의 상단부에는 동력전달바(154)의 일단이 삽입되는 동력전달바 지지홈(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동력전달부재(152)의 회전 시 동력전달바 지지홈(152b)의 측벽이 상기 동력전달바(154)를 지지하여 동력전달바(154)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동력전달바(154)는 동력전달부재(152)에 일측이 지지되어 동력전달부재(152)의 회전시 회전부재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동력전달바(154)의 일단부가 상기한 동력전달바 지지홈(152b)을 형성하는 측벽에 지지되어 동력전달바(154)와 동력전달부재(152)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동력전달바(154)의 타측은 상기한 후방 플레이트(120)의 내부면에 인접 배치되며, 회전 시 상기한 멈춤 랫치(210)를 회전시킨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회전부재(156)는 동력전달바(154)에 고정 설치되어 동력전달바(154)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된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1 회전부재(156)는 일단이 동력전달바(154)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한 스프링 유닛(160)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제1 회전부재(156)는 회전부재축부(140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바(154)의 회전에 의해 제1 회전부재(156)는 회전부재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시 말해, 제1 회전부재(156)는 회전부재축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전달바(154)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158)는 제1 회전부재(156)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회전부재(156)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또한, 제2 회전부재(158)도 제1 회전부재(156)와 같이 동력전달바(154)에 고정 설치되어 동력전달바(154)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된다. 즉, 제2 회전부재(158)는 일단이 동력전달바(154)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스프링 유닛(16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바(154)의 회전에 의해 제2 회전부재(156)는 회전부재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시 말해, 제2 회전부재(158)도 회전부재축부(14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전달바(15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스프링 유닛(160)은 제1, 2 회전부재(156, 158)에 연결되어 제1,2 회전부재(156,158)의 회전시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1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 유닛(160)은 상부 지지부재(162), 코일 스프링(164) 및 하부 지지부재(166)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지지부재(162)는 제1,2 회전부재(156,158)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2 회전부재(156,158)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된다.
한편, 상부 지지부재(162)는 원판 형상을 가져 코일 스프링(164)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판(162a)과, 상부 지지판(162a)로부터 상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162b) 및 상부 지지판(162a)로부터 하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의 가이드부(162c)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62b)에는 제1, 2 회전부재(156, 158)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바(16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163)의 양단부는 연결부(162b)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부재(156)는 연결바(163)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2 회전부재(158)는 연결바(163)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2 회전부재(156,158)의 회전 시 상부 지지부재(162)가 제1,2 회전부재(156,158)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코일 스프링(164)를 신축할 수 있는 것이다.
코일 스프링(164)은 일단이 상부 지지부재(162)에 지지되고 타단이 하부 지지부재(166)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64)은 제1,2 코일 스프링(164a, 16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스프링(164b)는 구동력의 크기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 스프링(164a)의 직경이 제2 코일 스프링(164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코일 스프링(164b)는 제1 코일 스프링(164a)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코일 스프링(164a, 164b)으로 구성되는 코일 스프링(164)을 통해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재(166)는 연결부재(102)가 삽입되는 삽입홈(166d)이 형성되는 하부 지지대(166a)와, 하부 지지대(166a)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하부 지지대(166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단차부(166b) 및 상기 단차부(166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부(166c)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166a)의 삽입홈(166d)에는 연결부재(102) 중 제2 연결부재(102b)가 삽입 배치되다. 이에 따라, 하부 지지대(166a)는 제2 연결부재(102b)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지지대(166a)는 제1 코일 스프링(164a)을 지지하며, 단차부(166b)는 제2 코일 스프링(164b)를 지지한다.
또한, 하부 가이드부(166c)는 중공의 가이드부(162c)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하부 지지부재(166)의 하부 가이드부(166c)가 상부 지지부재(162)의 가이드부(166c)에 삽입되면서 코일 스프링(164)이 압축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력 전달부(150)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구동력 전달축부(130)가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이에 따라, 구동력 전달축부(13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152)가 구동력 전달축부(130)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52)의 동력전달바 지지홈(152b)에 일단이 삽입되는 동력전달바(154)가 동력전달부재(152)에 의해 회전부재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동력전달부재(152)의 회전에 의해 제1,2 회전부재(156,158)도 회전부재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2 회전부재(156,158)에 연결되는 스프링 유닛(160)의 상부 지지부재(162)가 제1,2 회전부재(156,158)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또한, 상부 지지부재(162)가 회전됨으로써, 상부 지지부재(162)에 의해 코일 스프링(164)이 압축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지지부재(162)의 회전시 하부 지지부재(166)는 연결부재(10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하부 지지부재(166)의 하부 가이드부(166c)가 상부 지지부재(162)의 가이드부(162c)로 삽입되면서 코일 스프링(164)이 압축된다.
즉, 하부 지지부재(166)가 연결부재(10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코일 스프링(164)이 압축되는 것이다.
한편, 하부 지지부재(166)가 연결부재(102)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코일 스프링(164)의 압축이 완료되고, 이후 코일 스프링(164)의 복원력에 의해 코일 스프링(164)이 신장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164)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후 코일 스프링(164)의 신장에 의해 동력전달바(154)는 초기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회전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152)는 돌출부(152a)가 가이드홀(114)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될 때까지 회전되고, 이후 동력전달부재(152)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코일 스프링(164)의 신축이 완료된다.
링크부(180)는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130)에 연결되어 코일 스프링(164)의 신장 시 동력전달바(154)와 접촉함에 따라 구동된다.
한편, 링크부(180)는 도 8 및 도 9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부재(182), 제2 링크부재(184), 제3 링크부재(186), 제4 링크부재(188), 구동상태 확인축(190) 및 스토퍼부재(1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링크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링크부를 나타내는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링크부재(182)는 회전부재축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링크부재(184)에 연결된다. 한편, 제1 링크부재(182)는 회전부재축부(140)에 설치되는 제1-1 링크부재(182a)와, 상기 제1-1 링크부재(182a)로부터 소정 간격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축부(140)에 설치되는 제1-2 링크부재(182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1 링크부재(182a)와 제1-2 링크부재(182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1 링크부재(182a)와 제1-2 링크부재(182b)의 하단부에는 후방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고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지는 규제바(128)가 삽입되는 규제바 삽입홈(182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링크부재(182a)와 제1-2 링크부재(182b)의 상단부에는 상기한 멈춤 랫치(210)에 지지되는 단턱부(182d)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1 링크부재(182a)와 제1-2 링크부재(182b)의 상단부에는 상기한 단턱부(182d)의 후방에 배치되며 동력전달바(154)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접촉부(182e)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164)의 신장 시 동력전달바(154)는 제1 접촉부(182e)에 접촉하며 제1 접촉부(182e)에 가압하게 되고, 이에 제1 링크부재(182)는 제1 접촉부(182e)가 동력전달바(154)에 접촉된 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1 링크부재(182a)와 제1-2 링크부재(182b)에는 단턱부(182d)을 중심으로 상기한 제1 접촉부(182e)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동력전달바(154)와 접촉하여 회전되는 제2 접촉부(182f)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164)이 신장하는 경우, 동력전달바(154)는 제1 접촉부(182e)나 제2 접촉부(182f)와 접촉하며 제1 링크부재(182)를 가압하여 제1 링크부재(182)를 회전시킨다.
제2 링크부재(184)는 일단이 제1 링크부재(182)와 제1 연결축(184a)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2 링크부재(184)의 타단은 제3 링크부재(186)와 제4 링크부재(188)에 제2 연결축(185)를 통해 연결된다.
즉, 제1 링크부재(182)의 회전시 제2 링크부재(184)는 제1 연결축(184a)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며, 제1 링크부재(182)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3 링크부재(186) 및 제4 링크부재(188)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 링크부재(18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64)의 신장에 의해 제1 링크부재(182)가 회전되면, 제1 링크부재(182)와 연동하여 구동된다.
이때, 제2 링크부재(184)는 제1 연결축(184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부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링크부재(186)는 일단이 제2 링크부재(184)의 타단과 제2 연결축(185)을 통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축(2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3 링크부재(186)는 제2 링크부재(184)의 구동에 의해 제4 링크부재(188)와 함께 회전축(2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4 링크부재(188)는 회전축(200)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200)과 연동하여 회전된다.
또한, 제4 링크부재(188)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4 링크부재(188)의 일단은 상기한 제2 연결축(185)을 통해 제2 링크부재(184)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회전축의 회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동상태 확인축(190)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4 링크부재(188)에는 스토퍼부재(192)에 결합되는 돌기 삽입홈(188a)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링크부재(188)는 스토퍼부재(192)에 의해 제2 링크부재(184)에 의해 구동되기 전까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축(200)은 제2 링크부재(184)에 의해 구동되기 전까지 스토퍼부재(192)에 의해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구동상태 확인축(19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4 링크부재(188)에 설치되어 제4 링크부재(188)의 회전 시 제4 링크부재(188)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구동상태 확인축(190)은 전방 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전방 플레이트(110)로부터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링크부재(188)가 회전되는 경우 구동상태 확인축(190)이 회전되므로, 전방 플레이트(110)에 전방에서도 회전축(200)의 회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스토퍼부재(192)는 후방 플레이트(120) 내부면에 인접 배치되도록 설치바(104)에 설치되어 제4 링크부재(188)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부재(192)에는 제4 링크부재(188)의 돌기 삽입홈(188a)에 삽입되는 돌기(192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재(192)는 제2 링크부재(184)에 의해 제4 링크부재(188)가 회전되기 전까지 제4 링크부재(188)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밀하게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축(200)은 링크부(180)에 연결되어 링크부(18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00)은 후방 플레이트(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회전축(200)의 일측은 링크부(180)와의 연결을 위해 전, 후방 플레이트(110, 12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타측을 후방 플레이트(120)로부터 돌출 배치된다.
한편, 회전축(200)에는 스위치(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200)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가 단로 상태 또는 통전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멈춤 랫치(210)는 링크부(180)의 상부에 배치되어 링크부(180)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멈춤 랫치(210)는 전, 후방 플레이트(110, 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2)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멈춤 랫치(210)는 제1 연결부재(10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링크부재(182)에 구비되는 단턱부(182d)에 지지되는 지지턱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멈춤 랫치(210)에는 동력전달바(154)의 회전 시 동력전달바(154)의 타단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연장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동력전달바(154)의 회전 시 멈춤 랫치(210)의 연장부(214)가 동력전달바(154)의 타단부에 접촉되어 멈춤 랫치(210)는 제1 연결부재(102a)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지지턱부(212)가 제1 링크부재(182)의 단턱부(182d)로부터 이격되면서 제1 링크부재(182)가 회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구동력 전달축부(130)가 제1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이에 따라, 구동력 전달축부(13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152)가 구동력 전달축부(130)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52)의 동력전달바 지지홈(152b)에 일단이 삽입되는 동력전달바(154)가 동력전달부재(152)에 의해 회전부재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회전부재축부(140)의 후방에 있던 동력전달바(15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축부(14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제1, 2 회전부재(156, 158)의 회전에 의해 제1, 2 회전부재(156, 158)에 연결되는 스프링 유닛(160)의 상부 지지부재(162)가 가압되며 제1, 2 회전부재(156,158)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때, 상부 지지부재(162)가 가압됨에 따라, 코일 스프링(164)이 압축된다.
한편, 상부 지지부재(162)의 회전시 하부 지지부재(166)는 연결부재(10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하부 지지부재(166)의 하부 가이드부(166c)가 상부 지지부재(162)의 가이드부(162c)로 삽입되면서 코일 스프링(164)이 압축된다.
즉, 스프링 유닛(160)이 연결부재(10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코일 스프링(164)이 압축되는 것이다.
한편, 스프링 유닛(160)이 연결부재(102)를 중심으로 계속 회전되어 회전부재축부(140)의 하부로 이동 되면, 코일 스프링(164)의 압축이 완료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64)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코일 스프링(164)은 신장되며 스프링 유닛(160)은 회전되어 회전부재축부(14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축부(140)의 전방으로 이동된 동력전달바(154)는 링크부(180)와 접촉하며 링크부(180)를 구동킨다. 즉, 동력전달바(154)는 제1 링크부재(182)의 제1 접촉부(182e)를 밀면서 제1 링크부재(182)를 회전부재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 링크부재(182)는 규제바(128)가 규제바 삽입홈(182c)에 접촉될 때까지 회전된다. 즉, 제1 링크부재(182)는 규제바(128)에 의해 회전 각도가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링크부재(182)와 연동하여 제2 링크부재(184)가 구동되며, 제2 링크부재(184)의 구동에 의해 제3, 4 링크부재(186, 188)가 회전된다.
결국, 제3, 4 링크부재(186, 188)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2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회전축(200)은 제4 링크부재(188)가 스토퍼부재(192)로부터 이격될 때까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링크부재(184)에 의해 제4 링크부재(188)가 회전될 때까지 회전축(200)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152)는 돌출부(152a)가 가이드홀(114)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될 때까지 회전되고, 이후 동력전달부재(152)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코일 스프링(164)의 신축이 완료된다.
한편, 제1 링크부재(182)가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제1 링크부재(182)의 단턱부(182d)는 멈춤 래치(210)의 지지턱부(212)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1 링크부재(182)의 움직임이 억제된다.
타방향으로의 회전 구동은 전술한 과정의 반대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부(22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면 구동력 전달축부(13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부재축부(140)의 전방으로 이동된 동력전달바(154)는 회전부재축부(14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회전부재축부(140)의 후방으로 이동된 스프링 유닛(160)은 회전부재축부(14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동력전달바(154)는 멈춤 래치(210)를 들어 올려 멈춤 래치(210)의 지지턱부(212)를 제1 링크부재(182)의 단턱부(182d)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제1 링크부재(182)의 제2 접촉부(182f)를 밀면서 제1 링크부재(182)를 회전부재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제1 링크부재(182)와 연동하여 제2 링크부재(184)가 구동되며, 제2 링크부재(184)의 구동에 의해 제3, 4 링크부재(186, 188)가 회전되어 제3, 4 링크부재(186, 188)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20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 된다.
이때, 제1 링크부재(182)는 제4 링크부재(188)가 스토퍼부재(192) 에 접촉될 때까지 회전된다. 즉, 이 경우 스토퍼부재(192)에 의해 회전 각도가 규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는 안전을 위해 스위치의 구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동 유지부를 포함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20)는 전방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배치되며,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축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구동부(22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력 전달축부(13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222), 구동판(224), 및 커버(230)를 구비할 수 있다.
기어(222)와 구동판(224)은 구동력 전달축부(130)에 체결되어 구동력 전달축부(1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222)나 구동판(224)을 회전시키는 경우, 구동력 전달축부(130)가 회전되어 전술한 전, 후방 플레이트(110, 120)와 동력전달바(154)가 함께 움직이게 된다.
구동판(224)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 홈(226)과 핸들 삽입 홈(22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226)은 후술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6)의 삽입 돌기(257)가 삽입되는 곳이다. 따라서 삽입 돌기(257)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226)은 구동판(224)의 외주에서 중심을 향해 절개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삽입 홈(225)은 수동으로 구동판(224)을 구동시키는 경우 이용되는 핸들(미도시)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핸들 삽입 홈(225)은 관통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며, 핸들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커버(23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23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기어(222)와 구동판(224)을 보호한다.
커버(230)는 다수의 연결 부재들(231)을 통해 전방 플레이트(110)에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전방 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230)에는 안내 홈(232)이 형성된다. 안내 홈(232)은 커버(23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핸들 삽입 홈(225)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또한 구동판(224)이 회전함에 따라 핸들 삽입 홈(225)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핸들 삽입 홈(225)이 계속 노출될 수 있도록 호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유지부(250)는 구동부(220)가 구동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지부(250)는 배전반의 도어(미도시)와 연결되어 배전반의 도어가 열린 경우에 동작한다.
이를 위해 구동 유지부(250)는 연결 케이블(258), 고정 브라켓(252), 회전 바(254), 슬라이딩 플레이트(256), 및 탄성 부재(259)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258)은 와이어(258a)와, 와이어(258a)를 보호하는 피복(258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258a)는 피복(258b) 내에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즉, 연결 케이블(258)의 일단에서 와이어(258a)를 당기는 경우, 타단의 와이어(258a)는 피복(258b)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케이블(258)은 일단이 배전반(미도시)의 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 브라켓(252)과 회전 바(254)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케이블(258)의 피복(258b)의 타단은 고정 브라켓(252)에 고정 체결되고, 와이어(258a)의 타단은 회전 바(254)에 체결된다.
고정 브라켓(252)은 커버(230)에 고정 체결되며, 연결 케이블(258)의 타단과 후술되는 탄성 부재(259)의 타단이 고정 체결된다. 즉 고정 브라켓(252)은 연결 케이블(258)과 탄성 부재(259)의 한쪽 끝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는 커버(230)에 결합되어 커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플레이트(256)의 양 측면에는 커버(23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는 커버(23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커버(230)의 안내 홈(232)을 노출 시키거나 보이지 않도록 닫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56)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커버(230)의 안내 홈(232)은 완전히 노출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커버(230)의 안내 홈(232)은 슬라이딩 플레이트(256)에 의해 완전히 덮여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는 삽입 돌기(257)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는 커버(230)의 양면 중 외부면에 배치되고, 삽입 돌기(257)는 U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230)의 내부면 측에서 돌출된다. 이때, 삽입 돌기(257)는 커버(230)의 내부면을 따라 커버(230)와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돌기(257)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판(224)에 형성된 고정 홈(226)에 삽입되어 구동판(224)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따라서 고정 홈(226)의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바(254)는 납작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이 커버(2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회전 축으로 기능한다.
회전 바(254)의 일단에는 연결 케이블(258)의 와이어(258a)가 체결된다. 또한 회전 바(254)의 타단에는 돌기(255)가 형성된다. 돌기(255)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6)와 접촉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를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 케이블(258)의 와이어(258a)가 당겨지면, 회전 바(254)는 상기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회전 바(254)의 타단에 형성된 돌기(255)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를 이동시키게 된다.
탄성 부재(259)는 일단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56)에 고정 체결되고 타단은 고정 브라켓(252)에 고정 체결된다.
탄성 부재(259)는 탄성력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259)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이 이용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259)는 회전 바(254)가 밀어 이동시킨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를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구동 유지부(2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배전반의 도어를 열기 위해 스위치 구동 장치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핸들을 구동판(224)의 핸들 삽입 홈(225)에 끼운 후, 핸들을 조작하여 구동판(224)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핸들은 커버(230)의 안내 홈(23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구동판(224)에 연결된 구동력 전달축부(1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 구동 장치가 동작하여 회전축이 회전하여 스위치를 구동(CLOSE)시킨다. 여기서 스위치의 구동은 배전반 내에서 접지 회로의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동판(224)이 회전함에 따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판(224)에 형성된 고정 홈(226)의 위치도 변하게 된다. 즉, 상부를 향하던 고정 홈(226)은 슬라이딩 플레이트(256)의 삽입 돌기(257)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핸들 삽입 홈(225)에서 핸들을 제거한 후,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한다.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와 연결된 연결 케이블(258)의 와이어(258a)에 장력이 발생하며 와이어(258a)가 당겨지게 된다. 이에 와이어(258a)와 연결된 회전 바(254)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 바(254)가 회전함에 따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바(254)에서 돌출된 돌기(255)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를 가압하며 밀어내게 되고, 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는 이동하여 커버(230)에 형성된 안내 홈(232)을 덮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256)에 형성된 삽입 돌기(257)는 구동판(224)에 형성된 고정 홈(226)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삽입 돌기(257)가 제거되지 않는 한, 구동판(224)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없다. 따라서 도어가 열려있는 한 삽입 돌기(257)는 고정 홈(226)에서 제거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배전반 내부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접지 상태가 계속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작업이 완료되어 배전반의 커버(230)가 닫히게 되면 연결 케이블(258) 와이어(258a)의 장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플레이트(256)와 고정 브라켓(252)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59)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256)는 고정 브라켓(25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판(224)의 고정 홈(226)에 삽입된 삽입 돌기(257)는 고정 홈(226)에서 빠져 나오게 되고, 회전 바(254)로 원래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56)가 원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커버(230)의 안내 홈(232)과 구동판(224)의 핸들 삽입 홈(225)은 다시 개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을 구동판(224)의 핸들 삽입 홈(225)에 끼운 후, 핸들을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여 구동판(224)을 회전시킨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판(224)은 원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구동판(224)에 연결된 구동력 전달축부(130)도 구동판(224)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축도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스위치를 구동(OPEN)시킨다. 여기서 스위치의 구동은 배전반 내에서 접지 회로의 차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구동 장치는 구동판과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스위치가 구동되어야만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다. 즉, 접지 상태에서만 배전반의 도어를 열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린 후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삽입 돌기가 구동판의 고정 홈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접지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스위치 구동 장치 110 : 전방 플레이트
120 : 후방 플레이트 130 : 구동력 전달축부
140 : 회전부재축부 150 : 구동력 전달부
152 : 동력전달부재 154 : 동력전달바
156 : 제1 회전부재 158 : 제2 회전부재
160 : 스프링 유닛 162 : 상부 지지부재
164 : 코일 스프링 166 ; 하부 지지부재
180 : 링크부 182 : 제1 링크부재
184 : 제2 링크부재 186 : 제3 링크부재
188 : 제4 링크부재 190 : 구동상태 확인축
192 : 스토퍼부재 200 : 회전축
210 : 멈춤 랫치 220 : 구동부
224: 구동판
230: 커버
250: 구동 유지부
252: 고정 브라켓
254: 회전 바
256: 슬라이딩 플레이트
258: 연결 케이블

Claims (15)

  1. 구동력 전달축부를 갖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으로 스위치를 개폐하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부가 구동될 때,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구동 유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에 연결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를 회전시키는 구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판은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 홈과 상기 구동 유지부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상기 구동력 전달축부와 상기 구동판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지부는,
    상기 커버에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 바;
    일단이 상기 회전 바에 체결되는 연결 케이블;
    상기 커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타단이 배전반의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회전 바를 회전시키는 스위치 구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는,
    납작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에 체결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회전 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밀어내며 이동시키는 스위치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위치 구동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판의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판이 회전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스위치 구동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구동판 회전 시 상기 핸들 삽입 홈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핸들 삽입 홈을 노출시키는 안내 홈을 구비하는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안내 홈을 완전히 노출 시키고, 타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안내 홈을 완전히 덮는 스위치 구동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접지 개폐 스위치인 스위치 구동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피복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피복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회전 바에 체결되는 스위치 구동 장치.



KR1020140132500A 2014-10-01 2014-10-01 스위치 구동 장치 KR101702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00A KR101702537B1 (ko) 2014-10-01 2014-10-01 스위치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00A KR101702537B1 (ko) 2014-10-01 2014-10-01 스위치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747A KR20160039747A (ko) 2016-04-12
KR101702537B1 true KR101702537B1 (ko) 2017-02-06

Family

ID=5580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500A KR101702537B1 (ko) 2014-10-01 2014-10-01 스위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5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614B1 (ko) * 1999-09-03 2001-12-12 이종수 배전선로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접점개폐장치
KR101010078B1 (ko) * 2009-01-05 2011-0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및 이를 가진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747A (ko) 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9851C (en) Flexible cover for contacts of a plug-in or withdrawable unit
KR20180081379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3웨이 단로기와 접지개폐기
KR101993450B1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KR101703760B1 (ko)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101904877B1 (ko)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CN110021494B (zh) 用于开关柜中接地开关的传动系统以及开关柜
KR200482658Y1 (ko) 링메인유닛의 개폐기 인터록 장치
KR101702537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EP3196908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101659335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KR101680718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KR20180069580A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JP4917515B2 (ja) 配電盤
KR20210064671A (ko)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KR20150057827A (ko) 스위치 구동 장치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KR101707966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KR101722976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797023B1 (ko)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KR101701155B1 (ko) 기중차단기
KR101734046B1 (ko) 차단기
KR101909018B1 (ko) 3상 스위치 구동 조정 장치
KR20190048631A (ko) 회로 차단기
US10049836B1 (en) Electrical enclosure, and switching assembly and transfer assembly therefor
KR101793546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모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