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671A -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671A
KR20210064671A KR1020190153143A KR20190153143A KR20210064671A KR 20210064671 A KR20210064671 A KR 20210064671A KR 1020190153143 A KR1020190153143 A KR 1020190153143A KR 20190153143 A KR20190153143 A KR 20190153143A KR 20210064671 A KR20210064671 A KR 2021006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mit switch
locking
rotate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195B1 (ko
Inventor
이운우
Original Assignee
이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우 filed Critical 이운우
Priority to KR102019015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1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4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the break is in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으로 구동하는 경우 락킹핀이 락킹캠과 접촉하여 메인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또는 폐로(Close)를 고정시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ON/OFF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자동구동부, 핸들을 삽입하고 핸들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자동구동부 또는 수동구동부를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동부; 구동부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이 메인샤프트로 전달되며, 메인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개로(Open)와 폐로(Close)의 작동이 결정되는 동력전달부; 외주면에 걸림키가 돌출되고, 동력전달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제1 기어, 외주면에 제1 기어의 걸림키가 입입될 수 있는 홈과 기어 이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소정거리 회전하는 제2 기어, 일측이 제2기어와 결합되고 일부 외주연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락킹용캠,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기어의 걸림키가 인입될 수 있는 특정 홈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가 회전할때, 제2 기어의 홈에서 인출되고 다음 홈으로 인입되어 제2 기어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하는 거리유지볼, 거리유지볼 상부에 위치하여 거리유지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전기신호 유무에 따라 인출되어 락킹용캠의 돌출부 외면 또는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외측면이 돌출부의 측면과 접촉 시, 제2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을 고정시키는 락킹핀을 포함하는 안전장치부; 라운드형상의 리미트스위치스위치미동작부가 외주연의 특정부분에 형성되고, 리미트스위치미동작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 리미트스위치동작부가 외주연 특정부분에 형성되어 리미트스위치동작부가 스위치에 돌출된 제1 패널, 제1 패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와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메인샤프트에 결합되어 메인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며, 라운드형상의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와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보다 지름이 큰 리미트스위치접촉부가 외주연의 특정부분에 형성되어, 리미트스위치접촉부가 리미트스위치에 접촉 시 리미트스위치를 밀어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리미트스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Switchgear 3-Position device with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으로 구동하는 경우 락킹핀이 락킹캠과 접촉하여 메인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또는 폐로(Close)를 고정시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의 집합체를 말한다.
특히, 변전소나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가스절연 개폐기(GIS; Gas Insulated Switchgear)는, 옥내외 발전소나 변전소에 사용되는 전력 개폐장치로서, 사용조건 하에서 정상 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전력사고, 단락 등의 이상상태에 있어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전력계통을 적절히 보호하는 장치이다.
또한, 가스절연개폐기는 가스절연개폐기를 구성하는 단로기/접지개폐기를 하나의 조작장치로 단로기 투입,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개방, 접지개폐기 투입의 세 단계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가스절연개폐기를 구성하는 단로기/접지개폐기는 수동 구동 시 잘못된 조작으로 인한 오작동을 예방하는 안전 장치에 대한 구성과 기술이 미비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 필요성이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95016호(2011.12.2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동으로 구동하는 경우 락킹핀이 락킹캠과 접촉하여 메인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또는 폐로(Close)를 고정시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는 ON/OFF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자동구동부, 핸들을 삽입하고 핸들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자동구동부 또는 수동구동부를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동부; 구동부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이 메인샤프트로 전달되며, 메인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개로(Open)와 폐로(Close)의 작동이 결정되는 동력전달부; 외주면에 걸림키가 돌출되고, 동력전달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제1 기어, 외주면에 제1 기어의 걸림키가 입입될 수 있는 홈과 기어 이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소정거리 회전하는 제2 기어, 일측이 제2기어와 결합되고 일부 외주연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락킹용캠,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기어의 걸림키가 인입될 수 있는 특정 홈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가 회전할때, 제2 기어의 홈에서 인출되고 다음 홈으로 인입되어 제2 기어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하는 거리유지볼, 거리유지볼 상부에 위치하여 거리유지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전기신호 유무에 따라 인출되어 락킹용캠의 돌출부 외면 또는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외측면이 돌출부의 측면과 접촉 시, 제2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을 고정시키는 락킹핀을 포함하는 안전장치부; 라운드형상의 리미트스위치스위치미동작부가 외주연의 특정부분에 형성되고, 리미트스위치미동작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 리미트스위치동작부가 외주연 특정부분에 형성되어 리미트스위치동작부가 스위치에 돌출된 제1 패널, 제1 패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와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메인샤프트에 결합되어 메인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며, 라운드형상의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와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보다 지름이 큰 리미트스위치접촉부가 외주연의 특정부분에 형성되어, 리미트스위치접촉부가 리미트스위치에 접촉 시 리미트스위치를 밀어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리미트스위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안전장치부는 제1 기어가 동력전달부를 통해서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때, 락킹핀이 인입되어 있는 경우, 제1 기어의 걸림키가 제2 기어의 홈에 인입되어 제2 기어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2 기어와 결합된 메인샤프트의 회전으로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락킹핀이 인출되어 있는 경우, 락킹용캠의 돌출부 일측면에 락킹핀 각 접촉되어 제 2기어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을 고정시켜 스토퍼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락킹용캠의 돌출부 측면이 락킹핀 외측면을 가압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락킹핀이 락킹용캠에서 인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거리유지볼이 제2 기어의 홈에 인입되는 힘으로 제2 기어를 소정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락킹용캠의 돌출부 측면과 락킹핀 간의 유격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으로 구동하는 경우 락킹핀이 락킹캠과 접촉하여 메인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또는 폐로(Close)를 고정시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안전장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리미트스위치제어부 및 스위치박스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안전장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리미트스위치제어부 및 스위치박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핀 빠짐 방지 장치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인출입장치는,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구동부(100), 동력전달부(200), 안전장치부(300), 리미트스위치제어부(400) 및 스위치박스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부(100)는 ON/OFF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자동구동부(110), 핸들을 삽입하고 핸들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동구동부(120)를 포함하고, 자동구동부(110) 또는 수동구동부(120)를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동구동부(110)를 사용할 경우 모터(111)에 의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수동구동부(120)를 사용할 경우 핸들삽입구(121)에 핸들을 삽입하여 핸들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200)는 구동부(100)의 구동력을 메인샤프트로 전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동력전달부(200)는 제1 베벨기어(210), 제2 베벨기어(220), 제3 베벨기어(230), 윔(240) 및 윔휠기어(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베벨기어(210)는 자동구동부(120)의 모터(111)와 결합되어 있어 모터(111)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 베벨기어(220)는 수동구동부(110)의 핸들삽입구(121)와 결합되어 있어 수동구동부(110)의 핸들삽입구(121)에 핸들을 삽입하여 핸들을 회전할때,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베벨기어(210)와 맞물려 제1 베벨기어(2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3 베벨기어(230)는 제1 베벨기어(210) 및 제2 베벨기어(220)와 맞물려 있어 제1 베벨기어(210) 및 제2 베벨기어(220)가 구동부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때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윔(240)은 제3 베벨기어(230)의 축에 형성되어 있어, 제3 베벨기어(23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윔휠기어(250)는 웜(240)과 맞물려 웜(24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메인샤프트(260)와 결합되어 있어 윔휠기어(250)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샤프트(26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하, 동력전달부(200)의 동력전달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구동부(120)를 통하여 구동할 때에는, 모터(111)의 구동에 따라 제1 베벨기어(210)가 회전하며, 제1 베벨기어(2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베벨기어(210)와 결합되어 있는 제3 베벨기어(230)가 함께 회전한다. 제3 베벨기어(230)가 회전하면, 제3 베벨기어(230)의 축에 형성되어 있는 웜(240)이 회전하게 되며, 웜(240)의 회전에 따라, 웜(240)과 결합되어 있는 웜휠기어(250)가 함께 회전한다. 웜휠기어(250)는 메인샤프트(260)에 결합되어 있어 웜휠기어(250)가 회전하면 메인샤프트(26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수동구동부(110)를 통하여 구동할 때에는, 수동구동부(110)의 핸들삽입구(121)에 삽입되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2 베벨기어(220)가 회전하며, 제1 베벨기어(2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베벨기어(210)와 결합되어 있는 제3 베벨기어(230)가 함께 회전한다. 제3 베벨기어(230)가 회전하면, 제3 베벨기어(230)의 축에 형성되어 있는 웜(240)이 회전하게 되며, 웜(240)의 회전에 따라, 웜(240)과 결합되어 있는 웜휠기어(250)가 함께 회전한다. 웜휠기어(250)는 메인샤프트(260)에 결합되어 있어 웜휠기어(250)가 회전하면 메인샤프트(26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장치부(300)는 제1 기어(310), 제2 기어(320), 락킹용캠(330), 거리유지볼(340), 탄성부재(350) 및 락킹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기어(310)는 외주면에 걸림키가 돌출되고, 동력전달부(200)의 제3 베벨기어(230)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어 있어 제3 베벨기어(23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31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2 기어(320)는 외주면에 제1 기어(310)의 걸림키가 인입될 수 있는 홈과 기어 이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제1 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기어(310)가 한바퀴 회전할때 제1 기어(310)의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키가 제2 기어(320)의 홈으로 인입되어 제2 기어(320)를 홈 하나 각도만큼 제2 기어(320)가 회전하게 된다.
락킹용캠(330)은 일측이 제2 기어(320)와 결합되고 일부 외주연에 돌출부가 2군데 이상 형성되어 있다.
거리유지볼(340)은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기어(320)의 걸림키가 인입될 수 있는 홈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기어(310)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320)가 회전할때, 거리유지볼(340)은 제2 기어(320)의 홈에서 인출되고 다음 홈으로 인입되어 제2 기어(320)가 정확히 하나의 홈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한다.
탄성부재(350)는 거리유지볼(340)의 상부에 위치하여 거리유지볼(34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2 기어(320)의 홈에 거리유지볼(340)을 인입되게 한다.
또한, 거리유지볼(340)은 락킹용캠(330)의 돌출부 측면이 락킹핀(360) 외측면을 가압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락킹핀(360)이 락킹용캠(330)에서 인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35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거리유지볼(340)이 제2 기어(320)의 홈에 인입되는 힘으로 제2 기어(320)를 소정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락킹용캠(330)의 돌출부 측면과 락킹핀(360) 간의 유격을 유지 할 수 있다.
락킹핀(360)은 전기신호 유무에 따라 인출되어 락킹용캠(330)의 돌출부 외면 또는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락킹핀(360)의 외측면이 락킹용캠(330)의 돌출부와 접촉 시, 제2 기어(320)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또는 폐로(Close)구간을 고정시킨다.
락킹핀(360)은 솔레노이드 스위치와 결합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전기신호가 들어오게되면 락킹핀(360)이 후퇴하여 락킹용캠(330)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락킹용캠(330)과 결합되어 있는 제2 기어(320)가 회전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전기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 락킹핀(360)이 전진하여 락킹용캠(330)의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어 락킹핀(360)과 결합되어 있는 제2 기어(320)가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즉,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전기신호가 들어오면 락킹핀(360)이 인입되어 제1 기어(310)의 걸림키가 제2 기어(320)의 홈에 인입되어 제2 기어(320)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제2 기어(320)와 결합된 메인샤프트(260)의 회전으로 개로(Open)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솔레로이드 스위치에 전기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 락킹핀(360)이 인출되어 제2 기어(320)와 결합된 락킹용캠(330)의 돌출부 일측면에 락킹핀(360)이 접촉되어 제2 기어(320)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메인샤프트(260)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을 고정시켜 스토퍼기능을 수행한다.
자동구동부(120)를 이용하여 구동시킬경우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전기신호가 입력되어 락킹핀(360)과 락킹용캠(330) 접촉부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제2 기어(32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제2 기어(320)와 결합된 메인샤프트(260)의 회전으로 개로(Open)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동구동부(110)를 이용하여 구동시킬경우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전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락킹핀(360)과 락킹용캠(330)의 접촉부가 접촉하고 있어, 제2 기어(320)가 회전하지 못하고 메인샤프트(260)가 고정되게 되어 수동구동부(11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구동시킬경우 오작동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미트스위치제어부(400)는 제1 패널(410)과 제2 패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패널(410)은 라운드형상의 리미트스위치미동작부가 외주연의 특정부분에 형성되고, 리미트스위치미동작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 리미트스위치동작부가 외주연 특정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패널(420)은 제1 패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리미트스위치접촉부와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널(410)과 제2 패널(420)은 메인샤프트(260)에 결합되어 메인샤프트(260)가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며, 라운드형상의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와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보다 지름이 큰 리미트스위치접촉부가 외주연의 특정부분에 형성되어 리미트스위치접촉부가 리미트스위치(430)에 접촉시 리미트스위치(430)를 동작시킨다.
또한, 케이스도어리미트스위치(600)을 구비하고 있어, 본 장치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케이스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케이스도어가 케이스도어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되어 자동구동부를 통해서 구동가능하게 하며, 케이스도어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케이스도어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되지 않아 수동구동부를 통해서 구동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박스부(5020)는 제1 캠(510), 레버(520), 제2 캠(530), 캠기어(540), 제1 스위치박스동작기어(550), 제2 스위치박스동작기어(5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캠(510)은 메인샤프트(260)와 결합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260)가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한다. 레버(520)는 제1 캠(510)의 일측과 결합되어 제1 캠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전달한다.
제2 캠(530)은 일측에 레버(520)와 결합되어 레버(520)의 직선운동에 따라 중심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다.
캠기어(540)는 제2 캠(530) 및 레버(520)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스위치박스동작기어(550)와 제2 스위치박스동작기어(560)와 맞물려있다.
제1 스위치박스동작기어(550)는 캠기어(540)의 일측에 맞물려, 메인샤프트(260)의 회전 각도와 방향에 따른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 구간 상태를 제어실로 전송하는 제1 스위치박스를 동작시킨다.
제2 스위치박스동작기어(560)는 캠기어(540)의 타측에 맞물려, 메인샤프트의 회전 각도와 방향에 따른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 구간 상태를 제어실로 전송하는 제1 스위치박스를 동작시킨다.
제1 스위치박스(570) 및 제2 스위치박스(580)는 제1 스위치박스동작기어(550) 및 제2 스위치박스동작기어(560)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스위치박스동작기어 및 제2 스위치박스동작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스위치동작을 수행하며, 전선으로 제어실과 연결되어 있어 제어실로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구동부 110 - 수동구동부
120 - 자동구동부 111 - 모터
121 - 핸들삽입구 200 - 동력전달부
210 - 제1 베벨기어 220 - 제2 베벨기어
230 - 제3 베벨기어 240 - 웜
250 - 웜홀기어 260 - 메인샤프트
300 - 안전장치부 310 - 제1 기어
320 - 제2 기어 330 - 락킹용캠
340 - 거리유지볼 350 - 탄성부재
360 - 락킹핀 400 - 스위치제어부
410 - 제1 패널 420 - 제2 패널
430 - 리미트스위치 500 - 스위치박스부
510 - 제1 캠 520 - 레버
530 - 제2 캠 540 - 캠기어
550 - 제1 스위치박스동작기어 560 - 제2 스위치박스동작기어
600 - 케이스도어리미트스위치

Claims (3)

  1. ON/OFF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자동구동부, 핸들을 삽입하고 핸들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자동구동부 또는 수동구동부를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동부;
    구동부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이 메인샤프트로 전달되며, 메인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개로(Open)와 폐로(Close)의 작동이 결정되는 동력전달부;
    외주면에 걸림키가 돌출되고, 동력전달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제1 기어,
    외주면에 제1 기어의 걸림키가 입입될 수 있는 홈과 기어 이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소정거리 회전하는 제2 기어,
    일측이 제2기어와 결합되고 일부 외주연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락킹용캠,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기어의 걸림키가 인입될 수 있는 특정 홈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가 회전할때, 제2 기어의 홈에서 인출되고 다음 홈으로 인입되어 제2 기어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하는 거리유지볼,
    거리유지볼 상부에 위치하여 거리유지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전기신호 유무에 따라 인출되어 락킹용캠의 돌출부 외면 또는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외측면이 돌출부의 측면과 접촉 시, 제2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을 고정시키는 락킹핀,
    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부;
    라운드형상의 리미트스위치스위치미동작부가 외주연의 특정부분에 형성되고, 리미트스위치미동작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 리미트스위치동작부가 외주연 특정부분에 형성되어 리미트스위치동작부가 스위치에 돌출된 제1 패널,
    제1 패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와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메인샤프트에 결합되어 메인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며, 라운드형상의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와 리미트스위치미접촉부보다 지름이 큰 리미트스위치접촉부가 외주연의 특정부분에 형성되어, 리미트스위치접촉부가 리미트스위치에 접촉 시 리미트스위치를 밀어 리미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리미트스위치제어부
    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전장치부는 제1 기어가 동력전달부를 통해서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때,
    락킹핀이 인입되어 있는 경우, 제1 기어의 걸림키가 제2 기어의 홈에 인입되어 제2 기어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2 기어와 결합된 메인샤프트의 회전으로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락킹핀이 인출되어 있는 경우, 락킹용캠의 돌출부 일측면에 락킹핀 각 접촉되어 제 2기어의 회전을 방지하여 개로(Open) 구간 또는 폐로(Close)구간을 고정시켜 스토퍼기능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락킹용캠의 돌출부 측면이 락킹핀 외측면을 가압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락킹핀이 락킹용캠에서 인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거리유지볼이 제2 기어의 홈에 인입되는 힘으로 제2 기어를 소정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락킹용캠의 돌출부 측면과 락킹핀 간의 유격을 유지하는 것
    을 포함하는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KR1020190153143A 2019-11-26 2019-11-26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KR10228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143A KR102286195B1 (ko) 2019-11-26 2019-11-26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143A KR102286195B1 (ko) 2019-11-26 2019-11-26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71A true KR20210064671A (ko) 2021-06-03
KR102286195B1 KR102286195B1 (ko) 2021-08-04

Family

ID=7639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143A KR102286195B1 (ko) 2019-11-26 2019-11-26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5030A (zh) * 2021-08-23 2021-11-1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隔离接地刀闸
KR102603227B1 (ko) * 2023-06-13 2023-11-16 (주)광명전기 수배전반에 장착된 차단기를 인입위치와 인출위치로 위치이동시키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438A (ko) * 2007-03-27 2009-06-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개폐 장치의 축세(蓄勢) 기구
KR20100010221U (ko) * 2009-04-09 2010-10-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투입스프링 모터 차징 장치
KR20170134890A (ko) * 2016-05-27 2017-12-07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조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438A (ko) * 2007-03-27 2009-06-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개폐 장치의 축세(蓄勢) 기구
KR20100010221U (ko) * 2009-04-09 2010-10-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투입스프링 모터 차징 장치
KR20170134890A (ko) * 2016-05-27 2017-12-07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조작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5030A (zh) * 2021-08-23 2021-11-1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隔离接地刀闸
CN113675030B (zh) * 2021-08-23 2023-09-22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隔离接地刀闸
KR102603227B1 (ko) * 2023-06-13 2023-11-16 (주)광명전기 수배전반에 장착된 차단기를 인입위치와 인출위치로 위치이동시키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195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9835B (zh) 具有单向离合器的抽出式开关装置
KR102286195B1 (ko)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개폐조작기 3-Position 장치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CN103441439B (zh) 一种装有隔离开关、真空断路器及接地开关的开关柜
CN203434502U (zh) 一种装有隔离开关、真空断路器及接地开关的开关柜
CN105406386A (zh) 活门与接地开关的联锁装置
KR101690132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KR200420968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3단 단로기 구동장치
CN110021494B (zh) 用于开关柜中接地开关的传动系统以及开关柜
CN105448552A (zh) 隔离开关的操作装置
CN207587572U (zh) 三工位同轴操作机构用插销式闭锁组件
KR20220060276A (ko)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 개폐조작기 안전장치
KR100703038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개폐 조작기
KR10078570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306256B1 (ko) 안전장치부가 구비된 단로기/접지개폐기 조작 장치
KR101793548B1 (ko)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CN203596287U (zh) 新的齿轮传动双操作孔隔离机构
CN104766769A (zh) 断路器脱扣结构
KR20220060275A (ko) 단로기/접지개폐기 조작 장치
KR101232985B1 (ko) 가스절연차단기의 3 포지션 구동장치
KR200412844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개폐 조작기
KR200326645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스위치 구동장치
KR100994793B1 (ko) 진공 인터럽터 방식 자동고장구간개폐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변전 장치
KR20110075514A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스위치 조작 구조체
KR102603227B1 (ko) 수배전반에 장착된 차단기를 인입위치와 인출위치로 위치이동시키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