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978B1 - 운동 이상 관련 장애의 치료 - Google Patents

운동 이상 관련 장애의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978B1
KR101700978B1 KR1020117019748A KR20117019748A KR101700978B1 KR 101700978 B1 KR101700978 B1 KR 101700978B1 KR 1020117019748 A KR1020117019748 A KR 1020117019748A KR 20117019748 A KR20117019748 A KR 20117019748A KR 101700978 B1 KR101700978 B1 KR 101700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opa
disease
apomorphine
parkin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340A (ko
Inventor
호칸 빅스트룀
모르텐 외르겐센
닐스 뫼르크
제니퍼 라센
라르스 토룹
베뉘 방-안데르센
Original Assignee
하. 룬드벡 아크티에셀스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0606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009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 룬드벡 아크티에셀스카브 filed Critical 하. 룬드벡 아크티에셀스카브
Publication of KR20110132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acridines, phenanthr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741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 system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tubocuraran derivatives, noscapine, bicucul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방법 및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는 방법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를 치료하는 약제 제조에서의 상기 화합물의 용도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 이상 관련 장애의 치료 {TREATMENT OF DYSKINESIA RELATED DISORDERS}
본 발명의 양상은 본원에 개시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방법 및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파킨슨병 또는 다른 운동 장애 예컨대 헌팅턴 무도병을 치료하는 약제 제조에서의 상기 화합물의 용도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파킨슨병 (PD) 의 증상적 치료에서의 도파민-대체제의 사용은 환자의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의심할 여지 없이 성공적이다. 수 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PD 치료에 대한 최고의 표준으로 남아 있는 L-DOPA 는, 움직임의 느려짐 (서동), 경직 및/또는 떨림을 특징으로 하는 PD 의 운동 증상을 경감시킨다. L-DOPA 는 도파민 (DA) 으로 생체 신진대사되는 전구약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DA 는 결국 다음의 두 부류로 나뉘는 뇌 내 도파민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 D1 및 D2 수용체. D1 수용체는 D1 및 D5 수용체로 나뉠 수 있는 한편, D2 수용체는 D2, D3 및 D4 수용체로 나뉠 수 있다. 그러나, 도파민-대체 치료요법은 특히 장기간 치료 후에 한계를 갖는다. L-DOPA 의 투여량에 대한 지속 기간 반응은 연수에 걸쳐 점차 짧아지며, 환자가 약물에 반응하는 기간은 다양한 부작용의 출현에 의해 복잡해진다.
부작용은 환자가 도파민 대체 치료요법을 거치거나 심지어 환자가 치료요법을 중단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운동 이상으로서 명백할 수 있다. 운동 이상은 비정상 무의식적 운동 장애이다. 비정상 움직임은 무도병 (얼굴, 팔, 다리 또는 몸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무의식적이고, 빠르고, 불규칙적이고, 발작적인 움직임), 발리즘 (ballism) (무도병과 유사하나 보다 격렬하고 힘이 센 성질의 무의식적 움직임), 근긴장이상 (통상 비틀림 및 반복적 움직임 또는 비정상적 자세 또는 위치가 생기게 하는 지속 근수축) 및/또는 불수의 운동 (특히 손에서 심한, 반복적인 무의식적이고, 느리고, 구불구불하고, 몸부림치는 움직임) 으로서 명백할 수 있다.
PD 로 고생하는 환자는 운동 이상에 의해 악화되는 "효능 시작 (on)" 시기 및 이들이 중증 파킨슨병인 "효능 소멸 (off)" 시기 사이를 순환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이들은 질환의 과정에 걸쳐 L-DOPA 가 유효한 항-파킨슨제로 남아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깊은 무능력을 경험할 수 있다 (Obeso, et al. Neurology 2000, 55, S13-23). 브로모크립틴, 리수라이드, 프라미펙솔, 로피니롤 및 페르골리드와 같은 도파민 아고니스트는 특히 중간 정도-내지-중증 PD 에서 L-DOPA 보다 덜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들의 부작용 프로파일은 L-DOPA 의 것과 상이하다. DA 아고니스트가 L-DOPA 보다 운동 이상을 덜 일으키지만, 이는 운동 이상을 갖는 PD 환자에 대한 한계치인데, 운동 이상을 갖는 PD 환자 중 많은 환자가 중간 정도-내지-중증 PD 를 가지므로 L-DOPA 의 효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기저핵의 부전으로부터의 운동 이상 및 기타 운동 장애는 주요한 사회-경제학적 중요 문제이다. 운동 이상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작용제를 개발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제한적으로 성공해 왔다. 그러므로, 운동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한 작용제를 제공할 필요가 존재한다.
랫트에서의 파킨슨증의 6-히드록시도파민 (6-OHDA) 병변 모델은 전임상 수준에서의 PD 조사 및 신규한 치료적 옵션 평가에 대한 매우 귀중한 도구를 제공하였다 (Schwarting and Huston, Prog . Neurobiol . 1996, 50, 275-331). 가장 널리 사용되는 6-OHDA 패러다임 중 하나는 도파민성 흑질선조체 (nigrostriatal) 경로의 분리 변성을 갖는 랫트에서의 회전 거동의 평가이다 (Ungerstedt and Aburthnott, Brain Res . 1970, 24, 485). 상기 모델에서, 6-OHDA 는 흑질선조체 경로, 선조체 또는 내측전뇌다발 (MFB) 에 편측으로 주입되어, 도파민성 흑질선조체 시스템 사이에 기능적 불균형을 생성시킨다. 약물의 투여는 도파민 수용체 예컨대 도파민 대사 전구체 L-DOPA 를 직접 자극하고, 도파민 아고니스트 아포모르핀은 6-OHDA 가 주입된 신체 부분으로부터 유도되어 나가는 회전 거동을 생성시킨다.
운동-관련 결함에 추가로, 6-OHDA 모델은 PD 의 다른 특성을 재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민감화된 회전 거동 뿐 아니라 비정상 무의식적 움직임 (AIM) 의 진전이 선조체 또는 MFB 에 6-OHDA 를 주사하고 L-DOPA 로 장기 치료한 랫트에서 관찰되었으므로, L-DOPA 유도 운동 이상의 연구에 대한 추가적인 동물 모델이 제공된다 (Lundblad, et al. Eur . J Neurosci. 2002, 15,120-132). 상기 모델에서의 장기 치료 동안, 브로모크립틴이 아닌 L-DOPA 가 AIM 의 점진적 진전을 유도한다. 이러한 관찰을 기준으로, 6-OHDA 로 장애를 일으킨 랫트가 파킨슨병 운동 이상과 필수 기능 유사성을 공유하는 운동 결함을 나타내며 운동 이상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치료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되었다.
운동 이상 및 기타 관련 운동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요법을 확인하기 위한 시도에서, 출원인은 놀랍게도 강력한 D1/D2 아고니스트로서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본원에서 화합물 10 으로 지칭함];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안트라센 [본원에서 화합물 11 으로 지칭함]; 및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본원에서 화합물 12 로 지칭함] 이 편측 6-OHDA 병변을 갖는 랫트에서 바람직한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프라미펙솔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L-DOPA 및 아포모르핀보다 운동 이상을 덜 유도하며, L-DOPA 유도 운동 이상을 D2 아고니스트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화합물 10, 11 12 는 운동 이상의 유도에 있어서 뿐 아니라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기 위한 약제로서 L-DOPA-유사 효능 및 바람직한 프로파일을 갖는 최초의 PD 약물이 되는 가능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확인된 화합물이 운동 이상 및 기타 관련 운동 장애 예컨대 헌팅턴 무도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예측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응하는 라세미 트랜스 혼합물의 사용을 고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갖는 파킨슨병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한 양상에서, 파킨슨병의 치료는 L-DOPA 치료만큼 효과적이다. 상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거나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한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라세미 트랜스-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별적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약제 제조에서의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라세미 트랜스-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별적 양상은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라세미 트랜스-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별적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라세미 트랜스-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치료적 유효량의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별적 양상은 치료적 유효량의 라세미 트랜스-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치료적 유효량의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또다른 양상은 치료적 유효량의 라세미 트랜스-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안트라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별적 양상은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안트라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안트라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별적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 안트라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치료적 유효량의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 안트라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치료적 유효량의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안트라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별적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또다른 양상은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별적 양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치료적 유효량의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상은 치료적 유효량의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화합물은 2 개의 키랄 중심 (하기 화학식에서 * 로 표시함) 을 포함한다.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1
본 발명의 화합물은 두 가지 상이한 부분입체이성질체 형태, 시스- 및 트랜스-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두 형태 모두는 두 가지 에난티오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직 트랜스 라세미체 및 (4aR, 10aR)-에난티오머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2
이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 (본원에서 "화합물 10" 으로 지칭함) 이 6-OHDA 로 장애를 일으킨 랫트에서 L-DOPA/벤세라지드 및 아포모르핀에 의해 유도된 운동 이상을 반전시킨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상응하는 트랜스 라세미체는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2 개의 키랄 중심 (하기 화학식에서 * 로 표시함) 을 포함한다.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3
본 발명의 화합물은 두 가지 상이한 부분입체이성질체 형태, 시스 -트랜스-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두 형태 모두는 두 가지 에난티오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직 트랜스 라세미체 및 (6aR, 10aR)-에난티오머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4
이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안트라센 (본원에서 "화합물 11" 로 지칭함) 이 6-OHDA 로 장애를 일으킨 랫트에서 L-DOPA/벤세라지드 및 아포모르핀에 의해 유도된 운동 이상을 반전시킨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 (본원에서 "화합물 12" 로 지칭함) 이 편측 6-OHDA 병변을 갖는 랫트에서 바람직한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이는 프라미펙솔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D2 아고니스트보다 더 효과적으로 L-DOPA 유도 운동 이상을 감소시키며 L-DOPA 및 아포모르핀보다 운동 이상을 덜 유도한다.
본 발명을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이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상이한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부가될 수 있는 모든 특성의 상세한 목록인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운동 이상" 은 기저핵으로서 알려져 있는 뇌 부위의 장애와 연관되는 비정상 무의식적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운동 이상은 발생하는 "L-DOPA-유도 운동 이상" 일 수 있으며 파킨슨병 (가장 통상적인 기저핵 질환) 치료의 합병증이다. 운동 이상은 두 가지 형태, 무도병 및 근긴장이상에서 물리적으로 분명할 수 있다. 무도병은 신체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흐르는 무의식적이고, 연속적이고, 무의미하고, 갑작스럽고, 빠르고, 짧고, 비지속되고 불규칙적인 움직임으로 이루어진다. 근긴장이상은 뒤틀림 및 반복적 움직임 또는 비정상적 자세를 일으키는 지속 근수축을 의미한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 는 질환 또는 장애를 물리적으로 (예를 들어 식별가능한 증상의 안정화), 생리학적으로 (예를 들어 물리적 매개변수의 안정화), 또는 두 가지 모두로 저해하고, 환자에 대해 식별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매개변수를 저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치료하는" 또는 "치료" 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을 아직 경험하거나 나타내지 않는 환자일지라도, 질환 또는 장애에 노출되거나 그럴 소지가 있을 수 있는 환자에서 질환 또는 장애 또는 적어도 이의 증상의 개시를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 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경우 상기 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치료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 은 화합물, 질환 또는 장애 및 이의 중증도, 및 치료하는 환자의 연령 및 체중에 다양하게 의존적일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어구 "~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프로파일을 유지시키는" 은 연속적인 도파민성 자극을 통해 치료된 환자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운동 이상 프로파일을 의미한다. 연속적인 도파민성 자극을 포함하는 치료는 [Stocchi and Olanow, Neurology 2004, 2004, 62, S56-S63; 및 Hilary, et al ., Journal of Neurology 2004, 251, 11, 1370-1374] 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강력한 D1/D2 아고니스트로서의 (4aR,10aR)-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은 화합물 10 으로 지칭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안트라센은 화합물 11 로 지칭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4aR,10aR)-1-n-프로필-2,3,4,4a,5,7,8,9,10,10a-데카히드로-1H-벤조[g]퀴놀린-6-온은 본원에서 화합물 12 로 지칭된다.
화합물 10, 11 또는 12 는 단일치료요법 (즉, 화합물 단독 사용) 으로서; 조성물에 의해 유발된 운동장애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조성물에 부가물로서 (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투여한 L-DOPA 또는 아포모르핀에 부가물로서) 운동 이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또한 운동 이상을 감소시키는 기타 치료제 (예를 들어 오피오이드 수용체 길항제, α2-아드레노수용체-길항제, 칸나비노이드 CBI-길항제, NMDA 수용체-길항제, 콜린성 수용체 길항제, 히스타민 H3-수용체 아고니스트, 및 담창구/시상하핵 병변/심부뇌 자극술) 와 병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10, 11 또는 12 또는 이의 약학적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L-DOPA 또는 도파민 아고니스트에 의해 유도된 운동 이상을 감소시키는 동안의 파킨슨병의 치료에서의 동시 발생적, 개별적 또는 순차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한 구현예에서, 운동 이상은 기저핵-관련 운동 장애와 연관된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운동 이상은 파킨슨병과 연관된다.
한 구현예는 특발성 파킨슨병 또는 뇌염후 파킨슨증과 연관되는 운동 이상에 관한 것이다.
한 구현예에서, 운동 이상은 파킨슨병에서의 효능 소멸-근긴장이상 (off-dystonia) 과 연관된다.
개별적인 구현예에서, 운동 이상은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부작용으로서 발생한다.
추가의 또다른 구현예에서, 운동 이상은 도파민 대체 치료요법과 연관된다. 한 구현예에서, 도파민 대체 치료요법제는 로티고틴, 로피니롤, 프라미펙솔, 카베르골린, 브로모크립틴, 리수라이드, 페르골리드, L-DOPA 및 아포모르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한 구현예에서, 운동 이상은 L-DOPA 의 반복 투여의 결과로서 확립된다.
이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화합물 10, 11 또는 12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약제 제조에서의 라세미 트랜스-1-n-프로필-1,2,3,4,4a,5,10,10a-옥타히드로-벤조[g]퀴놀린-6,7-디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구현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MAO-B 저해제를 포함한다.
한 구현예에서, MAO-B 저해제는 셀레긴 (selegine) 이다. 개별적인 구현예에서, MAO-B 저해제는 라사길린 (rasagiline) 이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10, 11 또는 12,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포유류는 인간 대상이다.
자유 염기로서 상기 화합물 10, 11 또는 12 의 1 일 투여량으로서 계산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10, 11 또는 12 는, 적합하게는 0.01 내지 125 mg/일, 보다 적합하게는 0.05 내지 100 mg/일,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mg/일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합물 10, 11 또는 12 의 1 일 투여량은 1.0 내지 10 mg/일이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화합물 10, 11 또는 12 의 1 일 투여량은 약 1.0 mg/일 미만이다.
개별적인 구현예에서, 화합물 10, 11 또는 12 의 1 일 투여량은 약 0.10 mg/일이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0.001 mg 내지 125 mg 의 화합물 10, 11 또는 12 를 포함하는 경구 제형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0.001 mg 내지 0.100 mg 의 화합물 10, 11 또는 12 를 포함하는 경구 제형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0.01 mg 내지 1.0 mg 의 화합물 10, 11 또는 12 를 포함하는 경구 제형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0.10 mg 내지 10 mg 의 화합물 10, 11 또는 12 를 포함하는 경구 제형을 제공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합물 10, 11 또는 12 는 광범위한 유기 및 무기산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을 형성한다. 이러한 염은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화합물 10, 11 또는 12 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염은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 1977, 66, 2-19] 에 열거되어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무기산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차인산, 메타인산, 피로인산 등을 포함한다. 유기산 예컨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 페닐 치환 알카노산, 히드록시알카노산 및 히드록시알칸디온산, 방향족산, 지방족 및 방향족 술폰산에서 유래한 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따라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디드, 니트레이트, 아세테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디니트로벤조에이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o-아세톡시벤조에이트, 이소부티레이트, 페닐부티레이트, α-히드록시부티레이트, 부틴-1,4-디카르복실레이트, 헥신-1,4-디카르복실레이트, 카프레이트, 카프릴레이트, 신나메이트, 시트레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리콜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히푸레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히드록시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옥살레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프로피올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세바케이트, 숙시네이트, 수베레이트, 벤젠술포네이트, p-브로모벤젠술포네이트, 클로로벤젠술포네이트, 에틸술포네이트, 2-히드록시에틸술포네이트, 메틸술포네이트, 나프탈렌-1-술포네이트, 나프탈렌-2-술포네이트, 나프탈렌-1,5-술포네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자일렌술포네이트, 타르타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
고체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제는 활성 성분을 통상의 보조제, 충전제 및 희석제와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편리한 타정 기계에서 압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조제, 충전제 및 희석제의 예는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락토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탈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젤라틴, 락토오스, 고무 등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과 혼화가능한 경우, 임의의 다른 보조제 또는 첨가제 예컨대 착색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제형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희석제와 혼합된 화합물 10, 11 또는 12 의 직접 압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의로는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희석제와 혼합된 화합물 10, 11 또는 12 의 습윤 과립물 또는 용융 과립물이 정제 압착에 사용될 수 있다.
주사용 화합물 10, 11 또는 12 의 용액은 주사용 용매, 바람직하게는 멸균수의 일부에 활성 성분 및 가능한 첨가제를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원하는 부피로 조정하고, 용액을 멸균하고 적합한 앰플 또는 바이알에 충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등장화제, 보존제, 항산화제, 가용화제 등과 같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도 1: 화합물 ent-10 의 결정 구조. '무거운' 브롬 원자의 변칙 산란에 의해 절대 배열을 측정하였다.
도 2: hD5-트랜스펙션된 CHO-Ga16 세포에서의 도파민에 의한 세포내 Ca2 + 방출의 농도-의존적 자극에 대한 투여량-반응 곡선.
실험 부분
Shimadzu LC-8A/SLC-10A LC 시스템 및 대기압 광 이온화가 장착된 PE Sciex API 150EX 기기에서 분석적 LC/MS 데이터를 수득하였다. UV (254 nm) 및 ELSD 흔적의 통합에 의해 순도를 측정하였다. MS 기기는 APPI-공급원이 장착되고 양이온 모드에서 작동하는 Peskier (API) 로부터의 것이었다. UV-흔적 (RT) 에서의 유지 시간을 분으로 표시하였다. 용매 A 는 물 중 0.05% TFA 로 이루어진 한편, 용매 B 는 아세토니트릴 중 5% 물 및 0.035% TFA 로 이루어졌다. 여러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방법 25: API 150EX 및 Shimadzu LC10AD/SLC-10A LC 시스템. 컬럼: dC-18 4.6x30 mm, 3 ㎛ (Atlantis, Waters). 컬럼 온도: 40℃. 구배: 이온 쌍을 갖는 역상. 흐름: 3.3 ㎖/분. 주입 부피: 15 ㎕. 구배: 2.4 분에 걸쳐 A 중 2% B 에서 100% B 로, 이후 0.4 분 동안 A 중 2% B. 총 실행 시간: 2.8 분.
방법 14: API 150EX 및 Shimadzu LC8/SLC-10A LC 시스템. 컬럼: C-18 4.6x30 mm, 3.5 ㎛ (Symmetry, Waters). 컬럼 온도: 실온. 구배: 이온 쌍을 갖는 역상. 흐름: 2 ㎖/분. 주입 부피: 10 ㎕. 구배: 4 분에 걸쳐 A 중 10% B 에서 100% B 로, 이후 1 분 동안 A 중 10% B. 총 실행 시간: 5 분.
X-선 결정 구조 측정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Cryostream 질소 기체 냉각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화합물의 결정을 120 K 로 냉각시켰다. CCD 영역 민감성 검출기로 Siemens SMART 플랫폼 회절계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직접법에 의해 구조를 해결하고 모든 데이터의 F2 에 대해 풀-매트릭스 최소 제곱 (full-matrix least-square) 으로써 향상시켰다. 구조 내 수소 원자는 전자 밀도 상이 지도에서 발견될 수 있다. 비-수소 원자는 이방적으로 향상되었다. 모든 수소 원자는 O-H = 0.84, C-H = 0.99-1.00, N-H = 0.92-0.93 Å 를 갖는 라이딩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된 위치에 존재하였다. 모든 수소 원자에 대해서 열 매개변수는 고정되었다 [부착된 원자에 대해 U(H) = 1.2 U]. 대공포 x-매개변수는 범위 0.0(1)-0.05(1) 내에 있으며, 이는 절대 구조가 올바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정리 및 흡수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MART, SAINT 및 SADABS 이었다 ["SMART and SAINT, Area Detector Control and Integration Software", Version 5.054,Bruker Analytical X-Ray Instruments Inc., Madison, USA (1998), Sheldrick "SADABS, Program for Empirical Correction of Area Detector Data" Version 2.03, University of Goettingen, Germany (2001) 참조]. 프로그램 SHELXTL [Sheldrick "SHELXTL, Structure Determination Programs", Version 6.12, Bruker Analytical X-Ray Instruments Inc., Madison, USA (2001) 참조] 을, 구조를 해결하고 분자 그래픽을 위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화합물 10 및 11)
[Taber et al ., J. Am . Chem . Soc ., 124(42), 12416 (2002)] 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문헌에 그의 합성이 기재되는 화합물 1 에서 출발하여, 화합물 8 을 본원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8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키랄 SFC 에 의해 분해하여 화합물 9ent-9 를 수득할 수 있다. Boc-보호기의 절단 후, 환원성 아민화를 사용하여 n-프로필기를 질소 원자 상에 도입할 수 있다. 생성된 차폐 카테콜 아민을 48% HBr 로의 처리 또는 BBr3 과의 반응에 의해 표준 조건 하에 탈보호하여 화합물 10ent-10 을 수득할 수 있다. 염기의 존재 하에 10 과 CH2ClBr 또는 관련 시약과의 추가적인 반응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11).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5
화합물 10 및 ent - 10 의 합성.
7- 요오도 -1,2,6- 트리메톡시 -나프탈렌 (화합물 2).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6
아르곤 하 및 -78℃ 에서의 화합물 1 (26.2 g; Taber et al ., J. Am . Chem . Soc., 124(42), 12416 (200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됨) 의 건조 THF (200 ㎖) 중의 교반된 용액에, s-부틸 리튬 (시클로헥산 중 1.2 M, 110 ㎖) 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78℃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요오드 (30.5 g) 의 건조 THF (50 ㎖) 중의 용액을 10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이후 또다른 10 분 동안 -78℃ 에서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100 ㎖), 물 (240 ㎖) 및 Et2O (240 ㎖) 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켄칭하였다. 10% 나트륨 술파이트 수용액 (100 ㎖) 으로 유기층을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미반응 출발 물질을 증류 제거하여 미정제 물질을 정제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EtOAc/헵탄) 에 의해 잔류물을 추가 정제하여 불순물이 섞인 고체 물질이 생성되어, 이를 EtOAc/헵탄으로부터의 침전에 의해 정제하여 11.46 g 의 화합물 2 를 수득하였다.
( E / Z )-3-(3,7,8- 트리메톡시 -나프탈렌-2-일)- 아크릴로니트릴 (화합물 3).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7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 바이알 내 화합물 2 (3.41 g) 의 건조 아세토니트릴 (10.7 ㎖) 중의 현탁액에, 아크릴로니트릴 (1.19 ㎖), Pd(OAc)2 (73 mg) 및 트리에틸아민 (1.48 ㎖) 을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밀봉하고,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45℃ 에서 40 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절차를 2 회 더 실행하였다 (총 10.23g 의 화합물 5 사용).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조합하고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이 Et2O (300 ㎖) 와 2M HCl (150 ㎖) 사이에 분배되었다. 유기층을 염수 (100 ㎖) 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EtOAc/헵탄) 에 의해 미정제 물질 (7.34 g) 을 정제하여 올레핀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5.23 g 의 화합물 3 을 제조하였다.
3-(3,7,8- 트리메톡시 -나프탈렌-2-일)- 프로피오니트릴 (화합물 4).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8
화합물 3 (5.23 g) 을 CHCl3 (15 ㎖) 및 99% EtOH (100 ㎖) 에 용해하였다. 10% Pd/C (0.8 g) 를 첨가하고, 용액을 Parr 진탕기를 사용하여 3 bar 의 수소 압력 하에 45 분 동안 수소화하였다.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여과물을 실리카 겔의 작은 플라우 (small plough) 를 통과시켰다 (용리: 99% EtOH). 수율: 백색 고체로서 4.91 g 화합물 4.
[3-(3,7,8- 트리메톡시 -1,4- 디히드로 -나프탈렌-2-일)-프로필]- 카르밤산 t -부틸 에스테르 (화합물 5).
Figure 112011066124904-pct00009
화합물 4 (5.0 g) 를 99% EtOH (150 ㎖) 에 용해하고,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 환류 가열하였다. 나트륨 금속 (5 g) 을 작은 덩어리로 3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 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기 전 추가 2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후 이를 다시 환류 가열하고, 추가의 나트륨 금속 (3.68 g)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였다. 빙/수조에서 냉각시킨 후, 고체 염화암모늄 (20 g) 및 물 (25 ㎖) 을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이 디에틸 에테르 (50 ㎖) 및 물 (50 ㎖) 사이에 분배되었다. 수성층을 37% HCl 로 중화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2x50 ㎖) 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 (50 ㎖) 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 하에 농축하여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THF (50 ㎖) 에 용해하고 Boc2O (2.34 g) 및 Et3N (1.78 ㎖) 으로 실온에서 처리하였다. 6 일 후 휘발물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EtOAc/헵탄) 에 의해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이것으로, 불순물이 섞인 화합물 5 (1.52 g) 가 제공되었다.
라세미 6,7- 디메톡시 -2,3,4,4a,5,10- 헥사히드로 - 벤조[g]퀴놀린 히드로클로라 이드 (화합물 6).
Figure 112011066124904-pct00010
화합물 5 (이전 단계로부터의 1.52 g) 를 MeOH (20 ㎖) 에 용해하였다. 37% HCl (3.5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공비적으로 물을 제거하기 위해 톨루엔을 사용하여 휘발물을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이것으로, 불순물이 섞인 화합물 6 (0.89 g) 이 황색 오일로서 제공되었다.
라세미 트랜스 -6,7- 디메톡시 -3,4,4a,5,10,10a- 헥사히드로 -2H- 벤조[g]퀴놀린 -1-카 르복실 t -부틸 에스테르 (화합물 8).
Figure 112011066124904-pct00011
화합물 6 (0.89 g) 을 MeOH (10 ㎖) 에 용해하고 NaCNBH3 (0.19 g) 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Et2O (1 ㎖) 중 2 M HCl 로 켄칭하기 전에 빙/수조에서 냉각시켰다. 혼합물이 Et2O (50 ㎖), 물 (50 ㎖) 및 2 M NaOH (10 ㎖) 사이에 분배되었다. 수성층을 디에틸 에테르 (3x50 ㎖) 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진공 하에 농축하여 불순물이 섞인 자유 아민 (화합물 7) 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THF (25 ㎖) 에 용해하고 Boc2O (0.68 g) 및 Et3N (0.86 ㎖) 으로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처리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하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EtOAc/헵탄) 로 잔류물을 정제하여, 약간 불순물이 섞인 1.18 g 의 라세미 화합물 8 이 제공되었다.
라세미 트랜스 -6,7- 디메톡시 -3,4,4a,5,10,10a- 헥사히드로 -2H- 벤조[g]퀴놀린 -1-카 르복실 t -부틸 에스테르의 에난티오머의 SFC -분리 (화합물 9ent-9).
Figure 112011066124904-pct00012
화합물 8 (19.7 g) 을, Chiralcel OD 21.2 x 250 mm 컬럼이 장착된 Berger SFC multigram II 기기 상에서 키랄 SFC 를 사용하여 이의 에난티오머로 분해하였다. 용매계: CO2/EtOH (85:15), 방법: 50 ㎖/분의 유속을 갖는 일정 구배. 분획물 수집을 UV 230 nm 검출에 의해 수행하였다. 빠른 용리 에난티오머 (4aR, 10aR 에난티오머; 화합물 9): 9.0 g 의 백색 고체. 느린 용리 에난티오머 (4aS, 10aS 에난티오머; 화합물 ent-9): 8.1 g 의 백색 고체.
(4 aS ,10 aS )-6,7- 디메톡시 -1,2,3,4,4a,5,10,10a- 옥타히드로 - 벤조[g]퀴놀린 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ent-9').
Figure 112011066124904-pct00013
화합물 ent-9 (0.52g) 를 MeOH (15 ㎖) 에 용해하고 Et2O (7.5 ㎖) 중 5 M HCl 로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하고 고체를 진공 하에 건조시켜 화합물 ent-9' 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14): 실온 1.31 분.
(4 aR ,10 aR )-1-프로필-1,2,3,4,4a,5,10,10a- 옥타히드로 - 벤조[g]퀴놀린 -6,7- 히드로브로마이드 (화합물 10).
Figure 112011066124904-pct00014
화합물 9 (0.5 g) 를 99% EtOH (5 ㎖) 에 용해하고 Et2O (4 ㎖) 중 2M HCl 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하였고, 잔류물이 EtOAc 와 10% 수성 NaOH (5 ㎖) 사이에 분배되었다. 수성층을 EtOAc 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99% EtOH (5 ㎖) 에 용해하고, 프로피온산 알데히드 (0.52 ㎖), NaCNBH3 (0.45 g) 및 AcOH (3 점적) 로 실온에서 밤새 처리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이 포화 수성 NaHCO3 (12.5 ㎖), 물 (12.5 ㎖) 및 EtOAc (2x25 ㎖) 사이에 분배되었다. 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MeOH/EtOAc) 에 의해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4℃ 에서 밤새 보관하기 전에, 수득한 중간체를 마이크로웨이브 조건 하 1 시간 동안 150℃ 에서 48% HBr (3 ㎖) 로 처리하였다. 침전된 물질을 여과로 단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화합물 10 의 수율: 고체로서 103 mg. LC/MS (방법 25): 실온 0.77 분.
(4 aS ,10 aS )-1-프로필-1,2,3,4,4a,5,10,10a- 옥타히드로 - 벤조[g]퀴놀린 -6,7- 디올 히드로브로마이드 (화합물 ent-10).
Figure 112011066124904-pct00015
화합물 ent-9' (0.5 g; 반응성 아민화 단계 전 EtOAc 와 10% 수성 NaOH 사이에 분배시켜 HCl 염을 유리시켰음) 로부터 출발하여 화합물 10 에 대해 기재된 절차를 따랐다. 화합물 ent - 10 의 수율: 고체로서 70 mg. LC/MS (방법 25): 실온 0.70 분. 화합물 ent - 10 의 소 샘플을 MeOH 에 용해하고 2 개월에 걸쳐 실온에서 천천히 결정화시켰다. 형성된 백색 결정을 수집하고 X-선 분석하였다 (도 1 참조). X-선 결정학에 의해 화합물 ent - 10 의 절대 배열을 측정하고, 화합물 910 및 그에 따른 이의 유도체의 입체화학을 명확히 측정하였다.
(6 aR ,10 aR )-7- n -프로필-6,6a,7,8,9,10,10a,11- 옥타히드로 -1,3- 디옥사 -7- 아자 -시 클로펜타[a]안트라센 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1).
Figure 112011066124904-pct00016
화합물 10 (7.80 g), Cs2CO3 (18.6 g), CH2BrCl (2.2 ㎖) 및 DMF (180 ㎖) 를 아르곤 분위기 하 1 시간 동안 100℃ 로 가열하였다. 미정제 반응 혼합물을 분별 깔때기에 첨가하고 얼음/물 (300 ㎖) 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2O (3x300 ㎖) 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염수 (200 ㎖) 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 하에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EtOAc/MeOH) 에 의해 잔류물을 정제하여 담적색 고체를 수득하여, 이를 MeOH (25 ㎖) 에 용해하고 Et2O (20 ㎖) 중 2 M HCl 및 Et2O (100 ㎖) 를 첨가하여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침전시켰다.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화합물 11 의 수율: 5.1 g. LC/MS (방법 111): 실온 0.70 분. ELSD 100%. UV 97.0%. MH+: 274.0.
(4 aR ,10 aR )- n -1-프로필-2,3,4,4a,5,7,8,9,10,10a- 데카히드로 -1H- 벤조[g]퀴놀린 -6-온 (화합물 12)
화합물 12 의 합성을, 그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EP 특허 번호 제 1274411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준비할 수 있다. 화합물 12 는 상기 확인된 특허에서 (-)-GMC6650 로서 지칭된다.
실험 부분
실시예 1: 생체내 투여시 화합물 11 및 12 가 화합물 10 의 카테콜-함유 활성 대사 산물로 전환됨.
Figure 112011066124904-pct00017
활성 대사 산물 (즉 화합물 10) 은 시험관내 D1 및 D2 수용체 모두에서 강력한 아고니스트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하기 상세히 토의된 바와 같이, 생체내 실험에서 발생된 데이터는 상기 활성 대사 산물이 다른 도파민 아고니스트에 대해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L-DOPA/아포모르핀 처리로 나타낸 효능과 동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화합물 10 의 약리학적 시험
D 1 cAMP 검정
인간 재조합 D1 수용체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CHO 세포에서의 D1 수용체 매개 cAMP 형성을 자극하거나 저해하는 상기 화합물의 능력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세포를 실험 3 일 전 11000 세포/웰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실험일에 세포를 사전가열된 G 완충액 (PBS (인산 완충 식염수) 중 1 mM MgCl2, 0.9 mM CaCl2, 1 mM IBMX (3-i-부틸-1-메틸잔틴)) 으로 1 회 세척하고, G 완충액에 희석된 30 nM A68930 및 시험 화합물 (길항 작용) 또는 G 완충액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 (아고니즘) 의 혼합물 100 ㎕ 를 첨가하여 검정을 개시하였다.
세포를 37℃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100 ㎕ S 완충액 (0.1 M HCl 및 0.1 mM CaCl2)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4℃ 에 두었다. 68 ㎕ N 완충액 (0.15 M NaOH 및 60 mM NaOAc) 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10 분 동안 진탕하였다. 60 ㎕ 의 반응물을, 40 ㎕ 6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pH 6.2 를 포함하는 cAMP FlashPlates (DuPont NEN) 에 옮기고 100 ㎕ IC 믹스 (5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pH 6.2, 0.1% 나트륨 아자이드, 12 mM CaCl2, 1% BSA (소 혈청 알부민) 및 0.15 마이크로-Ci/㎖ 125I-cAMP) 를 첨가하였다. 4℃ 에서 18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플레이트를 1 회 세척하고 Wallac TriLux 계수기에서 계수하였다.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1 아고니스트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D 2 cAMP 검정
인간 D2 수용체로 트랜스펙션된 CHO 세포에서의 cAMP 형성의 D2 수용체 매개 저해를 자극하거나 저해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 3 일 전 8000 세포/웰의 농도로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실험일에 세포를 사전가열된 G 완충액 (PBS 중 1 mM MgCl2, 0.9 mM CaCl2, 1 mM IBMX) 으로 1 회 세척하고, G 완충액 중 1 μM 퀸피롤 (quinpirole), 10 μM 포스콜린 (forskolin) 및 시험 화합물 (길항 작용) 또는 G 완충액 중 10 μM 포스콜린 및 시험 화합물 (아고니즘) 의 혼합물 100 ㎕ 를 첨가하여 검정을 개시하였다.
세포를 37℃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100 ㎕ S 완충액 (0.1 M HCl 및 0.1 mM CaCl2)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4℃ 에 두었다. 68 ㎕ N 완충액 (0.15 M NaOH 및 6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10 분 동안 진탕하였다. 60 ㎕ 의 반응물을, 40 ㎕ 60 mM NaOAc pH 6.2 를 포함하는 cAMP FlashPlates (DuPont NEN) 에 옮기고 100 ㎕ IC 믹스 (50 mM NaOAc pH 6.2, 0.1% 나트륨 아자이드, 12 mM CaCl2, 1% BSA 및 0.15 마이크로-Ci/㎖ 125I-cAMP) 를 첨가하였다. 4℃ 에서 18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플레이트를 1 회 세척하고 Wallac TriLux 계수기에서 계수하였다.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2 아고니스트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D 5 검정
hD5-트랜스펙션된 CHO-Ga16 세포에서의 도파민에 의한 세포내 Ca2 + 방출의 농도-의존적 자극. 세포를 칼슘 표시제 염료인 플루오로-4 로 1 시간 동안 로딩하였다. 칼슘 반응 (형광 변화) 을 2.5 분 동안 FLIPR (형광측정 영상화 플레이트 판독기) 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각 데이터 지점에 대한 2 반복 웰로부터 피크 반응 (EC50) 을 평균화하고 약물 농도로 플로팅하였다 (도파민에 대한 도 2 참조).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5 아고니스트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6- OHDA 랫트 모델
도파민 아고니스트는 D1 수용체, D2 수용체, 또는 둘 모두에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편측 6-OHDA 병변을 갖는 랫트에서의 회전 반응을 사용하여 두 수용체 유형을 모두 자극하고 회전을 유도하는 이들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Ungerstedt and Arbuthnott, Brain Res ., 1970, 24, 485; Setler, et al . Eur . J. Pharmacol., 1978, 50(4), 419; 및 Ungerstedt, et al. "Advances in Dopamine Research" (Kohsaka, Ed.), Pergamon Press, 1982, Oxford, p. 219). 6-OHDA (6-히드록시도파민) 는 실험 동물에서의 뇌 내 주입 부위에서 선택적으로 도파민성 뉴런을 사멸시키기 위해 신경생물학자에 의해 사용되는 신경독소이다. 6-OHDA 모델에서, 흑질 선조체 도파민 세포는 6-OHDA 를 흑질 전방에 위치한 정중 전뇌 관속에 주입함으로써 뇌의 한쪽면 (편측) 에서 파괴된다. 도파민 아고니스트 예컨대 아포모르핀에 의한 자극과 조합된 이러한 편측 주입은, 뇌의 한쪽면만 자극하기 때문에 회전 거동을 유도할 것이다. 실험은, 검토되는 화합물에 대해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최소 유효 투여량 (MED) 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MED 가 결정되고 나면, 두 번째 실험을 수행하여 네모나프리드 차단 (Nemonapride block) 을 극복하기 위한 화합물의 MED (MED네모나프리드) 를 측정한다. 네모나프리드는 D2 수용체를 차단하는 D2 길항제이므로, 임의의 관찰된 회전은 D1 수용체에서의 활성에 의존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MED네모나프리드가 공지되고 나면, MED네모나프리드 투여량을 사용하며 D1 길항제, SCH 23390 단독, D2 길항제, 네모나프리드 단독의 효과, 및 마지막으로 SCH 23390 과 네모나프리드의 병용 치료의 효과를 관찰하는 세 번째 실험을 실행한다. 상기 세 번째 실험으로 두 수용체 모두에서 화합물의 활성이 확인되는데, 이는 아고니스트 단독이 시험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회전 반응을 단지 부분적으로만 저해할 수 있는 한편 병용 치료는 랫트에서의 모든 회전을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이다 [Arnt and Hyttel, Psychopharmacology, 1985, 85(3), 346; 및 Sonsalla et al ., J. Pharmacol Exp . Ther ., 1988, 247(1), 180]. 상기 모델은, 혼합 D1/D2 아고니스트에 대한 원리 증명 (proof-of-principle) 화합물로서 아포모르핀을 사용하여 인가되었다.
상기 모델에서, 화합물 10 은 아포모르핀에 대한 약 3 의 비에 비교하여 약 2-4 의 D1/D2 비를 갖는 '아포모르핀'-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관찰된 작용의 지속 기간은 상기 화합물에 대해 약 18 시간이었으며 이는 L-DOPA / 아포모르핀으로 나타난 것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D1 성분은 프라미펙솔 및 로티고틴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D2-아고니스트에 대해 관찰될 수 없었다.
우세 모델 ( Superiority model )
아포모르핀 및 L-DOPA 는 중증 도파민 결핍의 마우스 모델에서 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킬 수 있다. 아포모르핀 및 L-DOPA 모두는 D1 및 D2 도파민 수용체를 자극한다. D2 수용체에서의 아고니스트인 프라미펙솔은 상기 모델에서 효과가 없다.
실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MPTP 로 이전에 처리하였으며 (2x15 mg/kg 피하) 안정한 병변을 갖는 마우스를 사용하고, 비히클 처리 마우스를 정상 대조군으로서 역할하게 하였다. MPTP (1-메틸-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 는 뇌의 흑질 내 특정 뉴런을 사멸시켜 파킨슨병의 영구적 증상을 유발하는 신경독소이다. 이는 원숭이 및 마우스에서의 질환 연구에 사용된다. 실험일에, 마우스를 AMPT 로 처리한 후 (250 mg/kg 피하) 1.5 시간 동안 이들의 홈 케이지에 되돌려놓은 후, 이들을 운동성 유닛 내 개별적 케이지에 두었다. AMPT (알파-메틸-p-티로신) 는 뇌 카테콜아민 활성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특히 도파민 수준의 경우). AMPT 주입 3 시간 후, 운동 결함의 구제를 화합물 10 으로 시도하고, 추가 1.5 시간 동안 활성을 기록하였다. 구제 처리 후 수집된 데이터의 최초 30 분은 비히클 대조군에서의 증가된 수준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이 취급 및 주입으로 인한 동물 스트레스로 인해 "오염" 되었으므로, 기록 데이터의 마지막 1 시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도파민성 화합물을, 상기 모델에서 생성된 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키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L-DOPA/벤세라지드, 및 아포모르핀은 모두 투여량-의존적 방식으로 마우스에서 운동을 회복시켰다. 벤세라지드는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를 수 없는 DOPA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이며; 이는 뇌 외부 도파민에 대한 L-DOPA 의 대사작용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반대로, D2 아고니스트, 프라미펙솔 및 브로모크립틴은 마우스에서의 운동을 회복시키지 않았다.
상기 모델을 사용하여 화합물 10 이 D2 아고니스트에 비해 L-DOPA 및 아포모르핀과 동일한 우세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화합물 10 에 대한 투여량 반응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내재성 도파민의 심각한 결핍에 의해 유도된 저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키기 위한 투여량-의존적 경향이 존재하였다. 상기 모델에서 아포모르핀, 프라미펙솔 및 화합물 10 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최종 실험을 수행하였고, 화합물 10 이 MPTP 처리된 마우스에서 운동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 이는 프라미펙솔에 대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연적 6- OHDA 랫트로의 운동 이상 모델 유도
편측 6-OHDA 병변을 갖는 20 마리의 수컷 스프라그 돌리 (Sprague Dawley) 랫트를, L-DOPA/벤세라지드 (6 mg/kg / 15 mg/kg 피하; n=7; 제 2 군) 및 아포모르핀 (1 mg/kg 피하; n=6; 제 3 군) 과 비교하여 화합물 10 에 의한 운동 이상의 시험 유도 (피하 투여; n=7; 제 1 군) 에 사용하였다. 벤세라지드는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를 수 없는 DOPA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이며; 이는 뇌 외부 도파민에 대한 L-DOPA 의 대사작용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6-OHDA 수술 3 주 후, 동측 회전을 유도하는 2.5 mg/kg 암페타민에 의해 유도된 회전 반응에 대해 동물을 시험하였다 (암페타민은, 뇌 병변면에 대해 우월하게 작용하는 L-DOPA 및 아포모르핀과 같은 직접적 아고니스트에 대한 이의 반응과 비교하여 반대 방향으로 동물을 회전하게 하는 미병변면 상의 미손상 뉴런을 통해 뇌 내 도파민 수준을 증가시킴). 상기 연구에 포함된 모든 동물은 60 분에서 350 회 초과 회전의 기준을 충족하였다. 이후, 암페타민에 대한 동물의 회전 반응에 대한 군을 균형 맞추어 랫트를 3 개 시험군에 무작위하게 할당하였다.
실제 운동 이상 실험 동안, 랫트에 시험 화합물을 피하 1 일 1 회 투여하였으며 주입 후 3 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각 동물을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정상 무의식적 움직임 척도 (AIMS) (Lundblad, et al ., Eur . J Neurosci ., 15, 120, (2002)) 를 사용하여 운동 이상의 존재에 대해 3 시간 기간에 걸쳐 20 분 마다 1 분 동안 관찰하였다. 랫트에 연속 14 일 동안 약물을 투여하고 제 1, 2, 3, 4, 5, 8, 10 및 12 일에 점수를 매겼다. 양방향 반복 측정 ANOVA 로, 유의한 처리 효과, 시간 효과 및 시간 상호작용에 의한 처리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모든 경우 p<0.001). 홀름-시닥 (Holm-Sidak) 방법을 사용하는 사후 검증 (Post hoc) 비교는 L-DOPA 또는 아포모르핀으로 처리한 동물에 비해 (약 70 의 점수) 화합물 10 으로 처리한 동물이 유의하게 적은 운동 이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약 30 의 점수). L-DOPA 및 아포모르핀 처리군 사이에 차이점은 없었다. 실시예 1 이 어떻게 아포모르핀 및 L-DOPA 군에서 나타난 운동 이상의 중증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험 후 모든 랫트에게 제 15-19 일로부터 화합물 10 을 피하 주입하였다. 운동 이상 점수화를 실험의 제 19 일에 수행하였다 (화합물 10 에서의 5 일에 상응함). 데이터는 L-DOPA 및 아포모르핀에 의해 유도된 운동 이상의, 대략적으로 화합물 10 에 의해 유도된 운동 이상의 수준으로의 부분적 반전을 나타내었다 (처리 12 일 후 관찰된 약 30 의 점수에 비해, 제 1 군에서의 운동 이상에 있어서 증가를 일으키지 않았음).
운동 이상 랫트 모델
개별적인 운동 이상 연구는, 프라미펙솔 또는 화합물 10 을 사용한 L-DOPA 유도 운동 이상의 반전을 검토하였다. 간략하게, 18 마리의 동물을 7 일 동안 L-DOPA/벤세라지드 (6/15 mg/kg 피하) 로 처리하였다. 동물을 제 1, 3 및 5 일에 관찰하고 AIMS 를 점수 매겼다. 이후 제 5 일 점수를 사용하여 동물을 각각 6 마리의 3 개 군으로 분리하였다. 제 1 군은 매일 L-DOPA 처리를 지속하였다. 제 2 군은 화합물 10 으로 처리하였다 (피하 투여). 제 3 군은 프라미펙솔로 처리하였다 (0.16 mg/kg 피하). 처리를 10 일 동안 매일 지속하고 운동 이상의 양을 제 1, 5, 9 및 10 일에 점수 매겼다. 편차의 양방향 반복 측정 분석은, 화합물 10 으로 처리한 동물이 프라미펙솔 군 및 L-DOPA/벤세라지드 군 모두 보다 유의하게 적은 운동 이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프라미펙솔 군은 L-DOPA/벤세라지드 군보다 유의하게 적은 운동 이상을 가졌다. 따라서, 화합물 10 은 L-DOPA 에 의해 유도된 운동 이상을 반전시키는데 있어서 프라미펙솔에 비해 우수한 프로파일을 가졌다.
MPTP -처리된 통상적 마모셋에서의 항-파킨슨병 효과
6 마리의 MPTP 처리 마모셋 (멸균 0.9% 염수 용액에 용해된, 5 연속일까지 동안 매일 2.0 mg/kg) 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동물을 이전에 30 일까지 동안 매일 투여한 L-DOPA 로 처리하여 (12.5 mg/kg p.o., + 카르비도파 (carbidopa) 12.5 mg/kg p.o.) 운동 이상을 유도하였다. 연구 전에 모든 대상은, 기초 운동 활성의 현저한 감소, 움직임의 불량한 조화, 비정상적 및/또는 경직된 자세, 감소된 조심성 및 머리 체크 이동 (head checking movement) 을 포함하는 안정한 운동 결함을 나타내었다. 돔페리돈 (Domperidone) 을 임의의 시험 화합물 60 분 전에 투여하였다. 돔페리돈은 구역질 및 구토를 억제하는 항-도파민성 약물이다. 케이지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8 개 적외선 빔으로 이루어지는 8 개 광-전기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시험 케이지를 사용하여 운동 활성을 평가하고 빔의 중단을 1 회 계수로 기록하였다. 시간 분할 당 빔 계수의 총 수를 이후 시간 과정으로서 플로팅하거나 총 활성에 대한 곡선 하 영역 (AUC) 으로서 디스플레이하였다. 처리에 대해 맹검화한 훈련된 관찰자에 의해 운동 무능력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L-DOPA (12.5 mg/kg, p.o.) 는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운동 활성을 증가시키고 운동 무능력을 반전시켰다 (Smith, et al. Mov . Disord . 2002, 17(5), 887). 이러한 챌린지를 위해 선택된 투여량은 상기 약물에 대한 투여량 반응 곡선의 상부에 있었다. 화합물 10 (피하 투여) 은 L-DOPA (12.5 mg/kg, p.o.) 에 대한 것 초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경향이 있는 운동 무능력의 반전 및 운동 활성에서의 투여량-관련 증가를 생성시켰다. 시험 화합물 모두 L-DOPA 에 비해 운동 무능력의 연장된 반전을 생성시켰으며 L-DOPA 만큼 효과적이었다. 화합물 10 은 L-DOPA 에 비해 운동 무능력의 연장된 반전을 생성시켰으며 L-DOPA 만큼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3: 화합물 11 의 약리학적 시험
D 1 cAMP 검정
인간 재조합 D1 수용체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CHO 세포에서의 D1 수용체 매개 cAMP 형성을 자극하거나 저해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 3 일 전 11000 세포/웰의 농도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실험일에 세포를 사전가열된 G 완충액 (PBS (인산 완충 식염수) 중 1 mM MgCl2, 0.9 mM CaCl2, 1 mM IBMX (3-i-부틸-1-메틸잔틴)) 으로 1 회 세척하고 G 완충액에 희석된 30 nM A68930 및 시험 화합물 (길항 작용) 또는 G 완충액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 (아고니즘) 의 혼합물 100 ㎕ 를 첨가하여 검정을 개시하였다.
세포를 37℃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100 ㎕ S 완충액 (0.1 M HCl 및 0.1 mM CaCl2)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4℃ 에 두었다. 68 ㎕ N 완충액 (0.15 M NaOH 및 60 mM NaOAc) 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10 분 동안 진탕하였다. 60 ㎕ 의 반응물을, 40 ㎕ 6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pH 6.2 를 포함하는 cAMP FlashPlates (DuPont NEN) 에 옮기고 100 ㎕ IC 믹스 (5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pH 6.2, 0.1% 나트륨 아자이드, 12 mM CaCl2, 1% BSA (소 혈청 알부민) 및 0.15 마이크로-Ci/㎖ 125I-cAMP) 를 첨가하였다. 4℃ 에서 18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플레이트를 1 회 세척하고 Wallac TriLux 계수기에서 계수하였다. 활성 대사 산물 또는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1 아고니스트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D 2 cAMP 검정
인간 D2 수용체로 트랜스펙션된 CHO 세포에서의 cAMP 형성의 D2 수용체 매개 저해를 자극하거나 저해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 3 일 전 8000 세포/웰의 농도로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실험일에 세포를 사전가열된 G 완충액 (PBS 중 1 mM MgCl2, 0.9 mM CaCl2, 1 mM IBMX) 으로 1 회 세척하고, G 완충액 중 1 μM 퀸피롤, 10 μM 포스콜린 및 시험 화합물 (길항 작용) 또는 G 완충액 중 10 μM 포스콜린 및 시험 화합물 (아고니즘) 의 혼합물 100 ㎕ 를 첨가하여 검정을 개시하였다.
세포를 37℃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100 ㎕ S 완충액 (0.1 M HCl 및 0.1 mM CaCl2)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4℃ 에 두었다. 68 ㎕ N 완충액 (0.15 M NaOH 및 6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10 분 동안 진탕하였다. 60 ㎕ 의 반응물을, 40 ㎕ 60 mM NaOAc pH 6.2 를 포함하는 cAMP FlashPlates (DuPont NEN) 에 옮기고 100 ㎕ IC 믹스 (50 mM NaOAc pH 6.2, 0.1% 나트륨 아자이드, 12 mM CaCl2, 1% BSA 및 0.15 마이크로-Ci/㎖ 125I-cAMP) 를 첨가하였다. 4℃ 에서 18 시간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1 회 세척하고 Wallac TriLux 계수기에서 계수하였다. 활성 대사 산물 또는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2 아고니스트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D 5 검정
hD5-트랜스펙션된 CHO-Ga16 세포에서의 도파민에 의한 세포내 Ca2 + 방출의 농도-의존적 자극. 세포를 칼슘 표시제 염료인 플루오로-4 로 1 시간 동안 로딩하였다. 칼슘 반응 (형광 변화) 을 2.5 분 동안 FLIPR (형광측정 영상화 플레이트 판독기) 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각 데이터 지점에 대한 2 반복 웰로부터 피크 반응 (EC50) 을 평균화하고 약물 농도로 플로팅하였다. 활성 대사 산물 또는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5 아고니스트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6- OHDA 랫트 모델
도파민 아고니스트는 D1 수용체, D2 수용체, 또는 둘 모두에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편측 6-OHDA 병변을 갖는 랫트에서의 회전 반응을 사용하여 두 수용체 유형을 모두 자극하고 회전을 유도하는 이들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Ungerstedt and Arbuthnott, Brain Res . 24, 485 (1970); Setler, et al ., Eur . J. Pharmacol ., 50(4), 419 (1978); 및 Ungerstedt, et al ., "Advances in Dopamine Research" (Kohsaka, Ed.), Pergamon Press, 1982, Oxford, p. 219). 6-OHDA (6-히드록시도파민) 는 실험 동물에서의 뇌 내 주입 부위에서 선택적으로 도파민성 뉴런을 사멸시키기 위해 신경생물학자에 의해 사용되는 신경독소이다. 6-OHDA 모델에서, 흑질 선조체 도파민 세포는 6-OHDA 를 흑질 전방에 위치한 정중 전뇌 관속에 주입함으로써 뇌의 한쪽면 (편측) 에서 파괴된다. 도파민 아고니스트 예컨대 아포모르핀에 의한 자극과 조합된 이러한 편측 주입은, 뇌의 한쪽면만 자극하기 때문에 회전 거동을 유도할 것이다. 실험은, 검토되는 화합물에 대해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최소 유효 투여량 (MED) 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MED 가 결정되고 나면, 두 번째 실험을 수행하여 네모나프리드 차단을 극복하기 위한 화합물의 MED (MED네모나프리드) 를 측정한다. 네모나프리드는 D2 수용체를 차단하는 D2 길항제이므로, 임의의 관찰된 회전은 D1 수용체에서의 활성에 의존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MED네모나프리드가 공지되고 나면, MED네모나프리드 투여량을 사용하며 D1 길항제, SCH 23390 단독, D2 길항제, 네모나프리드 단독의 효과, 및 마지막으로 SCH 23390 과 네모나프리드의 병용 치료의 효과를 관찰하는 세 번째 실험을 실행한다. 상기 세 번째 실험으로 두 수용체 모두에서 화합물의 활성이 확인되는데, 이는 아고니스트 단독이 시험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회전 반응을 단지 부분적으로만 저해할 수 있는 한편 병용 치료는 랫트에서의 모든 회전을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이다 (Arnt and Hyttel; Psychopharmacology, 85(3), 346 (1985); 및 Sonsalla, et al ., J. Pharmacol Exp . Ther ., 247(1), 180, (1988)). 상기 모델은, 혼합 D1/D2 아고니스트에 대한 원리 증명 화합물로서 아포모르핀을 사용하여 인가되었다.
상기 모델에서, 화합물 10 및 화합물 11 은 아포모르핀에 대한 약 3 의 비에 비교하여 약 2 의 D1/D2 비를 갖는 '아포모르핀'-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관찰된 작용의 지속 기간은 상기 화합물에 대해 약 18 시간이었으며 이는 L-DOPA / 아포모르핀으로 나타난 것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D1 성분은 프라미펙솔 및 로티고틴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D2-아고니스트에 대해 관찰될 수 없었다.
우세 모델
아포모르핀 및 L-DOPA 는 중증 도파민 결핍의 마우스 모델에서 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킬 수 있다. 아포모르핀 및 L-DOPA 모두는 D1 및 D2 도파민 수용체를 자극한다. D2-형 수용체에서의 아고니스트인 프라미펙솔은 상기 모델에서 효과가 없다.
실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MPTP 로 이전에 처리하였으며 (2x15 mg/kg 피하) 안정한 병변을 갖는 마우스를 사용하고, 비히클 처리 마우스를 정상 대조군으로서 역할하게 하였다. MPTP (1-메틸-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 는 뇌의 흑질 내 특정 뉴런을 사멸시켜 파킨슨병의 영구적 증상을 유발하는 신경독소이다. 이는 원숭이 및 마우스에서의 질환 연구에 사용된다. 실험일에, 마우스를 AMPT 로 처리한 후 (250 mg/kg 피하) 1.5 시간 동안 이들의 홈 케이지에 되돌려놓은 후, 이들을 운동성 유닛 내 개별적 케이지에 두었다. AMPT (알파-메틸-p-티로신) 는 뇌 카테콜아민 활성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특히 도파민 수준의 경우). AMPT 주입 3 시간 후, 운동 결함의 구제를 활성 대사 산물 또는 화합물 10 으로 시도하고, 추가 1.5 시간 동안 활성을 기록하였다. 구제 처리 후 수집된 데이터의 최초 30 분은 비히클 대조군에서의 증가된 수준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이 취급 및 주입으로 인한 동물 스트레스로 인해 "오염" 되었으므로, 기록 데이터의 마지막 1 시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도파민성 화합물을, 상기 모델에서 생성된 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키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L-DOPA/벤세라지드, 및 아포모르핀은 모두 투여량-의존적 방식으로 마우스에서 운동을 회복시켰다. 벤세라지드는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를 수 없는 DOPA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이며; 이는 뇌 외부 도파민에 대한 L-DOPA 의 대사작용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반대로, D2 아고니스트, 프라미펙솔 및 브로모크립틴은 마우스에서의 운동을 회복시키지 않았다.
상기 모델을 사용하여 활성 대사 산물 또는 화합물 10 이 D2 아고니스트에 비해 L-DOPA 및 아포모르핀과 동일한 우세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투여량 반응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내재성 도파민의 심각한 결핍에 의해 유도된 저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키기 위한 투여량-의존적 경향이 존재하였다. 아포모르핀, 프라미펙솔 및 화합물 10 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최종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합물 10 이 MPTP 처리된 마우스에서 운동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 이는 프라미펙솔에 대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운동 이상 랫트 모델
문헌에 보고되어 있는 랫트 운동 이상 모델 (Lundblad, et al ., Eur . J Neurosci., 2002, 15, 120) 을 사용하여, '파킨슨병' 랫트에서의 비정상 무의식적 움직임 (AIM) 으로서 평가된 운동 이상에 대해 활성 대사 산물 대 L-DOPA/벤세라지드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연구 설계
연구를 통해, 동물에게 L-DOPA/벤세라지드 (6 mg/kg 및 15 mg/kg 피하) 또는 활성 대사 산물 (화합물 10) (B 군) 을 t = -20분. 0-180 분에 1 일 1 회 투여하였다. 동물을 운동 이상에 대해 점수 매겼다. 제 1 - 14 일: 모든 동물에게 L-DOPA/벤세라지드 (A 군) 또는 활성 대사 산물 (화합물 10) (B 군) 을 투여하였다.
제 1, 3, 5, 8 및 12 일에,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정상 무의식적 움직임 척도 (AIMS) (Lundblad, et al ., Eur . J Neurosci ., 2002, 15, 120) 를 사용하여 운동 이상을 기록함으로써 동물을 AIM-점수화에 따라 점수 매겼다. 제 15 - 26 일: A 군 동물을 L-DOPA/벤세라지드 대신 시험 약물 (B 군으로서) 로 처리하였다. 제 15, 16, 17, 19, 22, 24 및 26 일: AIM-점수화에 따라 동물을 점수 매겼다.
6-OHDA 랫트에서의 L-DOPA-유도 운동 이상의 반전
치료 8 일 후, A 군 동물은 10-12 의 운동 이상 점수를 가졌으며, 이는 제 12 일까지 일정하게 남아 있었다. 반대로, B 군 동물은 유의하게 적은 운동 이상을 가졌다 (2-4 의 점수). B 군에 대해, 운동 이상의 정도는 연구 동안 변화하지 않았다. A 군 동물을 L-DOPA/벤세라지드로부터 시험 약물로 변경시킨 후, 이들의 운동 이상 수준은 다른 군의 동물에 대해 관찰된 수준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화합물 11 은 L-DOPA 보다 운동 이상을 유의하게 덜 유도하였으며 L-DOPA 에 의해 유도된 운동 이상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MPTP -처리된 통상적 마모셋에서의 항-파킨슨병 효과
6 마리의 MPTP 처리 마모셋 (멸균 0.9% 염수 용액에 용해된, 5 연속일까지 동안 매일 2.0 mg/kg) 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동물을 이전에 30 일까지 동안 매일 투여한 L-DOPA 로 처리하여 (12.5 mg/kg p.o., + 카르비도파 12.5 mg/kg p.o.) 운동 이상을 유도하였다. 연구 전에 모든 대상은, 기초 운동 활성의 현저한 감소, 움직임의 불량한 조화, 비정상적 및/또는 경직된 자세, 감소된 조심성 및 머리 체크 이동을 포함하는 안정한 운동 결함을 나타내었다. 돔페리돈을 임의의 시험 화합물 60 분 전에 투여하였다. 돔페리돈은 구역질 및 구토를 억제하는 항-도파민성 약물이다. 케이지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8 개 적외선 빔으로 이루어지는 8 개 광-전기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시험 케이지를 사용하여 운동 활성을 평가하고 빔의 중단을 1 회 계수로 기록하였다. 시간 분할 당 빔 계수의 총 수를 이후 시간 과정으로서 플로팅하거나 총 활성에 대한 곡선 하 영역 (AUC) 으로서 디스플레이하였다. 처리에 대해 맹검화한 훈련된 관찰자에 의해 운동 무능력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L-DOPA (12.5 mg/kg, p.o.) 는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운동 활성을 증가시키고 운동 무능력을 반전시켰다 (Smith, et al. Mov . Disord. 2002, 17(5), 887). 이러한 챌린지를 위해 선택된 투여량은 상기 약물에 대한 투여량 반응 곡선의 상부에 있었다. 화합물 11 (p.o 투여) 뿐 아니라 화합물 10 (피하 투여) 은 L-DOPA (12.5 mg/kg, p.o.) 에 대한 것 초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경향이 있는 운동 무능력의 반전 및 운동 활성에서의 투여량-관련 증가를 생성시켰다. 시험 화합물 모두 L-DOPA 에 비해 운동 무능력의 연장된 반전을 생성시켰으며 L-DOPA 만큼 효과적이었다.
시험관내 간세포 ( Hepatocyte ) 검정
동결보존된 혼주 수컷 랫트 간세포 (스프라그 돌리) 및 10 명의 공여자 (남성 및 여성) 로부터의 혼주 인간 간세포를 In Vitro Technologies Inc., BA, USA 에서 구매하였다. 세포를 수조에서 37℃ 에서 해동하고, 살아 있는 세포를 계수하고, 96 웰 플레이트 내 5 mM Hepes 완충액을 갖는 둘베코 개질 이글 배지 (고 글루코오스) 에 총 100 ㎕ 로 파종하였다 (각 웰은 랫트 및 인간 간세포에 대해 각각 250,000 및 500,000 세포/㎖ 을 포함함). 사전-인큐베이션 15 분 후 인큐베이션을 시작하였고, 랫트에 대해서는 0, 5, 15, 30 및 60 분의 시간 지점에서, 인간 간세포에 대해서는 0, 30, 60, 90 및 120 분의 시간 지점에서 중단하였다. 10% 1 M HCl 을 포함하는 동량의 얼음-냉각된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인큐베이션을 중단하였다. 원심분리 후, 20 ㎕ 의 상청액을 HPLC 컬럼 Atlantis dC18 3 micro-m, 150 x 2.1 mm i.d. (Waters, MA, USA) 에 주입하였다. 이동상은 하기의 조성을 가졌다: A: 5% 아세토니트릴, 95% H20, 3.7 ㎖/ℓ 25% 수성 NH3, 1.8 ㎖/ℓ 포름산. 이동상 B: 100% 아세토니트릴 및 0.1% 포름산. 유속은 0.3 ㎖/분이었다. 구배는 0% 에서 75% B, 5 분 내지 20 분 작동하였으며, Q-TOFmicro 질량 분석계 (Waters, MA, USA) 를 사용하여 용리액을 분석하였다. 생성물/대사 산물의 형성을, 정확한 질량 측정 및 부합하는 유지 시간이 수득되는 합성 표준물과의 비교에 의해 확인하였다. 상기 검정에서, 화합물 10 에 대한 화합물 11 의 대사 작용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4: 화합물 12 의 약리학적 시험
D 1 cAMP 검정
인간 재조합 D1 수용체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CHO 세포에서의 D1 수용체 매개 cAMP 형성을 자극하거나 저해하는 상기 화합물의 능력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세포를 실험 3 일 전 11000 세포/웰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실험일에 세포를 사전가열된 G 완충액 (PBS (인산 완충 식염수) 중 1 mM MgCl2, 0.9 mM CaCl2, 1 mM IBMX (3-i-부틸-1-메틸잔틴)) 으로 1 회 세척하고, G 완충액에 희석된 30 nM A68930 및 시험 화합물 (길항 작용) 또는 G 완충액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 (아고니즘) 의 혼합물 100 ㎕ 를 첨가하여 검정을 개시하였다.
세포를 37℃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100 ㎕ S 완충액 (0.1 M HCl 및 0.1 mM CaCl2)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4℃ 에 두었다. 68 ㎕ N 완충액 (0.15 M NaOH 및 60 mM NaOAc) 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10 분 동안 진탕하였다. 60 ㎕ 의 반응물을, 40 ㎕ 6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pH 6.2 를 포함하는 cAMP FlashPlates (DuPont NEN) 에 옮기고 100 ㎕ IC 믹스 (5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pH 6.2, 0.1% 나트륨 아자이드, 12 mM CaCl2, 1% BSA (소 혈청 알부민) 및 0.15 마이크로-Ci/㎖ 125I-cAMP) 를 첨가하였다. 4℃ 에서 18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플레이트를 1 회 세척하고 Wallac TriLux 계수기에서 계수하였다. 활성 대사 산물 (즉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1 아고니스트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D 2 cAMP 검정
인간 D2 수용체로 트랜스펙션된 CHO 세포에서의 cAMP 형성의 D2 수용체 매개 저해를 자극하거나 저해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 3 일 전 8000 세포/웰의 농도로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 실험일에 세포를 사전가열된 G 완충액 (PBS 중 1 mM MgCl2, 0.9 mM CaCl2, 1 mM IBMX) 으로 1 회 세척하고, G 완충액 중 1 μM 퀸피롤, 10 μM 포스콜린 및 시험 화합물 (길항 작용) 또는 G 완충액 중 10 μM 포스콜린 및 시험 화합물 (아고니즘) 의 혼합물 100 ㎕ 를 첨가하여 검정을 개시하였다.
세포를 37℃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100 ㎕ S 완충액 (0.1 M HCl 및 0.1 mM CaCl2) 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플레이트를 1 시간 동안 4℃ 에 두었다. 68 ㎕ N 완충액 (0.15 M NaOH 및 60 mM 나트륨 아세테이트) 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10 분 동안 진탕하였다. 60 ㎕ 의 반응물을, 40 ㎕ 60 mM NaOAc pH 6.2 를 포함하는 cAMP FlashPlates (DuPont NEN) 에 옮기고 100 ㎕ IC 믹스 (50 mM NaOAc pH 6.2, 0.1% 나트륨 아자이드, 12 mM CaCl2, 1% BSA 및 0.15 마이크로-Ci/㎖ 125I-cAMP) 를 첨가하였다. 4℃ 에서 18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플레이트를 1 회 세척하고 Wallac TriLux 계수기에서 계수하였다. 활성 대사 산물 (즉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2 아고니스트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D 5 검정
hD5-트랜스펙션된 CHO-Ga16 세포에서의 도파민에 의한 세포내 Ca2 + 방출의 농도-의존적 자극. 세포를 칼슘 표시제 염료인 플루오로-4 로 1 시간 동안 로딩하였다. 칼슘 반응 (형광 변화) 을 2.5 분 동안 FLIPR (형광측정 영상화 플레이트 판독기) 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각 데이터 지점에 대한 2 반복 웰로부터 피크 반응 (EC50) 을 평균화하고 약물 농도로 플로팅하였다 (도파민에 대한 도 2 참조). 활성 대사 산물 (즉 화합물 10) 은 상기 검정에서 D5 아고니스트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6- OHDA 랫트 모델
도파민 아고니스트는 D1 수용체, D2 수용체, 또는 둘 모두에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편측 6-OHDA 병변을 갖는 랫트에서의 회전 반응을 사용하여 두 수용체 유형을 모두 자극하고 회전을 유도하는 이들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Ungerstedt and Arbuthnott; Brain Res ., 24, 485 (1970); Setler, et al ., Eur . J. Pharmacol ., 50(4), 419 (1978); 및 Ungerstedt, et al ., "Advances in Dopamine Research" (Kohsaka, Ed.), Pergamon Press, 1982, Oxford, p. 219). 6-OHDA (6-히드록시도파민) 는 실험 동물에서의 뇌 내 주입 부위에서 선택적으로 도파민성 뉴런을 사멸시키기 위해 신경생물학자에 의해 사용되는 신경독소이다. 6-OHDA 모델에서, 흑질 선조체 도파민 세포는 6-OHDA 를 흑질 전방에 위치한 정중 전뇌 관속에 주입함으로써 뇌의 한쪽면 (편측) 에서 파괴된다. 도파민 아고니스트 예컨대 아포모르핀에 의한 자극과 조합된 이러한 편측 주입은, 뇌의 한쪽면만 자극하기 때문에 회전 거동을 유도할 것이다. 실험은, 검토되는 화합물에 대해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최소 유효 투여량 (MED) 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MED 가 결정되고 나면, 두 번째 실험을 수행하여 네모나프리드 차단을 극복하기 위한 화합물의 MED (MED네모나프리드) 를 측정한다. 네모나프리드는 D2 수용체를 차단하는 D2 길항제이므로, 임의의 관찰된 회전은 D1 수용체에서의 활성에 의존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MED네모나프리드가 공지되고 나면, MED네모나프리드 투여량을 사용하며 D1 길항제, SCH 23390 단독, D2 길항제, 네모나프리드 단독의 효과, 및 마지막으로 SCH 23390 과 네모나프리드의 병용 치료의 효과를 관찰하는 세 번째 실험을 실행한다. 상기 세 번째 실험으로 두 수용체 모두에서 화합물의 활성이 확인되는데, 이는 아고니스트 단독이 시험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회전 반응을 단지 부분적으로만 저해할 수 있는 한편 병용 치료는 랫트에서의 모든 회전을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이다 [Arnt and Hyttel, Psychopharmacology, 1985, 85(3), 346; 및 Sonsalla et al ., J. Pharmacol Exp . Ther ., 1988, 247(1), 180]. 상기 모델은, 혼합 D1/D2 아고니스트에 대한 원리 증명 화합물로서 아포모르핀을 사용하여 인가되었다.
상기 모델에서, 화합물 1012 는 아포모르핀에 대한 약 3 의 비에 비교하여 약 2-4 의 D1/D2 비를 갖는 '아포모르핀'-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또한, 관찰된 작용의 지속 기간은 상기 화합물에 대해 약 18 시간이었으며 이는 L-DOPA / 아포모르핀으로 나타난 것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D1 성분은 프라미펙솔 및 로티고틴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D2-아고니스트에 대해 관찰될 수 없었다.
우세 모델
아포모르핀 및 L-DOPA 는 중증 도파민 결핍의 마우스 모델에서 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킬 수 있다. 아포모르핀 및 L-DOPA 모두는 D1 및 D2 도파민 수용체를 자극한다. D2 수용체에서의 아고니스트인 프라미펙솔은 상기 모델에서 효과가 없다.
실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MPTP 로 이전에 처리하였으며 (2x15 mg/kg 피하) 안정한 병변을 갖는 마우스를 사용하고, 비히클 처리 마우스를 정상 대조군으로서 역할하게 하였다. MPTP (1-메틸-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 는 뇌의 흑질 내 특정 뉴런을 사멸시켜 파킨슨병의 영구적 증상을 유발하는 신경독소이다. 이는 원숭이 및 마우스에서의 질환 연구에 사용된다. 실험일에, 마우스를 AMPT 로 처리한 후 (250 mg/kg 피하) 1.5 시간 동안 이들의 홈 케이지에 되돌려놓은 후, 이들을 운동성 유닛 내 개별적 케이지에 두었다. AMPT (알파-메틸-p-티로신) 는 뇌 카테콜아민 활성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특히 도파민 수준의 경우). AMPT 주입 3 시간 후, 운동 결함의 구제를 화합물 10 으로 시도하고, 추가 1.5 시간 동안 활성을 기록하였다. 구제 처리 후 수집된 데이터의 최초 30 분은 비히클 대조군에서의 증가된 수준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이 취급 및 주입으로 인한 동물 스트레스로 인해 "오염" 되었으므로, 기록 데이터의 마지막 1 시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도파민성 화합물을, 상기 모델에서 생성된 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키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L-DOPA/벤세라지드, 및 아포모르핀은 모두 투여량-의존적 방식으로 마우스에서 운동을 회복시켰다. 벤세라지드는 혈액-뇌 장벽을 가로지를 수 없는 DOPA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이며; 이는 뇌 외부 도파민에 대한 L-DOPA 의 대사작용을 방지하는데 사용되었다. 반대로, D2 아고니스트, 프라미펙솔 및 브로모크립틴은 마우스에서의 운동을 회복시키지 않았다.
상기 모델을 사용하여 화합물 10 이 D2 아고니스트에 비해 L-DOPA 및 아포모르핀과 동일한 우세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투여량 반응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내재성 도파민의 심각한 결핍에 의해 유도된 저운동성 결함을 반전시키기 위한 투여량-의존적 경향이 존재하였다. 상기 모델에서 아포모르핀, 프라미펙솔 및 화합물 10 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최종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합물 10 이 MPTP 처리된 마우스에서 운동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 이는 프라미펙솔에 대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운동 이상 랫트 모델
문헌에 보고되어 있는 랫트 운동 이상 모델 (Lundblad, et al ., Eur . J Neurosci ., 2002, 15, 120) 을 사용하여, '파킨슨병' 랫트에서의 비정상 무의식적 움직임 (AIM) 으로서 평가된 운동 이상에 대해 화합물 12 대 L-DOPA/벤세라지드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연구 설계
연구를 통해, 동물에게 L-DOPA/벤세라지드 (6 mg/kg 및 15 mg/kg 피하) 또는 화합물 12 (B 군) 를 t = -20분. 0-180 분에 1 일 1 회 투여하였다. 동물을 운동 이상에 대해 점수 매겼다. 제 1 - 14 일: 모든 동물에게 L-DOPA/벤세라지드 (A 군) 또는 화합물 12 (B 군) 를 투여하였다.
제 1, 3, 5, 8 및 12 일에,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정상 무의식적 움직임 척도 (AIMS) 를 사용하여 운동 이상을 기록함으로써 동물을 AIM-점수화에 따라 점수 매겼다. 제 15 - 26 일: A 군 동물을 L-DOPA/벤세라지드 대신 화합물 12 (B 군으로서) 로 처리하였다. 제 15, 16, 17, 19, 22, 24 및 26 일: AIM-점수화에 따라 동물을 점수 매겼다.
결과
치료 8 일 후, A 군 동물은 70-80 의 운동 이상 점수를 가졌으며, 이는 제 15 일까지 일정하게 남아 있었다. 반대로, B 군 동물은 유의하게 적은 운동 이상을 가졌다 (10-25 의 점수). B 군에 대해, 운동 이상의 정도는 연구 동안 변화하지 않았다. A 군 동물을 L-DOPA/벤세라지드로부터 화합물 12 로 10 일 동안 변경시킨 후, 이들의 운동 이상 수준은 30-35 의 점수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화합물 12 는 L-DOPA 보다 운동 이상을 유의하게 덜 유도하였으며 L-DOPA 에 의해 유도된 운동 이상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MPTP -처리된 통상적 마모셋에서의 항-파킨슨병 효과
6 마리의 MPTP 처리 마모셋 (멸균 0.9% 염수 용액에 용해된, 5 연속일까지 동안 매일 2.0 mg/kg) 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동물을 이전에 30 일까지 동안 매일 투여한 L-DOPA 로 처리하여 (12.5 mg/kg p.o., + 카르비도파 12.5 mg/kg p.o.) 운동 이상을 유도하였다. 연구 전에 모든 대상은, 기초 운동 활성의 현저한 감소, 움직임의 불량한 조화, 비정상적 및/또는 경직된 자세, 감소된 조심성 및 머리 체크 이동을 포함하는 안정한 운동 결함을 나타내었다. 돔페리돈을 임의의 시험 화합물 60 분 전에 투여하였다. 케이지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8 개 적외선 빔으로 이루어지는 8 개 광-전기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시험 케이지를 사용하여 운동 활성을 평가하고 빔의 중단을 1 회 계수로 기록하였다. 시간 분할 당 빔 계수의 총 수를 이후 시간 과정으로서 플로팅하거나 총 활성에 대한 곡선 하 영역 (AUC) 으로서 디스플레이하였다. 처리에 대해 맹검화한 훈련된 관찰자에 의해 운동 무능력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L-DOPA (12.5 mg/kg, p.o.) 는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운동 활성을 증가시키고 운동 무능력을 반전시켰다 (Smith, et al. Mov . Disord . 2002, 17(5), 887). 이러한 챌린지를 위해 선택된 투여량은 상기 약물에 대한 투여량 반응 곡선의 상부에 있었다. 화합물 12 (p.o 투여) 뿐 아니라 화합물 10 (p.o 투여) 은 L-DOPA (12.5 mg/kg, p.o.) 에 대한 것 초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경향이 있는 운동 무능력의 반전 및 운동 활성에서의 투여량-관련 증가를 생성시켰다. 시험 화합물 모두 L-DOPA 에 비해 운동 무능력의 연장된 반전을 생성시켰으며 L-DOPA 만큼 효과적이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파킨슨병을 치료하면서 낮은 운동 이상 유도 프로파일을 유지시키기 위한 (6aR,10aR)-7-n-프로필-6,6a,7,8,9,10,10a,11-옥타히드로-1,3-디옥사-7-아자-시클로펜타[a]안트라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운동 이상이 기저핵-관련 운동 장애와 연관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운동 이상이 파킨슨병과 연관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운동 이상이 특발성 파킨슨병 또는 뇌염후 파킨슨증과 연관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운동 이상이 파킨슨병에서의 효능 소멸-근긴장이상 (off-dystonia) 과 연관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운동 이상이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부작용으로서 발생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운동 이상이 도파민 대체 치료요법과 연관되는 약학적 조성물로서, 여기서 도파민 대체 치료요법제가 로티고틴, 로피니롤, 프라미펙솔, 카베르골린, 브로모크립틴, 리수라이드, 페르골리드, L-DOPA 및 아포모르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적 조성물.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운동 이상이 L-DOPA 의 반복 투여의 결과로서 확립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17019748A 2009-02-27 2010-02-26 운동 이상 관련 장애의 치료 KR101700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900281 2009-02-27
DKPA200900280 2009-02-27
DKPA200900281 2009-02-27
DKPA200900280 2009-02-27
DKPA200900273 2009-02-27
DKPA200900273 2009-02-27
PCT/DK2010/050051 WO2010097092A1 (en) 2009-02-27 2010-02-26 Treatment of dyskinesia related disor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340A KR20110132340A (ko) 2011-12-07
KR101700978B1 true KR101700978B1 (ko) 2017-01-31

Family

ID=4206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48A KR101700978B1 (ko) 2009-02-27 2010-02-26 운동 이상 관련 장애의 치료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120108624A1 (ko)
EP (2) EP3653210A1 (ko)
JP (1) JP5738775B2 (ko)
KR (1) KR101700978B1 (ko)
CN (1) CN102333531B (ko)
AR (1) AR075625A1 (ko)
AU (1) AU2010217059B2 (ko)
BR (1) BRPI1007017A2 (ko)
CA (1) CA2751322C (ko)
CL (1) CL2011002102A1 (ko)
CO (1) CO6410297A2 (ko)
EA (1) EA023778B1 (ko)
HK (1) HK1166472A1 (ko)
IL (1) IL213502A (ko)
MX (1) MX340138B (ko)
NZ (1) NZ594264A (ko)
SG (1) SG174163A1 (ko)
TW (1) TW201036949A (ko)
WO (1) WO2010097092A1 (ko)
ZA (1) ZA2011062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R20200225A (es) * 2017-11-24 2020-07-25 H Lundbeck As Nuevos fármacos de catecolamina para uso en el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 parkinson
WO2020070099A1 (en) 2018-10-02 2020-04-09 H. Lundbeck A/S Administration of catecholamine prodrugs in combination with a 5-ht2b antagonist
US11130775B2 (en) * 2019-05-20 2021-09-28 H. Lundbeck A/S Solid forms of (2S,3S,4S,5R,6S)-3,4,5-trihydroxy-6-(((4aR,10aR)-7-hydroxy-1-propyl-1,2,3,4,4A,5,10,10A-octahydrobenzo[g]quinolin-6-yl)oxy)tetrahydro-2H-pyran-2-carboxylic acid
US11168056B2 (en) 2019-05-20 2021-11-09 H. Lundbeck A/S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6aR,10aR)-7-propyl-6,6a,7,8,9,10,10a,11-octahydro-[1,3]dioxolo[4′,5′:5,6]benzo[1,2-G]quinoline and (4aR,10aR)-1-propyl-1,2,3,4,4a,5,10,10a-octahydro-benzo[G]quinoline-6,7-diol
US11104697B2 (en) 2019-05-20 2021-08-31 H. Lundbeck A/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2S,3S,4S,5R,6S)-3,4,5-trihydroxy-6-(((4AR,10AR)-7-hydroxy-1- propyl-1,2,3,4,4A,5,10,10A-octahydrobenzo[g]quinolin-6-yl)oxy)tetrahydro-2H-pyran-2-carboxylic acid
US11111263B2 (en) 2019-05-20 2021-09-07 H. Lundbeck A/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2S,3S,4S,5R,6S)-3,4,5-trihydroxy-6-(((4aR,10aR)-7-hydroxy-1-propyl-1,2,3,4,4a,5,10,10a-octahydrobenzo[g]quinolin-6-yl)oxy)tetrahydro-2H-pyran-2-carboxylic acid
WO2020234274A1 (en) 2019-05-21 2020-11-26 H. Lundbeck A/S New catecholamine prodrug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JP2022533311A (ja) 2019-05-21 2022-07-22 ハー・ルンドベック・アクチエゼルスカベット パーキンソン病の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新規なカテコールアミンプロドラッグ
CN113727974A (zh) * 2019-05-21 2021-11-30 H.隆德贝克有限公司 用于治疗帕金森病的新儿茶酚胺前药
EP3972600A1 (en) 2019-05-21 2022-03-30 H. Lundbeck A/S Catecholamine carbamate prodrug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arkinson s disease
JP2023552699A (ja) 2020-11-17 2023-12-19 ハー・ルンドベック・アクチエゼルスカベット パーキンソン病の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新規なカテコールアミンプロドラッグ
WO2023208869A1 (en) 2022-04-25 2023-11-02 Integrative Research Laboratories Sweden Ab NOVEL ESTERS OF 1,2,3,4,4a,5,6,7,8,9,10,10a-DODECAHYDROBENZO[G]QUINOLIN-6-OL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23208867A1 (en) 2022-04-25 2023-11-02 Integrative Research Laboratories Sweden Ab NOVEL 1,2,3,4,4a,5,8,9,10,10a-DECAHYDROBENZO[G]QUINOLIN-6(7H)-O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23208865A1 (en) 2022-04-25 2023-11-02 Integrative Research Laboratories Sweden Ab NOVEL 1,2,3,4,4a,5,6,7,8,9,10,10a-DODECAHYDROBENZO[G]QUINOLIN-6-OL COMPOUNDS AND USES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8713A1 (en) 2000-04-18 2001-10-25 Axon Biochemicals B.V. Phenylethylamines and condensed rings variants as prodrugs of catecholamines, and their use
WO2009026934A1 (en) 2007-08-31 2009-03-05 H. Lundbeck A/S Catecholamine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 s dise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8713A1 (en) 2000-04-18 2001-10-25 Axon Biochemicals B.V. Phenylethylamines and condensed rings variants as prodrugs of catecholamines, and their use
WO2009026934A1 (en) 2007-08-31 2009-03-05 H. Lundbeck A/S Catecholamine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 s diseas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008, 16(6), 3438-344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51322C (en) 2017-10-31
AU2010217059B2 (en) 2012-08-30
EA023778B1 (ru) 2016-07-29
BRPI1007017A2 (pt) 2016-03-29
US20120108624A1 (en) 2012-05-03
AU2010217059A1 (en) 2011-08-11
WO2010097092A1 (en) 2010-09-02
AR075625A1 (es) 2011-04-20
EP3653210A1 (en) 2020-05-20
IL213502A (en) 2017-02-28
ZA201106294B (en) 2012-10-31
CL2011002102A1 (es) 2012-07-20
EA201171088A1 (ru) 2012-02-28
CN102333531B (zh) 2013-11-06
IL213502A0 (en) 2011-07-31
NZ594264A (en) 2013-11-29
TW201036949A (en) 2010-10-16
JP2012519157A (ja) 2012-08-23
EP2400967B1 (en) 2019-08-14
JP5738775B2 (ja) 2015-06-24
EP2400967A1 (en) 2012-01-04
CO6410297A2 (es) 2012-03-30
CN102333531A (zh) 2012-01-25
MX340138B (es) 2016-06-28
MX2011008944A (es) 2011-09-15
KR20110132340A (ko) 2011-12-07
HK1166472A1 (en) 2012-11-02
SG174163A1 (en) 2011-10-28
CA2751322A1 (en)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978B1 (ko) 운동 이상 관련 장애의 치료
KR100525587B1 (ko) 알파-아미노아미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EA018011B1 (ru) Катехолам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полезные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езни паркинсона
CA1338508C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parkinsonism syndrome in mammals
JP2020522469A (ja) 新規重水素置換ポジトロン放出断層撮影(pet)造影剤及びそれらの薬理学的適用
US20210017133A1 (en) Use of fluorinated derivatives of 4-aminopyridine in therapeutics and medical imaging
CN112771039A (zh) Kv7通道激活剂组合物和使用方法
EP0693070B1 (en) PYRIDO[2,3-b](1,4)BENZODIAZEPINONES AS M2 RECEPTOR LIGAND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US10081600B2 (en) 2-alkoxy-11-hydroxyaporphi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N110372557A (zh) 环己烷胺类d3/d2受体部分激动剂
CZ298751B6 (cs) Kondenzáty 2-aminothiazol-2-aminoindanů a 2-aminothiazol-2-aminotetralinů a jejich použití
EP3201173B1 (en) Multivalent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rain damage
CA2911307C (en) Use of fluorinated derivatives of 4-aminopyridine in therapeutics and medical imaging
CN114591327B (zh) 吲哚啉哌啶脲类trpv1拮抗和mor激动双靶点药物及制备方法和应用
Popko et al. c19) United States c12)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Popko et al. c12) United States Patent
GB1587378A (en) Antitussic or anti-thrombo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JPS6027671B2 (ja) 薬剤として有用な新規のジフェニルプロピルアミノ−ピリジン化合物
CA2474793A1 (en) 2-methylthiazolidine-2,4-dicarboxylic acid and the salts thereof used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