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359B1 -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359B1
KR101700359B1 KR1020100001320A KR20100001320A KR101700359B1 KR 101700359 B1 KR101700359 B1 KR 101700359B1 KR 1020100001320 A KR1020100001320 A KR 1020100001320A KR 20100001320 A KR20100001320 A KR 20100001320A KR 101700359 B1 KR101700359 B1 KR 10170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k
search
point
lens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891A (ko
Inventor
마사타카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359B1/ko
Priority to US12/984,003 priority patent/US8737831B2/en
Publication of KR2011008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02B7/3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measured at different points on the optical axis, e.g. focussing on two or more planes and comparing image dat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컨트라스트AF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다점 AF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중앙영역의 피사체와 근접영역의 피사체의 AF 피크가 검출될 때까지 수색을 실시해 검출되면 더이상 수색을 실시하지 않고, 또한 피크가 검출되기 어려운 영역은 수색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빠르고 정확한 AF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Multi-A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다점AF 적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컨트라스트AF를 이용하여 다점 AF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트라스트AF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다점AF기준에서는, 포커스 렌즈를 무한 위치에 이동시킨 후 거리 범위 전역을 수색하였다. 그 후, 다점AF기준을 적용하므로, 전 영역을 수색한 후에만 주피사체를 검출이 가능했다. 따라서, AF의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외광 AF와 컨트라스트AF 방식을 혼합하여 다점 AF를 적용하던 종래의 방법은 컨트라스트AF 방법을 적용하는데 소요되는 수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외광 AF에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AF 속도는 여전히 느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외광 AF를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의 크기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컨트라스트AF로 고속 다점 AF를 구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중앙영역의 피사체와 근접영역의 피사체의 AF 피크가 검출되면 더이상 수색을 실시하지 않고, 또한 피크가 검출되기 어려운 영역은 수색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빠르고 정확한 AF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 렌즈; 상기 촬영렌즈를 통해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부; 상기 촬영렌즈의 포커스렌즈를 구동하는 구동부;상기 영상신호에 대하여 AF 검출을 수행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영상신호로 형성된 촬영화면을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초점검출영역의 AF 평가값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다점AF검출부; 상기 촬영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 각각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수색부;및 상기 수색부에서 근방향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주변지점 수색시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의 유무를 특정영역에서 판정하여 상기 포커스렌즈의 구동 방향을 변환시키는 영역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로 형성된 촬영화면을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초점검출영역의 AF 평가값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다점AF검출부; 상기 촬영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 각각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수색부; 상기 수색부에서 근방향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주변지점 수색시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이 검출되면 수색 방향을 전환시키는 영역검출부; 및 상기 수색부에서 검출된 상기 각각의 피크 중 하나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주피사체판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 렌즈; 상기 촬영렌즈를 통해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부; 상기 촬영렌즈의 포커스렌즈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영상신호에 대하여 AF 검출을 수행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영상신호로 형성된 촬영화면을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초점검출영역의 AF 평가값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다점AF검출부; 상기 촬영화면의 중앙영역과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적어도 하나라도 검색되지 않은 경우 검색되지 않은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수색부;및 상기 수색부에서 근방향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주변지점 수색시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포커스렌즈의 구동 방향을 변환시키는 영역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는 또한 상기 수색부에서 검출된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하나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주피사체판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영역검출부는 상기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은 렌즈의 동기 위치 각각에 대한 AF 평가값이 단조 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느냐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방법은 피사체의 영상신호로 형성된 촬영화면을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초점검출영역의 AF 평가값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다점AF검출단계; 상기 촬영화면의 중앙영역과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적어도 하나라도 검색되지 않은 경우 검색되지 않은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수색단계; 상기 수색단계에서 근방향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주변지점 수색시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이 검출되면 수색 방향을 전환시키는 영역검출단계; 및 상기 수색단계에서 검출된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하나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주피사체판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중앙영역의 피사체와 근접영역의 피사체의 AF 피크가 검출되면 더이상 수색을 실시하지 않고, 또한 피크가 검출되기 어려운 영역은 수색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빠르고 정확한 AF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20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a) 및 (b)는 다점 AF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정지화면 촬영시에 초점을 검출하는 초점검출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 (a) 및 (b)는 다점 AF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동영상 촬영시에 초점을 검출하는 초점검출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 는 다점 AF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e19, e20, e21의 영역의 일부가 겹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위상차AF 방식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근접 및 중앙 병합 초점 선택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최근접 초점선택과 중앙 초점선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다점AF기준을 설명하는 일 예이다.
도 8은 컨트라스트AF 방식에서 AF 평가값의 피크값 검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는 피크검출가능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렌즈 교환식 디지털 촬영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렌즈와 본체가 일체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중앙영역과 근접영역이 모두 검출될 때,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중앙영역 M의 컨트라스트가 낮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최근접 위치보다 더 가까운 곳에 피사체(Nn)가 있고, 중앙 영역의 비율이 1/60 보다 큰 비율인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중앙영역을 검출하지 못하고, 근접 영역의 피사체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최근접 위치보다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중앙영역의 피사체의 상배율이 1/60보다 작은 경우에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컨트라스트가 낮아 중앙영역을 검출하지 못하고, 영역검출지점∞z 가 1/60보다 ∞측에 있는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중앙영역의 피사체가 ∞위치에서 검출되고, 1/60배 지점이 영역검출 지점 ∞z 보다 ∞측에 가깝게 있는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모든 피사체가 ∞위치에 있는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 은 중앙영역의 배율이 1/60 보다 큰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중앙영역의 컨트라스트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다점AF기준을 컨트라스트AF로 구현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근접 영역의 피사체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최근접 위치보다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중앙 영역의 피사체는 ∞의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이다.
도 23은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동할 때의 흐름도이다.
도 24(a) 및 (b)는 반셔터가 눌린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예시이다.
도 25는 종단판정시 이를 처리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6(a) 내지 (c)는 셔터버튼(S2)이 눌린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카메라가 라이브뷰 동작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8(a) 및 (b)는 일체형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예인 일체형 카메라에의 동작 흐름도의 예시이다.
도 29 는 셔터버튼 S2를 누른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영상모드에서 컨트라스트AF로 다점AF기준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1 은 다점AF기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2 는 다점AF기준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컨트라스트AF로 다점AF기준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구성 및 동작}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는 교환식 렌즈(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교환식 렌즈(100)는 초점 검출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교환식 렌즈(100)가 포커스 렌즈(102)를 구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교환식 렌즈(100)(이하, '렌즈'라고 한다)는 결상 광학계(101), 줌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3),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105),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 조리개 구동 액츄에이터(108), 렌즈 제어부(110), 렌즈 마운트(109)를 포함한다.
결상 광학계(101)는 줌 조절을 위한 줌 렌즈(102), 초점 위치를 변화시키는 포커스 렌즈(104), 및 조리개(107)를 포함한다. 줌 렌즈(102) 및 포커스 렌즈(104)는 복수의 렌즈를 조합한 렌즈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줌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3) 및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는 각각 줌 렌즈(102)와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감지한다.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감지하는 타이밍은 렌즈 제어부(110) 또는 후술할 카메라 제어부(209)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감지하는 타이밍은 영상신호로부터 AF 검출을 수행하는 타이밍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105) 및 조리개 구동 액츄에이터(108)는 렌즈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되어 각각 포커스 렌즈(104) 및 조리개(107)를 구동한다. 특히,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105)는 포커스 렌즈(104)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한다.
렌즈 제어부(110)는 시각 측정을 위한 제1 타이머(111), 렌즈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렌즈 메모리(112)를 포함한다. 또한 렌즈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한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 정보를 본체부(200)로 전송한다. 이때, 렌즈 제어부(110)는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 또는 카메라 제어부(209)로부터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 정보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검출한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 정보를 본체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이머(111)는 본체부(200)로부터의 리셋 신호에 의하여 리셋될 수 있으며, 상기 리셋 동작에 의하여 렌즈(100)와 본체부(200)의 시각이 동기화될 수 있게 된다.
렌즈 마운트(109)는 렌즈 측 통신핀을 구비하며, 후술할 카메라측 통신핀과 서로 맞물려 데이터, 제어신호 등의 전송경로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본체부(200)의 구성을 살펴본다.
본체부(200)는 뷰 파인더(EVF)(201), 셔터(203), 촬상소자(204), 촬상소자 제어부(206), 표시부(206), 조작 버튼(207), 카메라 마운트(208) 및 카메라 제어부(209)를 포함할 수 있다.
뷰 파인더(201)는 액정 표시부(202)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촬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셔터(203)는 촬상소자(204)에 빛이 인가되는 시간, 즉 노출시간을 결정한다.
촬상소자(204)는 렌즈(100)의 결상 광학계(101)를 통과한 영상 광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촬상소자(204)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광전변환부 및 상기 광전변환부로부터 전하를 이동시켜 영상신호를 독출하는 수직 또는/및 수평 전송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소자(204)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205)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촬상소자(204)가 촬상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촬상소자 제어부(205)는, 각 주사선에서의 전하 축적이 종료되면 수평방향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독출하도록 한다. 상기 독출된 수평방향 영상신호는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AF 검출에 사용된다.
표시부(206)는 각종 영상 및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표시부(207)로는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조작 버튼(207)은 디지털 촬영장치(1)의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부분이다. 조작 버튼(207)으로 셔터 릴리즈 버튼, 메인 스위치, 모드 다이얼, 메뉴 버튼 등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S1은 반셔터 스위치, S2는 풀셔터 스위치 그리고 SM은 메인 스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카메라 제어부(209)는 촬상소자(204)에서 생성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AF 검출을 수행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한다. 또한, 촬상소자 제어부(205)에서 생성한 타이밍 신호에 따른 매 AF 검출 시각에서의 AF 평가값을 저장하고, 렌즈(100)로부터 전송된 렌즈 위치 정보와 저장된 AF 평가값을 사용하여 초점 위치를 계산한다. 상기 초점 위치의 계산 결과는 상기 렌즈(100)에 전송한다.
카메라 마운트(208)는 카메라측 통신핀을 구비한다.
이하, 렌즈(100) 및 본체부(200)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조작 버튼(207)에 포함된 메인 스위치 SM을 조작하여 디지털 촬영장치(1)의 동작을 개시한다. 디지털 촬영장치(1)는 일단 다음과 같이 라이브뷰 표시를 수행한다.
결상광학계(101)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광이 촬상소자(204)에 입사한다. 이 때, 셔터(203)는 열린 상태로 있는다. 입사한 피사체 광은 촬상소자(204)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며, 이로 인하여 영상신호가 생성된다. 촬상소자(204)는 촬상소자 제어부(205)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의하여 동작한다. 생성된 피사체의 영상신호는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표시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어 뷰 파인더(201) 및 표시부(206)에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이 라이브 뷰 표시이며, 라이브 뷰 표시에 의하여 표시되는 라이브 뷰 영상은 동영상으로서 연속적으로 표시된다.
라이브 뷰 표시가 수행된 후, 조작 버튼(207)의 하나인 셔터 릴리즈 버튼이 반누름(S1)되면 디지털 촬영장치(1)는 AF 동작을 개시한다. 촬상소자(204)에서 생성한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AF 동작을 수행하는데, 컨트라스트AF 방식에서는 컨트라스트 값에 관련된 AF 평가값으로부터 초점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렌즈(100)를 구동한다. AF 평가값은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산출된다. 카메라 제어부(209)는 상기 AF 평가값으로부터 포커스 렌즈(104)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계산하고, 이를 렌즈 마운트(109)와 카메라 마운트(208)에 구비된 통신핀을 매개로 하여 렌즈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렌즈 제어부(110)는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105)를 제어하여 포커스 렌즈(104)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켜 AF를 수행한다.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는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에 의하여 모니터링 되어 피드백 제어가 이루어진다.
줌 렌즈(102)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주밍(Zooming)된 경우, 줌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3)에서 줌 렌즈(102)의 위치가 검출되고, 렌즈 제어부(110)는 포커스 렌즈(104)의 AF 제어 파라미터들을 변경하여 다시 AF를 수행한다. AF 제어 파라미터는 교환렌즈의 고유 정보로 렌즈 메모리(112)에 저장되어 있다. Zoom 렌즈군의 위치가 변화될 때 촬영렌즈의 포커스렌즈 구동량과 초점(pint)편차량의 변환계수가 변화된다. AF 제어 파라미터는 변화된 촬영렌즈의 포커스렌즈 구동량과 초점(pint)편차량의 변환계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여 피사체 영상의 초점이 맞는 상태가 되면, 셔터 릴리즈 버튼이 완전누름(S2) 되어 디지털 촬영장치(1)는 노광을 수행한다. 이 때, 카메라 제어부(209)는 일단 셔터를 완전히 닫고, 렌즈 제어부(110)에 지금까지 취득한 측광 정보를 조리개 제어 정보로서 전송한다. 렌즈 제어부(110)는 조리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조리개 구동 액츄에이터(108)를 제어하고, 조리개(107)를 적절한 조리개 값으로 조인다. 카메라 제어부(209)는 측광 정보를 기초로 셔터(203)를 제어하고, 적절한 노출시간만큼 셔터(204)를 열어 촬영이 수행된 피사체 영상을 캡쳐한다. 동영상 촬영모드인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1)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릴리스버튼을 2번 S2가 온(ON)에서 오프(OFF)가 되면 동영상 촬영을 종료한다.
캡쳐 영상은 영상신호 처리 및 압축처리가 수행되어 메모리 카드(212, 도 2 참고)에 저장된다. 동시에 피사체를 표시하는 뷰 파인더(201) 및 표시부(206)에 캡쳐 영상이 출력된다. 이러한 영상을 퀵뷰 영상이라고 한다. 표시부(206)의 일 예로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일련의 촬영 동작이 종료된다.
동영상의 경우에는 촬영과 동시에 동영상 압축 처리를 수행하여 메모리 카드(212, 도 2 참고)에 저장된다. 동영상 촬영시에는 퀵뷰가 아닌 라이브뷰를 수행한다.
정지화면모드와 동영상모드는 조작버튼(208)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S1이 온(ON)인 경우 정지화면모드와 동영상모드 모두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S2가 온(ON)인 경우 정지화면모드에서는 정지화면을 촬영하고, 동영상모드에서는 동영상 촬영이 시작된다.
{카메라 제어부의 구성 및 동작}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20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209)는 사전 처리부(220), 신호 처리부(221), 신호압축 및 확장부(222),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23), CPU(224), 메모리 컨트롤러(225), 오디오 컨트롤러(226), 카드 컨트롤러(227), 제2 타이머(228), 메인 버스(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209)는 메인 버스(230)를 통하여 각종 지시 및 데이터를 각 부분에 전송한다.
사전 처리부(220)는 촬상소자(204)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AWB(Auto White Balance), AE(Auto Exposure), AF(Auto Focus)의 연산을 수행한다. 즉, 초점 조절을 위한 AF 평가값, 노출 조절을 위한 AE 평가값,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위한 AWB 평가값 등을 산출한다. AF 평가값은 수평방향의 컨트라스트를 나타내는 수평 AF 평가값과 수직방향의 컨트라스트를 나타내는 수직 AF 평가값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AF 평가값은 촬상소자(204)에서 독출되는 수평방향 영상신호를 직접 인가받아 산출된다. 반면에 수직 AF 평가값은 후술할 메모리(210)에 수평방향 영상신호를 일단 저장한 후, 저장된 영상신호를 수직방향 영상신호 성분으로 독출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사전 처리부(220)는 AF 평가값 산출부의 일례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221)는 감마 보정 등, 일련의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라이브 뷰 영상이나 캡쳐 영상을 만든다.
신호압축 및 확장부(222)는 영상신호 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의 압축과 확장을 수행한다. 압축의 경우, 예를 들어 JPEG 압축 형식 또는 H.264 압축 형식 등의 압축 형식으로 영상신호를 압축한다. 상기 압축 처리에 의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은 메모리 카드(212)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23)는 뷰 파인더(201)의 LCD(202)나 표시부(206) 등의 표시 화면으로의 영상 출력을 제어한다.
CPU(224)는 각 부분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도 1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의 경우, CPU(224)는 렌즈(11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메모리 컨트롤러(225)는 촬영된 캡쳐 영상이나 연상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210)를 제어하며, 오디오 컨트롤러(226)는 마이크나 스피커(211)를 제어한다. 또한 카드 컨트롤러(227)는 켭쳐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212)를 제어한다.
이하, 카메라 제어부(209)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CPU(224)에서 조작 버튼(207)의 메인 스위치 SM(도 1 참고)이 조작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CPU(224)는 사전 처리부(220)를 통하여 촬상소자 제어부(205)를 동작시킨다. 촬상소자 제어부(205)는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여 촬상소자(204)를 동작시킨다. 촬상소자(204)로부터 영상신호가 사전 처리부(220)에 입력되면, AWB 및 AE 연산이 수행된다. 상기 AWB 및 AE 연산의 결과는 촬상소자 제어부(205)에 피드백되어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적절한 색출력 및 적절한 노출의 영상신호가 획득되도록 한다.
한편, 디지털 촬영장치(1)의 동작이 개시되면 라이브 뷰 표시가 수행된다. 카메라 제어부(209)는 적절한 노출로 촬영된 영상신호를 사전 처리부(220)에 입력하여 AE 평가값 등을 산출한다. 라이브 뷰 표시용 영상신호는 메인 버스(23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신호 처리부(221)에 인가되며, 화소의 보간 처리 등의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신호 처리가 수행된 영상신호는 메인 버스(23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23)를 경유하여 LCD(202), 표시부(206) 등에 표시된다. 라이브 뷰 표시는 기본적으로 60fps(frame per second)의 주기로 갱신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0fps, 120fps 등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갱신 속도는 측광 결과나 AF 조건 등을 기초로 CPU(224)에서 설정하며, 촬상소자 제어부(205)에서 타이밍 신호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이 반누름 되면, CPU(224)는 반누름 신호(S1)의 입력을 감지하고, 카메라 마운트(208) 및 렌즈 마운트(109)에 구비된 통신핀을 경유하여 렌즈 제어부(110)에 AF 동작을 위한 포커스 렌즈(104)의 구동개시를 지시한다. 또한 CPU(224)는 반누름 신호(S1)의 입력을 감지할 때, AF 동작을 위하여 직접 포커스 렌즈(104)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CPU(224)는 주 제어부의 일례일 수 있다. 포커스 렌즈(104)의 변경 정도에 따라 AF 출력은 도 8과 같이 나타난다. 보다 상세한 것은 도 8을 참고한다.
CPU(224)는 촬상소자(204)로부터 영상신호를 획득하며, 사전 처리부(220)는 AF 평가값을 산출한다. AF 평가값은 포커스 렌즈(104)의 이동에 따라서 산출된다. AF 평가값의 변화로부터 피사체 영상의 컨트라스트가 최대로 되는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AF 평가값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로 포커스 렌즈(104)를 이동시킨다. 상기 일련의 동작이 AF 동작으로, AF 동작 중에도 라이브 뷰 영상의 표시는 계속해서 수행된다. 라이브 뷰 영상에 사용되는 영상신호와 AF 평가값의 산출에 사용되는 영상신호는 동일한 영상신호이다.
한편, 도 1과 같은 교환식 렌즈(100)를 사용하는 디지털 촬영장치(1)의 경우, AF 동작시, 렌즈(100)와 본체부(200) 사이의 통신에는 카메라 마운트(208)와 렌즈 마운트(109)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핀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핀은 렌즈 정보나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시리얼 통신으로 동작한다. 또한 AF 평가값에 대한 포커스렌즈(104)의 위치 정보도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컨트라스트가 최대가 되는 AF평가값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릴리스 버튼이 완전누름(S2) 상태가 되면, 정지화면모드에서 AF는 정지하지만 동영상모드에서는 지속되어, 초점이 맞춰진 이후에도 연속적으로 AF를 반복한다. 즉, 동영상모드에서는 연속AF(Continuous AF)가 사용된다. 연속AF 모드란 반 셔터를 누르지 않은 상태라도 디지털 촬영장치가 연속적으로 초점을 잡아주는 모드이다. 다만, 연속AF 모드에서는 Focus 렌즈는 느린 동작을 수행하여 동영상 촬영시에 소리나 화각 변화로 인한 영향을 거의 주지 않도록 구동한다.
다음으로, 도 3 (a) 및 (b) 를 참고하여 AF 동작의 수행시, AF 평가값 산출 대상이 되는 AF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점 AF(주피사체 검출)}
도 3 (a) 및 (b)는 다점 AF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정지화면 촬영시에 초점을 검출하는 초점검출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3(a)와 같이 e1에서 e15 와 같이 촬영 화면의 중앙에 상하좌우 대칭으로 15 영역으로 구분된 AF 영역을 설정한다. 이 중 e8을 중앙 초점검출영역이라 한다. 다점AF 영역의 설정 기준에 따라, (e8, e3) 또는 (e8, e9) 등과 같이 중앙 상하의 두 개의 영역을 중앙 초점검출영역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도 3(b)는 피사체가 다점 AF 영역 내에 있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b)는 촬영자에게 가장 가까운 곳에 꽃(310)이 위치하고, 그 뒤에 인물(320) 그리고 가장 먼 곳에 산(330)이 위치한 예를 도시한다. 도 3(a)를 참고할 때, e12의 위치에 꽃(310), e8의 위치에 인물(320), e4, e5,e9 및 e10의 위치에 산이 위치해 있다.
컨트라스트AF 방식의 디지털 촬영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촬영자에게 가장 가까운 피사체를 AF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도 3(b)를 참고하면, 꽃이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e12 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도 3(b)의 영상에서 주피사체를 인물(320)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중앙 초점검출영역 e8을 AF로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컨트라스트AF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최근접피사체에만 초점을 맞추는 최근접우선 초점선택 방법만이 아니라, 중앙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중앙 초점선택 방법을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
도 4 (a) 및 (b)는 다점 AF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동영상 촬영시에 초점을 검출하는 초점검출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점 AF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e19, e20, e21의 영역의 일부가 겹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4(a)와 같이 촬영 화면의 중앙에 대칭으로 3 영역으로 구분된 AF 영역(e16, e17, e18)을 설정한다.
도 4(b)는 피사체가 다점 AF 영역 내에 있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촬영자에게 가장 가까운 곳에 꽃(410)이 위치하고, 그 뒤에 인물(420) 그리고 가장 먼 곳에 산(430)이 위치한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도 3(a) 및 (b)와 같이 기존의 컨트라스트AF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는 촬영자에게 가장 가까운 피사체를 AF로 선택한다. 따라서, 도 4(b)의 꽃(410)(e16)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따라서, 인물(420)(e17)에게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컨트라스트AF 방식에서 최근접우선 초점선택 방법 외에 중앙 초점선택 방법을 선택적으로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
도 6 은 위상차AF 방식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근접 및 중앙 병합 초점 선택 방법을 도시한다. 위상차AF 방식에서는 촬영배율에 따라 최근접 초점선택 방법을 우선할지 또는 중앙 초점선택 방법을 우선할지를 선택하였다.
위상차AF에서는 포커스 렌즈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디포커스(defocus)량을 사전에 검출할 수 있다. 반면, 컨트라스트AF에서는 포커스 렌즈를 조절하지 않으면 초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컨트라스트AF에서 최근접 초점선택 방법 외에 중앙 초점선택 방법을 선택적으로 병행하기 위해서는 위상차AF와는 다른 방안이 요구된다.
도 7은 최근접 초점선택과 중앙 초점선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다점AF기준을 설명하는 일 예이다.
도 7의 다분할 영역에 놓인 피사체 간의 원근패턴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도 7의 (a)는 화면의 중앙 영역이 피촬영자로부터 거리상 가장 먼 경우의 다점AF기준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b)는 (a)에 해당하지 않는 패턴들의 경우 다점AF기준을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에서 β는 피사체의 상 배율을 나타낸다. 상 배율은 줌 렌즈의 초점거리와 피사체거리와의 함수가 된다. 렌즈의 전면위치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렌즈의 후면위치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비로 정의된다. 줌 렌즈의 초점 거리 및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각각 위치감지센서(103) 및 위치감지센서(106)의 출력값에서 파악할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에서 x축의 βm은 중앙 영역의 상 배율을 나타낸다. 중앙 영역이란 도 3의 15 개 AF 영역 중 중앙 부분을 의미한다. 도 7의 그래프에서 y축βnear는 가장 가까운 피사체의 상 배율을 나타낸다. 원점에 가까울수록 상배율이 높아지고,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상배율이 낮아진다.
βnear는 βm을 포함할 수 있으나, βm>βnear일 수는 없다. 따라서, βmnear 보다 위쪽 영역(710)의 경우는 발생할 수 없다.
도 7의 (a)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화면의 중앙 영역이 피촬영자로부터 거리상 가장 먼 경우, βnear가 1/15배보다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βnear가 1/15배보다 큰 경우 macro 촬영이라고 판단하여, 화면 중앙 영역을 초점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βnear가 1/15배보다 작은 경우에는 최근접 피사체가 있는 영역을 초점으로 선택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화면의 중앙영역이 피촬영자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경우가 아닌 경우는 다음과 같이 최근접 초점선택과 중앙 초점선택을 병행할 수 있다.
βnear가 1/15배보다 큰 경우 macro 촬영이라고 판단하여, 화면 중앙 영역을 초점으로 선택한다.
βnear가 1/15배보다 작은 경우에는 두 가지로 나누어 선택할 수 있다.
먼저, βm이 1/15배보다 작고 1/60보다 큰 경우, 화면 중앙 영역을 초점으로 선택한다. 다음으로, βm이 1/60보다 작은 경우에는, 최근접 피사체가 있는 영역을 초점으로 선택한다.
도 3(b)의 예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화면의 중앙영역이 피촬영자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경우가 아닌 경우, 즉 도 7의 (b)에 해당한다.
따라서, βnear가 1/15배보다 큰 경우 화면 중앙 영역(e8)을 초점으로 선택한다. βm이 1/60보다 크고 1/15배보다 작은 경우도 화면 중앙 영역(e8)을 초점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βm이 1/60보다 작은 경우에는, 최근접 피사체가 있는 영역(e12)을 초점으로 선택한다.
도 7의 (a), (b)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가로로 사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중앙 초점 영역과 최근접 초점 영역 선택하는 기준을 1/15, 1/60 배율 등과 같이 정한 것으로서, 디지털 촬영장치를 세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율을 정하는 기준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영역을 2개를 선택하는 경우, 매크로 촬영시에 중앙 영역 바로 윗 영역의 배율 βu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도 7의 다점 AF를 컨트라스트AF로 구현시, 1/15, 1/60 배율 수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형 및 치환할 수 있는 예를 포함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 외에 중앙 영역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변형하거나 1/15 배율의 경우보다 세분화하여 최근접 초점선택과 중앙 초점선택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점AF기준을 컨트라스트AF로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22에서 설명하겠다.
도 3은 컨트라스트AF 방식에서 AF 평가값의 피크값 검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가로축은 렌즈의 동기위치(초점 위치)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AF 평가값을 나타낸다. 각 AF 평가값과 그에 대응되는 초점 위치는 렌즈 메모리(112)에 저장된다.
컨트라스트AF 방식에서는 AF 평가값 중 피크값(Vpk)(310)에 대응되는 렌즈의 동기위치(LVpk)(320)를 찾아 포커스 렌즈(104)의 초점을 찾는다.
이 경우, AF 평가값들은 이산(離散)적이기 때문에 실제 피크값은 AF 평가값들에 대하여 보간 계산을 수행하여 산출할 수 있다. 실제 피크는 검출 중심 위치가 LVpk일 때에 AF 평가값이 Lpk인 점 PK인 경우이다. 여기서 피크값을 검출하는 보간 계산은 예를 들어 LV3, LV4, LV5 및 그에 대응하는 AF 평가값들인 L(s3), L(s4), L(s5)의 세가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AF 평가값의 전하 축적시간의 중심점, 즉 검파중심위치(LV1, LV2, LV3...)를 렌즈 동기위치로 설정한다. 렌즈의 동기위치 정보는 렌즈(101, 도 1참고)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렌즈내의 시각과 카메라 내의 시각을 맞춰 렌즈 동기위치 LV1, LV2, ..의 타이밍에서 렌즈의 저장된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된 검출 중심 위치와 동기되는 타이밍에서의 렌즈 위치를 검출함으로 인하여 포커스 렌즈(104)를 초점이 맞는 목표위치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 는 피크검출가능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컨트라스트의 피크값을 찾을 때, 피크값을 넘어가기 이전에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렌즈의 동기 위치 LV1, LV2, LV3 각각에 대한 AF 평가값을 s1, s2, s3라고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AF 평가값이 단조 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는 경우 단조 증가하는 또는 단조 감소하는 방향의 근처에 컨트라스트 피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s1<s2<s3의 경우 LV3의 우측방향(수색 방향)에 피크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 과정을 영역검출이라고 한다. 반대로, s1>s2>s3이면 LV1의 좌측방향(수색 반대방향)에 피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 영역 검출을 위해 수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AF 평가값을 획득하는 AF 검파의 주파수가 낮을수록 피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피크검출가능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십Fδ바로 앞에서부터 검출가능하다. F는 촬영조리개값, δ는 허용착란원이다.
도 12 내지 도 22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7과 같은 다점AF기준을 컨트라스트AF로 구현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22에서 x축은 렌즈 동기위치를 y축은 AF 평가값을 나타낸다. ▷ 은 수색을 개시하는 위치, ○은 합초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 내지 22에서는 도 3에 도시된 15 개 초점 영역 각각으로부터 AF 평가값을 모두 획득할 수 있지만, 일부 영역에 대한 AF 평가값만을 표시한다. M은 화면 중앙 영역의 피크 값을, N0는 최근접 영역의 피크값을, N1은 제 1 근피사체의 피크값을, 그리고 F는 이상에 해당하지 않는 피사체 중 비교적 거리가 먼 곳에 있는 피사체의 피크값을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Nz, ∞z는 각각 피크검출가능영역을 판단하는 영역검출지점을 나타낸다. 즉, 도 9와 같은 판단을 통해 Nz, ∞z 점을 기점으로 이후 또는 이전에 피크가 존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검출지점이다. Nz는 근방향의 영역검출지점이고, ∞z는 ∞ 방향의 영역검출지점이다. 영역검출에 대한 설명은 도 9를 참고한다.
도 12 내지 19는 ∞에서 근방향으로 수색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0내지 22는 근방향에서 ∞방향으로 수색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중앙영역과 근접영역이 모두 검출될 때,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초기의 렌즈가 ∞의 위치에 있는 경우(A1), 중앙영역의 피크 M(1240)보다 ∞ 방향에 위치한 경우(A2) 및 중앙영역의 피크 M(1240)보다 근방향에 위치한 경우(A3)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1(1210)의 경우 렌즈는 ∞의 위치에서 영역검출 지점인 Nz 위치(1260)까지 수색을 한다. Nz 위치(1260) 이후에는 피사체(N0)의 AF 평가값이 단조감소하므로 피크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접지점(1270)까지 수색하지 않고, Nz 위치(1260)에서 유턴(U-turn)한다.
A1(1210)의 경우 렌즈는 ∞의 위치에서 영역검출지점 Nz 위치(1260)까지 수색을 하면서 중앙영역의 피크 M과 최근접영역의 피크 N0(1250)를 모두 파악한다. 그 후, 영역검출지점 Nz(1260)에서 다점AF기준을 적용하여 M(1240) 또는 N0(12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다점AF기준은 도 7의 예를 참고한다. 다만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것은 구현방식의 일 실시예일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A2(1220)의 경우도 수색개시위치에서부터 영역검출지점 Nz 위치(1260)까지 수색을 하면서 중앙영역의 피크 M(1240)과 최근접영역의 피크 N0(1250)를 모두 파악한다. 그 후, 영역검출지점 Nz에서 다점AF기준을 적용하여 M(1240) 또는 N0(12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A3의 경우 현재지점(1230)에서 영역검출지점 Nz 위치(1260)까지 수색할 경우, 최근접영역의 피크 N0(1250)만이 검출되고, 중앙 영역의 피크 M(1240)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방향으로 수색을 계속하다가 중앙 영역의 피크 M(1240)을 검출하면 수색을 멈춘다. 그 후, M(1240) 지점에서 방향을 바꿔 다점AF기준을 적용하여 M(1240) 또는 N0(12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13은 중앙영역 M의 컨트라스트가 낮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B1(1310)의 경우 렌즈는 ∞의 위치에서 영역검출지점 Nz 위치(1360)까지 수색을 한다. 수색한 결과 중앙영역에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되므로, Nz 위치(1360)에서 최근접피사체 N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B2(1320)의 경우 ∞z의 위치(1380)보다 근방향쪽(1320)에서 수색을 개시하므로, 영역검출지점 Nz 위치(1360)까지 수색을 한 결과 중앙영역에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되면, Nz 위치(1360)에서 방향을 바꿔(Uturn) ∞z(1380)까지 수색을 수행한다. 수색한 결과 중앙영역에 피사체가 없다고 판단되므로, 최근접피사체 N0의 피크점(1350)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14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최근접 위치보다 더 가까운 곳 초근접 영역에 피사체(Nn)가 있고, 중앙 영역의 비율이 1/60 보다 큰 비율인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주로, 초근접 영역이란 피사체(Nn)가 촬영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이다.
초기의 렌즈가 ∞의 위치에 있는 경우(C1), 중앙영역의 피크 M(1440)보다 ∞ 방향에 위치한 경우(C2) 및 중앙영역의 피크 M(1440)보다 근방향에 위치한 경우(C3)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C1(1410)은 ∞에서 영역검출지점 Nz(1460)까지 수색을 수행한다. 영역검출지점 Nz(1460)에서 피크검출가능영역이 검출되었으므로 최종단(1470)까지 수색을 수행한다. Nz(1460) 지점에서 Nn의 그래프가 단조증가하므로, Nz(1460) 우측방향(수색 방향)에 새로운 피크값이 존재할 것으로 판정한다. 최종단(1470)까지 수색을 수행한 후, 다점 AF기준을 적용하여 M(1440) 또는 N0(14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다점 AF기준을 적용하는 방법은 도 7의 (a) 및 (b)를 참고한다.
C2(1420)도 C1과 유사하게 동작한 후 다점 AF를 적용하여 M(1440) 또는 N0(14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C3(1430)는 최종단(1470)까지 수색을 수행하였으나, 중앙영역을 검출하지 못했으므로, 최종단(1470)의 위치에서 Uturn하여 중앙영역 M(1440)을 검출한다. 중앙영역 M(1440)을 검출한 후 다시 Uturn 하여 M(1440) 또는 N0(14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15는 중앙영역을 검출하지 못하고, 근접 영역의 피사체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최근접 위치보다 더 가까운 곳인 초근접 영역에 위치한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D1(1510)은 ∞에서 영역검출지점 Nz(1560)까지 수색을 수행한다. Nz(1460)에서 영역이 검출되었으므로 최종단(1570)까지 수색을 수행한다. 중앙 영역의 콘트라스트가 낮아 검출이 되지 않으므로, N0(15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D2(1520)은 최종단(1570)까지 수색을 수행한 후 Uturn 하여 영역검출지점 ∞z 까지 수색을 수행한다. 그 후 다시 Uturn하여 N0(15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16은 중앙영역의 피사체의 상배율이 1/60보다 작은 경우에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중앙영역의 피사체의 상배율이 1/60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 7의 (a) 및 (b)를 참고하면, 항상 근거리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따라서, E1(1610) 및 E2(1620)의 경우에는 수색 후 바로 N0(16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E3(1630)의 경우에는 영역지점 Nz(1660)까지 수색한 후 Uturn 하여 1/60 지점까지 수색한다. 1/60 지점까지 수색하는 과정에서 중앙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N0(16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이 경우, 1/60 지점보다 배율이 낮은 영역을 수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7은 컨트라스트가 낮아 중앙영역을 검출하지 못하고, 영역검출지점∞z 가 1/60보다 ∞측에 있는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F1(1710)의 경우 영역검출지점 Nz(1760)까지 수색한 후, Uturn하여 N0(17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F2(1720)의 경우 Nz(1760)까지 수색한 후, Uturn하여 1/60 배율지점(1751)까지 수색한다. 배율이 1/60 배율보다 낮은 지점은 중앙영역이 검출되더라도 다점 AF 적용시 모두 근접영역에 초점을 맞추므로(도 7 참고), 1/60 배율(1751)까지만 수색한 후, 다시 Uturn하여 N0(17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18은 중앙영역의 피사체가 ∞위치에서 검출되고, 1/60배 지점(1851)이 영역검출 지점 ∞z(1880) 보다 ∞측에 가깝게 있는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G1(1810)은 ∞지점에서 Nz(1860)까지 수색을 수행한 후 Uturn하여 N0(18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 지점에서 영역검출지점 ∞z까지 수색하는 도중, 이미 중앙영역 M의 위치를 검출하였기 때문이다.
G2(1820)는 Nz(1860)까지 수색을 수행한 후 Uturn하여 수색을 계속 수행한다. 그 후 영역검출지점 ∞z지점(1880)에서 영역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 방향쪽으로 1/60 배율 지점까지 수색한다. 1/60 배율지점까지 수색하여도 중앙영역 M의 피크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다시 Uturn 하여 N0(18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이 경우, AF시간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판단해 1/60 배율로의 Uturn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9는 모든 피사체가 ∞위치에 있는 경우, 컨트라스트AF에서 다점 AF를 적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H1(1910)은 ∞지점에서 Nz(1960)까지 수색을 수행한 후 Uturn하여 ∞방향으로 수색을 실시한다. 영역검출지점 ∞z(1980)에서 피크검출가능영역이 검출되고 있으므로 계속 ∞방향으로 수색을 실시한다. 1/60 배율지점(1951)까지 근접영역 또는 중앙영역의 피크점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종단(1910)으로 Uturn 하여 ∞ 지점(1990)까지 수색을 수행한 후, ∞ 지점에 있는 N0(199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H2(1920)은 Nz(1960)까지 수색을 수행한 후 Uturn하여 ∞방향으로 수색을 실시한다. H1과 마찬가지로 1/60 배율지점(1951)까지 근접영역 또는 중앙영역의 피크점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 지점(1990)까지 수색을 수행하여, 종단(1910)으로 Uturn 하여 ∞ 지점에 있는 N0(199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20 내지 22는 근방향에서 ∞방향으로 수색할 때 다점AF기준을 컨트라스트AF로 구현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0 은 중앙영역의 배율이 1/60 보다 큰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A1(2010)은 수색 개시 위치가 화면 중앙 영역 피크 M보다 ∞ 방향쪽에 위치하나, 1/60 보다 배율이 작은 곳에 위치한 경우, A2(2020)는 수색 개시 위치가 화면 중앙 영역 피크 M보다 ∞ 방향 쪽에 위치하나, 1/60 보다 배율이 큰 곳에 위치한 경우, A3(2030)는 수색 개시 위치가 화면 중앙 영역 피크 M보다 근방향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A1(2010)과 A2(2020)는 영역검출지점 ∞z(2080)에서 피크검출가능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z(2080)에서 Uturn하여 Nz(2060)까지 근방향 수색을 한 후 다점 AF기준을 적용하여 M(2040) 또는 N0(20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A3(2030)는 ∞ 방향으로 수색을 수행하고, M(2040)을 검출하면 Uturn하여 근방향으로 Nz(2060)까지 수색을 수행한다. 그 후 Nz(2060)에서 다시 Uturn하여 M(2040) 또는 N0(20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21은 중앙영역의 컨트라스트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 다점AF기준을 컨트라스트AF로 구현하는 예를 도시한다. B1(2110)은 수색위치가 영역검출지점 Nz와 ∞z 사이에 있는 경우, B2(2120)는 수색위치가 영역검출지점 Nz보다 근방향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B1(2110)은 영역검출지점 ∞z(2180)에서 피크검출가능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z(2180)에서 Uturn하여 Nz(2160)까지 근방향 수색을 한 후 N0(21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B2(2120)은 ∞z(2180)에서 Uturn하여 N0(21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22는 근접 영역의 피사체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최근접 위치보다 더 가까운 곳인 초근접 위치에 위치하고, 중앙 영역의 피사체는 ∞의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이다. Nn은 근접 피사체 N0보다 더 근측(최종단)에 있는 피사체를 나타낸다.
C1(2210)은 수색개시위치가 영역검출지점 ∞z(2280)와 Nz(2260) 사이에 위치해 있고, C2(2220)는 수색개시위치가 최종단(2270)이다.
C1(2210)은 ∞z(2180)에서 피크검출가능 영역이 검출되었으므로, ∞(2290)까지 수색을 수행하고 종단으로 Uturn 한 후, Nz(2260)에서도 피크검출가능 영역이 검출되었으므로 최종단(2270)까지 수색을 수행한 후 N0(22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C2(2220)는 ∞z(2180)에서 피크검출가능 영역이 검출되었으므로, ∞(2290)까지 수색을 수행하고 종단으로 Uturn 한 후, 후 N0(2250)의 피크점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초점을 맞춘다.
도 12 내지 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색을 수행하므로, 고속으로 다점AF기준을 컨트라스트AF로 구현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23 내지 26 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동할 때의 흐름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메인 스위치 SM이 ON(온)되면 Key 등을 조작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설정하여,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촬영 모드를 선택한다(S2310). 그 후 교환렌즈 등은 디지털 촬영장치 동작에 필요한 렌즈 정보를 입력한다(S2320). 렌즈 정보는 렌즈메모리(도 1, 112 참고)에 저장되어 있는 렌즈 고유의 파라미터들로 AF, AE, AWB 및 화질 제어 등에 필요한 정보이다.
촬상소자(도 2, CIS 204 참고)에서 주기적으로 촬영을 개시한다(S2330). 그 후 AE, AWB 값의 연산을 수행한 후(S2340) 라이브뷰를 표시한다(S2350). S2310에서 S2350으로 동작을 단계적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상의 단계들은 촬상소자로부터 화상 정보를 입력하면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메인 스위치 SM이 오프(OFF)되었는지를 확인하여(S2360), 오프(OFF) 상태가 아닌 경우 S2310 단계로 돌아와 라이브뷰를 표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오프(OFF) 상태인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을 정지한다(S2370).
도 24(a) 및 (b) 는 도 23의 라이브뷰 표시 단계(S2350)에서 반셔터가 눌린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AF를 검출하는 흐름도의 예시이다.
반셔터 S1 인터럽트 신호가 인가되면(S2401), 포커스 렌즈를 근방향으로 고속 구동시킨다(S2402). 그리고, 렌즈제어부(110)는 컨트라스트AF를 구현하기 위해 일정속도로 렌즈를 구동한다. 반 셔터가 눌린 경우, 포커스렌즈를 근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다점AF기준을 이용할 때 AF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동영상 촬영시에는 무한대 방향의 검출을 우선하여 수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 내지 22와 같은 실시예를 구현할 때에는 포커스렌즈를 무한대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 후, 촬영 타이밍 신호를 입력한다(S2403). 촬영 타이밍 신호는 AF 검출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상기 신호는 설정된 AF 검출 영역에 대응하여 발생한다. CPU(224)는 촬상소자 제어부(205)에서 발생하는 구동신호를 카운트 하고, 소정의 횟수가 카운트 되면 AF 검출을 개시하는 타이밍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촬영 타이밍 신호가 입력되면 촬상소자(204)로부터 카메라 제어부(209) 내의 사전 처리부(220)의 AF 검출 회로로 AF 영역의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AF 검출을 수행한다(S2404). 상기 AF 검출에 의하여 다분할 영역의 AF 평가값 L1~L15을 산출한다. 이 경우 상기 다분할 영역 및 초점검출영역은 도 3 (a) 및 (b)의 실시예와 같다. 초점검출영역은 도 3(a)의 e1~e15와 같이 15 개 영역으로 다분할된다. S2405 단계에서는 다분할 영역으로부터 AF 평가값 L1~L15를 산출한다. 각각 독립적으로 AF 평가값을 구할 수 있다.
AF 평가값을 산출한 후, 교환렌즈로부터 현재 초점거리, AF 검파 타이밍에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 촬영렌즈의 포커스 렌즈 구동량과 초점편차량의 변환계수인 KL값을 입력한다(S2406). KL값을 AF평가값과 세트로 저장한다.
그 후, 렌즈의 동기위치가 피크검출 영역판단지점인 Nz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S2407). Nz에 적어도 한 번이라도 도달한 경우, S2408 단계로 넘어간다. 렌즈가 무한대 방향에서 근방향으로 움직여 Nz에 도달한 경우, Nz까지 도달했다가 근방향에서 무한대 방향으로 반전 구동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S2408 단계에서 중앙 및 최근접 영역의 피사체를 모두 검출한 경우, 또는 S2409 단계에서 최근접 영역의 피사체는 검출하지 못하였어도 중앙 영역의 피사체를 검출한 경우는 A21처리(도면 참고)의 S2414 단계를 수행한다. S2409 단계에서 최근접 영역의 피사체는 검출하지 못하였으나, 중앙 영역의 피사체를 검출한 경우, 화면 중앙 영역의 피사체를 최근접피사체로 볼 수 있다.
S2410 단계에서 포커스렌즈의 현재 위치가 1/60 배율보다 소배율인 경우인지를 판단한다.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1/60 배율보다 낮은 배율위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크 영역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413). 적어도 하나의 피크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A21 흐름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A22 흐름도를 진행한다.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1/60 배율보다 낮은 배율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종단 판정 처리(S2411)를 실시한다. 종단 판정 처리에 대해서는 도 25에서 서술하겠다. 이후 무한대 방향의 피크검출 영역판단지점인 ∞z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S2412). ∞z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수색을 계속 수행하기 위해 S2403 단계로 돌아가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는다.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z에 도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크가 검출되었는지 판단한다(S2413). 최근접영역까지 수색한 후 방향을 변경하여 1/60 배율까지 수색한 경우에 적어도 최근접 피사체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 A21 흐름도(S2414 ~S2420 단계)를 진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피크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 A22 흐름도(S2421, S2422 단계)를 진행한다.
A21 흐름도(S2414 ~S2420 단계) 진행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413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크가 검출된 경우, 먼저 다점AF기준에 따라 주피사체를 선택한다(S2414). 그 후 AF 평가값을 보완하여 Vpk, LVpk 값을 계산한다(S2415). 계산된 AF 평가값 Vpk가 기설정된 렌즈동기위치 값 PKT보다 큰지 판단하여(S2416), 큰 경우 AF 검출영역 위치에 의한 피크 오차를 보정한다(S2417). 여기서 오차는 △IB 라고 하며, 촬영렌즈와 AF 검출 주파수의 차이로 인한 오차를 나타낸다. 보정값이 초점검출영역에 의해 변화되는 경우의 보정값을 ΔIBoff 라고 한다. 따라서, S2417 단계에서는 선택한 AF영역의 위치 보정으로 인한 오차값 ΔIBoff을 보정한다. 일반적으로 S2417 단계에서 디포커스량의 단위는 μm로 표시된다. 그 후, 촬영렌즈의 포커스렌즈 구동량과 초점편차량의 변환계수 KL을 곱하여 포커스렌즈의 구동량을 구한다(S2418). S2418 단계에서 KL은 LVpk값에 가장 가까울 때의 KL값을 사용한다.
그 후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렌즈제어부(110)로 포커스렌즈의 구동량, 포커스렌즈의 역방향 구동명령, 목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의 고속 구동 명령을 송신한다(S2419). 렌즈내에서는 역방향 구동을 개시하여 S2418 단계에서 파악한 렌즈의 목표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여 초점을 맞춘다(S2419). 일정시간동안 초점 표시를 한 후 AF동작을 종료한다(S2420). 그 후 도 23의 디지털 촬영장치 동작 A1개시 단계로 돌아가 라이브뷰를 표시한다.
A22 흐름도(S2421, S2422 단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사체의 컨트라스트가 Low라고 판단하여, 포커스 렌즈 구동을 정지하라는 명령을 내린 후 NG를 표시한다. 그 후, 도 23의 디지털 촬영장치 동작 A1개시 단계로 돌아가 라이브뷰를 표시한다.
도 25는 종단판정시 이를 처리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포커스렌즈가 피크검출가능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2510). 피크검출가능영역이란 피크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근방향 주변에서 피크검출가능영역은 Nz, 무한대 방향 주변의 피크검출가능영역은 ∞z로 예를 들 수 있다.
판단결과(S2510), 피크검출가능 영역 내인 경우, 피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20). 피크가 존재하는지 여부 판단은 도 9의 설명을 참고한다.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 렌즈 종단까지 계속 수색을 수행하고(S2530),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포커스렌즈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S2540). 그리고, 종단까지 수색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 그대로 리턴한다. 또 판단결과(ㄴ2510) 피크검출가능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도 그대로 리턴한다.
도 26은 셔터버튼(S2)이 눌려진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4(a)에서 반셔터버튼(S1)을 누른 상태에서 AF를 완료한 후 셔터버튼 S2를 눌러 동작 A3를 시작한다. 촬영모드가 동영상모드인지 판단한다(S2601).
촬영모드가 동영상 모드가 아닌 경우, 렌즈 초점이 검출되면(S2602) 정지화면을 캡쳐한 후 일정시간 동안 캡쳐한 화상을 표시한다(S2603, S2604). 그 후 도 23의 A1 동작으로 돌아가 라이브뷰 표시를 수행한다.
촬영모드가 동영상모드인 경우, 동영상을 캡쳐하기 시작한다(S2605). 이후 셔터버튼(S2)이 다시 ON 되면 캡쳐를 정지한다. 그 후, 렌즈 초점이 맞는지 검출하여(S2606), 초점이 맞는 경우 일정시간 Tw 경과 후에 이후의 AF를 개시한다(S2607). 동영상 모드에서는 연속AF(Continuous AF)를 수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초점을 맞추기 위해 일정시간 Tw를 두어 완만히 동작시킨다. 초점이 맞으면 일정시간 Tw이 경과한 후 포커스렌즈를 근방향으로 저속구동한다(S2615). Tw는 500ms 내지 1s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S2606단계에서 초점이 맞지 않는 경우 시간 대기 없이 포커스렌즈를 근방향으로 저속 구동시킨다(S2608). 포커스렌즈를 근방향으로 저속 구동시키기 위해. 교환렌즈에 근방향 저속구동명령을 전달한다. 렌즈제어부(도 1, 110 참고)에서는 연속AF를 수행하므로, 일반적인 AF보다 저속으로 렌즈를 구동한다.
그 후, 동영상 모드에 맞게 다분할 초점검출 영역을 변환시킨다(S2609). 동영상 모드에서는 다분할 초점검출 영역의 크기를 보다 큰 영역으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반셔터 S1모드에서는 도 3의 (a)와 같은 다분할 초점검출 영역을 사용하다가 동영상 모드에서는 도 4의 (b)와 같이 보다 영역이 큰 다분할 초점검출 영역을 사용한다.
변환된 다분할 초점검출 영역에 맞추어 촬상타이밍신호를 입력한다(S2610). 촬상타이밍신호는 AF검출을 개시하는 타이밍 신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초점이 검출되는 영역의 위치에 맞추어 발생시킨다. 따라서, 동영상 모드에 맞춰 변환된 다분할초점검출 영역에 맞는 촬상타이밍신호를 발생시킨다. 촬상타이밍신호는 촬상소자제어부(도 2, 205 참조)에서 발생하는 구동신호를 전처리부(220)을 통해 CPU(224)에서 카운트하는 과정을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촬상타이밍신호를 입력하면(S2610) 전처리부(도 2 참고,220)에 있는 AF검파 회로에서 AF를 검출한다(S2611). 그리고, 도 4의 (b)에 제시된 영역(e16, e17, e18)에 해당하는 다분할 초점검출 영역의 AF 평가값 L16~L18을 구한다.
그 후 s2613 단계에서 교환렌즈로부터 현재의 초점거리, AF검출 timing에 있어서의 포커스렌즈 위치, 현재의 촬영 렌즈의 포커스렌즈 구동량과 pint 편차량의 변환계수 KL를 입력한다. 그리고, 대응되는 AF평가값을 함께 저장한다.
그리고, S2614 단계부터 다점AF기준을 위한 수색을 수행한다. 각 초점검출 영역의 피크가 구해지면, 다점AF기준에 따라 주피사체를 선택한다(S2631). 다점AF기준은 도 31을 참고하며, 동영상모드에서는 도 4의 (b)와 같은 다분할 초점검출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렌즈의 동기위치가 피크검출 영역판단지점인 Nz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S2614). Nz에 적어도 한 번이라도 도달한 경우, S2618 단계로 넘어간다. 렌즈가 무한대 방향에서 근방향으로 움직여 Nz에 도달한 경우, Nz까지 도달했다가 근방향에서 무한대 방향으로 반전 구동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S2615 단계에서 중앙 및 최근접 영역의 피사체를 모두 검출한 경우, 또는 S2616 단계에서 최근접 영역의 피사체는 검출하지 못하였어도 중앙 영역의 피사체를 검출한 경우는 A32 흐름도(도면 참고)의 S2631 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포커스렌즈의 현재 위치가 1/60 배율보다 소배율인 경우인지를 판단한다(S2617).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1/60 배율보다 낮은 배율위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크 영역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620). 적어도 하나의 피크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A32 흐름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A33 흐름도를 진행한다.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1/60 배율보다 낮은 배율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종단 판정 처리(S2618)를 실시한다. 종단 판정 처리에 대해서는 도 25의 설명을 참고한다. 이후 무한대 방향의 피크검출 영역판단지점인 ∞z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S2619). ∞z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수색을 계속 수행하기 위해 S2609 단계로 돌아가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는다.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z에 도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크가 검출되었는지 판단한다(S2620). 최근접영역까지 수색한 후 방향을 변경하여 1/60 배율까지 수색한 경우에 적어도 최근접 피사체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 A32 흐름도를 진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피크도 검출되지 않은 경우 A33 흐름도를 진행한다.
S262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크가 검출된 경우, 먼저 다점AF기준에 따라 주피사체를 선택한다(S2631). 그 후 AF 평가값을 보완하여 Vpk, LVpk 값을 계산한다(S2632). 계산된 AF 평가값 Vpk가 기설정된 렌즈동기위치 값 PKT보다 큰지 판단하여(S2633), 큰 경우 AF 검출영역 위치에 의한 피크 오차를 보정한다(S2634).
그 후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렌즈제어부(110)로 포커스렌즈의 구동량, 포커스렌즈의 역방향 구동명령, 목표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의 고속 구동 명령을 송신한다(S2636). 렌즈내에서는 역방향 구동을 개시하여 S2635 단계에서 파악한 렌즈의 목표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여 초점을 맞춘다(S2636).
그 후 셔터버튼 S2 가 다시 ON 또는 OFF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637). 릴리스 버튼이 눌린 경우가 아니라면, A31 흐름도의 S2606 단계가 진행되어 동영상 캡쳐 및 Continuous AF를 계속 수행한다. 릴리스버튼이 다시 눌리는 경우, 동영상 촬영을 종료한다(S2638). 그 후 도 23의 A1단계로 돌아와 라이브뷰를 표시한다.
A33 흐름도에서는 AF평가값 Vpk가 PKT보다 크지 않은 경우(S2633) 포커스렌즈 구동정지 명령을 한다(S2639). 그 후 S2637 단계 및 S2638 단계를 수행한다.
제 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렌즈 교환식 디지털 촬영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렌즈(101) 내에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105),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가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예인 카메라에서는 렌즈(101) 내에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 및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가 결여되어 있다. 대신,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에서는 본체부(200)에 포커스 렌즈군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230), 포커스 렌즈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231)가 있고, 카메라 제어부(209)에서 카메라 메모리(228)를 포함하는 차이가 있다.
카메라 메모리(228)는 렌즈의 고유정보 또는 렌즈와 AF검파의 주파수의 차이로 인한 오차값 ΔIB 및 보정값이 초점검출영역에 의해 변화되는 경우의 보정값 ΔIBoff 등을 저장한다. 이로써, 도 10의 일 예에서는 렌즈 정보를 본체부(200) 내에서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렌즈가 오래되어 렌즈의 정보가 부족한 경우에도, 본체부(200)에 저장된 렌즈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차이점 외에 기타 도 1 과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기능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도 1의 설명을 참고한다. 또한 도 10의 디지털 촬영장치 역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다중초점검출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은 도 23 내지 26과 거의 유사하지만, 교환렌즈에서 구동량 송신, 방향 전환 명령, 목표위치 지점에서 포커스 렌즈를 고속으로 구동하라는 명령 송신 불필요한 점 등이 차이가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바디(body)에서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부분 및 다점AF기준 등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촬영시에 초점을 검출하는 초점검출영역을 도 4의 e16 ~e18에서 도 5의 e19~e21로 변경하여 판독하는 차이점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다점AF기준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서 βm을 1/100로 설정한다. 그 후 화면 중앙영역의 배율 βm이 1/100 이상인 경우 중앙 영역을 선택하고, 1/100보다 작은 경우에는 최근접 영역을 선택한다. 또한, 다점AF기준을 변경하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도 24의 S2410 단계에서 현재위치가 1/100 배율지점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또한, 이러한 배율은 촬상센서의 포맷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실시예의 다점AF기준은 도 32를 참고한다. 도 32는 도 31의 화상의 중앙영역의 선택배율을 1/60 배율에서 1/100 배율로 변경함으로써, 매크로 촬영시에 중앙 영역 바로 윗 영역의 배율 βu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촬상렌즈와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예들의 내용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겠다.
도 11은 렌즈와 본체가 일체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2)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와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2)는 도 1과 달리 렌즈(100)와 본체부(2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렌즈(100)의 교환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렌즈(100)와 본체부(200)가 일체형이기 때문에 렌즈 마운트(109) 및 카메라 마운트(208)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 제어부(209)가 직접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105), 조리개 구동 액츄에이터(108) 등을 제어하여 줌 렌즈(102), 포커스 렌즈(104), 조리개(107) 등을 구동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209)가 직접 줌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3), 포커스 렌즈 위치 감지 센서(106)로부터 위치 정보를 직접 수신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209)는 도 1의 렌즈 제어부(110)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로 동영상 촬영 개시를 위한 SMV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일체형 디지털 촬영장치는 도 23 내지 26의 동작과 거의 유사하나, 일체형이므로 교환렌즈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촬영장치가 미리 지니고 있으므로, 이런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 차이가 있다.
도 27에서 30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7은 디지털촬영장치의 일 예인 카메라가 B1동작(라이브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다. 카메라의 메인스위치 SM이 ON되어 카메라가 구동되면, Key조작을 검출한다(S2701). 그리고, 카메라 모드를 설정한다(S2702). 카메라 모드의 예로는 정지화면, 동영상 등의 모드가 있다. 제 1 실시예의 경우 교환렌즈로부터 카메라 동작에 필요한 렌즈 정보를 입력하지만, 제 3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S2703 단계 이하는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a) 및 (b)는 일체형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예인 일체형 카메라에의 동작 흐름도의 예시이다.
도 28(a)의 라이브뷰 동작(B1)을 하고 있을 때, 반셔터 버튼S2가 눌린 경우 B2 동작이 개시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다분할초점 검출영역을 도 3의 (a)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도 31과 같은 다점AF기준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 대응되는 구성은 도 28(a) 내지 (b)는 실질적으로 도 24(a) 내지 (b)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를 참고한다.
도 28(a) 및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수색을 수행할 때 근방향에서는 AF 검색시간을 빠르나, 화각 변화가 크다. 반면 무한대 방향에서는 AF 검색시간은 길지만 화각변화가 작으므로, 정지화면 모드에서는 근방향을 우선으로 수색을 수행하고, 동영상 모드에서는 무한대 방향을 우선으로 수색을 수행한다.
또한, S2808 단계에서 중앙영역에서 피사체가 검출되는 경우, 중앙 영역에 피사체가 발견되더라고 최근접 피사체를 찾기 위해 수색을 계속 진행한다(S2810단계). 반대로, 최근접 피사체가 발견된 경우라도 중앙영역을 찾기 위해 수색을 수행한다.)
도 29 는 셔터버튼 S2를 누른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AF가 완료후 라이브뷰를 표시하고 있을 때, 셔터버튼 S2가 ON되는 경우를 B3동작이라고 한다. 초점이 검출되기 이전에 S2가 ON되고 있는 경우(S2910), 렌즈의 초점이 검출될 때까지 기다린 후 정지영상을 촬영한다(S2920). 일정시간동안 캡쳐한 정지영상을 표시한 후(S2930), 도 27의 B1 동작으로 돌아와 라이브뷰를 표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동영상모드에서 컨트라스트AF로 다점AF기준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동영상 촬영시에는 도 4 (a) 및 (b) 내지 도 5의 다점 AF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Continuous AF 방식으로 AF 소음이나 화각변화를 완만히 하기 위해 AF를 저속으로 구동한다.
동영상 촬영버튼 SMV가 ON이 되면 동영상 촬영동작 B4가 시작된다. B4 동작이 개시되면 동영상 촬영이 개시되고(S3001), 포커스 렌즈를 무한대방향으로 고속 구동시킨다(S3002). 다만, 포커스 렌즈를 무한대방향으로 고속구동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S3004~S3020, S3023 및 S3024 단계는 도 28(a) 및 (b)의 대응되는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를 참고한다. 동영상 촬영버튼 SMV이 다시 ON이 되었는지를 판단하여(S3003), 다시 눌린 경우 동영상 촬영을 멈추고(S3021), 포커스렌즈 구동도 정지시킨다(S3022).
도 31 은 다점AF기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먼저 최근접 피사체의 배율βnear가 1/15배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110). 1/15배율 이상인 경우 매크로 촬영이라고 판단한다. 매크로 촬영으로 판단되면, 화상의 중앙영역을 선택한다(S3150). 최근접 피사체의 배율βnear가 1/15배율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중앙영역이 가장 먼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120). 중앙영역이 가장 먼위치라면 최근접영역을 선택한다(S3140). 즉, 중앙 영역이 가장 먼 위치인 경우는 도 7의 (a)와 같은 패턴이 형성되어, 최근접 피사체의 배율βnear가 1/15배율보다 작은 경우, 모두 최근접 영역을 선택하게 된다.
중앙영역이 가장 먼위치가 아닌 경우는 도 7의 (b)와 같은 패턴이 형성된다.
이 경우, 중앙 영역의 상 배율βm이 1/60 배율보다 큰지 판단한다. βm이 1/60 배율 이상인 경우 중앙영역을 선택하고(S3150), 그렇지 않은 경우 최근접 영역을 선택한다(S3140).
이상과 같이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중 하나를 검출한 후 리턴한다.
도 32 는 다점AF기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2의 다점AF기준은 제 2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2는 도 31에서 화면중앙영역의 배율을 1/60로 설정한 것을 1/100로 변경한 것이다. 도 32의 다점AF기준은 매크로 촬영시에 화상의 중앙영역 바로 위에 있는 영역의 배율βu를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먼저 최근접 피사체의 배율βnear가 1/15배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210). 1/15배율 이상인 경우 매크로 촬영이라고 판단한다. 매크로 촬영으로 판단되면, 화상의 중앙영역 바로 위에 있는 영역의 배율βu가 1/15 배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250). βu가 1/15 배율 이상인 경우, 화상의 중앙영역을 선택한다. βu가 1/15 배율보다 크지 않은 경우 최근접 영역을 선택한다(S3240).
최근접 피사체의 배율βnear가 1/15배율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중앙영역이 가장 먼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220). 중앙영역이 가장 먼위치라면 최근접영역을 선택한다(S3240). 즉, 중앙 영역이 가장 먼 위치인 경우는 도 7의 (a)와 같은 패턴이 형성되어, 최근접 피사체의 배율βnear가 1/15배율보다 작은 경우, 모두 최근접 영역을 선택하게 된다.
중앙영역이 가장 먼위치가 아닌 경우는 도 7의 (b)와 같은 패턴이 형성된다.
이 경우, 중앙 영역의 상 배율βm이 1/100 배율보다 큰지 판단한다. βm이 1/100 배율 이상인 경우 중앙영역을 선택하고(S3260), 그렇지 않은 경우 최근접 영역을 선택한다(S3240).
이상과 같이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중 하나를 검출한 후 리턴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컨트라스트AF로 다점AF동작 C1기준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촬영화면을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으로 분할한다(S3310).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예시를 참고할 수 있다.
포커스렌즈를 근방향으로 또는 무한대 방향으로 구동하여 수색을 수행한다(S3320). 도 12 내지 19는 ∞에서 근방향으로 수색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0내지 22는 근방향에서 ∞방향으로 수색하는 예를 도시한다.
수색과정에서 복수 개의 초점검출영역에서 AF 피크값을 검출한다(S3330). 그 후 촬영화면의 중앙영역 및 근접영역의 AF 피크값이 모두 검출되었는지 판정하여(S3340),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경우 수색을 계속 수행한다.
수색과정(S3320)에서는 근방향 또는 무한대 방향의 최종단까지 모두 수색을 수행하지 않고,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은 수색을 수행하지 않는다.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은 렌즈의 동기 위치 각각에 대한 AF 평가값이 단조 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느냐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의 설명을 참고한다.
수색과정(S3320)에서 중앙영역의 피크가 검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최근접영역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포커스렌즈의 수색 방향을 근방향으로 변경하여 수색을 계속 수행한다.
또한, 최근접영역의 피크가 검출되는 경우에도, 중앙영역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포커스렌즈의 수색 방향을 무한대 방향으로 변경하여 수색을 계속 수행한다. 다만, 수색과정에서 기설정된 비율까지 검색하였으나 중앙영역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설정된 비율까지만 수색하고 더이상 상기 중앙영역의 피크를 수색하지 않는다. 이 경우 기설정된 비율로는 1/60 비율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의 일 실시예를 참고한다.
촬영화면의 중앙영역 및 근접영역의 AF 피크값이 모두 검출된 경우(S3340)에는 수색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고, 다점AF 기준을 적용하여 주피사체를 판정한다(S3350). 다점AF 기준은 도 7의 (a) 및 (b)를 참고한다. 다만, 주의할 것은 도 7의 (a) 및 (b)에 제시된 기준은 일 실시예일 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주 피사체를 판정한 후 피크 위치에 렌즈를 구동한다(S3360).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구동방법을 카메라 시스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210)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및 광학적 판독 매체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로서,
    촬영 렌즈;
    상기 촬영렌즈를 통해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부;
    상기 촬영렌즈의 포커스렌즈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영상신호에 대하여 AF 검출을 수행하여 AF 평가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영상신호로 형성된 촬영화면을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초점검출영역의 AF 평가값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다점AF검출부;
    상기 촬영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 각각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수색부;및
    상기 수색부에서 근방향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주변지점 수색시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의 유무를 특정영역에서 판정하여 상기 포커스렌즈의 구동 방향을 변환시키는 영역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수색부에서, 상기 근방향의 종단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 주위를 수색하는 동안에 AF 평가값의 피크값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결정하고, 수색범위의 종단에 앞서 영역 검출 지점에서 상기 포커스렌즈의 구동 방향을 변환하여 상기 결정된 영역에서 추가 수색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색부에서 검출된 각각의 피크 중 하나의 피크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주피사체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색부는
    상기 촬영화면의 중앙영역과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적어도 하나라도 검색되지 않은 경우 검색되지 않은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피사체판정부는
    상기 수색부에서 검출된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하나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검출부에서
    상기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은 렌즈의 동기 위치 각각에 대한 AF 평가값이 단조 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느냐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검출부에서
    AF 평가값이 단조 증가하는 경우 수색방향에 피크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렌즈 종단지점까지 수색을 계속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검출부에서
    AF 평가값이 단조 감소하는 경우 수색방향에 피크값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여 검출된 상기 특정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렌즈의 구동 방향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주변지점은 촬영조리개값(F) 및 허용착란원(δ)을 기초로 사전에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역검출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종단주변지점에서 이후의 수색영역이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인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색부는
    상기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가 모두 검출된 경우 수색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색부는
    기설정된 비율까지 검색하였으나 상기 중앙영역의 피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설정된 비율까지만 수색하고 더이상 상기 중앙영역의 피크를 수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1/60 비율이며, 이 경우 상기 주피사체판정부는 상기 최근접영역의 피크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상기 주피사체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1/100 비율이며, 이 경우 상기 주피사체판정부는 상기 최근접영역의 피크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상기 주피사체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3. 피사체의 영상신호로 형성된 촬영화면을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초점검출영역의 AF 평가값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다점AF검출부;
    상기 촬영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 각각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수색부;
    상기 수색부에서 근방향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주변지점 수색시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이 검출되면 수색 방향을 전환시키는 영역검출부; 및
    상기 수색부에서 검출된 상기 각각의 피크 중 하나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주피사체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수색부에서, 상기 근방향의 종단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 주위를 수색하는 동안에 AF 평가값의 피크값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결정하고, 수색범위의 종단에 앞서 영역 검출 지점에서 상기 포커스렌즈의 구동 방향을 변환하여 상기 결정된 영역에서 추가 수색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검출부에서
    상기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은 렌즈의 동기 위치 각각에 대한 AF 평가값이 단조 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느냐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주변지점은 촬영조리개값(F) 및 허용착란원(δ)을 기초로 사전에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역검출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종단주변지점에서 이후의 수색영역이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인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색부는
    상기 촬영화면의 중앙영역과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적어도 하나라도 검색되지 않은 경우 검색되지 않은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피사체판정부는
    상기 수색부에서 검출된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하나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8.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피사체의 영상신호로 형성된 촬영화면을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으로 나누어 각 초점검출영역의 AF 평가값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다점AF검출단계;
    상기 촬영화면의 상기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 각각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수색단계;
    상기 수색단계에서 근방향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주변지점 수색시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이 검출되면 수색 방향을 전환시키는 영역검출단계; 및
    상기 수색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복수개의 초점검출 영역 각각의 피크 중 하나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주피사체판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검출 단계는,
    상기 수색단계에서, 상기 근방향의 종단 또는 무한대 방향의 종단 주위를 수색하는 동안에 AF 평가값의 피크값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결정하고, 수색범위의 종단에 앞서 영역 검출 지점에서 상기 포커스렌즈의 구동 방향을 변환하여 상기 결정된 영역에서 추가 수색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검출단계에서
    상기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은 렌즈의 동기 위치 각각에 대한 AF 평가값이 단조 증가 또는 단조 감소하느냐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주변지점은 촬영조리개값(F) 및 허용착란원(δ)을 기초로 사전에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역검출단계에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종단주변지점에서 이후의 수색영역이 피크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는 영역인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색단계는
    상기 촬영화면의 중앙영역과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적어도 하나라도 검색되지 않은 경우 검색되지 않은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를 검출하기 위해 수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피사체판정단계는
    상기 수색단계에서 검출된 중앙영역 또는 최근접영역의 피크 중 하나를 기설정된 다점AF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피크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주피사체로 판정하여 컨트라스트AF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방법.
KR1020100001320A 2010-01-07 2010-01-07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70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320A KR101700359B1 (ko) 2010-01-07 2010-01-07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방법
US12/984,003 US8737831B2 (en) 2010-01-07 2011-01-04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apply high-speed multi-autofocusing (A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320A KR101700359B1 (ko) 2010-01-07 2010-01-07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91A KR20110080891A (ko) 2011-07-13
KR101700359B1 true KR101700359B1 (ko) 2017-02-13

Family

ID=4422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320A KR101700359B1 (ko) 2010-01-07 2010-01-07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7831B2 (ko)
KR (1) KR101700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5923B2 (en) * 2010-08-30 2013-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US9465212B2 (en) 2012-03-28 2016-10-11 Intel Corporation Flexible defocus blur for stochastic rasterization
JP2018036507A (ja) 2016-08-31 2018-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
JP6877920B2 (ja) * 2016-08-31 2021-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
JP7336330B2 (ja) * 2019-09-24 2023-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341A (ja) 2001-04-20 2002-10-31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JP2003107328A (ja) 2001-09-28 2003-04-09 Nikon Corp カメラ
JP2006058405A (ja) 2004-08-18 2006-03-02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2650B2 (ja) 1987-11-06 1997-10-15 ミノルタ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US5315339A (en) 1991-05-22 1994-05-2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uto focus camera having plural focussing modes
JPH10213737A (ja) * 1997-01-30 1998-08-11 Sony Corp ビデオカメラの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3797543B2 (ja) * 2001-10-26 2006-07-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JP2003195151A (ja) 2001-12-27 2003-07-09 Minolta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341A (ja) 2001-04-20 2002-10-31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JP2003107328A (ja) 2001-09-28 2003-04-09 Nikon Corp カメラ
JP2006058405A (ja) 2004-08-18 2006-03-02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64867A1 (en) 2011-07-07
KR20110080891A (ko) 2011-07-13
US8737831B2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832B1 (ko) 컨트라스트af로 다점 af를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
JP495794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711260B2 (en) Digital camera and camera system
KR101590872B1 (ko) 카메라 시스템 및 이미지 형성 장치
KR101710633B1 (ko) 자동 초점 조절 방법,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JP2009251557A (ja) 撮像装置
KR101700359B1 (ko) 고속다점af기준을 지원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방법
JP5896763B2 (ja) 光学機器および自動焦点調節を行う方法
JP5432664B2 (ja) 撮像装置
EP2757415B1 (en) 3d imaging device
JP5883564B2 (ja) 撮像装置
JP2007225897A (ja) 合焦位置決定装置及び方法
JP5548490B2 (ja) 撮像装置
JP6084316B2 (ja) 撮像装置
JPH09181954A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13061665A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本体
JP2020013050A (ja) 撮影パラメータ調整装置、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撮影パラメータ調整システム、及び撮影パラメータの調整方法
JP5911530B2 (ja) 撮像装置
JP5353866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48763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869689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527322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9106725A (ja) 撮像装置
KR101720191B1 (ko) 초점 조절 장치, 초점 조절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12252163A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