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867B1 -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867B1
KR101699867B1 KR1020130087899A KR20130087899A KR101699867B1 KR 101699867 B1 KR101699867 B1 KR 101699867B1 KR 1020130087899 A KR1020130087899 A KR 1020130087899A KR 20130087899 A KR20130087899 A KR 20130087899A KR 101699867 B1 KR101699867 B1 KR 101699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ail
battery cell
cell stack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413A (ko
Inventor
엄인성
김제영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8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867B1/ko
Priority to US14/782,175 priority patent/US10276842B2/en
Priority to PCT/KR2014/006355 priority patent/WO2015012520A1/ko
Priority to CN201480019650.9A priority patent/CN105103334B/zh
Priority to JP2016507898A priority patent/JP6284622B2/ja
Publication of KR2015001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압축하는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Battery Module Having Movable Pressurization Member}
본 발명은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가진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를 적층하거나 권취한 상태로 금속 캔 또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 케이스에 내장한 다음 전해액을 주입하거나 함침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이차전지는 전지의 사용 중 전지셀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 시키지 못하면,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다량의 가스가 전지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전지 케이스의 밀봉부 사이로 전해액을 누출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리튬 이차전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압축하는 이동형 가압부재;
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전지셀 적층체를 압축하는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지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가압부재는 상기 모듈 케이스와 전지셀 적층체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가압부재는,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결합되는 다리 부재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를 전지셀 적층체의 가압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끄럼 운동 부재, 및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 부재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지셀 적층체가 팽창하여 양단의 다리 부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 전지셀 적층체가 적층 방향으로 팽창한 크기만큼, 전지셀의 적층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는, 고정형의 제 1 레일과 상기 제 1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형의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레일일 수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 1 레일과 상기 제 2 레일의 각각의 대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는, 고정형의 제 1 레일과 상기 제 1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형의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레일일 수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 1 레일에 형성되는 탄성 돌기와 상기 제 2 레일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돌기와 결합하는 체결 홈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요철 구조를 가지고 모듈 케이스 내에 장착되며,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는, 상기 요철 구조의 스토퍼 부재 상에서 이동하고 상기 다리 부재의 하단에 결합하는 바퀴 부재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는, 상기 다리 부재의 하단에 결합하는 바퀴 부재일 수 있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결합되는 다리 부재를 연결하는 압축 탄성 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가압 부재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구성하는 개개의 전지셀의 팽창응력을 해소하여 개개의 전지셀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압력은, 30 kgf 이상 내지 80 kgf 이하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압력이 30 kgf 미만일 경우에는, 전지셀의 팽창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고, 상기 압력이 80 kgf 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전지셀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가압 부재의 적정한 압력은 상기한 범위 내일 수 있다.
전지셀은, 전해질과 전극 적층체를 내장하고 전지 케이스를 밀봉한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단위모듈로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동력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전지셀 적층체를 압축하는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지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은 모듈 케이스(100)와, 전지셀 적층체(200)와, 이동형 가압부재(3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형 가압부재(300)는 지지 부재(310), 미끄럼 운동 부재(320), 및 스토퍼 부재(330)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 부재(310)는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311) 및 다리 부재(312)로 이루어져 있다.
미끄럼 운동 부재(320)는 다리 부재(312)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고, 바퀴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스토퍼 부재(330)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스토퍼 부재(330)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미끄럼 운동 부재(320)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가스 발생으로 인해 전지셀 적층체(200) 팽창 시, 다리 부재(312)는 전지셀 적층체(200)로부터 압력을 받고, 다리 부재(312)에 연결된 미끄럼 운동 부재(320)는 스토퍼 부재(330) 상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또한,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311)는, 전지셀 적층체(200)가 팽창하여 양단의 다리 부재(31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만큼, 크기가 커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전지셀 적층체(200)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모듈 케이스;
    상기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압축하는 이동형 가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가압부재는,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결합되는 다리 부재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를 전지셀 적층체의 가압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끄럼 운동 부재, 및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지셀 적층체가 팽창하여 양단의 다리 부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 전지셀 적층체가 적층 방향으로 팽창한 크기만큼, 전지셀의 적층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는 구조이며,
    상기 다리 부재는 전지셀 적층체로부터 압력을 받고, 다리 부재에 연결된 미끄럼 운동 부재는 스토퍼 부재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가압부재는 상기 모듈 케이스와 전지셀 적층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는, 고정형의 제 1 레일과 상기 제 1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형의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레일이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 1 레일과 상기 제 2 레일의 각각의 대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는, 고정형의 제 1 레일과 상기 제 1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형의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레일이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 1 레일에 형성되는 탄성 돌기와 상기 제 2 레일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돌기와 결합하는 체결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요철 구조를 가지고 모듈 케이스 내에 장착되며,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는, 상기 요철 구조의 스토퍼 부재 상에서 이동하고 상기 다리 부재의 하단에 결합하는 바퀴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운동 부재는, 상기 다리 부재의 하단에 결합하는 바퀴 부재이며,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분리형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결합되는 다리 부재를 연결하는 압축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가압 부재는,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구성하는 개개의 전지셀의 팽창응력을 해소하여 개개의 전지셀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30 kgf 이상 내지 80 kgf 이하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셀은, 전해질과 전극 적층체를 내장하고 전지 케이스를 밀봉한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2.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13. 제 12 항에 따른 전지팩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
KR1020130087899A 2013-07-25 2013-07-25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699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899A KR101699867B1 (ko) 2013-07-25 2013-07-25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14/782,175 US10276842B2 (en) 2013-07-25 2014-07-15 Battery module having movable pressurization member
PCT/KR2014/006355 WO2015012520A1 (ko) 2013-07-25 2014-07-15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201480019650.9A CN105103334B (zh) 2013-07-25 2014-07-15 具有可移动加压构件的电池模块
JP2016507898A JP6284622B2 (ja) 2013-07-25 2014-07-15 移動型加圧部材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899A KR101699867B1 (ko) 2013-07-25 2013-07-25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413A KR20150012413A (ko) 2015-02-04
KR101699867B1 true KR101699867B1 (ko) 2017-01-25

Family

ID=5239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899A KR101699867B1 (ko) 2013-07-25 2013-07-25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6842B2 (ko)
JP (1) JP6284622B2 (ko)
KR (1) KR101699867B1 (ko)
CN (1) CN105103334B (ko)
WO (1) WO20150125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71A1 (ko) * 2021-08-17 2023-0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8912A1 (de) * 2015-05-13 2016-11-17 Novero Gmbh Vorrichtung zur Speicherung elektrischer Energ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KR101806995B1 (ko) * 2015-05-18 2017-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101967703B1 (ko) 2015-10-05 2019-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5405998B (zh) * 2015-11-18 2018-11-20 芜湖凯尔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组
CN105591060B (zh) * 2016-02-25 2019-09-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组装置
CN105762312B (zh) * 2016-04-07 2018-05-04 苏州工业园区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动力电池的防撞保护装置
KR102116384B1 (ko) * 2017-01-11 2020-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KR102178959B1 (ko) 2017-04-06 2020-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엔드 플레이트,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88477B1 (ko) * 2017-05-16 2020-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WO2018221129A1 (ja) * 2017-06-02 2018-12-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の製造装置
US11691518B2 (en) * 2017-07-21 2023-07-04 Quantumscape Battery, Inc. Predictive model for estimating battery states
CN109994658B (zh) * 2017-12-29 2021-10-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侧板结构体、电池模组的壳体及电池模组
CN111864252A (zh) * 2019-04-29 2020-10-30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二次电池装置
EP4303973A1 (en) * 2022-06-02 2024-01-10 AESC Japan Ltd. Batter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5012B2 (ja) * 1999-12-15 201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パック
JP4117435B2 (ja) * 2000-03-13 2008-07-16 大阪瓦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0728216B1 (ko) * 2005-11-07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5481796B2 (ja) 2008-03-27 2014-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スタックの拘束手段を持つ電池機器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KR101108190B1 (ko) 2009-12-23 2012-01-3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US8465866B2 (en) 2010-04-21 2013-06-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a pressure control unit
KR101761739B1 (ko) * 2010-04-21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101191662B1 (ko) 2010-11-05 2012-10-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5946648B2 (ja) 2012-02-13 2016-07-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セル搬送システム
JP2014175078A (ja) 2013-03-06 2014-09-22 Captex Co Ltd 電池パ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71A1 (ko) * 2021-08-17 2023-0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413A (ko) 2015-02-04
JP6284622B2 (ja) 2018-02-28
US20160133892A1 (en) 2016-05-12
WO2015012520A1 (ko) 2015-01-29
JP2016514899A (ja) 2016-05-23
US10276842B2 (en) 2019-04-30
CN105103334A (zh) 2015-11-25
CN105103334B (zh) 201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867B1 (ko)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9882231B2 (en) Sealing tool for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KR101713042B1 (ko) 전지셀 고온 가압 장치
CN108475830B (zh) 散热材料、制造散热材料的方法及包括散热材料的电池模块
KR101629476B1 (ko) 가스 배출 부재 및 전해질 주액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KR20160026241A (ko) 전지모듈
US10553835B2 (en) Battery cell having means for preventing short-circuit
JP2014203778A (ja) 充放電装置
KR20150000090A (ko) 가압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JP2013004341A (ja) 蓄電装置、スペーサ
EP2860815B1 (en) Gripper assembly for charging/discharging battery
US9520727B2 (en) Gripper assembl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KR101596495B1 (ko) 전지셀 충방전용 트레이
JP2014041744A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3069558A (ja) 電池モジュール
CN219717129U (zh) 电池模组和电池包
JP2020098669A (ja) 電極封入体及び蓄電デバイス
JP2013062174A (ja) 全固体電池
KR101627366B1 (ko) 경화성 물질 부가 수단을 구비한 전지셀 제조 장치
KR101750090B1 (ko) 좌우 커버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는 전지셀용 테이핑 지그
KR20150040135A (ko)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6197549B2 (ja) 電池保持用スペーサ及び電池保持方法
KR101584301B1 (ko) 전극 탭 제조 방법 및 전극 리드 제조 방법
CN116613449A (zh) 电池模组和电池包
KR20150037309A (ko)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된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