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592B1 -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592B1
KR101699592B1 KR1020140191809A KR20140191809A KR101699592B1 KR 101699592 B1 KR101699592 B1 KR 101699592B1 KR 1020140191809 A KR1020140191809 A KR 1020140191809A KR 20140191809 A KR20140191809 A KR 20140191809A KR 101699592 B1 KR101699592 B1 KR 10169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keleton
character
portions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219A (ko
Inventor
정진주
배성진
Original Assignee
정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주 filed Critical 정진주
Priority to KR102014019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5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과 휴대성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용도로서 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판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측벽부와, 양측의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골격부, 상기 골격부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골격부에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대향골격부 및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골격부 및 대향골격부를 상하 및 전후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단부측에서 양단측으로 배치되는 에지돌설부와, 결합홈들의 배열의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돌설부는, 외면에 배치되는 측벽부를 지지하며, 상기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는, 측벽부 사이를 보강하는 조립식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경량이면서도 구조적인 신뢰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ASSEMBLING SEAT CHAIR AND AUGMENT REALIT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 및 이를 이용한 놀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성과 휴대성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용도로서 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아 몸을 뒤로 기댈 수 있는 가구의 일종이나, 현재에는 등받이가 없는 의자, 흔들의자, 안락의자 등 다양한 디자인과 종류로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의자는 목재 또는 철재 등으로 제작되어 무게가 무겁고 취급이 불편하며 대량생산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과도한 문제가 있다.
또한, 목재 또는 철재의 의자 모서리에 부상당할 염려가 있으며 아동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730호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휴대용 의자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재질과 구조상의 한계로 인하여 인체를 지지하기 위한 견고성에 대부분 문제를 가진다. 일부 구조물에 취약부분이 발생한 경우 하중에 의하여 형상이 찌그러지거나 심각한 경우 구조 전체가 붕괴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최근에는 오프라인게임과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동하여 작동하는 다양한 게임들에 대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2366호는 로고인식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외부의 촬영영상을 입력받아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캐릭터 게임을 제공하는 방식을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증강현실의 경우 실제와 게임 환경의 이질감이 크고 이용자의 만족감이 높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이와 같은 경량의 판상 재질을 이용하면서도 견고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의자에 있어서 이를 소정의 게임의 운영에 활용될 수 있도록 캐릭터화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상의 게임을 운영할 수 있는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판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측벽부와, 양측의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골격부, 상기 골격부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골격부에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대향골격부 및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골격부 및 대향골격부를 상하 및 전후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단부측에서 양단측으로 배치되는 에지돌설부와, 결합홈들의 배열의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돌설부는, 외면에 배치되는 측벽부를 지지하며, 상기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는, 측벽부 사이를 보강하는 조립식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경량이면서도 구조적인 신뢰성이 제공된다.
상기 에지돌설부의 폭은,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골격부와 대향골격부를 연결하며 횡방향으로의 지지력을 향상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단력에 대한 대응능력이 향상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골격부는, 측벽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측벽부의 전방, 후방 및 저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후프레임부와, 지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측프레임부와, 상기 지주부의 후방측에서 좌판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좌판프레임부와, 후방 상측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측프레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선는, 전후프레임부가 전면에 배치되는 캐릭터부와, 후면에 배치되는 하측배면판부와, 전방 상면을 형성하며 후방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전방판부와, 캐릭터부의 상측에서 전방판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부와 하측배면판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경사지며, 캐릭터부의 경사도가 하측배면판부의 경사도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및 상기 언더프레임의 저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더프레임은,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향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조립식 의자를 이용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으로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모바일장치 및 상기 모바일장치의 촬영부로부터 입력된 조립식 의자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활성화캐릭터와 증강현실이미지를 제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서버는, 조립식 의자에 표시되는 캐릭터부를 인식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이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변경된 활성화캐릭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경량이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자가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판재로 구성되는 조립식의자에 있어서 구조적이 효율성이 향상되므로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시스템에 따라 조립식 의자가 소정의 캐릭터를 구비하고 이를 증강현실로서 이용자에 대해 반응 및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물리적인 의자의 용도로서 뿐만이 아니라 오락이나 교육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싱 의자에서 골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조립식의자의 하단측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언더프레임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판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측벽부와, 양측의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골격부, 상기 골격부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골격부에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대향골격부 및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골격부 및 대향골격부를 상하 및 전후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단부측에서 양단측으로 배치되는 에지돌설부와, 결합홈들의 배열의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돌설부는, 외면에 배치되는 측벽부를 지지하며, 상기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는, 측벽부 사이를 보강하는 조립식 의자를 제공한다.
각각의 골격부 및 프레임부는, 보관 및 이동성의 향상과 중량의 절감을 고려하여 판재가 절단되고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재의 재질은 선택적이나 생산성을 고려하여 골판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조립식 의자는 실내외의 다양한 장소에 비치되어 이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좌석을 형성하며, 전방측에 소정의 캐릭터부가 형성되어 후술될 바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오락 등의 목적으로 증강현실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의자의 전체적인 형태는 아래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골격부의 형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골격부(1100)는 적어도 두 개의 판재 또는 판부가 양측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도 2와 관련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골격부(1100)가 후방 상측에 소정의 좌판을 형성하고 좌판의 전방측으로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주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주부는 상측프레임부(1300)가 전후측으로 덮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후방측에서 등받이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지주부의 전방측으로는 골격부(1100)가 상면으로 소정의 단차부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단차부는 물건을 거치할 수 있거나 입체적인 형상을 인식함에 있어서 상측과 하측의 캐릭터부에 대해서 전후 거리를 달리하도록 함으로써 공간감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골격부(1100)는 측면상 외관을 형성하며 주로 좌판을 지지하고 전면에 캐릭터부(1210)가 배치되는 측벽부와,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측프레임부(1300)를 지지하는 지주부로 구분될 수 있다.
전후프레임부(1200)는, 이러한 측벽부의 전방, 하부 및 후방측을 감싸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전후측으로 상측으로 절곡되어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후프레임부(1200)는 골격부(1100)의 후방측의 소정의 결합홈(참조번호 미표시)에 후방 단부측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전방측에서는 측벽부와 지주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때, 골격부(1100)가 전방측으로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게 됨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를 위하여 단부측이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전방판부(1220)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후프레임부(1200)의 골격부(1100)의 전방측을 감싸는 부위는 정면상 소정의 면적을 차지하며 이에 캐릭터부(1210)가 배치되어 미관적인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캐릭터부(1210)와 전방판부(1220)를 연결하는 모서리 부위에는 소정의 걸림턱으로서 기능하면서 눈이나 귀와 같은 소정의 입체적인 형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21)는 미관을 고려하여 원 내지는 타원의 일부의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선택적이다.
돌출부(1221)는 캐릭터부(1210)와 연결된 형태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판부(1220)에는 돌출부(1221)에 대응되도록 절취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될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하측배면판(1202)은 전방판부(1220)와 캐릭터부(1210)를 상호 간에 절곡하여 모서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돌출부(1221)가 배치되는 전방판부(1220)에서 절취부위를 따라 절취되어 자연스럽게 캐릭터부(1210)가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측프레임부(1300)는 지주부의 전방측, 상측 및 후방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주로 후방측에서 등받이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측프레임부(1300)의 전방측은 캐릭터부(1210)와 연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측캐릭터부(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측캐릭터부와 캐릭터부(1210) 및 돌출부(1221)는 소정의 촬영수단을 통하여 촬영되어 소정의 캐릭터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릭터는 후술될 바와 같이 증강현실상의 활성화캐릭터로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상측프레임부(1300)의 전방 하측의 단부는 전후프레임부(1200)의 전방 상측 단부와 상호 외면에서 밀착되어 골격부(1100)에 형성되는 하나의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
골격부에 소정의 결합홈들이 형성되고, 골격부를 제외한 각각의 프레임부들과의 결합관계가 소정의 돌설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체결되면서 양측으로 돌설부들이 결합홈들이 형성되는 측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관계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공통된다.
상기 상측프레임부(1300)는 전방 하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지주부의 상면을 덮도록 절곡되면서 다시 후방 하측으로 연장되어 골격부(1100)의 측벽부와 지주부의 후방측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결합된다. 이때, 상측프레임부(1300)의 후방측 단부는 전방측에 배치되는 좌판프레임부(1410)의 단부측 외면과 밀착되어 하나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좌판프레임부(1410)는 하나 이상의 부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두 개의 부재(1410, 1420)로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었다.
이러한 좌판프레임부(1410)는 측면상 하방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골격부(110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측에 배치되는 좌판프레임부(1410)의 전방 단부측은 상측프레임부(1300)의 후방 단부측과 밀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좌판프레임부(1410, 1420)가 상호 밀착되어 결합홈들을 공유하면서 배치된다.
한편, 골격부(1100)의 후방의 상측의 모서리측에서는 좌판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모서리측프레임부(1500)가 배치되며, 이러한 모서리측프레임부(1500)는 따라서 좌판프레임부(1410)와 밀착되며 하단측에서는 전후프레임부(1200)와 밀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의자(1000)는 전면에 소정의 캐릭터부(1210)를 구비하고 바닥면에 배치되는데 증강현실로서의 인식을 고려하면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측으로 멀어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측프레임부(1300)와 전후프레임부(1200)의 전면측은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골격부(1100)의 전방측이 이러한 경사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착좌시의 발이나 종아리측의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골격부(1100)의 후방측 및 모서리측프레임부(1500)의 후방측도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골격부(1100)의 후방측은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상 조립식 의자(1000)는 전체적으로 전후방이 각각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측으로 치우친 경사형태를 구비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전면의 경사도보다 후면의 경사도가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의 개념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된 제1실시예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전개도를 나타내는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상하, 좌우 및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골격부(1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식 의자(1000)의 골격을 구성하는데, 좌판프레임부(1410)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저부에 배치되는 연결부(1110)와 연결부(1110)의 양측으로 상방 절곡되는 측벽부(1120) 및 상기 측벽부(1120)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등받이 부위를 형성하는 지주부(1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골격부(1100)의 측벽부(1120)는 양측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것이 다른 프레임부들과의 체결 및 형상의 단순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1110)는 대략 조립식 의자(1000)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방으로 절곡되는 양측의 측벽부(1120)가 각각 측면상 외면을 형성하는 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이는 골격부(1100)가 단일의 부재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데 좌판 및 등받이로서 이용자의 착좌시 하중의 지지를 고려하면 두 개의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골격부(1100)와 대향골격부(1150)가 양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대향골격부(1150)는 골격부(110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이하 골격부(1100)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골격부(1100)와 대향골격부(1150)는 후술될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의 강성과 전단력에 대한 저항성의 향상을 위하여 소정의 연결부로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연결부(1110)의 양측으로 상방 절곡되는 측벽부(1120)는 측면상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이러한 측벽부(1120)의 높이는 대략 좌판의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측벽부(1120)의 전방측과 후방측은 촬영시의 인식능력과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단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측벽부(1120)는 전방측으로 상단이 단차부(1151)를 구비하며 이러한 단차부(1151)는 전후프레임부(1200)가 감싸면서 전방판부(1220)를 형성하여 등받이 부위가 후방측으로 소정 단차만큼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차부(1151)의 후방측으로는 지주부(113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측프레임부(1300)가 이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지주부(1130)와 측벽부(1120)의 전방측의 연결부위에는 전후프레임부(1200)와 상측프레임부(1300)가 상호 밀착되어 함께 삽입 체결될 수 있는 결함홈(참조번호 미표시)이 후방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지주부(1130)의 전방측도 측벽부(1120)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입체감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지주부(1130) 전방의 경사진 각도는 측벽부(1120) 전방의 경사진 각도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바닥면에 대한 경사 각도는 측벽부(1120)의 후단측, 측벽부(1120)의 전단측, 지주부(1130)의 전단측 순으로 커지게 됨에 유의한다.
상기 지주부(1130)의 후단측도 등받이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배치되로록 경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 각도는 신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1130)와 측벽부(1120)의 후방측 연결부위에도 상측프레임부(1300)와 좌판프레임부(1410)가 함께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구비되는데, 이 결합부는 전방측과 달리 하향으로 함몰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른 결합홈과 달리 지주부(1130)와 측벽부(1120)의 후방측 연결부위에서는 상측프레임부(1300)가 절곡되지 않은 형태로 삽입 체결되는 차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들에서 결합홈의 폭은 대략 두 개의 판재의 폭에 대응된다.
골격부(1100)에서 지주부(1130)의 후방측의 상측은 좌판을 형성하는 골격으로서 기능하게 되며, 좌판프레임부(1410)의 개수에 의하여 결합홈의 개수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두 개의 좌판프레임부(1410, 1420)가 배치되는 예가 제시되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제1지지부(1141)와 제2지지부(11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부(1141)와 제2지지부(1142)는 그 전후측에 배치되는 결합홈에 의하여 돌출된 형태로 인식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지지부들은 절곡된 형태의 좌판프레임부(1410, 1420)의 형태에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의 배열의 전방측에는 모서리측지지부(1143)가 형성되며, 이러한 모서리측지지부(1143)는 상측이 좌판을 구성하며 후방측은 모서리측프레임부(1500)와 전후프레임부(1200)가 만나는 결합홈에 의하여 돌출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모서리측프레임부(1500)는 이에 따라 상면과 후면을 형성하며 정확하게는 측면상 3회 절곡된 형태로서 4개의 변을 가진 형태로 형성된다.
좌판프레임부(14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며 2회 도시사항과 같이 2회 절곡된 형태로서 전후측 단부가 결합홈에 하향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때, 좌판프레임부(1410)는 지지부측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체결홈을 구비하게 됨은 상기한 바와 같고, 이러한 체결홈에 의하여 전후측 단부에서 복수의 돌설부들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공통되며, 각 체결홈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설부들은 각각의 프레임부의 전후측 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좌판프레임부(1410)의 설명으로서 통일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부들은 전후측 단부에 전후 및 좌우로 대칭된 형태로서 돌설부들을 구비하게 된다.
좌판프레임부(1410)는 좌판을 이루는 상면인 상판(1411)을 중심으로 전후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골격부(1100)의 지지부의 전후측 결합홈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골격부(1100, 1150)가 두 개의 부재로서 이루어지고, 각각의 골격부가 두 개의 측벽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돌설부들에 의한 체결홈은 4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설부들은 각각의 실시예 및 프레임부들에서 공통되므로 좌판프레임부(1410)의 예를 살펴보면, 양단측에는 에지돌설부(1415)가 구비되고, 일측으로부터 일측돌설부(1412), 중심측돌설부(1413) 및 타측돌설부(1414)가 형성된다.
상기 에지돌설부(1415)와, 일측돌설부(1412), 중심측돌설부(1413) 및 타측돌설부(1414)는 동일한 길이로서 형성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으나, 에지돌설부(1415)가 외관상 노출되는 형태를 고려하면 다른 돌설부들과 다른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돌설부(1412)와 타측돌설부(1414)는 폭이 대략 연결부(1110)의 양측의 폭 또는 하나의 골격부(1100)에서 측벽부(112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고, 중심측돌설부(1413)는 양측의 골격부(1100, 1150)의 이격된 간격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서 지지되는 특성상 일측돌설부(1412), 타측돌설부(1414) 및 중심측돌설부(1413)는 어느 정도의 높이가 보장되어야 구조적으로 안정된다.
그런데, 에지돌설부(1415)는 도 1을 참고하면, 외부에 노출되면서 측벽부(1120)의 외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미관을 고려하여 에지돌설부(1415)는 다른 돌설부들보다 높이와 폭이 더욱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에지돌설부(1415)의 폭은 측벽부(1120)의 내측으로 함몰된 깊이를 결정하게 된다. 즉, 에지돌설부(1415)의 폭은 골격부(1100)의 프레임부들에 대한 내측방향 단차를 의미하게 된다.
또한, 인체의 접촉이 가능한 배치관계의 특성상 에지돌설부(1415)는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라운드진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돌설부(1412), 타측돌설부(1414) 및 중심측돌설부(1413)는 지지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대략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좌판프레임부(1410)의 형태는 다른 좌판프레임부(1420)에 공통되며, 상기 돌설부들의 배치와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 및 프레임부들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모서리측프레임부(1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서리측지지부(1143)를 상면 및 후면에서 감싸도록 배치되며, 이를 위하여 좌판의 후방 단부를 구성하는 모서리측상판(1501)과 하향 절곡되어 배치되는 모서리측배면판(150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모서리측상판(1501)은 좌판프레임부(1410)의 돌설부 외면과 밀착되는 돌설부를 마찬가지로 구비하며 이러한 돌설부의 배치 부위는 하향 절곡되어 결합홈에 삽입된다.
또한, 모서리측배면판(1502)도 전후프레임부(1200)의 돌설부 외면과 밀착되는 돌설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돌설부의 배치 부위는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결합홈에 삽입된다.
상측프레임부(1300)는 지주부(1130)를 감싸면서 전면을 형성하는 정면판(1302)과, 상면을 형성하는 상단판(1301)과, 후면을 형성하는 배면판(130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정면판(1302)의 하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좌판프레임부(1410)의 돌설부와 만나는 돌설부가 배치되는 측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결합홈에 삽입된다.
또한, 배면판(1303)의 단부측에도 돌설부들이 배치되고 이러한 돌설부는 절곡되지 않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주부(1130)와 측벽부(1120)가 연결되는 측에서 하향 형성되는 결함홈에 좌판프레임부(1410)의 돌설부와 함께 삽입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좌판프레임부(1410)는 전면을 형성하는 캐릭터부(1210)와,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판(1201)과, 배면을 형성하는 하측배면판(1202)과, 캐릭터부(121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상면을 이루는 전방판부(1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면판(1201)의 상면은 골격부(1100)의 연결부(1110)의 저면과 밀착되는데, 다른 프레임부들이 모서리가 면과 접촉되는 경우와 달리 면과 면이 마주보는 차이를 가진다.
이러한 하측배면판(1202)의 상단측에는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결합홈에서 모서리측프레임부(1500)와 함께 삽입되도록 돌설부들이 형성되며, 전방판부(1220)의 단부측에서도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설부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판부(1220)의 돌설부들도 상측프레임부(1300)의 배면판(1303)과 마찬가지로 절곡되지 않고 결합홈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전방판부(1220)에는 돌출부(1221)의 형성을 위한 절취부위(참조번호 미표시)가 형성되며, 캐릭터부(1210)로부터 전방판부(1220)를 후방으로 절곡하면서 절취부위측의 돌출부(1221)는 절곡되지 않으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룬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골격을 형성하는 골격부(2100)에 대해 전후방 및 하방에서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후프레임부(2200)와, 좌판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좌판프레임부(2410)와, 전후프레임부(2200) 및 좌판프레임부(2410)와 연결되는 모서리측프레임부(2500) 및 지주부 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측프레임부(2300)가 형성됨은 제1실시예와 공통된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조립식 의자(2000)의 전면측이 단차를 구비하지 않는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전후프레임부(2200)의 캐릭터부와 상측프레임부(2300)의 정면판은 외관상 상호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전후프레임부(2200)의 캐릭터부는 하측캐릭터부(2201)로, 상측프레임부(2300)의 정면판은 상측캐릭터부(2301)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러한 하측캐릭터부(2201)와 상측캐릭터부(2301)의 배치관계를 위하여 상기 골격부(2100)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2는 이러한 제2실시예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골격부(2100)는 양측으로 측벽부(2120)를 구비하며, 이러한 측벽부는 연결부(2110)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서 형성된다.
상기 골격부(2100)는 대향골격부(2150)와 함께 양측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면이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골격부(2100)가 연결부(2110)에 의하여 측벽부(2120)를 지지하며, 상측프레임부(1300)와 전후프레임부(2200)의 상호간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부(2110)에는 개구 형태인 삽입구(2152)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구(2152)의 높이는 전후프레임부(2200)와 상측프레임부(1300)의 두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2152)는 측벽부(2120)의 절곡된 형태 및 프레임부와의 결합관계를 위하여 연결부(2110)를 가로질러 측벽부(2120)의 일부로 연장된 형태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2110)는 정면으로 상측프레임부(1300)의 상측캐릭터부(2301)의 내면 및 전후프레임부(2200)의 하측캐릭터부(2201)의 내면과 밀착되어 배치된다.
이때, 구조적인 관계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2110)는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결부(2110)는 지주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차이가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주부의 후방측으로는 제1지지부(2141), 제2지지부(2142) 및 모서리측지지부(2143)와 이에 의한 결합홈들이 형성되어 각각의 프레임부의 체결홈이 삽입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의자에서 골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골격부(2100)가 양측으로 두 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좌판프레임부(2410)와 상측프레임부(2300)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하중에는 적절하게 대응될 수 있다.
즉, 측벽부(2120)가 네 개의 판재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하중이 분산되는데, 양측으로 측벽부(2120)가 에지돌설부(2415)에 의하여 지지되는 특성상 횡방향의 압력이나 충격에 대해서는 취약한 문제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의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골격부의 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측벽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를 가지는 것이다. 이 경우 전부 해체 후에 재조립을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심각한 경우 안전사고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골격부(2100)와 대향골격부(2150)의 사이에는 보강부(2600)가 배치되어 이를 상호간에 연결함으로써 횡방향으로의 압력이나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골격부(2100)와 대향골격부(2150)는 하나의 판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2600)의 폭은 골격부(2100)와 대향골격부(2150)의 이격된 간격에 대응되며, 실질적으로 중심측돌설부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연결부(2110)에 의하여 측벽부(2120)들이 연결되기 때문에 측벽부(2120)의 하단측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600)는 골격부(2100)와 대향골격부(2150)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벽부(212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보강부(2600)가 골격부(1100)와 대향골격부(1150)를 연결하여 전단력을 향상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데, 이때 측벽부의 전후측이나 지주부(1130)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들과 달리 등받이 부위가 생략되고 좌판 부위만이 형성되는 경우를 제시한다. 이러한 경우 골격부(3100)에서 지주부는 생략되며 대략 전체적으로 입방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구조적인 견고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골격부(3100)는 전체적으로 측면상 사각 형태를 이루며, 각 프레임부의 형태의 통일성을 고려하면 정사각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프레임부는 저면 및 전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부(3200)와, 전면 및 상면을 감싸는 제2프레임부(3300)와, 상면 및 후면을 감싸는 제3프레임부(3400)와, 후면 및 저면을 감싸는 제4프레임부(3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골격부(3100)가 측면상 정사각 형태를 이루는 경우 각각의 프레임부는 동일한 형태로서 생산될 수 있으므로 이는 생산성 향상과 비용의 절감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때, 골격부(3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함홈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함홈이 측벽부의 하나의 변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프레임부들도 전후 또는 상하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프레임부는 전후 또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길이가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7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부(3200)는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전면에서 하측캐릭터부(3201)를 형성할 수 있고, 제2프레임부(3300)도 마찬가지로 상측캐릭터부(330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이 돌출부(3321)가 제2프레임부(33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귀나 눈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입체적인 형상을 더욱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돌출부(3321)의 형성을 위하여 상호 절곡되는 부위에 절취부위가 구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7은 도 6의 전개도이다.
제2실시예와 같이 측벽부는 연결부(3110)로부터 후방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경우 연결부(3110)에는 돌설부들의 삽입 즉, 제1프레임부(3200)의 돌설부와 제2프레임부(3300)의 돌설부들이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참조번호 미표시)가 형성되며 이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또한, 결합홈으로서 측벽부의 상측에 제1홈(3120), 후방측에 제2홈(3130) 및 하측에 제3홈(314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과 돌설부들 및 체결홈들의 관계는 상기된 사항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이때, 도 5와 같이 전단력에 대한 내구성의 향상을 위하여 보강부(2600)가 골격부(3100)와 대향골격부(315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부(2600)는 도시된 경우 측벽부의 후방, 상방 또는 하방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대략 돌출부(3321)와 캐릭터부의 배치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프레임부, 즉 제1프레임부(3200), 제2프레임부(3300), 제3프레임부(3400) 및 제4프레임부(3500)의 형태는 대략 대응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부(32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조적인 안정성의 향상을 위하여 각 프레임부는 모서리를 중심으로 골격부(3100)를 감싸는 길이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는 결합홈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작은 부위를 단판부(3201)로, 긴 부위를 장판부(3202)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프레임부(3200)의 장판부는 하측캐릭터부를 구성하게 되며, 제2프레임부(3300)의 단판부는 상측캐릭터부를 구성하게 된다. 돌출부(3321)가 장판부보다 단판부에 형성되는 경우 특히 골판지와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판상 재질에서 충격에 의한 변형의 정도가 저감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장판부와 단판부는 각각 단부측에 에지돌설부,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돌설부가 배치되는 측은 모두 균일하게 측벽부에서 내주방향으로 절곡되어 인접되는 프레임부와 밀착되어 함께 결합홈에 삽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의자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언더프레임의 평면도이다.
상기된 조립식 의자(1000,2000,3000)는 소정의 실내외의 장소에 배치되어 휴식 또는 게임의 용도로서 사용된다.
그런데, 특히 골판지로서 제작되는 경우 경량의 이점은 있으나 이동 과정에서의 충격이나 끌림에 따라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이는 내구성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소정의 롤러부를 결합하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제시한다.
조립식 의자(1000,2000,3000)의 저면에는 외측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언더프레임(4100)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언더프레임(4100)은 전체적으로 대략 판상의 구조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언더프레임(4100)은 구조적인 지지능력의 향상을 고려하여 보다 경성인 합성수지나 금속재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언더프레임(4100)은 조립식 의자(1000,2000,3000)의 저면으로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체결돌부(4110)를 구비하며, 조립식 의자(1000,2000,3000)의 내측에서 체결이 완료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4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부(411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체결부재(4120)는 나사홈을 구비하는 너트와 같은 부재가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체결돌부(4110)는 별도의 볼트와 같은 부재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실시예의 경우 전후프레임부(1200)의 저면판(1201)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골격부(1100)의 연결부(1110)에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골격부(1100)와 프레임부의 체결력도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전후프레임부(2200)의 저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변형예와 같이 보강부(2600)가 배치되는 경우 이에 대해 관통홀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의 경우 제1프레임부(3200)와 제4프레임부(3500)의 저면 부위를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들은 각각의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최소한 상기 체결돌부(4110)와 관통홀들은 모서리측에 인접되어 4개소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9의 도시사항과 같이 9개소에 상호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언더프레임(4100)의 저부에 배치되는 롤러부(4200)에 의하여 이동 간의 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이동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는데, 이에 따라 조립식 의자의 저면, 더욱 정확하게는 언더프레임(4100)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에 이격되는 간격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인체의 발가락과 같은 부위가 바람직하지 않게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해를 입거나 롤러부에 찍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언더프레임(4100)의 외주측에서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이격된 간격을 좁히도록 하향절곡부(참조번호 미표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주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고려하면 상기 하향절곡부는 전후방에서 양측으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언더프레임(4100)의 테두리 전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언더프레임(4100)의 하향절곡부와 바닥면의 이격된 간격은 선택적이나 발가락의 높이를 고려하여 1cm 이하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실시예들에서 조립식 의자(1000,2000,3000)들은 전면에 소정의 캐릭터부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캐릭터부는 그 자체로서 미관을 향상하며 소정의 도로나 수풀 형태의 바닥장식 등과 결합하여 오락의 용도로서도 사용될 수 있게 되는데 오락으로서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증강현실을 접목하는 경우를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상기된 조립식 의자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의 모바일단말기 및 실물 캐릭터인 조립식 의자(1000)의 실물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실물 캐릭터 관계형성 게임의 개념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장치(5000)는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5100)를 장착하고 있는 다양한 장비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장치(5000)의 예로서, 노트북,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DMB 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과 같은 각종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가 고려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모바일장치(5000)는 무선으로서 소정의 서버와 연결되어 즉각적인 입력과 반응을 송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데, 이러한 무선 연결은 wifi, GSM, 무선와이브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통신(Zigbee protocol) 등의 다양한 연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된 서버는 이용자의 온라인계정을 형성하고, 촬영된 조립식 의자(1000)의 캐릭터부의 이미지에 따라 소정의 가상이미지를 합성하거나 추가적으로 도식화할 수 있도록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관계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이용자가 조립식 의자(1000)를 대상으로 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게 되면, 상기 서버는 캐릭터부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에 대해 활성화캐릭터(5120)와 증강현실이미지(5110)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장치(50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이미지(5110)는 실제의 이미지가 아닌 디스플레이(5100)에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자동차 형태의 캐릭터부(1210)가 구축되는 경우 도로와 같은 이미지이거나, 도 3과 같이 토끼 형태의 캐릭터가 구축되는 경우 나무와 돌과 같은 이미지일 수 있다. 증강현실이미지(5110)는 정지된 이미지가 아닌 동적인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는 증강현실이미지(5110)에서 활성화캐릭터(5120)가 이동되는 감각을 느끼게 된다.
이때, 상기 활성화캐릭터(5120)는 조립식 의자(1000)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5100) 상에 캐릭터화한 정적인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는데,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관계형성액션인 동적 또는 변화이미지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사항과 같이 이용자가 터치디스플레이에서 활성화캐릭터(5120)의 얼굴 부위를 터치한 경우 모바일장치(5000)는 해당 영역에서의 터치입력을 인식하고 이에 대하여 변화되는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증강현실과 이용자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미지의 변화는 표정의 변화 또는 형태 자체의 변화를 의미할 수 있고, 또한 상기된 증강현실이미지(5110)에 대한 변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소정의 스토리에 따라 활성화캐릭터(5120)와 증강현실이미지(5110)를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야기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용자의 입력명령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는 활성화캐릭터(5120) 및 증강현실이미지(5110)는 상술한 이용자 관계형성진행에 상응하는 사용자 관계형성진행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접수되면 소정의 시나리오 정보 저장소에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적절한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된 반응은 모바일장치(5000)에서 구현되는 시각적 이미지나 음성 또는 음향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진동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적 이미지는 정적 또는 동적의 3차원 이미지로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이러한 관계 속에서 이용자는 자신의 상황에 맞게, 온라인 계정에 접속하고 실물캐릭터인 조립식 의자(1000)에 대해 증강현실을 제공받거나 소정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실물캐릭터와의 교감의 형성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유아의 인지능력과 소통능력의 향상에 있어서 유익한 교보재로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의자에 의하여 종래에 비하여 경량이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자가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판재로 구성되는 조립식의자에 있어서 구조적이 효율성이 향상되므로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시스템에 따라 조립식 의자가 소정의 캐릭터를 구비하고 이를 증강현실로서 이용자에 대해 반응 및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물리적인 의자의 용도로서 뿐만이 아니라 오락이나 교육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은 상호간에 일부 또는 전부 다른 실시예들에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2000,3000...조립식 의자 1100,2100,3100...골격부
1110,2110,3110...연결부 1120...측벽부
1130...지주부 1141...제1지지부
1142...제2지지부 1143...모서리측지지부
1150,2150,3150...대향메인프레임 1151...단차부
1200...전후프레임부 1201...저면판
1202...하측배면판 1210...캐릭터부
1220...전방판부 1221,3321...돌출부
1300,2300...상측프레임부 1301...상단판
1302...정면판 1410, 1420...좌판프레임부
1411, 1421...상판 1412, 1422...일측돌설부
1413, 1423...중심측돌설부 1414, 1424...타측돌설부
1415, 1425...에지돌설부 1500...모서리측프레임부
1501...모서리측상판 1502...모서리측배면판
2152...삽입구 2200...전후프레임부
2201...하측캐릭터부 2301...상측캐릭터부
2600...보강부 3120...제1홀
3130...제2홀 3140...제3홀
3200...제1프레임부 3201,3301,3401,3501...단판부
3202,3302,3402,3502...장판부 3300...제2프레임부
3400...제3프레임부 3500...제4프레임부
4100...언더프레임 4110...체결돌부
4120...체결부재 4200...롤러부
5000...모바일장치 5100...디스플레이
5110...증강현실이미지 5120...활성화캐릭터

Claims (9)

  1. 판재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측벽부와, 양측의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측벽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주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골격부;
    상기 골격부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골격부에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대향골격부;
    상기 측벽부의 전방, 후방 및 저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전후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후프레임부;
    상기 지주부를 전방, 후방 및 상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측프레임부;
    상기 지주부의 후방에서 좌판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좌판프레임부; 및
    상기 측벽부의 후방 상측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측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프레임부는, 후면에 배치되는 하측배면판부와, 전방 상면을 형성하며 후방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전방판부와, 캐릭터부의 상측에서 전방판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골격부의 전방측을 감싸는 부위의 정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에 캐릭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프레임부는, 지주부의 전방측에서 상측캐릭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캐릭터부와 하측배면판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경사지되 캐릭터부의 경사도가 하측배면판부의 경사도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전후프레임부, 상측프레임부, 좌판프레임부 및 모서리측프레임부는, 최소한 어느 하나 이상이 상호 밀착되어 상기 골격부 및 대향골격부를 상하 및 전후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전후 단부측에서 양단측으로 배치되는 에지돌설부, 결합홈들의 배열의 사이에 배치되는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를 구비하는 조립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돌설부의 폭은, 일측돌설부, 중심측돌설부 및 타측돌설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와 대향골격부를 연결하며 횡방향으로의 지지력을 향상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저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언더프레임; 및
    상기 언더프레임의 저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더프레임은,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향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자.
  8. 제1항의 조립식 의자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으로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모바일장치; 및
    상기 모바일장치의 촬영부로부터 입력된 조립식 의자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활성화캐릭터와 증강현실이미지를 제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조립식 의자에 표시되는 캐릭터부를 인식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이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변경된 활성화캐릭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KR1020140191809A 2014-12-29 2014-12-29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KR10169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809A KR101699592B1 (ko) 2014-12-29 2014-12-29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809A KR101699592B1 (ko) 2014-12-29 2014-12-29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219A KR20160080219A (ko) 2016-07-07
KR101699592B1 true KR101699592B1 (ko) 2017-01-24

Family

ID=5649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809A KR101699592B1 (ko) 2014-12-29 2014-12-29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5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761B2 (ja) * 1995-03-31 2000-10-30 ライカ マイクロシステムズ ヴェッツラー ゲーエムベーハー 光励起を用いた半導体材料の応答分析の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9864B2 (ja) * 1989-09-18 1999-07-19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No▲下2▼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93792B1 (ko) * 2011-05-17 2013-08-06 (주)그린가이아 조립식 등받이 의자
KR101435508B1 (ko) * 2013-01-22 2014-09-01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용 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761B2 (ja) * 1995-03-31 2000-10-30 ライカ マイクロシステムズ ヴェッツラー ゲーエムベーハー 光励起を用いた半導体材料の応答分析の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219A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730B2 (en) Chair, stool assembly, and system
KR101699592B1 (ko) 조립식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US20100115698A1 (en) Play system for children, including playmat and playpieces
US20100078909A1 (en) Baby walker as walk helper
KR102105371B1 (ko) 종이 접기를 이용한 조립식 인형극 놀이기구
AU2011286558A1 (en) Mat capable of changing into sofa
WO2022085478A1 (ja) シートシステム
KR101148938B1 (ko) 자석 완구 세트
JP3137154U (ja) 玉箱仕切り板
KR200427977Y1 (ko) 조립식 의자
KR102256746B1 (ko) 결합식 의자
KR20190000576U (ko) 조립식 놀이집
JP4200947B2 (ja) 引手付き椅子
JP3146413U (ja) 立体模型組立セット
CN204862151U (zh) 一种折叠布料床结构
CN104983219B (zh) 一种折叠布料床
CN215873639U (zh) 具有按摩功能的鞋底及鞋
KR102216239B1 (ko) 침대용 파운데이션
KR200303189Y1 (ko) 조립식 매트
JP3038366U (ja) 座椅子
CN106730872B (zh) 游具
CN208113751U (zh) 一种瓦楞纸猫爬架
KR20190066850A (ko) 에어매트 및 에어매트를 구비한 간이침대
KR101518993B1 (ko) 다기능 범퍼 침대
JP3012355U (ja) カード型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