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239B1 - 침대용 파운데이션 - Google Patents

침대용 파운데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239B1
KR102216239B1 KR1020190101601A KR20190101601A KR102216239B1 KR 102216239 B1 KR102216239 B1 KR 102216239B1 KR 1020190101601 A KR1020190101601 A KR 1020190101601A KR 20190101601 A KR20190101601 A KR 20190101601A KR 102216239 B1 KR102216239 B1 KR 10221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fabric layer
bed
fix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김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김영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Priority to KR102019010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2Stacking or nesting bedsteads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용 파운데이션(Foundation)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매트리스를 탑재하여 지지 및 쿠션 기능을 수행하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다수 개로 구성되는 목재 프레임과, 상기 목재 프레임의 일측면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단프라 시트층과, 상기 단프라 시트층 상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벨벳 원단층과, 상기 벨벳 원단층이 형성된 타측면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부직포 원단층과, 상기 벨벳 원단층 상에 덧대어져 마감되는 직물 원단층과, 상기 직물 원단층이 형성된 파운데이션의 좌우 양측면의 상하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 철물과, 저면에 결합 되어 파운데이션을 지탱하는 다수의 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철물은 사각 판체 형상의 금속재로서 좌우 양측에 나사로 파운데이션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직물 원단층의 소재로는 직물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벨벳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운데이션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시공기사 없이도 고객 스스로 파운데이션의 설치와 분해가 가능하며,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분해가 용이하므로 각 유닛을 분리하여 택배 발송이 가능하며,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Unit)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보관이 편리하고 필요 시 언제든지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마감 시 원단으로 프레임을 감싸 밀봉함으로써 외관이 깔끔하므로 심미감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관리가 용이하므로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침대용 파운데이션{The foundation for the bed}
본 발명은 침대에 구성되어 매트리스의 지지기능 및 이중 쿠션기능을 수행하는 침대용 파운데이션(Foundation)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시공기사 없이도 고객 스스로 설치와 분해가 가능하며,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분해가 용이하므로 각 유닛을 분리하여 택배 발송이 가능한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용 파운데이션(The foundation for the bed)은 두 개의 매트리스를 적층 하여 구성하는 과정에서 하부 매트리스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 파운데이션은 투(Two) 매트리스(Mattress)의 적용시 상부 매트리스를 지지함은 물론 상부매트리스와 하부매트리스 간의 완충작용을 통해 이중의 쿠션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투 매트리스를 적용하려는 경우, 침대의 배치장소에 하부매트리스를 이루는 파운데이션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파운데이션의 상측에 매트리스를 탑재하게 되면, 매트리스가 갖는 편안함이나 안락감을 더욱 배가할 수 있어 침대의 쿠션력 및 완충력이 배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파운데이션은 중량물로서 시공기사 없이 혼자만의 힘으로 설치나 이동이 몹시 어렵고, 이동과정에서 주변 물품이나 사람과 충돌하는 경우, 상기 파운데이션의 손상은 물론 인적 피해까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시공기사 없이도 고객 스스로 설치와 분해가 가능하며,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분해가 용이하여 택배 발송이 가능한 파운데이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7107호, 2014년 08월 07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8528호, 2014년 12월 04일 공고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파운데이션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시공기사 없이도 고객 스스로 파운데이션의 설치와 분해가 가능하며,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분해가 용이하므로 각 유닛을 분리하여 택배 발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Unit)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보관이 편리하고 필요 시 언제든지 조립이 가능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두 번째 목적은 외관이 깔끔하여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세 번째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관리가 용이하므로 경제성 있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매트리스를 탑재하여 지지 및 쿠션 기능을 수행하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다수 개로 구성되는 목재 프레임과, 상기 목재 프레임의 일측면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단프라 시트층과, 상기 단프라 시트층 상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벨벳 원단층과, 상기 벨벳 원단층이 형성된 타측면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부직포 원단층과, 상기 벨벳 원단층 상에 덧대어져 마감되는 직물 원단층과, 상기 직물 원단층이 형성된 파운데이션의 좌우 양측면의 상하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 철물과, 저면에 결합 되어 파운데이션을 지탱하는 다수의 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철물은 사각 판체 형상의 금속재로서 좌우 양측에 나사로 파운데이션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직물 원단층의 소재로는 직물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벨벳인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시공기사 없이도 고객 스스로 파운데이션의 설치와 분해가 가능하며,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분해가 용이하므로 각 유닛을 분리하여 택배 발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Unit)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보관이 편리하고 필요 시 언제든지 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불어, 마감 시 원단으로 프레임을 감싸 밀봉함으로써 외관이 깔끔하므로 심미감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한다.
나아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관리가 용이하므로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목재 프레임에 단프라 시트층이 덧대어져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목재 프레임에 단프라 시트층이 덧대어져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파운데이션 중 1개의 단프라 시트층이 형성된 목재프레임에 벨벳원단을 씌운 상태의 전면(상) 및 후면(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벨벳 원단층이 형성된 파운데이션 유닛의 저면에 부직포 원단으로 마감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직물원단으로 마감하고 각 유닛을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파운데이션 중 1개의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실제 연결철물을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철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실제 연결철물이 장착된 파운데이션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사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은 상부매트리스를 탑재하여 지지 및 쿠션 기능을 수행하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목재 프레임(100)과, 단프라 시트층(200)과, 벨벳 원단층(300)과, 부직포 원단층(400)과, 직물 원단층(500)과, 연결 철물(600)과, 다리(70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목재 프레임에 단프라 시트층이 덧대어져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목재 프레임에 단프라 시트층이 덧대어져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목재 프레임(1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몸체를 형성하기 위한 목재 뼈대를 이루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의 이동 및 설치가 쉽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다수 개로 나누어 제작하여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파운데이션은 다수 개의 목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조립 및 분해와 제작 등을 고려하여 미송으로 제작하였으나 반드시 미송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의 요구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목재로 제작 가능하다. 도 1과 도 2에서는 각 목재프레임을 4개 제작하였으며, 각각의 목재 프레임을 한 개의 유닛(Unit)으로 칭한다.
상기 각각의 목재 프레임(100)은 사각형의 틀을 만들고 이 틀이 틀어지지 않도록 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를 관통하는 판재를 덧대어 만들며 그 형태를 덧대어지는 판재의 위치나 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목재 프레임(100)에는 일측면에 단프라 시트층(200)이 덧대어져 부착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중심부를 관통하여 덧대어지는 판재의 반대편에 단프라 시트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대용 파운데이션 중 1개의 단프라 시트층이 형성된 목재프레임에 벨벳원단을 씌운 상태의 전면(상) 및 후면(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벨벳 원단층이 형성된 파운데이션 유닛의 저면에 부직포 원단으로 마감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확대도로서,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벨벳 원단층(300)은 상기 단프라 시트층(200) 상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직물이며, 이렇게 벨벨 원단층이 형성된 파운데이션 유닛(Unit)은 타측면에 부직포를 덧대어 고정하는 부직포 원단층(400)을 형성한다. 상기 부직포 원단층(400)은 파운데이션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직물원단으로 마감하고 각 유닛을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파운데이션 중 1개의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직물 원단층(500)은 상기 벨벳 원단층(300) 상에 덧대어져 마감되는 직물층으로서, 직물의 소재로는 직물 또는 폴리우레탄(PU) 또는 벨벳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직물 원단층(500)이 형성된 파운데이션 유닛(Unit)의 좌우 양측면의 상하에는 연결 철물(600)이 결합 되어 있다. 즉 1개의 파운데이션 유닛에는 좌우측 상하에 각각 1개씩 총 4개의 연결 철물이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운데이션 유닛의 저면에는 파운데이션을 지탱하기 위하여 다리(700)가 결합 되어 있으며, 1개의 파운데이션 유닛에는 총 4개의 다리가 결합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실제 연결철물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철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각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의 실제 연결철물이 장착된 파운데이션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 철물(600)은 사각 판체 형상의 금속재로서 좌우 양측에 나사로 파운데이션(800)에 고정되는 고정편(610)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편(6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고정편(610)에는 각각 2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이 관통공에 나사를 결합하여 파운데이션에 고정한다. 상기 결합편(620)은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서 이 결합편(620)을 통해 이웃하는 파운데이션 유닛끼리 결합해야 하므로 상기 연결 철물(600)을 파운데이션 유닛에 고정시에는 상기 결합편(620)의 구조를 고려하여 한쪽은 결합편(620)의 개방 구조가 아래로 향하도록 하고 다른 한쪽은 개방 구조가 위로 향하도록 고정해야 이웃하는 파운데이션 유닛끼리 결합이 가능하다.
즉 연결 철물(600)의 결합편(620)의 개방구조가 아래로 향하도록 고정된 파운데이션 유닛이 위로부터 아래로 끼워지도록 하고 반대로 하측에 위치한 파운데이션 유닛의 연결철물(600)의 결합편(620)의 개방구조는 위로 향하도록 고정되어야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침대용 파운데이션은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시공기사 없이도 고객 스스로 파운데이션의 설치와 분해가 가능하며,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분해가 용이하므로 각 유닛을 분리하여 택배 발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침대용 파운데이션을 구성하는 각 유닛(Unit)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보관이 편리하고 필요 시 언제든지 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마감 시 원단으로 프레임을 감싸 밀봉함으로써 외관이 깔끔하므로 심미감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관리가 용이하므로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 목재 프레임 200 : 단프라 시트층
300 : 벨벳 원단층 400 : 부직포 원단층
500 : 직물 원단층 600 : 연결 철물
610 : 고정편 620 : 결합편
700 : 다리

Claims (3)

  1. 상부매트리스를 탑재하여 지지 및 쿠션 기능을 수행하는 침대용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다수 개로 구성되는 목재 프레임(100);과, 상기 목재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단프라 시트층(200);과, 상기 단프라 시트층(200) 상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벨벳 원단층(300);과, 상기 벨벳 원단층(300)이 형성된 타측면에 덧대어져 고정되는 부직포 원단층(400);과, 상기 벨벳 원단층(300) 상에 덧대어져 마감되는 직물 원단층(500);과, 상기 직물 원단층(500)이 형성된 파운데이션의 좌우 양측면의 상하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연결 철물(600);과, 저면에 결합 되어 파운데이션을 지탱하는 다수의 다리(70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철물(600)은 사각 판체 형상의 금속재로서 좌우 양측에 나사로 파운데이션(800)에 고정되는 고정편(610)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편(6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직물 원단층의 소재로는 직물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벨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파운데이션(800)
  2. 삭제
  3. 삭제
KR1020190101601A 2019-08-20 2019-08-20 침대용 파운데이션 KR10221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601A KR102216239B1 (ko) 2019-08-20 2019-08-20 침대용 파운데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601A KR102216239B1 (ko) 2019-08-20 2019-08-20 침대용 파운데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239B1 true KR102216239B1 (ko) 2021-02-17

Family

ID=7473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601A KR102216239B1 (ko) 2019-08-20 2019-08-20 침대용 파운데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2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792Y1 (ko) * 1994-07-12 1998-10-15 원송희 침대용 매트리스의 바닥판넬
KR200438935Y1 (ko) * 2007-04-09 2008-03-12 전윤구 면상발열체가 내장된 조립식 침대
KR101427107B1 (ko) 2013-01-04 2014-08-07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KR101468528B1 (ko) 2013-09-17 2014-12-04 안유수 청소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KR20190084218A (ko) * 2019-06-26 2019-07-16 전주영 찜질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792Y1 (ko) * 1994-07-12 1998-10-15 원송희 침대용 매트리스의 바닥판넬
KR200438935Y1 (ko) * 2007-04-09 2008-03-12 전윤구 면상발열체가 내장된 조립식 침대
KR101427107B1 (ko) 2013-01-04 2014-08-07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완충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KR101468528B1 (ko) 2013-09-17 2014-12-04 안유수 청소기능을 갖는 침대용 파운데이션
KR20190084218A (ko) * 2019-06-26 2019-07-16 전주영 찜질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933B2 (en) Furniture spring system
US4181991A (en) Mattress foundation
US20020059681A1 (en) Mattress and bed assembly providing an enlarged sleeping surface area
ITPD20080209A1 (it) Seduta variamente componibile
US6557198B1 (en) Mattress and bed assembly providing an enlarged sleeping surface area
CN105578929A (zh) 床-沙发转换框架
US3685063A (en) Furniture
KR102216239B1 (ko) 침대용 파운데이션
US9370244B1 (en) Multi-functional, reconfigurable furniture system for use on uneven surfaces
JP3176122U (ja) テーブル兼用組立椅子
KR20160002665U (ko) 조립식 소파
JP5390664B2 (ja) 長椅子の構造
JP7372124B2 (ja) ソファシステム
KR20140103449A (ko) 침대 또는 의자로 변형할 수 있는 가구
JP2004195209A (ja) ベッド
CN113226121B (zh) 床框架
RU2804838C2 (ru) Рама кровати
KR102666816B1 (ko) 조립식 소파
JP7344446B2 (ja) 窓辺構造及び居室
KR200458208Y1 (ko) 책상 겸용 칸막이
KR20220001740U (ko) 연결의자
JP5569994B1 (ja) 長椅子の構造
KR20240053163A (ko) 이동 가능한 모듈형 소파
KR200202856Y1 (ko) 침대겸용 소파
BR202017025469U2 (pt) Configuração construtiva de sof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